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1288B1 - 쑥봉 제조용 틀기 - Google Patents

쑥봉 제조용 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1288B1
KR100251288B1 KR1019980006024A KR19980006024A KR100251288B1 KR 100251288 B1 KR100251288 B1 KR 100251288B1 KR 1019980006024 A KR1019980006024 A KR 1019980006024A KR 19980006024 A KR19980006024 A KR 19980006024A KR 100251288 B1 KR100251288 B1 KR 100251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ring plate
presser
rod
worm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0902A (ko
Inventor
김정희
Original Assignee
김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희 filed Critical 김정희
Priority to KR1019980006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1288B1/ko
Publication of KR19990070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9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1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12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8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suppositories or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쑥뜸 치료할 때 사용하는 쑥봉 제조용 틀기에 관한 것으로써, 종래의 것은 단순히 상측 입구가 개방된 받침용기만으로 구성되었고 용기속에 넣어진 쑥을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다져 쑥뜸용 쑥봉을 성형하므로 표면의 쑥이 잘 다져지지 않고 자꾸 부풀어 올라 쑥봉 하나를 성형하는데만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으며, 힘들고 어려워 사용자들이 쑥뜸 치료를 점차 기피하게 되었고, 덜 다져진 쑥봉을 사용할 경우 불붙은 쑥봉이 쉽게 부숴져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쑥잎 수납부(11)가 상광하협으로된 받침용기(10)와; 상기 수납부(11)내벽에 다단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직경이 서로 상이한 다수의 링판(20)과; 상기 받침용기(10)상단에 복개되면서 하부에 다수의 통공(31)이 환설된 원통체 (30)와; 아래로 갈수록 점차 뾰죽해 지는 돌기(41)가 대, 중, 소의 길이로 저면 중앙에 돌설되어 있고 상면에는 삽지부(42)가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누름대( 40)와; 상기 삽지부(42)가 끼워지도록 삽지홈(51)이 형성된 타격봉(5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받침용기(10)에 넣는 쑥의 량에 따라 알맞게 대, 중, 소의 링판(20)과 누름대(40)를 선택적으로 조립한 다음 타격봉(50)으로 내려 찧기만 하면 다양한 크기의 쑥봉을 힘들이지 않고서도 단시간에 대량으로 성형할 수가 있으므로 쑥뜸 치료를 보다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는 매우 융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쑥봉 제조용 틀기
본 발명은 쑥뜸할 때 사용하는 쑥봉 제조용 틀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히는 많은 량의 쑥봉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단단하게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쑥뜸을 하고자 하는 부위의 정도에 따라 쑥봉을 다양한 크기로 손쉽게 성형할 수 있는 쑥봉 제조용 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쑥뜸을 하려면 먼저 잘게 잘라진 마른 쑥을 다져서 소정형태의 쑥봉을 여러개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쑥봉을 신체의 소정부위 여러 곳에 얹어놓은 다음 쑥봉 상단에 불을 붙이며 쑥봉이 점차 타 들어가면서 쑥뜸을 행하게 된다.
이러한 쑥뜸은 한방의 치료법으로 여러 한의원이나 각 가정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며, 상기와 같이 쑥뜸을 할 때 사용하는 쑥봉을 만들려면 쑥봉을 다질 수 있는 소정형태의 틀기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쑥봉 제조용 틀기는 단순히 상측 입구가 개방된 받침용기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받침용기속에 잘게 짜른 쑥을 넣은 다음 양손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다져서 쑥뜸용 쑥봉을 성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쑥이 잘 다져지지를 않고 자꾸 부풀어 올라 하나의 쑥봉을 성형하는데만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엄지손가락으로 눌러 다져서 여러개의 쑥봉을 성형하려면 상당히 힘이들고 어려워서 쑥뜸이 한방의 치료법으로 신체에 상당히 좋은 줄 알면서도 현재는 점차 사용자들이 쑥듬 치료를 기피하게 되었으며, 이와 같이 쑥봉 성형이 힘들고 어려우므로 쑥봉 성형시 대충 무르게 다진 상태에서 그대로 사용하게 되는 경향이 많다.
그러나, 쑥봉을 무르게 다져 성형한 상태에서 쑥뜸을 행하게 되면 쑥봉의 상단에 불을 붙여 쑥뜸을 뜰 때 쑥봉이 깨지면서 불붙은 쑥봉 조각들이 신체에 떨어지게 되어 심한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쑥뜸 뜨기를 더욱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많은 량의 쑥봉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힘들이지 않고서 단단하게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쑥뜸을 하고자 하는 부위의 정도에 따라 쑥봉을 대, 중, 소의 크기로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는 쑥봉 제조용 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쑥잎 수납부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된 받침용기와, 상기 받침용기의 상광하협 수납부 내벽에 다단으로 끼워져 걸리도록 직경과 중앙의 핀공이 서로 상이한 다수의 링판과; 상기 받침용기의 상단에 복개되면서 하부에 다수의 통공이 환설된 원통체와; 아래로 갈수록 점차 뾰족해지는 돌기가 대, 중, 소의 길이로 저면 중앙에 돌설되어 있고 상면에는 삽지부가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누름대와; 상기 누름대의 삽지부에 끼워지는 타격봉으로 쑥봉 제조용 틀기를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받침용기의 수납부 속에 잘게 짜른 마른 쑥을 채워넣고 원하는 크기의 링판을 얹어 놓은 다음 원통체를 받침용기위에 복개시키고 원통체의 중앙 통공을 통해 쑥위에 얹어진 링판에 알맞는 누름대와 타격봉을 끼워 넣고 타격봉으로 적당한 횟수 타격하면 다양한 크기로 많은 량의 쑥봉을 보다 빠른 시간내에 힘들이지 않고서도 상당히 단단하게 성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시된 쑥봉 제조용 틀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 저면 중앙에 서로 상이한 길이의 돌기가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누름대를 타격봉에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함을 예시한 정면도.
제3도는 직경이 대, 중, 소로 상이한 다수의 링판을 예시한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서 대형의 링판과 누름대를 사용하여 큰 쑥봉을 만드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서 소형의 링판과 누름대를 사용하여 작은 쑥봉을 만드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서 타격봉과 누름대를 일체로 결합한 상태에서 원통체를 사용하지 않고 쑥봉을 성형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받침용기 11 : 수납부
12 : 단턱부 20 : 링판
30 : 원통체 31 : 통공
40 : 누름대 41 : 돌기
42 : 삽지부 43, 52 : 핀공
50 : 타격봉 51 : 삽지홈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그 기술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첨부한 별첨의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실시된 쑥봉 제조용 틀기의 분해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쑥잎 수납부(11)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수납부(11)의 상단 테두리 주연에 단턱부(12)가 환설된 받침용기(10)와; 상기 받침용기(10)의 수납부(11) 내벽에 끼워지는 링판(20)과; 상기 받침용기(10)의 단턱부(12)에 끼워져 복개되면서 하부에 다수의 통공(31)이 환설된 원통체(30)와 상기 원통체(30)를 통해 끼워진 후 상기 링판(20)과 결합가능하면서 아래로 갈수록 점차 뾰죽해 지는 돌기(41)가 저면 중앙에 돌설되어 있고 상면에는 삽지부(42)가 돌설되어 있는 누름대 (40)와, 상기 누름대(40)의 삽지부(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부에 삽지홈(51)이 형성된 타격봉(50)으로 쑥봉 제조용 틀기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누름대(40)는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 중앙에 서로 상이한 높이(H1)(H2)(H3)의 돌기(41)가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누름대 (40a)(40b)(40c)로 구성하여 타격봉(50)에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누름대(40)의 삽지부(42)와 상기 삽지부(42)가 끼워지도록 삽지홈(51)이 형성된 타격봉(50)의 소정부위에는 각각 핀공(43)(52)을 형성하여 핀(60)으로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제3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링판(20) 역시 직경(L1)(L2)(L3)과 중앙의 구멍(21)이 대, 중, 소로 상이하게 형성된 링판(20a)(20b)(20c)으로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며, 여기서 도면중 미설명 부호(70)은 받침용기(10)속에 쑥잎을 넣기 전에 먼저 중앙에 매달린 받침링(71)이 받침용기(10) 바닥에 걸쳐지게 하여 완성된 쑥봉을 받침용기(10)로 부터 쉽게 빼낼수 있도록 하는 배출끈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의해 쑥봉을 만드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받침용기(10)의 수납부(11) 바닥에 배출끈(70)의 링이 놓이게 한 상태에서 만들고자 하는 쑥봉의 크기에 알맞게 잘게 짜른 마른 쑥을 수납부(11)에 적당량 채워넣는다. 그후 수납부(11)에 채워진 쑥 위로 만들고자 하는 크기에 따라 알맞는 링판(20)을 골라 얹어 놓는다.
즉, 받침용기(10)의 수납부(11)는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다수의 링판(20)중 하나를 쑥위에 얹어 놓으면 무거운 금속제 링판(20)이 쑥을 효과적으로 눌러준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수납부(11)에 넣어진 쑥의 량에 따라 다수의 링판(20) 및 누름대(40)중 알맞는 것으로 잘 선택하여 사용하여야지 그렇지 않으면 쑥봉이 무르게 다져지게 된다.
즉, 큰 쑥봉을 만들고자 할 때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받침용기(10)의 수납부 (11)에 많은 량의 쑥을 넣고 제일 큰 구경의 링판(20a)을 얹어야 하고, 중간 크기의 쑥봉을 그에 알맞는 량의 쑥을 넣고 중간 구경의 링판(20b)을 얹어야 하며, 제일 작은 쑥봉을 만들고자 할 때는 제5도에서와 같이 그에 알맞는 량의 쑥을 넣고 제일 작은 구경의 링판(20c)을 얹어야만 그에 알맞는 크기의 쑥봉이 만들어지게 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와 같이 받침용기(10)이 수납부(11)에 알맞는 량의 쑥을 넣고 그 위에 대, 중, 소의 링판(20a)(20b)(20c)중 알맞는 링판 하나를 얹은다음에는 원통체(30)를 받침용기(10)의 단턱부(12)에 끼워 복개시킨다. 그리고, 그후 대, 중, 소 크기의 누름대(40a)(40b)(40c)중 쑥위에 얹어진 링판(20)의 크기에 알맞는 돌기(41)가 돌출되어 있는 누름대 하나를 선택하여 타격봉(50)과 함께 원통체(30)의 중앙 통공(31)을 통해 끼워 넣는다.
즉, 제일 구경이 큰 링판(20a)은 수납부(11) 속의 쑥을 높이가 제일 높은 쑥봉으로 만들게 되므로 이때는 돌기(41)가 제일 길게 돌출되어 있는 누름대(40a)를 선택하고, 중간 크기의 쑥봉을 만들기 위한 중간 링판(20b) 사용시에는 돌기(41)가 중간 길이로 돌출되어 있는 누름대(40b)를 사용하여야 하며, 제일 작은 쑥봉을 만들기 위한 작은 링판(20c) 사용할 때에는 제일 작은 돌기(41)가 돌출되어 있는 누름대(40c)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링판(20)과 누름대(40)중 알맞는 것으로 선택하여 조립한 후 타격봉(50)을 들어올렸다가 하강시키면 누름대(40)는 하부의 돌기(41)가 링판(20)의 구멍(21)에 끼워진 상태에서 그대로 있고, 타격봉(50)만이 누름대(40)의 삽지부(42)에서 승강 작동을 반복하면서 누름대(40)를 타격하게 되며, 그러면 그 힘에 의해 링판(20)이 하부의 쑥을 점차 압축하므로 받침용기(10)의 수납부(11)에 담겨진 쑥이 단단하게 뭉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타격을 할 때 마른 쑥에서 나오는 먼지가 있을 경우 그 먼지는 원통체(30) 하부의 통공(31)을 통해 외부로 신속히 배출되고, 쑥위에 중량이 나가는 금속 링판(20)과 누름대(40)가 함께 얹어진 상태에서 타격봉(50)만이 승강되면서 타격하므로 쑥봉의 표면이 부풀지 않고 매우 매끈하게 다져짐은 물론 상당히 빨리 다져지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6도에서와 같이 받침용기(10)에 원통체(3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격봉(50)으로 수납부(11)에 넣어진 쑥을 다질 수도 있다. 이때는 먼지 누름대(40)의 삽지부(42)와 타격봉(50)에 형성된 핀공(43)(52)을 서로 일치시킨 다음 핀(60)을 끼워서 누름대(40)가 타격봉(50)과 일체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토록 하여야 한다. 그러한 상태에서 타격봉(50)을 올렸다가 하강시키면 누름대(40)가 타격봉(50)과 함께 승강되면서 링판(20)을 타격하게 되므로 받침용기(10)의 수납부 (11)에 넣어진 쑥을 효과적으로 다질 수가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쑥봉을 성형한 후 받침용기(10)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배출끈(70)의 일단 또는 양단을 함께 당기면 배출끈(70)의 받침링(71)에 받쳐져 있던 쑥봉이 당겨지는 배출끈(70)의 받침링(71)에 받쳐진 상태에서 상광하협 형태를 이루고 있는 수납부(11)를 손쉽게 벗어나 빠지게 되므로 힘들이지 않고 성형된 쑥봉을 빼낼 수가 있음은 물론 쑥봉을 빼낼 때 다져진 쑥봉의 형태를 매우 이상적으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받침용기의 수납부에 넣는 쑥의 량에 따라 알맞게 대, 중, 소의 링판과 누름대를 선택적으로 조립한 다음 타격봉으로 내려 찧기만 하면 다양한 크기의 쑥봉을 힘들이지 않고서도 단시간에 대량으로 성형할 수가 있으므로 쑥뜸 치료를 보다 신속 간편하게 행할 수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쑥잎 수납부(11)가 상광하협 형태로 형성되고, 수납부(11)의 상단 테두리 주연에 단턱부(12)가 환설된 받침용기(10)와; 상기 받침용기(10)의 수납부(11) 내벽에 끼워지는 링판(20)과; 상기 받침용기(10)의 단턱부(12)에 끼워져 복개되면서 하부에 다수의 통공(31)이 환설된 원통체(30)와; 상기 링판(20)의 구멍(21)에 끼워지도록 아래로 갈수록 점차 뾰족해 지는 돌기(41)가 저면 중앙에 돌설되어 있고 상면에는 삽지부(42)가 돌설되어 있는 누름대(40)와; 상기 누름대(40)의 삽지부(42)가 끼워지도록 하부에 삽입홈(51)이 형성된 타격봉(50)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쑥봉 제조용 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40)는 저면 중앙에 서로 상이한 높이(H1)(H2) (H3)의 돌기(41)가 돌설되어 있는 다수의 누름대(40a)(40b)(40c)로 구성하여 타격봉(50)에 선택적으로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중앙에 구멍(21)이 형성되는 상기 링판(20) 역시 직경(L1)(L2)(L3)이 대, 중, 소로 상이하게 형성된 링판(20a)(2 0b)(20c)으로 구성하여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봉 제조용 틀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대(40)의 삽지부(42)와 타격봉(50)의 삽지홈(51)이 형성된 소정부위에는 각각 핀공(43)(52)을 형성하여 누름대(40)와 타격봉(50)이 핀(60)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봉 제조용 틀기.
KR1019980006024A 1998-02-25 1998-02-25 쑥봉 제조용 틀기 KR100251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24A KR100251288B1 (ko) 1998-02-25 1998-02-25 쑥봉 제조용 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6024A KR100251288B1 (ko) 1998-02-25 1998-02-25 쑥봉 제조용 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02A KR19990070902A (ko) 1999-09-15
KR100251288B1 true KR100251288B1 (ko) 2000-04-15

Family

ID=1953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024A KR100251288B1 (ko) 1998-02-25 1998-02-25 쑥봉 제조용 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1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973B1 (ko) 2010-12-07 2011-10-26 김향숙 뜸질용 쑥 제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634Y1 (ko) * 2012-06-12 2014-03-06 김향숙 뜸질용 쑥 제조구
CN103976869A (zh) * 2014-05-30 2014-08-13 成都市新都区中医医院 艾灸盒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6973B1 (ko) 2010-12-07 2011-10-26 김향숙 뜸질용 쑥 제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902A (ko) 199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1288B1 (ko) 쑥봉 제조용 틀기
US5467699A (en) Garlic press
CN104873122B (zh) 磁铁旋转可脱卸式锅提手及其锅体连接装置
CN217066068U (zh) 一种自动出杯机构
CA2332124C (en) Press for making patties and method of operation
US6260480B1 (en) Egg cleaning and decorating method and kit therefor
KR20000018659U (ko) 종량제 쓰레기봉투 거치 압착 쓰레기통
US5890421A (en) Bread stick rack for portable bread ovens
US557056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pipette tip holders
CN107363896A (zh) 一种可加工不同孔槽的打孔机
CN215272298U (zh) 一种便于维护的打蛋棒
KR200426529Y1 (ko) 곶감꽂이 행거
CA1217087A (en) Food patty with improved void structure, shape, and strength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said patty
CN212446484U (zh) 艾塔成型模具
CN217407002U (zh) 一种大麦发芽干燥装置
CN217715046U (zh) 一种用于批量艾条灭火的装置
CN218982232U (zh) 一种金银花筛选机
KR20000050783A (ko) 쑥뜸용 쑥봉 성형장치 및 그 방법
CN210785703U (zh) 一种便利型微小锐器盒
CN213375139U (zh) 一种小串珠
GB2212096A (en) Food moulder
CN220607307U (zh) 辅食制作模具
CN217906016U (zh) 一种吐司面包烘焙格栅板
CN220602698U (zh) 一种垃圾处理用称重装置
KR200309230Y1 (ko) 낚시용 떡밥 압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