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828B1 -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828B1
KR101077828B1 KR1020100048216A KR20100048216A KR101077828B1 KR 101077828 B1 KR101077828 B1 KR 101077828B1 KR 1020100048216 A KR1020100048216 A KR 1020100048216A KR 20100048216 A KR20100048216 A KR 20100048216A KR 101077828 B1 KR101077828 B1 KR 101077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adhesive
unit
intermediate paper
coil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영지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영지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영지관
Priority to KR1020100048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8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3/00Making tubes or pipes by feeding obliquely to the winding mandrel centre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MAKING WOUND ARTICLES, e.g. WOUND TUB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C11/00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 B31C11/06Machinery for winding combined with other machinery for drying the wound and impregnat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폭으로 절단된 중간지가 권취된 중간지롤이 복수로 장착되는 중간지공급 스탠드를 포함하는 중간지 공급부; 상기 중간지 공급부에서 전달된 중간지들을 상기 중간지공급라인별로 구획하고, 중간지 공급라인이 동일한 중간지들은 상하 다단으로 배치하여 전달하는 중간지 전달부; 상기 중간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각 중간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 도포부로부터 전달되는 중간지를 상기 중간지 공급라인 별로 좌우로 배치시키되,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중간지 폭의 일정 구간이 중첩되게 배치시키는 가이딩부; 및 상기 가이딩부에서 전달된 중간지가 각 중간지 공급라인별로 나선형으로 권치되는 회전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paper sleeve}
본 발명은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철소등에서 생산되는 냉연코일, 열연코일등의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에서 생산되는 철, 구리, 알루미늄 코일등은 롤상태로 권취하여 보관 및 운반하게 되는 데, 이 때 롤을 권취하는 슬리브로 종이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 녹이 발생하지 않고, 롤의 원통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시키고 단가도 저렴하여 종래 주로 사용되었던 스틸 재료의 슬리브를 대체하고 있다.
종이 재료의 슬리브는 페이퍼 슬리브, 지관, 페이퍼튜브, 종이롤 등 여러 용어로 호칭되나 이하에서는 페이퍼 슬리브로 명칭한다. 이러한 페이퍼 슬리브는 통상 종이를 복 수회 권취한 후 마감처리하여 제조되는 데 종래의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는 주로 평권형 페이퍼 슬리브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평권형이란 일정한 폭의 종이를 일자형으로 그대로 중첩되게 말아서 제조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평권형 페이퍼 슬리브는 내권부 및 외권부의 접합부가 반드시 형성되고, 그 접합부의 두께 단차로 인하여 코일을 권취할 경우 초기에 떨림현상으로 인하여 감기는 코일 형상의 불균형이 발생한다. 또한 외권부 접합부의 두께 단차로 인하여 초극박 냉연코일 작업시 코일의 좌굴(kink)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내권부 접합부의 단차로 인하여 페이퍼 슬리브 인입시 코일 내권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를 평권형이 아닌 나선형으로 제조하여 내권부 및 외권부의 단차를 제거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종래의 나선형 종이관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접착제가 균질하게 도포되지 않거나, 나선형으로 권취 시 제작시간이 오래 걸리고, 압축강도를 슬리브 별로 만족시키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 슬리브 두께의 편차가 제거되고, 진원도 및 압축강도가 향상되는 나선형 고강도 페이퍼 슬리브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는,
회전코어에 권취되는 중간지 공급라인이 적어도 2개 이상인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로서,
일정 폭으로 절단된 중간지가 권취된 중간지롤이 복수로 장착되는 중간지공급 스탠드를 포함하는 중간지 공급부;
상기 중간지 공급부에서 전달된 중간지들을 상기 중간지공급라인별로 구획하고, 중간지 공급라인이 동일한 중간지들은 상하 다단으로 배치하여 전달하는 중간지 전달부;
상기 중간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각 중간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 도포부로부터 전달되는 중간지를 상기 중간지 공급라인 별로 좌우로 배치시키되,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중간지 폭의 일정 구간이 중첩되게 배치시키는 가이딩부; 및
상기 가이딩부에서 전달된 중간지가 각 중간지 공급라인별로 나선형으로 권치되는 회전코어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지 전달부에 중간지가 전달되는 방향과, 상기 중간지 전달부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로 중간지를 전달하는 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이고,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접착제 용기에서 접착제를 묻혀내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에 묻은 접착제를 다시 묻혀내는 제2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지는 상기 제2롤러로부터 접착제가 일면에 도포되는 것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나선형 고강도 페이퍼 슬리브 제조장치는 내권부 및 외권부에 단차가 발생하지 않아 코일 권취 시 진동 발생이 없어 생산스피드를 올려 생산량을 3배 이상 올릴 수 있으며 표면이 매끄럽고, 압축강도가 현저히 개선되는 페이퍼 슬리브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 제조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지공급스탠드의 1개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의 설명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가이딩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와 회전코어의 사시도.
도 7은 따른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의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 제조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지공급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의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가이딩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딩부와 회전코어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따른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의 설명에서 원지를 용도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여 내권부를 형성하는 내권지, 중간부를 형성하는 중간지, 외권부를 형성하는 외권지로 분류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는 중간지 공급부(210), 중간지 전달부(220), 접착제 도포부(230), 가이딩부(240)를 포함한다.
중간지 공급부(210)는 일정 폭으로 절단된 중간지들이 권취된 중간지롤이 장착된다. 중간지롤은 적어도 4개 이상의 중간지롤이 필요한데, 이는 중간지들이 적어도 2개이상의 중간지공급라인으로 나뉘어지며, 동일한 중간지공급라인에는 적어도 2개이상의 중간지가 포함되어, 동일한 중간지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그 폭의 일정부분이 중첩된 상태로 후술할 중간지 권취부에서 권취되기 때문이다.
중간지 공급라인을 적어도 2개 이상으로 하는 것은 하나의 중간지 공급라인으로 할 경우 코일을 권취할 만큼의 강도를 보유한 두께로 제작하기 위해서 권취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또한 다수의 중간지 공급라인으로 할 경우 중간지들의 탠션을 강하게 줌으로해서 강도를 높일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이종류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표1은 중간지의 지폭을 설계한 시방서의 일 예이다.
no 지관내경 507 설정폭 145 피치
계산
라디안 P 각도 지관길이 지관중량(g)
원지두께 9.56 풀+원지 10.04 0.09 145.56 1.000 16.054
원지명 원지두께 풀두께 원지+풀 지관외경 지관*PI 라디안 CUT폭 실CUT폭
1 CA400 0.56 - 0.56 508.1 1596 0.09 5.2 145.0 143.0
2 CA400 0.56 0.02 0.58 509.3 1600 0.09 5.2 145.0 143.0
3 CA400 0.56 0.02 0.58 510.4 1604 0.09 5.2 145.0 143.0
4 CA400 0.56 0.02 0.58 511.6 1607 0.09 5.2 145.0 143.0
5 CA400 0.56 0.02 0.58 512.8 1611 0.09 5.2 145.0 143.0
6 CA400 0.56 0.02 0.58 513.9 1615 0.09 5.2 145.0 143.0
7 CA400 0.56 0.02 0.58 515.1 1618 0.09 5.2 145.0 143.0
상기 표1에는 평량 및 10,000본당 소요(KG)와 10,000본당 실소요(KG)는 생략하고 시방서를 작성하였으며 평량(g/m2)은 430으로 동일하고, 원지 CA400을 일예로 하여 작성한 예시로 본 발명에 따른 중간지의 실시예는 표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중간지 공급라인은 3개로 이루어져 있고, 각 중간지 공급라인은 7개의 중간지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간지 공급부(210)의 중간지 공급 스탠드(211)는 중간지롤이 수납될 수 있는 거치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중간지롤이 수납된 후 움직이지 않게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215)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지 전달부(220)는 중간지공급라인별로 중간지를 좌우로 배치하고, 동일한 중간지 공급 라인에 속하는 중간지들은 상하로 다단 배치시키는 중간지전달 스탠드(221)를 포함한다.
한편 중간지 전달부(220)는 중간지 공급스탠드(211)에서 공급되는 중간지의 공급방향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으로 그 공급방향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설치 공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접착제 도포부(230)는 중간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중간지들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는 특히 코일 권취시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압축강도의 향상이 필요하므로 접착제를 중간지면에 매우 균질하게 바르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2중롤러 구조의 접착방식을 채택한다. 즉, 제1롤러(231)는 접착제 용기에서 1차로 접착제를 묻혀내며 회전하고, 제2롤러(233)는 제1롤러에서 2차로 접착제를 묻혀내어 중간지에 묻히는 방식이다.
이로써, 롤러 1개를 사용하거나, 롤러와 롤러 사이로 중간지를 공급하는 것보다 균일한 접착제 도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보다 균일한 접착제 도포를 위해서 상기 롤러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봉형상 구조체인 스프레더(2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봉형상의 스프레더(235)는 봉의 표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액체상태의 접착제들을 다시 한번 긁어주어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접착제 도포부(230)에서 균일한 도포를 위해서 중간지를 보다 평평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중간지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셜조절기(2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조절기(237)는 공급되는 각 중간지마다 부착되고, 상기 중간지가 텐션조절기(237)에 공급되기 전에 중간지 공급롤러(238)를 통과한다. 이때 중간지 공급롤러(238)의 표면에 이물질 제거 및 구김 없이 평평하게 삽입되도록 롤링면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링면은 융털 또는 섬모구조로 롤링면 또는 상기 텐션조절기(237)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더 포함하여 텐션 조절 시 중간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가이딩부(240)는 접착제 도포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중간지를 각 중간지 공급라인 별로 권취될 간격만큼 이격시켜 좌우로 배치시키고,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그 폭이 서로 일정 영역 중첩되게 상하로 배치시킨다. 이 때 가이딩부(240)는 접착제 도포부(230)로부터 전달되는 중간지의 방향을 전환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는 데, 가이딩부(240)에서 중간지가 회전코어(410)에 공급되는 각도는 도 4에서와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1 내지 30˚가 되게 방향전환시킨다.
가이딩부(240)는 가이드봉(241)과 가이드부재(243)를 포함하는데, 가이드봉(241)은 좌우로 연장된 봉이고, 가이드봉 상에 각 중간지가 배치될 수 있도록 중간지의 폭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4개 이상의 가이드 부재(243)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가이딩부(240)는 각 가이드부재(243)의 조임쇠(247)를 풀어 가이드부재를 가이드봉(241)으로부터 조임을 느슨하게 한 후 상기 가이드부재(243)의 위치를 변동시키는 방법으로 가이드부재(243)의 위치를 조정하여 이격된 다수의 가이드부재(243)들이 형성하는 라인이 가이드봉과 이루는 각(도 5의 θ)이 30 내지 70°로 변경되고, 이러한 가이드부재(243)의 위치 변경으로 중간지의 중첩도 또는 방향 제어를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딩부(24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딩부(240)의 일측에 상기 회전코어(410)와 간격을 조절하도록 거리제어부재(245)를 구비하고, 가이딩부(240)와 회전코어(410)와의 각도를 1 내지 10°로 조절하여 중간지가 사선으로 감기도록 회전부재(24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코어(410)는 중공형의 관으로서 내권지, 중간지, 외권지들이 순차적으로 권취된다. 회전코어(410)에는 각 중간지 공급라인 별로 적어도 2 개 이상의 중간지들이 동시에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이 때 회전코어(410)의 내부에는 열선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열선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제를 빠른 시간내에 건조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에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는 제조되는 페이퍼 슬리브의 내면에 권취될 내권지 공급부(310), 외면에 권취될 원지를 공급하는 외권지 공급부(110), 외권지 전달부(120), 외권지 접착제 도포부(130),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140)를 별도로 구비한다. 내권지는 페이퍼 슬리브의 가장 안쪽에 권취되는 원지이고, 외권지는 페이퍼 슬리브의 가장 바깥쪽에 권취되는 원지이다.
내권지 공급부(310)는 적어도 1개의 원지롤이 장착되어 풀릴 수 있도록 구성되며, 내권지의 일면 즉 페이퍼 슬리브의 내측 외면을 이루는 면에는 왁스를 도포할 수 있는 왁스도포부(32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권지 및 외권지를 별도로 공급하는 것은 제조되는 페이퍼 슬리브의 내면 및 외면에 왁스 및 코팅제를 형성하고, 내면 및 외면의 권취상태를 일정하게 하여 우수한 외관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외권지 공급부(110)는 일정 폭으로 절단된 원지들이 권취된 원지롤이 장착된다. 원지롤은 적어도 1개 이상의 원지롤이 필요한데, 이는 외면 원지들은 원지 권취부에서 원지들이 권취된 후 마지막으로 권취된다.
외권지 전달부(120)도 복수의 원지를 공급할 경우 외권지 공급라인 별로 좌우로 배치시킨다.
외권지 접착제 도포부(130)는 접착제 도포부와 마찬가지로 전달되는 외면 원지들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외권지 접착제 도포부도 2중롤러 구조의 접착방식을 채택하고, 롤러들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봉 형상의 스프레더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권지 접착제 도포부(130)에서도 균일한 도포를 위해서 원지를 보다 평평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중간지와 마찬가지로 텐션을 조절하는 텐셜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텐션조절기는 공급되는 각 외면 원지마다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140)는 상기 접착제가 도포되는 일면의 반대면에 코팅제를 도포한다.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는 외권지의 코팅면에 코팅제를 공급하는 코팅제 공급호스(131)와 상기 코팅면에 공급된 코팅제를 코팅면 전체로 분산시키는 코팅제 도포수단(133)을 포함한다. 코팅제 도포수단(133)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 도포부와 마찬가지로2중롤러 구조의 접착방식을 채택한다. 즉, 제1롤러(133a)는 코팅제 공급호스로부터 코팅제를 전달받고, 접착제를 묻혀내며 회전하고, 제2롤러(133b)는 제1롤러에서 2차로 접착제를 묻혀내어 외권지에 묻히는 방식이다. 이 때, 제2롤러의 폭은 외권지의 폭보다 작게 하여 코팅제가 일면으로 흘러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코일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방법은, 중간지 공급단계, 중간지 전달단계, 접착제 도포단계, 가이딩 단계, 권취단계, 및 절단단계를 포함한다.
중간지 공급단계는 일정 폭으로 절단된 중간지들이 권취된 중간지롤에서 중간지들이 풀려 나와 공급되게 하는 단계이다. 본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중간지가 하나의 중간지 공급라인을 이루고,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중간지 폭의 중 일정 구간이 중첩된 상태로 나선형 권취되며, 각 중간지 공급라인들이 전체적으로는 동일한 두께를 이루면서 제작된다. 이는 코일 권취용 나선형 페이퍼 슬리브에서 중요시되는 압축강도 및 진동도 요건을 만족시키고, 내외권부에 단차 형성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컨데, 일정 폭으로 절단된 중간지롤이 모두 21개가 구비되고, 각 중간지롤은 각각 제1중간지 공급라인, 제2중간지 공급라인, 제3중간지 공급라인으로 나뉘고, 각 중간지 공급라인은 7개의 중간지롤로 이루어진다. 각 중간지롤에 감겨진 중간지들은 중간지롤이 회전할 경우 풀려지면서 중간지전달부로 이송된다.
중간지 전달단계는 중간지들을 중간지 공급라인별로 좌우로 배치시키면서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에 속하는 중간지들은 상하로 다단 배치시킴으로써 중간지들이 접착제 도포부에 정렬되어 전달되게 한다.
접착제 도포단계는 중간지 전달부단계에서 전달되는 중간지들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접착제에는 전분과 폴리비닐알코올에 단량제 및 가소제가 중합된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물 40 내지 55중량%, 폴리비닐알코올 3 내지 4 중량%, 아세트산 에테르를 포함하는 가소제 7 내지 9 중량%, 초산비닐 단량제 3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며, 물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폴리비닐알코올과 교반하여 70 내지 80℃에서 1 시간 정도 용해를 한 다음 초산비닐단량체와 아세트산 에테르를 포함하는 가소제를 중합한다. 이후 70 내지 80℃에서 1 시간 정도 숙성하여 완성된 것이다.
코일권취용도의 페이퍼 슬리브는 매우 강한 압축강도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본 단계에서 접착제의 도포는 매우 신중하게 이루어진다.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는 결국 페이퍼 슬리브의 형상을 불균일하게 만들어 좌굴되거나, 압축강도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에 접착제 도포단계는 접착제 용기에 있는 접착제를 직접 묻혀내는 제1롤러에서 중간지에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롤러에 다시 별개의 제2롤러를 접촉시켜 접착제를 균일하게 만든 다음 직접 중간지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제1롤러는 접착제 용기에서 1차로 접착제를 묻혀내며 회전하고, 제2롤러는 제1롤러에서 2차로 접착제를 묻혀내어 중간지에 묻히게 된다. 이로써, 롤러를 1개를 사용하거나, 롤러와 롤러 사이로 중간지를 공급하는 것보다 균일한 접착제 도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접착제 도포시 중간지에 묻어있는 접착제를 다시 한 번 고루 분산시키기 위해 접착제 중간지면을 스프레더로 다시 한 번 분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 도포시 균일한 도포를 위해 중간지는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딩 단계는 접착제 도포단계에서 전달되는 중간지를 각 중간지 공급라인 별로 권취될 간격만큼 좌우로 이격시켜 배치시키고,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폭의 일정 영역이 중첩되게 상하로 배치시킨다.
즉 제1 내지 제3 중간지 공급라인은 서로 좌우로 배치되고, 각 중간지공급라인 내의 7개의 중간지들은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데, 각 중간지들은 폭의 일정부분이 중첩되게 배치하여 연속적으로 회전코어(410)에 권취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내지 3 중간지 공급라인은 텐션 조절기를 각 텐션조절기(237)을 구비하고 각 공급라인에 따라 텐션이 차등되고 일예로, 속지라인은 1 kg/m 미만, 제1 중간지 공급라인은 1 kg/m, 제 2 중간지 공급라인은 2 kg/m, 제 3 중간지 공급라인은 3 kg/m, 겉지 라인은 3 내지 3.5 kg/m로 공급되는데 이는 속지는 외면에 왁스가 도포되어 회전코어(410)에 권취도록 약한 텐션을 주고, 중간지 공급라인은 다수개의 중간지가 중첩되어 권취되므로 팽팽하게 권취될 수 있도록 겉지 방향에 따라 텐션을 증가시킨다. 마지막으로 외권지 공급부는 가장 강한 텐션을 주어 접착제 및 코팅제가 일정하게 권취도록한다.
가이딩 단계에서 권취단계로 이송되는 모든 중간지는 지면을 기준으로 1 내지 30˚를 이루면서, 회전코어의 상단에 최초로 부착되도록 중간지의 방향을 전환시킨다. 상기 중간지의 각도를 지면을 기준으로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접착제가 부착되고, 권취시 중간지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권취단계는 원지의 종류에 따라 3단계로 권취가 이루어진다. 즉, 순차적으로 내권지 권취단계, 중간지 권취단계, 외권지 권취단계로 이루어진다.
내권지 권취단계는 회전코어에 페이퍼 슬리브의 내면을 형성하게 될 원지를 권취하는 단계로서, 내권지는 1개의 원지롤에서 공급되면 나선형으로 권취된다. 이 때, 내권지의 외면 즉 페이퍼 슬리브의 내측 외면을 형성하게 되는 면에는 왁스가 도포되는 데 이는 최초 권취시 회전코어 면에서 잘 미끄러지게 하기 위함이다.
중간지 권취단계는 회전코어 상에 권취된 내권지 위로 가이딩 단계에서 이송되는 중간지를 권취하는 단계로서, 권취는 가이딩단계에서 원지가 배열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각 원지공급라인이 서로 별개로 나선형으로 권취되며 회전코어의 회전에 따라 각 원지공급라인의 원지들이 합쳐져서 페이퍼 슬리브로 이루어 진다.
외권지 권취단계는 회전코어 상에 권취된 중간지 위로 가이딩 단계에서 이송되는 외권지를 권취하는 단계로서, 외권지는 페이퍼 슬리브의 외측 외면을 형성하는 면에는 코팅제가 도포되며, 다른 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된다.
건조단계는 권취 후 회전코어에 권취된 원지의 외권지를 가열하여 코팅제를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절단단계는 권취된 페이퍼 슬리브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이로서 코일을 권취할 수 있는 페이퍼 슬리브가 완성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전술한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정해지는 것으로서, 명세서 본문의 기재에 구속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과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것이다.
110 : 외권지 공급부 120 : 외권지 전달부
130 : 외권지 접착제 도포부 210 : 중간지 공급부
220 : 중간지 전달부 230 : 중간지 접착제 도포부
240 : 가이딩부 310 : 내권지 공급부
320 : 왁스 도포부 410 : 회전코어

Claims (16)

  1. 회전코어에 권취되는 중간지 공급라인이 적어도 2개 이상인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로서,
    일정 폭으로 절단된 중간지가 권취된 중간지롤이 복수로 장착되는 중간지공급 스탠드를 포함하는 중간지 공급부;
    상기 중간지 공급부에서 전달된 중간지들을 상기 중간지공급라인별로 구획하고, 중간지 공급라인이 동일한 중간지들은 상하 다단으로 배치하여 전달하는 중간지 전달부;
    상기 중간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각 중간지의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부;
    상기 접착제 도포부로부터 전달되는 중간지를 상기 중간지 공급라인 별로 좌우로 배치시키되, 동일한 중간지 공급라인의 중간지들은 중간지 폭의 일정 구간이 중첩되게 배치시키는 가이딩부; 및
    상기 가이딩부에서 전달된 중간지가 각 중간지 공급라인별로 나선형으로 권치되는 회전코어를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 전달부에 중간지가 전달되는 방향과, 상기 중간지 전달부에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로 중간지를 전달하는 방향은 서로 수직방향인 코일 권취용 슬리브의 제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접착제 용기에서 접착제를 묻혀내는 제1롤러, 상기 제1롤러에 묻은 접착제를 다시 묻혀내는 제2롤러를 포함하여, 상기 중간지는 상기 제2롤러로부터 접착제가 일면에 도포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중간지의 텐션을 조절하는 텐션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의 텐션은 1 내지 3 kg/m인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도포부는 상기 제2롤러를 통과한 중간지에 묻은 접착제를 긁어주는 스프레더를 더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더는 상기 롤러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표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된 봉형상의 구조체인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가이딩부를 통과하는 모든 중간지가 상기 회전코어에 공급되는 방향의 연장선이 지면과 이루는 각이 1 내지 30˚에 포함되도록 방향전환시키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딩부는 일측에 상기 회전코어와 간격을 조절하는 거리제어부재 및 상기 회전코어와의 각을 1 내지 10°로 조절하도록 회전부재를 더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코어는 중공형의 관으로서, 상기 관 내부에는 열선이 구비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슬리브의 내면을 형성할 내권지를 공급하는 내권지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권지 공급부는 내권지의 일면에 왁스를 도포할 수 있는 왁스 도포수단을 더 구비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퍼 슬리브의 외면을 형성할 외권지를 공급하는 외권지 공급부, 상기 외권지 공급부에서 전달된 외권지를 전달하는 외권지 전달부, 및 상기 외권지 전달부로부터 전달되는 각 외권지의 제1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외권지 접착제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외권지의 제2면에 코팅제를 도포하는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권지 코팅제 도포부는 외권지의 제2면에 코팅제를 공급하는 코팅제 공급호스와 상기 제2면에 공급된 코팅제를 도포하는 코팅제 도포수단을 포함하는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KR1020100048216A 2010-05-24 2010-05-24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KR101077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216A KR101077828B1 (ko) 2010-05-24 2010-05-24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216A KR101077828B1 (ko) 2010-05-24 2010-05-24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828B1 true KR101077828B1 (ko) 2011-10-28

Family

ID=45033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216A KR101077828B1 (ko) 2010-05-24 2010-05-24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8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4035A (zh) * 2012-08-22 2012-11-14 广州钟氏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平卷纸管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30B1 (ko) 2002-06-28 2008-06-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간지 오염 방지장치
KR100860323B1 (ko) 2007-05-23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종이슬리브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30B1 (ko) 2002-06-28 2008-06-20 주식회사 포스코 코일 간지 오염 방지장치
KR100860323B1 (ko) 2007-05-23 2008-09-26 주식회사 포스코 종이슬리브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4035A (zh) * 2012-08-22 2012-11-14 广州钟氏包装制品有限公司 一种平卷纸管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97048B (zh) 柔性管,制造方法和装置
CN104476821B (zh) 一种无缝平卷纸管的制造系统及制造方法
WO2022183353A1 (zh) 一种柔性卷材用赶平装置
JP2015501223A (ja) 柔軟性のあるパイプのカーカス形成装置
CN109607309A (zh) 一种实现钢丝大盘重作业的收线方法及收线装置
KR101077828B1 (ko)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장치
US20070163700A1 (en) Fabrication of hoses or other elongated articles
CN103648671A (zh) 用于由连续成型且螺旋形的条带生成管状体的机器的条带引导系统
US2344917A (en) Flexible shaft winding tool
CN102161035A (zh) 用于制造压敏粘合剂带的烘干设备
KR101077830B1 (ko) 코일권취용 페이퍼 슬리브의 제조방법
CN102219127A (zh) 一种无筒卷纸机
CN103373628B (zh) 用于卷绕纤维幅材尤其是纸幅和纸板幅的方法和设备
CA3127566C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pipe shell from an insulating material
US9236168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n electrical cable
CN102076439A (zh) 用于制造细长管的方法以及管的用途
US1953092A (en) Machine for conditioning sheet stock
CN112455918A (zh) 一种加热卷烟再造烟叶存储结构及在线收卷系统和方法
CN207916033U (zh) 一种可调节缠绕展平装置
CN110561837A (zh) 一种轴向纸管卷制成型装置
CN216711180U (zh) 一种弹簧生产线钢丝同步放卷装置
CN108787786A (zh) 一种外包钢内衬不锈钢管的制造设备
CN218798835U (zh) 一种弹簧热卷机
CN213052135U (zh) 一种取向硅钢氧化镁涂层线卷取机前锥度转向辊装置
CN210883452U (zh) 一种铜板带的包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