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7040B1 - 행거클립 - Google Patents

행거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7040B1
KR101077040B1 KR1020110063723A KR20110063723A KR101077040B1 KR 101077040 B1 KR101077040 B1 KR 101077040B1 KR 1020110063723 A KR1020110063723 A KR 1020110063723A KR 20110063723 A KR20110063723 A KR 20110063723A KR 101077040 B1 KR101077040 B1 KR 101077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hanger
wire
support protr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덕
Original Assignee
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08Power cables for overhead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되 끼움턱이 구비되는 클립; 상기 클립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되, 클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돌기; 상기 클립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되, 클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개방된 끼움턱에 의해 끼워져 관통된 고정홈으로 와이어를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지지돌기 및 측면지지돌기는, 상기 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중심선을 따라 삽입된 행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에 걸어 놓는 행거에 지지돌기가 있는 클립을 장착하여 물리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행거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전선이 안정적으로 정리되도록 하며, 클립 정면에 관통홀 및 클립 내측면에 내부홈을 구비함으로써 텐션(tension)이 생겨 클립에 와이어를 끼울 때 작업이 용이해지며, 텐션작용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들에 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행거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행거클립{Hanger clip}
본 발명은 와이어에 걸어 놓는 행거에 지지돌기가 있는 클립을 장착하여 물리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행거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전선이 안정적으로 정리되도록 하며, 클립 정면에 관통홀 및 클립 내측면에 내부홈을 구비함으로써 텐션(tension)이 생겨 클립에 와이어를 끼울 때 작업이 용이해지며, 텐션작용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들에 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행거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행거는 건축자재가 걸려서 새로운 인테리어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행거는 주로 특정한 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물건을 정리하는 곳에도 사용하는데 가정이나 건축현장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전선을 정리하는 행거가 있다.
건축현장에는 많은 수의 전선들이 설치가 되는데 이러한 전선들을 설치하고 배열하고 나서 한데 모아 정리하는 용도로 행거를 사용한다.
물론, 가정에서도 많은 수의 전선이 설치되었을 때 행거를 이용해서 정리를 하고 있다.
이처럼, 종래에는 단순히 내부 공간에 지나간 다수의 전선들을 정리하기 위해 와이어 선을 만들어 전선을 한대 묶어서 행거로 단순히 와이어에 걸어놓았다.
이러한 전선을 행거로 와이어에 걸어놓는 종래의 방식은 물리적인 충격이 가해졌을 때 행거가 와이어를 이탈해서 전선이 아래로 느러지거나 흐트러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아울러, 종래의 행거로 전선을 정리하는 방식은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에 걸어 놓는 행거에 지지돌기가 있는 클립을 장착하여 물리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행거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전선이 안정적으로 정리되도록 하며, 클립 정면에 관통홀 및 클립 내측면에 내부홈을 구비함으로써 텐션(tension)이 생겨 클립에 와이어를 끼울 때 작업이 용이해지며, 텐션작용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들에 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행거클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관통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되 끼움턱이 구비되는 클립; 상기 클립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되, 클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돌기; 상기 클립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되, 클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개방된 끼움턱에 의해 끼워져 관통된 고정홈으로 와이어를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지지돌기 및 측면지지돌기는, 상기 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중심선을 따라 삽입된 행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은, 정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내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행거클립에 의하면, 와이어에 걸어 놓는 행거에 지지돌기가 있는 클립을 장착하여 물리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행거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 전선이 안정적으로 정리되도록 하며, 클립 정면에 관통홀 및 클립 내측면에 내부홈을 구비함으로써 텐션(tension)이 생겨 클립에 와이어를 끼울 때 작업이 용이해지며, 텐션작용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들에 사용이 가능해져 경제적인 효과가 있는 행거클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과 행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을 행거와 결합하여 와이어에 장착한 실시예이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행거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과 행거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을 행거와 결합하여 와이어에 장착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은 클립(10), 상부지지돌기(30), 측면지지돌기(40)를 포함한다.
클립(10)은 관통된 고정홈(11)과, 상기 고정홈(11)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되 끼움턱(13)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클립(10)은 개방된 끼움턱(13)에 의해 끼워져 관통된 고정홈(11)으로 와이어(50)를 안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클립(10)은, 정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15)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11)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내부홈(12)이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15) 및 내부홈(12)들에 의해 텐션(tension)이 생겨 클립(10)에 와이어(50)를 안착시킬 때 작업이 용이해지며, 텐션 작용에 의해 다양한 굵기의 와이어(50)가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텐션작용을 더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홈(11)의 내측면에 상기 관통홀(15)과 연통되는 내부홀(16)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내부홀(16)과 내부홈(12)은 서로 접해지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지지돌기(30)는 상기 클립(10)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되, 클립(10)의 중심선(2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이때, 상부지지돌기(30)는 클립(10)의 상부에 위로 솟은 형상을 하고 있는데 3개의 돌기가 중심선(20)을 기준으로 길이방향으로 엇갈리게 배열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측면지지돌기(40)는 상기 클립(10)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되, 클립(10)의 중심선(2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행거(60)는 상기 클립(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중심선(20)의 둘레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돌기(30) 및 측면지지돌기(40)들에 의해 고정되며, 특히 상부지지돌기(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30')에 의해 상기 삽입된 행거(6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부지지돌기(30)는 중심선(20)을 타고 곡선으로 돌아 들어와 클립(10)과 결합이 되는 행거(60)를 움직이지 못하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하며 상부지지돌기(30)의 끝단에는 형성된 걸림턱(30')에 의해 행거(6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상부지지돌기(30)들에 형성된 걸림턱(30')에 의해 행거(60)는 안정적으로 와이어(50)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측면지지돌기(40)는 상기 상부지지돌기(30)를 양측으로 지난 위치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하나 이상이 돌출되어 있다. 즉, 고정홈(11)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수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중심선(20)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측면지지돌기(40)는 중심선(20)을 타고 들어오는 행거(60)를 전후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중심선(20)은 상기 상부지지돌기(30)와 상기 측면지지돌기(40)의 중심을 잡아주며 행거(60)가 지나가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즉, 중심선(20)은 고정홈(11)을 중심으로 돌아가며 형성되고 돌기들은 중심선(20)을 중심으로 아래측면에서 측면지지돌기(40) 그리고 상부지지돌기(30) 순서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과 행거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상부지지돌기(30) 및 측면지지돌기(40)를 구비한 클립(10)에 행거(60)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60)의 일측은 원형의 형상을 하여 전선들을 한데 모아주는 역할을 하며 타측은 클립(10)의 중심선(20)을 따라 들어가 클립(10)의 상부지지돌기(30) 및 측면지지돌기(40)들에 의해 고정되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나 이상의 측면지지돌기(40)는 결합된 행거(60)가 전후로 요동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상부지지돌기(30)는 행거(60)가 전후로 요동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걸림턱(30')이 있어 행거(60)가 상하로 요동하여 클립(1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클립(10)의 중심부에는 와이어(50)가 지나가는 고정홈(11)이 형성되어 있어 클립(10)에 의해 결합되어 있는 행거(60)가 와이어(50)에 안정적으로 걸려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따른 행거클립을 행거와 결합하여 와이어에 장착한 실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행거(60)가 결합된 클립(10)을 와이어(50)에 걸어서 사용하며, 클립(10)에 결합된 행거(60)는 클립(10)의 중심에 형성된 고정홈(11)을 지나가는 와이어(50)에 걸려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행거(60)가 결합된 클립(10)은, 와이어(50)를 따라 다수개가 걸어질 있으며, 상기 행거(60) 내측으로 수많은 전선(70)을 한데 모아 걸어지게 함으로써 전선(70) 정리가 용이해지도록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행거클립(10)은 산업현장이나 통신공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사용범위를 상기 예시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클립 11 : 고정홈
12 : 내부홈 13 : 걸림턱
15 : 관통홀 20 : 중심선
30 : 상부지지돌기 30' : 걸림턱
40 : 측면지지돌기 50 : 와이어
60 : 행거 70 : 전선

Claims (2)

  1. 관통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서 하부로 연장되어 개방되되 끼움턱이 구비되는 클립;
    상기 클립의 외주면 상부에 형성되되, 클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지지돌기;
    상기 클립의 외주면 양측에 형성되되, 클립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지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개방된 끼움턱에 의해 끼워져 관통된 고정홈으로 와이어를 안착시키고,
    상기 상부지지돌기 및 측면지지돌기는,
    상기 클립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중심선을 따라 삽입된 행거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정면에서 후면으로 관통되는 하나 이상의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홈의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내부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행거클립.
KR1020110063723A 2011-06-29 2011-06-29 행거클립 KR101077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23A KR101077040B1 (ko) 2011-06-29 2011-06-29 행거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23A KR101077040B1 (ko) 2011-06-29 2011-06-29 행거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040B1 true KR101077040B1 (ko) 2011-10-26

Family

ID=45033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23A KR101077040B1 (ko) 2011-06-29 2011-06-29 행거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0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429B1 (ko) * 2011-09-07 2012-03-26 (주)새한티티씨 케이블 정리용 행거
KR101151697B1 (ko) 2011-12-19 2012-06-15 덕일산업 주식회사 행거클립
KR101241104B1 (ko) 2012-09-20 2013-03-11 김준홍 통신 케이블용 행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2813A1 (en) 2000-05-22 2001-11-22 Jim Taylor Drip hose hanger
KR100351206B1 (ko) 2000-04-03 2002-09-05 이근식 케이블가설용 행거
KR100846198B1 (ko) 2008-04-11 2008-07-14 박귀현 케이블 단자탭용 행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1206B1 (ko) 2000-04-03 2002-09-05 이근식 케이블가설용 행거
US20010042813A1 (en) 2000-05-22 2001-11-22 Jim Taylor Drip hose hanger
KR100846198B1 (ko) 2008-04-11 2008-07-14 박귀현 케이블 단자탭용 행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429B1 (ko) * 2011-09-07 2012-03-26 (주)새한티티씨 케이블 정리용 행거
KR101151697B1 (ko) 2011-12-19 2012-06-15 덕일산업 주식회사 행거클립
KR101241104B1 (ko) 2012-09-20 2013-03-11 김준홍 통신 케이블용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4965B1 (ko) 메쉬휀스 결속구
KR101077040B1 (ko) 행거클립
KR101887203B1 (ko) 면진 기능을 구비한 천장마감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방법
KR101386278B1 (ko) 그레이팅 스토퍼
KR101432969B1 (ko) 멀티 데크팩
KR20130000745U (ko) 지중배전용 케이블 받침대
CN203584264U (zh) 方便拆卸的隐形防护窗栅
KR101488372B1 (ko) 케이블 행거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101144089B1 (ko) 행거클립
JP5971969B2 (ja) 鳥害防止具
KR20120017550A (ko) 전선 거치대
KR20110110446A (ko) 낙석방지망용 이중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1151697B1 (ko) 행거클립
RU2010151649A (ru) Вешалка
JP3144865U (ja) カーテンレール、取付式カーテンレール、カーテン
CN205046796U (zh) 一种外墙板固定装置
CN211533844U (zh) 一种窗帘轨道的封口结构
JP3182950U (ja) 墜落防止用安全ネットの取付け治具
KR200469957Y1 (ko) 다중 비닐하우스용 체결부재 및 이를 이용한 다중 비닐하우스
JP3184800U (ja) 走行式吊り具
CN202843234U (zh) 衣架
KR101997969B1 (ko) 지선그립 체결을 위한 공간 확장용 지선롯드 클램프
CN204804665U (zh) 一种冬期施工通道口防寒结构
US20170000279A1 (en) Curtain wire fastening system onto a window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