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973B1 - 뜸질용 쑥 제조구 - Google Patents

뜸질용 쑥 제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973B1
KR101076973B1 KR1020100124103A KR20100124103A KR101076973B1 KR 101076973 B1 KR101076973 B1 KR 101076973B1 KR 1020100124103 A KR1020100124103 A KR 1020100124103A KR 20100124103 A KR20100124103 A KR 20100124103A KR 101076973 B1 KR101076973 B1 KR 101076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molding
moxibustion
main body
sphe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4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590A (ko
Inventor
김향숙
Original Assignee
김향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향숙 filed Critical 김향숙
Priority to KR1020100124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97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부항쑥뜸기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도록 쑥 성형물의 각 모서리를 모따기 형태로 성형하여 쑥 성형물의 훼손을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뜸질용 쑥 제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속이 빈 통형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성형구가 받쳐지도록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가압구의 인입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입되어 제1걸림턱에 걸리면서 안착되게 하고 상측으로 직립되는 가이드봉이 구성되는 성형구와, 상기 본체에 인입되면서 가이드봉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제2걸림턱에 걸려 더 이상의 인입을 제어되도록 제어걸림부가 형성되는 가압구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 내에 성형구와 가압구 사이에 성형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뜸질용 쑥 제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뜸질용 쑥 제조구{Making apparatus of moxa for cautery}
본 발명은 뜸질용 쑥 제조구에 관한 것으로, 좀 보다 상세하게는 속이 빈 통형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성형구가 받쳐지도록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가압구의 인입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입되어 제1걸림턱에 걸리면서 안착되게 하고 상측으로 직립되는 가이드봉이 구성되는 성형구와, 상기 본체에 인입되면서 가이드봉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제2걸림턱에 걸려 더 이상의 인입을 제어되도록 제어걸림부가 형성되는 가압구를 구성하여 상기 본체 내에 성형구와 가압구 사이에는 성형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뜸질용 쑥 제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은 쑥이 연소되면서 발생되는 쑥의 뜨거운 열기와 약효성분을 피부의 경혈을 통해 체내로 흡수되게 하여 기와 혈을 활발히 소통시킴으로 각종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법을 말하여, 상기 쑥뜸을 하기 위해서는 건조된 쑥을 잘게 분쇄한 후 가압하여 쑥봉을 제조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쑥봉을 환부에 직접하던가 쑥듬기 등을 사용하여 신체의 환부에 올려놓고 쑥봉의 상부에 불을 붙여서 뜸을 하게 된다.
이러한, 쑥뜸은 한방의 치료법으로 여러 한의원이나 각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와 같이 쑥뜸을 할 때 사용하는 쑥봉을 만들려면 쑥봉을 다질 수 있는 소정형태의 틀기가 있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쑥을 분말화하고 이에 물을 넣어 반죽한 다음 이를 받침용틀기 속에 넣어 가압하는 수단으로 쑥봉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쑥봉을 형성시키기 위한 종래의 틀기는 그 구성이 복잡하여 사용시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과 함께 쑥봉을 형성시키는 가압력이 균일하게 발생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사용되는 쑥봉의 형태는 쐐기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 다양한 형태의 부항쑥뜸기에 폭넓게 사용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를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형태의 부항쑥뜸기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도록 쑥 성형물의 각 모서리를 모따기 형태로 성형하여 쑥 성형물의 훼손을 최소화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뜸질용 쑥 제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속이 빈 통형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성형구가 받쳐지도록 제1걸림턱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가압구의 인입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인입되어 제1걸림턱에 걸리면서 안착되게 하고 상측으로 직립되는 가이드봉이 구성되는 성형구와, 상기 본체에 인입되면서 가이드봉이 끼워지는 통공이 형성되고, 본체의 제2걸림턱에 걸려 더 이상의 인입을 제어되도록 제어걸림부가 형성되는 가압구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 내에 성형구와 가압구 사이에 성형틀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뜸질용 쑥 제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쑥뜸기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도록 쑥 성형물의 각 모서리를 모따기 형태로 성형하여 쑥 성형물의 훼손을 최소화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뜸질용 쑥 제조구를 통해 성형되는 쑥 성형물의 치수와 형태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의 용기 내에서 최상의 상태로 연소 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인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쑥뜸을 위한 쑥봉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3의 (a)(b)(c)(d)(e)는 본 발명의 요부가 조립되는 상태를 계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의해 만들어진 쑥 성형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참고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1), 성형구(2), 가압구(3)가 단계적으로 조립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는 빈 통형으로 구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성형구(21)가 받쳐지도록 제1걸림턱(11)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가압구(3)의 인입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성형구(2)는 상기 본체(1)에 인입되어 제1걸림턱(11)에 걸리면서 안착되게 하고 상측으로 직립되는 가이드봉(21)이 구성된다.
그리고, 가압구(3)는 상기 본체(1) 내부에 인입됨은 물론, 가이드봉(21)이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고, 본체(1)의 제2걸림턱(12)에 걸려 더 이상의 인입을 제어되도록 제어걸림부(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 내부에 인입되는 성형구(2)와 가압구(3) 사이에는 성형틀공간(5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성형구(2)와 가압구(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높이로 환턱(22)(23)을 돌설되게 형성하여 뜸질용 쑥 성형물(60) 모서리가 도 4의 (a)(b)와 같이 모따기 형태로 성형 될 수 있는 구성이다.
다시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른 본체(1)는 성형구(2)를 받치는 제1걸림턱(11)과 가압구(3)의 인입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2걸림턱(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1) 내부에는 도 3의 (b)와 같이 성형구(2)가 제1걸림턱(11)에 걸려 고정된 후, 쑥 분말을 상기 성형구(2) 위에 투입하게 된다.
다음 도 3의 (c)와 같이 성형구(2)의 가이드봉(21)에는 가압구(3)의 통공(31)을 삽입시킨 후, 서서히 가압하게 된다.
이때, 가압구(3)의 제어걸림부(32)는 본체(1)의 제2걸림턱(32)에 걸리게 되면서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기의 상황에서 본체(1) 내부에 인입되는 성형구(2)와 가압구(3) 사이의 성형틀공간(50)에 채워진 쑥 분말은 충분히 가압 된 후, 도 4의 (a)와 같이 쑥 성형물(60)로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성형구(2)와 가압구(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소정의 높이로 환턱(22)(23)을 돌설하여 뜸질용 쑥 성형물(60)의 모서리를 모따기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가압구(3)의 하단부에는 도 3의 (d)(e)와 같이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키는 돌기부(62)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구(3)의 하단부에 형성된 돌기부(62)는 도 4의 (b)와 같이쑥 성형물(60)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문양이 다양하게 성형 되는 상기 쑥 성형물(60)은 여러 형태의 쑥뜸기(미도시됨)에 사용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성형틀공간(50) 내에서 가압 성형된 쑥 성형물(60)의 중앙에는 통공(61)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통공(61)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므로 상기 쑥 성형물(60)은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의 용기 내에서 최상의 상태로 연소 될 수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본체(1)는 5의 (a)(b)와 같이 겉 표면에는 다양한 문양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외형적인 형상은 사각형, 절구형상 등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만들어진 쑥 성형물(60)은 다양한 형태의 쑥뜸기(미도시됨)에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과 아울러 쑥 성형물의 각 모서리를 모따기 형태로 성형하여 쑥 성형물의 훼손을 최소화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뜸질용 쑥 제조구를 통해 성형되는 쑥 성형물의 치수와 형태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미도시됨)의 용기 내에서 최상의 상태로 연소 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인하여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쑥뜸을 위한 쑥봉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 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본체 2. 성형구
3. 가압구 11. 제1걸림턱
12. 제2걸림턱 21. 가이드봉
22. 환턱 31. 통공
32. 제어걸림부 33. 환턱
50. 성형틀공간 60. 쑥 성형물
61. 통공 62. 돌기부

Claims (5)

  1. 속이 빈 통형으로 구성되며 하단부에는 성형구(2)가 받쳐지도록 제1걸림턱(11)을 형성하고, 상측에는 가압구(3)의 인입의 정도를 제어하는 제2걸림턱을 형성한 본체(1);
    상기 본체(1)에 인입되어 제1걸림턱(11)에 걸리면서 안착되게 하고 상측으로 직립되는 가이드봉(21)이 구성되는 성형구(2);
    상기 본체(1)에 인입되면서 가이드봉(21)이 끼워지는 통공(31)이 형성되고, 본체(1)의 제2걸림턱(12)에 걸려 더 이상의 인입을 제어되도록 제어걸림부(32)가 형성되는 가압구(3):로 구성하여 상기 본체(1) 내에 성형구(2)와 가압구(3) 사이에 는 성형틀공간(50)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뜸질용 쑥 제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구(2)와 가압구(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 소정의 높이로 환턱(22)(23)을 돌설하여 뜸질용 쑥 성형물(60) 모서리가 모따기 형태로 성형 되면서 쑥 성형물(60)의 훼손을 최소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질용 쑥 제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겉 표면에는 다양한 문양을 형성하고, 외형적인 형상은 원통형, 사각형, 절구형상 등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뜸질용 쑥 제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구(3)의 하단부에는 돌기부(62)를 형성하여 쑥 성형물(60) 표면에다양한 문양을 형성시킴은 물론, 상기 쑥 성형물(60)은 여러 형태의 쑥뜸기에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질용 쑥 제조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틀공간(50)에서 성형된 쑥 성형물(60) 중앙에는 쑥뜸기 또는 부항쑥뜸기 내에서 외부의 공기를 통과시킬 수 있는 통공(61)을 형성하여 최상의 상태로 연소 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뜸질용 쑥 제조구.
KR1020100124103A 2010-12-07 2010-12-07 뜸질용 쑥 제조구 KR101076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03A KR101076973B1 (ko) 2010-12-07 2010-12-07 뜸질용 쑥 제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4103A KR101076973B1 (ko) 2010-12-07 2010-12-07 뜸질용 쑥 제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863 Division 2010-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90A KR20110010590A (ko) 2011-02-01
KR101076973B1 true KR101076973B1 (ko) 2011-10-26

Family

ID=4377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4103A KR101076973B1 (ko) 2010-12-07 2010-12-07 뜸질용 쑥 제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9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76A (zh) * 2014-04-17 2014-07-16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半自动艾炷制备装置及艾炷制备方法
CN104138329A (zh) * 2014-05-23 2014-11-12 刘清华 智能艾灸按摩仪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34Y1 (ko) * 2012-06-12 2014-03-06 김향숙 뜸질용 쑥 제조구
CN108309775B (zh) * 2018-02-11 2019-12-24 安徽鑫诺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燃烧艾柱的艾灸装置
CN108721107B (zh) * 2018-06-29 2024-04-12 沈敬国 艾柱成型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288B1 (ko) 1998-02-25 2000-04-15 김정희 쑥봉 제조용 틀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288B1 (ko) 1998-02-25 2000-04-15 김정희 쑥봉 제조용 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19676A (zh) * 2014-04-17 2014-07-16 中国人民解放军第二军医大学 半自动艾炷制备装置及艾炷制备方法
CN104138329A (zh) * 2014-05-23 2014-11-12 刘清华 智能艾灸按摩仪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90A (ko) 201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973B1 (ko) 뜸질용 쑥 제조구
CN107847398A (zh) 控制释放的药物剂型
CN206120770U (zh) 药品剂型
CN106665685A (zh) 一种杀菌消炎的纯中草药竹签熏香及其制作方法
CN205234910U (zh) 生态疗法仪
KR200471634Y1 (ko) 뜸질용 쑥 제조구
CN106178242A (zh) 一种传染性皮肤病上药器
CN104043192A (zh) 一次性微针装置
CN105344111B (zh) 能够作为座椅与洗衣盆两用儿童玩具的使用方法及其结构
CN208989081U (zh) 一种鼻腔异物取出器
CN206044971U (zh) 一种动灸棒
CN204275066U (zh) 多索茶碱泡腾片
CN101487337A (zh) 足底行走按摩地板
CN205696834U (zh) 一种儿童椅
CN205696956U (zh) 一种医疗保健枕
CN202950921U (zh) 一种熏蒸床
CN206934352U (zh) 药品剂型
CN207253473U (zh) 中药熏蒸治疗箱
CN205459845U (zh) 一种艾炷制作装置
CN203354890U (zh) 面部熏蒸理疗仪
CN203041468U (zh) 床边扶手
CN203814368U (zh) 一种能释放微胶囊的梳子
KR200452834Y1 (ko)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CN204427435U (zh) 一种中草药保健枕
CN209220958U (zh) 艾炷制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