KR101077962B1 - 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 Google Patents
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7962B1 KR101077962B1 KR1020090097672A KR20090097672A KR101077962B1 KR 101077962 B1 KR101077962 B1 KR 101077962B1 KR 1020090097672 A KR1020090097672 A KR 1020090097672A KR 20090097672 A KR20090097672 A KR 20090097672A KR 101077962 B1 KR101077962 B1 KR 101077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manhole
- additional
- pieces
- inner mol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76—Moulds
- B28B21/82—Moulds built-up from several parts; Multiple moulds; Moulds with adjustable pa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3/00—Feeding the unshaped material to moulds or apparatus for producing shaped articles; Discharging shaped articles from such moulds or apparatus
- B28B13/04—Discharging the shaped articles
- B28B13/06—Removing the shaped articles from moul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90—Methods or apparatus for demoulding or discharging after shap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동공을 가지는 외형틀과, 상기 외형틀의 내부에 동심도가 일치되도록 설치되되, 외주연을 따라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를 가지는 내형틀과, 상기 메인형틀의 개구부에 대응결합되어 원형단면을 가지는 내형틀의 구조를 이루도록 하는 부가형틀과, 상기 부가형틀을 전, 후진 시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맨홀을 상기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서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form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manhole, and more particularly, the outer frame having an inner pupil and the concentricity are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outer frame, and a coupling member is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An inner mold having an open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additional mold corresponding to the opening of the main mold to form a structure of an inner mol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manhole cured by pouring concrete after the additional mold is retrac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form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manhole so as to be easily separated between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맨홀, 외형틀, 내형틀, 실린더 Manhole, frame, inner frame, cylind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내형틀을 길이방향으로 일부 절개하여 부가형틀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원형단면의 온전한 내형틀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되, 상기 부가형틀을 전, 후진시킴으로써,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 위치되는 맨홀형틀을 내, 외형틀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맨홀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o that the complete inner frame of the circular cross-section by making the additional mold is insert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inner mol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mantle mold positioned between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by reversing the additional mo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hole form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frame.
도로변에는 길가에서 발생되는 오폐수 및 우수 등(이하 하폐수)을 배수처리하기 위한 맨홀이 설치되며, 이러한 맨홀은 지하에 매립된 하수관으로 연결되면서 이를 따라 상기 하폐수를 원격지에 있는 정화처리시설인 하수처리장으로 이송시키거나 또는 하천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된 하폐수를 수집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게 된다.Manholes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to drain wastewater and rainwat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wage) generated from the roadside.These manholes are connected to sewer pipes buried underground, whereby the sewage water is sent to sewage treatment plants, which are remote treatment facilities. Collected sewage water from outside or connected to the stream or connected to the stream is processed in a batch.
즉, 도로의 양측에는 배수구가 설치되고, 상기 배수구에는 하수관이 길게 연결되어 눈이나 비가 올 경우 토사를 포함한 도로상의 각종 이물질을 상기 하수관을 통해 하천이나 강으로 배수시키도록 되어 있다.That is, drain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road, and the drains are connected to the drains for a long time so that various foreign matters on the road including earth and sand are drained to the rivers or rivers through the sewers in the case of snow or rain.
상기한 하수관 중간에는 소정 크기의 맨홀이 설치되어 빗물과 함께 쓸려 내 려온 잔류토사 또는 이물질을 분리하여 이들로 인해 하천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A manhole of a predetermined size is installed in the middle of the sewage pipe to separate residual soil or foreign substances swept away with rainwater, thereby preventing the rivers from being contaminated.
상기와 같은 맨홀을 제작함에 있어서, 복수개의 내, 외형틀 사이에 콘크리트와 같은 맨홀부재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맨홀이 굳으면서 맨홀의 내주연에 내형틀과 접촉된 상태로 굳어버리기 때문에, 상기 맨홀과 내형틀을 상호간 이탈시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요했다.In manufacturing the manhole as described above,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nhole by pouring a manhole member, such as concrete, between a plurality of inner and outer molds, and then us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anhole, the inner frame of the manhole while the manhole is hardened Since it hardens in contact with, it was necessary to separate the manhole and the inner mold from each other.
이를 위해서는 기존에, 상기 맨홀 내부로 직접 작업자가 투입되어, 별도의 장비 및 작업 등을 통해 상기 내형틀과 맨홀 상호간 분리시키는 작업을 시행하였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은 맨홀 제작에 있어서 제작시간을 증가시킨다는 문제점과, 인력의 소모 및 작업의 불편함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To this end, in the past, a worker was directly put into the manhole, and the work was performed to separate the inner mold and the manhole through separate equipment and work, but the above method increases manufacturing time in manhole manufacturing. Problems, such as waste of manpower and inconvenience of 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맨홀을 제작하기 위해,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 후 양생시켜 제작된 맨홀을 작업자가 직접 내형틀 속으로 들어가 다양한 방법을 통해 내형틀과 맨홀 사이를 분리시키지 않아도, 착탈가능한 부가형틀이 결합됨으로써 온전한 원형단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내형틀과,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 타설되는 맨홀로부터 상기 부가형틀을 전, 후진 시켜 착탈가능토록 하는 착탈장치를 통해, 맨홀이 양생되면서 접착되어진 내, 외형틀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ufacture a manhole, after casting concrete between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to cure the manhole directly into the inner mold The mold is detachable from the inner frame and the manhole, and the detachable additional mold can be combined to have the shape of an intact circular cross section without having to be separated between the inner mold and the manhole through various methods. It is to provide a manhole forming apparatus that is easy to separate the manhole to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inner, outer frame to be bonded while curing the manhole, through the detachable device to be detachable by moving backward, backward.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nd will be appreciated by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Furthermore,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means and combinations indica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 동공을 가지는 외형틀과; 상기 외형틀과 동심도가 일치되어 내부에 일정간격 이격설치되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는 결합부재가 길이방향을 향해 등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가 형성되는 내형틀과; 상기 개구부에 대응결합되어 원형 단면의 내형틀이 형성되도록 하며, 내형틀 내부로 제 1, 2이동편을 길이방향 상, 하단에 각각 돌출형성하고, 상기 제 1, 2이동편 사이에 상호간 이격되는 제 1, 2고정편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는 부가형틀과; 상기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맨홀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부가형틀을 내형틀 내부로 끌어당겨 맨홀로부터 탈거될 수 있도록 하는 착탈장치;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 outer frame having an internal pupil; An inner frame having concentricity with the outer frame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members protruding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are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opening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rrespondingly coupled to the opening to form an inner mold having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protruding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on the low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to the inner mold, respective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An additional mold allow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to protrude; A detachment device for pulling the additional mold into the inner mold so that the cured manhole can be easily separated by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so that it can be removed from the manhole; And a control unit.
또한, 상기 착탈장치는 상기 제 1, 2고정편에 일단이 각각 결합고정되는 제 1, 2지지편과; 상기 제 1, 2지지편에 일단이 각각 힌지결합되고, 중단에 형성된 절곡부로 인해 타단이 상호간 대응결합되며, 상호간 대칭을 이루는 제 1, 2조절편과; 상기 내형틀 내부에 직립설치되어 복수개의 절곡부와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1조절편과 제 2조절편이 각각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위치고정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대와; 상호간 결합되어 있는 제 1, 2조절편의 타단을 전, 후진 시키는 메인 실린더와; 상기 수직대의 상, 하단에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결합되는 수평대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 1, 2이동편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메인 실린더와 동시에 전, 후진 됨으로써 부가형틀을 전, 후진 시키는 제 1, 2 부가실린더;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etachable device includes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respectively; One end hinged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eces, the other end correspondingly coupled to each other due to the bent portion formed at the middle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pieces forming symmetry with each other; A vertical stand installed in the inner mold and hinged to a plurality of bent portions, such that the first adjusting piece and the second adjusting piece are positioned around each bent portion to be rotated; A main cylinder which forwards and reverses the oth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djusting pieces which are coupled to each other; One end is fixed to a horizontal stand that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groun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vertical stan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respectively, an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simultaneously with the main cylinder so that the additional frame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First and second addition cylinder to be; . ≪ / RTI >
또한, 제 1, 2이동편은 양단에 장공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에 형성된 결합편이 상기 장공과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착탈장치에 의해 부가형틀이 전, 후진 되는 경우, 상기 장공의 천공크기만큼 전, 후진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are each formed by the long hole at both ends, so that the engaging piec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is connected by the long hole and the connecting means, when the additional mol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detachable devi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as much as the drilling size of the long hole.
또한, 상기 내형틀은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에 의해 부가형틀이 장공의 천공크기만큼 전, 후진 된 후, 제 1, 2이동편를 결합부재와 연결시키는 결합편에 의 해,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내형틀의 양단측 각각이 부가형틀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 후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mold is centered on the opening by a coupling piece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oving pieces to the coupling member after the additional mold is moved forward and backward by the first and second additional cylinders by the punching size of the long hole. As a result, both ends of the inner mold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re moved forward and backwar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advancing direction of the additional mold.
또한, 상기 내형틀은 상기 부가형틀이 끼워지는 상기 개구부가 좁아지거나 또는 벌어지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개구부를 중심으로 내형틀의 양측을 지지고정하는 고정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mol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stand for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inner mold around the opening so as to maintain a constant interval without narrowing or opening the opening to which the additional mold is fitted.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형틀과 내형틀 사이에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되어진 맨홀을, 작업자가 직접 내형틀 내부에 들어가 별도의 작업을 시행하지 않아도,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접착되어버린 내, 외형틀로부터 맨홀을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hole that is cured by placing concrete between the outer mold and the inner mold is bonded in the process of being cured even if the worker does not directly enter the inner mold and perform a separate operation. The effect is that the manhole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rame.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및 "제 2(second)" 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Before describing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l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ails of construc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r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and carried out in other embodiments and carried out in various way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device or element orientation (e.g., "front," "back," "up," "down," "top," "bottom,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herein for terms such as "left," " right, "" lateral, " and the like are used merely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that the element has to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Also,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appended claims for purposes of illustration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mean the relative importance or spirit.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ior to thi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s should properly explain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best explain their own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the drawing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hat can be replac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Also, terms such as " first "and" second "are used herein for the purpose of the description and the appended claims, and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their relative importance or purpose.
이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referring to FIGS. 1 to 9, a manhole forming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a manho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맨홀의 분리가 용이한 맨홀성형장치는 외형틀(10), 내형틀(20), 부가형틀(30), 착탈장치(4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manhole molding apparatus for easy separation of the manho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상기 외형틀(10)은 상, 하면이 개구되고, 길이방향으로 천공되는 원형 관체 형상을 가진다.The
상기 내형틀(20)은 외형틀(10)과 마찬가지로 원형 관체의 형상을 가지며, 외형틀(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형틀(20)과 동심도(Concentricity)가 일치되는 상태에서, 상기 외형틀(1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외형틀(10) 내부에 설치된다. 즉, 상기 외형틀(10)의 내주연과 상기 내형틀(20)의 외주연이 상호간 이격되어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The
상기와 같은 형태를 가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외형틀(10)과 내형틀(20) 사이에 맨홀, 즉 콘크리트 등을 타설(打設)하여 맨홀(70)을 양생(養生)하는 것이다.In the state to have the form as described above, the manhole, that is, concrete is poured between the
상기 내형틀(20)은 내주면 둘레로 돌출되는 결합부재(21)를 형성하되, 상기 결합부재(21)는 내형틀(20)의 길이방향으로 등간격 이격되면서 다수개가 돌출형성되도록 하며, 완전한 원형 관체를 이루지 못하고, 'C' 자 형태와 같이 단면을 가지도록 일부가 절개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향해 개구부(22)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내형틀(20)은 개구부(22)를 중심으로 양단측(A, B) 각각에 내형틀(20)의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결합편(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편(23)은 후술 될 부가형틀(30)의 제 1, 2이동편(31, 32)과 연결되는 부분이다. 이는 하기에서 부가형틀(30)을 언급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더불어, 상기 내형틀(20)에는 개구부(22)를 중심으로 양단측(A, B)을 상호 연결하는 고정대(60)를 설치하여, 상기 내형틀(20)의 개구부(22) 거리가, 상기 부가형틀(30)이 개구부(22)에 끼워지도록 전진하거나 또는 개구부(22)에서 빠지도록 후진되는 경우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들지 않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부가형틀(30)은 개구부(22)에 대응결합됨으로써, 상기 내형틀(20)이 완전한 원형 단면의 관체를 이루도록 하는 것으로, 부가형틀(30) 자체는 원호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The
또한, 상기 부가형틀(30)은 길이방향의 상, 하단 각각에 내형틀(20)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며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제 1, 2이동편(31, 32)을 각각 형성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2이동편(31, 32) 사이에는 제 1, 2이동편(31, 32)과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상호간도 소정거리 이격되어 내형틀(20) 내부를 향해 돌출형성되는 제 1, 2고정편(33, 34)을 더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제 1, 2고정편(33, 34) 또한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더불어, 상기 제 1, 2이동편(31, 32)의 양단부에는 각각 내형틀(20)의 내부측 방향을 향해 천공되는 장공(24)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상기 제 1이동편(31)의 양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24)은 결합편(23)과 연결수단(35)(볼트/너트 등)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이동편(32)의 양단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장공(24) 또한 결합편(23)과 연결수단(35)에 이해 연결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연결을 위해, 상기 내형틀(20)의 내주연에 돌출형성된 다수개의 결합부재(21) 중 복수개의 결합부재(21)는 제 1, 2이동편(31, 32)과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In addition,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oving
상기 착탈장치(40)는 제 1고정편(33)에 일단이 결합되는 제 1지지편(41)과, 상기 제 1지지편(41)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중단은 절곡되는 절곡부(45)가 형성되는 제 1조절편(43)의 첫 번째 구성과, 상기 제 2고정편(34)에 일단에 결합되는 제 2지지편(42)과, 상기 제 2지지편(42)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중단은 절곡되는 절곡부(45)가 형성되는 제 2조절편(44)의 두 번째 구성이 상호간 내형틀(20)의 내부에서 상, 하로 배치되는 것이다.(상기 제 1고정편(33)과 제 1지지편(41) 및 제 2고정편(34)과 제 2지지편(42) 상호간은 나사결합되어, 상호간 간격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 될 제1, 2부가실린더(49, 50)와 부가형틀(30) 상호간의 간격과 일치되도록 조절가능토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조절편(43)과 제 2조절편(44)은 상호간 대향되어 마주보는 대칭된 형태를 가지도록 하여, 제 1조절편(43)은 절곡부(45)로 인하여 타단이 제 2조절편(44)으로 향하게 되고, 상기 제 2조절편(44)은 절곡부(45)로 인하여 타단이 제 1조절편(43)으로 향하게 되어, 상기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은 상호간 연결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 1, 2조절편(43, 44)은 일단이 각각 제 1, 2지지편(41, 42)에 힌지결합되되,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은 상호간 연결되어 있는 형태인 것이다.The
또한, 상기 제 1조절편(43)에 형성된 절곡부(45)와, 상기 제 2조절편(44)에 형성된 절곡부(45)는 내형틀(20) 내부에서 직립고정설치되는 수직대(46)에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기와 같이 제 1조절편(43)과 제 2조절편(44)이 상호간 연결된 타단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며 내형틀(20) 내에 설치되는 메인 실린더(47)의 일단에 연결되게 되며, 상기 메인 실린더(47)가 후진하게 될 경우,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을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 1조절편(43)의 일단은 절곡부(4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하강하게 되고, 제 2조절편(44)의 일단은 절곡부(45)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승하게 된다. 즉, 제 1조절편(43)은 일단은 하강하면서 제 1지지편(41)과의 힌지부분이 구부러지면서 부가형틀(30)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조절편(44)의 일단 또한 상승하면서 제 2지지편(42)과의 힌지부분이 구부러지면서 부가형틀(30)을 잡아당기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adjusting
더불어, 상기 수직대(46)의 상, 하단에는 지면과 수평을 이루는 수평대(48)가 각각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수직대(46)의 상단에 위치된 수평대(48)는 일단에 제 1부가실린더(49)가 설치되고 타단은 내형틀(20)의 내주연에 고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대(46)의 하단에 위치된 수평대(48)는 일단에 제 2부가실린더(50)가 설치되고 타단은 내형틀(20)의 내주연에 고정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에 일단에 결합되는 수평대(48)의 경우,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가 인장 압축을 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지는 등 위치가 변동되지 않도록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의 일단을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부가실린더(50)의 일단에 결합되는 수평대(48)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한 역할을 하게 되며, 더불어, 상기 복수개의 수평대(48)는 수직대(46)의 상, 하단에 연결되어 메인 실린더(47)가 인장 압축시 뒤로 밀리는 것 또한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메인 실린더(47)의 후단이 중단부에 고정되어, 양단이 복수개의 수평대(48)의 각각 고정되는 부가 수직대(46a)가 존재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물론, 상기 메인 실린더(47)가 작동시 후단으로 밀리는 등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구성이라면 상기 부가 수직대(46a) 외에 다른 구성이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이때,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의 일단은 부가형틀(30)의 제 1이동편(31)에 고정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 2부가실린더(50)의 일단은 부가형틀(30)의 제 2이동편(32)에 고정결합되어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메인 실린더(47)와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상기 메인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51)가 메인 실린더(47)로 내입되어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이 당겨지면서 부가형틀(30)이 내형틀(20) 내부로 후진되는 경우,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 또한 각각 실린더 내 피스톤 로드(51a, 51b)가 내부로 유입되면서 제 1이동편(31)과 제 2이동편(32)을 내형틀(20) 내부로 끌어당겨 메인 실린더(47)와 함께 부가형틀(30)을 내형틀(20) 내부로 후진시키는 것이다. (즉,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피스톤이 압축 및 인장되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더불어,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만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 1부가실린더(49)가 압축되면서 제 1이동편(31)을 내형틀(20) 내부로 후진시키는 경우, 상 기 제 1이동편(31)은 장공(24)의 길이만큼만 후진되거나 반대로 전진되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only the first
더불어, 상기에서 전술된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공압 또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on and principle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n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상기 내형틀(20)과 외형틀(10) 사이에 맨홀부재를 타설한 후 양생시켜 맨홀(70)을 제작하되 상기 맨홀을 외부로 분리하기 전 상태를 살펴보면, 상기 제 1지지편(41)과 제 2지지편(42)은 상호간 수평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제 1조절편(43)의 일단과 제 2조절편(44)의 일단 또한 수평을 이루고 있는 상태이며, 상기 메인 실린더(47)의 피스톤 로드(51)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는 피스톤 로드(51a, 51b)는 외부로 일정길이 토출되어 있는 상태이다.When the manhole member is placed between the
이후, 상기 부가형틀(30)을 후진시켜 내형틀(20)의 개구부(22)로부터 부가형틀(30)을 탈거시키고자 하는 경우,Subsequently, when the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의 피스톤 로드(51, 51a, 51b)를 압축시키게 되면,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연결되어 있는 제 1, 2조절편(43, 44)의 타단은 메인 실린더(47) 측으로 당겨지게 되고, 제 1, 2조절편(43, 44) 일단 각각은 절곡부(45)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조절편(43)의 일단은 하강하게 되면서 제 1지지편(41)을 끌어당기고, 상기 제 2조절편(44)의 일단은 상승하게 되면서 제 2지지편(42)을 끌어당겨 부가형틀(30)이 후진 하게 된다.When the
이와 동시에, 상기 제 1, 2 부가실린더(49, 50) 또한 압축되면서 제 1, 2이동편(31, 32)을 끌어당겨 부가형틀(30)이 후진하게 되는 것을 돕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 2이동편(31, 32)은 양단에 천공형성된 장공(24) 길이 만큼만 후진하게 된다.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이후, 상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24) 길이 만큼 후진 부가형틀(30)이 후진되어 부가형틀(30)이 맨홀(70)과 소정간격 이격된 후에는, 상기 복수개의 결합편(23)에 의해 제 1, 2이동편(31, 32)과 결합되어 있는 내형틀(20)의 개구부(22)를 중심으로 한 양단측(A, B) 각각도, 상기 제 1, 2부가실린더(49, 50)의 압축에 의해 내형틀(20) 쪽으로 후진되어 맨홀(70)과 소정간격 이격되게 된다.Thereafter, as shown in FIG. 6, after the
(후진된 부가형틀(30)을 개구부(22)에 정확히 맞추어 내형틀(20)이 원형의 단면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메인 실린더(47)와 제 1, 2 부가실린더(49, 50)를 전술된 바와 반대로, 일단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 로드(51, 51a, 51b)를 일정길이 외부로 토출시키면 될 것이다.)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by the limited embodiment and drawing,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is, The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성형장치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showing a manho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이동편과 제 1부가실린더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moving piece and the first additional cyl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2고정편과 메인 피스톤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 사시도.Figure 3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ieces and the main pist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성형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내부사시도.Figure 4 is an in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the interior of the manho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가형틀을 착탈장치를 이용하여 후진하기 전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평면도.Figure 5 is a plan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before the reverse using the detachab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서 부가형틀의 후진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dditional mold is reversed in FIG. 5; FIG.
도 7은 도 5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FIG. 5;
도 8은 도 6의 측면도.8 is a side view of FIG. 6;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맨홀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맨홀이 제작되는 모습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showing a state in which a manhole is manufactured using a manhole form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표시><Indic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외형틀 20: 내형틀10: outer frame 20: inner frame
21: 결합부재 22: 개구부21: coupling member 22: opening
23: 결합편 24: 장공23: Joining Piece 24: Long Hole
30: 부가형틀 31: 제 1이동편30: additional frame 31: the first moving flight
32: 제 2이동편 33: 제 1고정편32: 2nd flight 33: 1st flight
34: 제 2고정편 40: 착탈장치34: 2nd fixing piece 40: Detachable apparatus
41; 제 1지지편 42: 제 2지지편41; 1st support piece 42: 2nd support piece
43: 제 1조절편 44: 제 2조절편43: first adjusting piece 44: second adjusting piece
45: 절곡부 46: 수직대45: bent portion 46: vertical stand
47: 메인 실린더 48: 수평대47: main cylinder 48: horizontal bar
49: 제 1부가실린더 50: 제 2부가실린더49: first addition cylinder 50: second addition cylinder
51, 51a, 51b: 피스톤 로드 60: 고정대51, 51a, 51b: piston rod 60: holder
70: 맨홀70: manhol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7672A KR101077962B1 (en) | 2009-10-14 | 2009-10-14 | 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7672A KR101077962B1 (en) | 2009-10-14 | 2009-10-14 | 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0416A KR20110040416A (en) | 2011-04-20 |
KR101077962B1 true KR101077962B1 (en) | 2011-10-31 |
Family
ID=44046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7672A KR101077962B1 (en) | 2009-10-14 | 2009-10-14 | 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796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491B1 (en) | 2012-04-10 | 2012-07-18 | (주) 하회맨홀 | Manhole forming apparatus |
CN105973658A (en) * | 2016-03-17 | 2016-09-28 | 安徽理工大学 | Sampling method for disc-process shotcrete flexural toughness test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1802B1 (en) * | 2015-03-31 | 2016-02-04 |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 the roa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improved manhole structure |
KR101866787B1 (en) * | 2017-05-16 | 2018-06-12 | (주)아이엠 | Curing mold for mass production of grounding stone for supporting solar photovoltaic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KR101971372B1 (en) * | 2017-12-21 | 2019-04-22 | 이상학 | Concrete pipe inner formwork |
KR101942246B1 (en) * | 2018-08-28 | 2019-01-25 | (주)대원콘크리트 | Resin manhole for body mold |
CN111283863A (en) * | 2018-12-06 | 2020-06-16 | 深圳京创重工特种工程有限公司 | Mold assembly for tower drum and demolding method |
CN112936571B (en) * | 2019-11-26 | 2023-01-24 | 金科新能源有限公司 | Forming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tower barrel |
CN114311236B (en) * | 2021-12-27 | 2022-10-04 | 宁波蛟川构件有限公司 | Manufacturing di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ssembled reinforced concrete U-shaped frame beam |
CN115229680B (en) * | 2022-06-29 | 2024-02-20 | 上海宝冶集团有限公司 | Method for constructing super-long sleeve with interlayer |
-
2009
- 2009-10-14 KR KR1020090097672A patent/KR101077962B1/en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2491B1 (en) | 2012-04-10 | 2012-07-18 | (주) 하회맨홀 | Manhole forming apparatus |
CN105973658A (en) * | 2016-03-17 | 2016-09-28 | 安徽理工大学 | Sampling method for disc-process shotcrete flexural toughness testing |
CN105973658B (en) * | 2016-03-17 | 2018-09-18 | 安徽理工大学 | It is a kind of to survey the device materialsed when the experiment of gunite concrete bent toughness for plectan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40416A (en) | 2011-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77962B1 (en) | Manhole forming apparatus easy to separation of manhole | |
KR101372261B1 (en) | Box form structure for culvert construction | |
CN108890872B (en) | Prefabricated inspection well mould | |
KR101642689B1 (en) | Vibrate circle pipe forming mold | |
KR101067003B1 (en) | A manhole repairing apparutus | |
CN106638697A (en) | Method for rapidly constructing light formwork of reinforced-concrete-cast-in-place circular draining inspection well | |
KR100629722B1 (en) | Precasted concrete for drainage canal in slope area | |
CN110306644A (en) | The construction method of municipal rain sewage diversion pipeline | |
CN110629787A (en) | Core mold for pipe gallery pouring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561976B1 (en) | The manhole repairing method using a manhol housing supporthing apparatus and a cast for the repair work of a manhole | |
KR20110049362A (en) | Trench-type water conduit and a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and method for it | |
KR101893658B1 (en) | Apparatus for a mold for joint part between case in place uper end of pile and rear bridge for monopile construnction | |
KR101231693B1 (en) | Catch basin for adjustable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80099217A (en) | Angle adjustment device of bridge and overpass drainage | |
KR101561969B1 (en) | A cast for the repair work of a manhole | |
KR102151137B1 (en) | Mol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ipe & culvert, method manufacturing of pipe & culvert using the same, and pipe & culvert manufactured by the method | |
CN109707446B (en) | Tunnel center drainage ditch template assembly, drainage ditch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drainage ditch structure | |
JP6904542B2 (en) | Circular waterway repair method | |
CN211200121U (en) | Side wall template reinforcing apparatus of drainage box culvert | |
KR100677709B1 (en) | Producing machine for assembly method manhole | |
KR101655843B1 (en) | Mold appartus for manufacturing waterway pipe | |
CN219491937U (en) | Highway engineering construction keeps off enclosing | |
KR20160121676A (en) | Linear drain device of bridge and method thereof | |
CN221255545U (en) | Internal mold structure for well ring and surrounding reinforcement | |
JP4562330B2 (en) | Material for repair work of road entry prevention fence and repair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