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2834Y1 -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 Google Patents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2834Y1
KR200452834Y1 KR2020080015124U KR20080015124U KR200452834Y1 KR 200452834 Y1 KR200452834 Y1 KR 200452834Y1 KR 2020080015124 U KR2020080015124 U KR 2020080015124U KR 20080015124 U KR20080015124 U KR 20080015124U KR 200452834 Y1 KR200452834 Y1 KR 2004528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xibustion
moxa
mesh
bamboo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1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6410U (ko
Inventor
정진욱
최영운
남미경
Original Assignee
최영운
정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운, 정진욱 filed Critical 최영운
Priority to KR20200800151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2834Y1/ko
Publication of KR200800064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64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28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28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10Devices on tubs for steam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2033/061Artificial hot-air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5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by direct air flow on the patient's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쑥뜸에 관한 것으로 지금까지는 다양한 상태의 쑥뜸재료를 만들어 직접 환부에 부착한 후 뜸을 시술하였는데 신체의 연한 부위의 쑥뜸은 그릇에 담아 쭈그리고 앉아 훈증을 하는 상태로 쑥뜸을 시술을 시행하여 왔다.
본 고안은 이러한 시술이 자세가 불편하고 장시간 시술하기가 어려워 이를 편하고 안정되게 시술할 수 있도록 양변기, 또는 대야에 물이 담긴 체 시술하므로 쑥뜸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쑥과 소금을 동시에 태우므로 쑥에서 얻어지는 가너졸 등과 염소소독과 대나무의 찬 기운을 겸하여 받을 수 있는 대나무용기를 물에 부상시킬 수 있게 제작하여 최상의 한방의료 보조기구로 제공하는 것에 관한 기술개발이다.
본 제품이 최초로 개발되고 제공되므로 인하여 시술하기 어려운 신체부위에 시술되던 불편한 쑥뜸을 편하고 안정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많은 환자들에게 심적인 고통을 해소시켜 어려움 없이 간편하게 시술하게 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부유통대나무(Floating round bamboo), 좌욕쑥뜸(moxa sitz bath), 가는 철사그물(Thin wire net), 파노졸(Farnosol), 염소(鹽素)소독, 훈증(薰蒸), 가너졸 (Garnesol), 링 소금, 용기(容器), 스티로폼(Styrofoam),

Description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The round floating bamboo vessel for the moxa sitz bath}
본 기술은 한방에서 자주 사용하는 뜸에 관한 것으로 피부질환과 혈액순환을 위한 쑥뜸을 시행하고자 할 때에는 직접 그 부위에 올리고 시행할 수 있으나 홍문부위 등의 접촉시키기 어려운 부위의 쑥뜸을 시행하고자 할 때는 엉거주춤 쭈그리고 앉아 훈증을 받아야 하므로 불편하기 짝이 없는 처방에 편하게 받을 수 있도록 마른 대야 등에 담아 시행할 수 있으나 간혹 변기에 올려 실시한다면 더욱 편하게 할 수 있는 쑥뜸용기에 관한 의료보조기구제조분야의 제조기술이다.
지금까지 훈증을 위한 기구나 도구는 흔치 않고 일반적으로 접시 등을 사용하거나 대접 등을 사용해 왔으며 단순한 쑥뜸만을 위한 용기에 불과한 기존의 방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도록 대나무로 제작하여 스티로폼을 부착하므로 물에 부상시켜 편하게 앉아 실시할 수 있게 제작하는 제품개발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나무를 재료로 하는 각종 제품에서 강한 열에도 잘 타지 않고 불에 달구어도 뜨겁지 않으며 찬 성질을 가진 재료로서 쑥뜸 등에는 가장 좋은 재료로 사용한다는 점에서 이를 선택하게 된 배경이다.
또한 소금은 피부알레지 등에 열기와 함께 뿌리면 알레지가 가라앉는다는 재래식 처방도 이를 배경으로 하였으며 소금자체가 나트륨과 염소로 구성되었다는 점에서 열을 가하면 불꽃을 이룬다는 점에서 이를 채택하였으며 대나무의 마디마디를 절단하여 사용한다면 제작할 수 있는 수량에 한계가 있으므로 가는 철사그물을 원형으로 절단하고 가장자리에 뻗치는 개개의 철사 줄을 대나무의 밑변 주위에 작은 구멍을 끼워 걸리게 하는 방법과 원형의 그물망에 파이프형상의 그물망을 세워 역시 각 개별 철사를 이용하여 세우므로 이를 분필모양으로 제작한 쑥뜸 봉을 끼우면 세워 태우기 용이하다는 점도 기술개발의 배경으로 하였다.
쑥뜸이란 태우는 것이므로 용기가 철제와 같이 뜨거워지면 피부를 상하게 하므로 혹여 살 갓에 닿더라도 화상을 입지 않도록 찬 대나무를 선택하였으며 또한 대나무에서 증발되는 휘발물질이 혼용되어 피부에 명성반응을 준다는 점과 소금을 태울 때 얻어지는 소독성과 쑥뜸이 순조롭게 타들어갈 수 있게 산소공급이 원활하게 할 철사그물의 선택과 철사그물을 이용한 쑥뜸삽입망의 조립 등의 편의성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과제로 선택하는 것이다.
쑥뜸을 시술하려면 건조시킨 쑥 분말을 분필형상으로 제조한 스틱을 세우고 이것을 태우는 용기가 필요하므로 철제를 피해 찬기를 갖는 통대나무를 적절하게 절단하고 공기유통을 위한 절개를 수 개 만들되 별도의 철사그물망을 사용하여 밑받침을 만들고 이 밑받침 위에 철사그물망 파이프형상의 쑥 스틱을 세울 수 있는 집어넣는 촛대대용의 집을 만들어 세워 부착하고 통대나무 밑에는 물에 뜨는 부양능력을 갖는 스티로폼으로 둥근 패널을 만들어 부착하면 통대나무와 쑥 스틱과 철사그물망 등 모두를 띄울 정도의 크기로 제작하는 과제 등이다.
본 통대나무좌욕쑥뜸용기는 현행 쑥뜸의 목적과 달리 훈증처리용으로 제공하는 것이므로 좌욕이나 웅크려 신체의 치부에 쑥뜸을 쬘 수 있게 하려는 고안한 좌욕전용한방쑥뜸으로 환자 및 예방치료에 새롭게 제공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본 고안의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는 쑥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성분으로 투존(Thujone)과 카리오필렌(Caryophyllene)이라는 성분과 파노졸(Farnosol) 및 가너졸(Garnesol) 이란 희귀(稀貴)한 지용성성분이 세균에 대해 항균기능을 갖는다는 점을 들어 피부에 기생하는 각종 알레르기성 질환을 퇴치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고 또 소금은 나트륨클로라이드로서 염소성분이 항균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피부질환을 억제하면서 체내의 신진대사향상과 면역물질이완 및 생성에 많은 도움을 주는 쑥뜸 등을 안전하게 태어주는 안전용기로 사용될 용기개발효과도 기대된다.
본 고안의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는 그 재료가 거재도 등지에서 자생하는 크고 작은 대나무를 통체로 잘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고 상부의 테두리를 4등분하여 6내지 7밀리미터 틈을 이루는 통 절개부위(56)를 제작하는데 깊이는 통대나무직경에 따라 쑥뜸 량을 가늠하여 압착쑥뜸스틱(10)의 크기도 대형, 중형, 소형 및 극소형으로 분류하여 제작하고 통대나무의 직경도 직경의 분류를 상기와 같은 크기로 분류하면 사용자의 선택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키기에 따라 제작될 원형그물망(20)은 압착쑥뜸스틱(10)을 꽂을 자리로 마련되는 것인 만큼 이것의 직경도 상기 분류방식과 같이 제작하고 원형그물망(20)을 장착할 밑바닥용 밑받침철사그물망(30)의 규격도 유사하게 분리하여 제작한 후 같은 통대나무라도 위와 아래의 위치에 따라 직경이 달라지겠으나 가장자리로 형성되는 개별 그물철선 끝이 되는 대나무조립철선(32)을 그물망걸이(54)에 끼우고 밑으로 내리면 처지는 정도만 다르지 사용에는 아무런 장애가 없을 것이다.
원형그물망(20)을 밑받침철사그물망(30)에 장착하는 방법은 4메시 내외의 망 틈에 원형그물망다리(24)를 끼워 고정시키므로 이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벗겨질 염려도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밑받침철사그물망(30)의 직경을 굳이 다양하게 제작할 필요 없이 대, 중, 소 및 극소로 구분하지 않고도 장착이 가능한 것은 밑받침철사그물망(30)의 위치가 정확하게 지정할 이유가 없다는 것인데 한 가지 조심할 것은 대나무원통(50)에 형성할 그물망걸이(54)의 위치를 약간 위에 위치시켜야 한다는 것뿐이다.
대나무원통(50)은 통대나무마다 직경이 상이하고 같은 통대나무라도 부위별로 달라 똑같은 형태가 없다는 점에서 그룹으로 분류하여 제작한다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이와 같이 대나무원통(50)의 상단은 4곳에 통 절개부위(56)가 마련되어 압착쑥뜸스틱(10)이 타는 상태를 볼 수 있게 해줄 것이며 아래부위에 형성되는 그물망걸이(54)는 밑받침철사그물망(30)을 걸쳐줄 대나무조립철선(32)기능을 하면서도 공 기유통을 지원하도록 하는 것이므로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대나무원통(50) 밑바닥은 상단의 통 입구(52)와 달리 개방되지 않고 원형의 스티로폼(60)으로 차단되어 공기진입이 안되고 밀폐되었으며 스티로폼(60)을 넓게 부착시키므로 원형그물망입구(22)를 통해 압착쑥뜸스틱(10)을 세울 수 있고 원형그물망(20)을 감싸는 테두리소금(40)은 원형그물망(20) 바깥으로 소금 링 입구(32)를 통해 덮여져 압착쑥뜸스틱(10)이 탈 때 같은 열을 받는 다면 다시 소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쑥뜸에 사용되는 도구를 분리하여 펼쳐놓은 사시도(도 1)는 상하로 관통되게 절단한 대나무원통(50)과 상기 대나무원통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를 보여주고 있으며 중간은 압착쑥뜸스틱(10)을 수용하는 원형그물망(20)이 밑받침철사그물망(30) 위에 부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될 중앙에 원형의 공간을 이루는 테두리소금(40)은 일반소금과 제오 라이트를 반반씩 섞어 성형시킨 것으로 제작이나 원료수급에도 어려움이 없는 물질이다.
본 고안의 쑥뜸에 사용될 도구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사시도(도 2)는 원형그물망입구(22)로 압착쑥뜸스틱(10)이 들어가는 것에서부터 테두리소금(40)도 씌워져 밑받침철사그물망(30) 위에 안착되는 장면과 마지막으로 이들이 통 입구(52)로 끼워지는 것인데 실제로는 원형그물망(20)과 밑받침철사그물망(30)은 이미 조립된 것이므로 압착쑥뜸스틱(10)을 중앙이 원형의 공간을 이루는 테두리소금(40)에 끼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스티로폼(60)은 대나무원통(50)의 하단에 접착하여 부착하여야 하는 것이므로 압착쑥뜸스틱(10)과 테두리소금(40) 이외는 모두가 사전에 조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실시 1예]
상부의 테두리를 4등분하여 6내지 7밀리미터 틈을 이루는 통 절개부위(56)의 길이가 직경이 50밀리미터일 때를 기준으로 하여 대략 30밀리미터씩 통대나무를 절 단하고 절단된 대나무원통(50)의 4등분 절개부위(56)의 깊이를 대략 20밀리미터로 하여 환기용 틈으로 제작하였다.
압착쑥뜸스틱(10)의 길이는 이의 직경을 12밀리미터 내외로 제작하였으므로 이의 길이는 6밀리미터로 하였고 이를 수용하는 원형그물망(20)의 직경은 15밀리미터에 길이를 9밀리미터로 하였으며 소금 링 입구(42)의 직경은 18밀리미터로 한 후 테두리소금(40)의 두께는 제오 라이트와 동량으로 하여 총 10그램이 되도록 하여 한 개의 링 형상으로 빚었다.
대나무원통(50) 밑바닥에 부착되는 스티로폼(60)의 전체 직경은 84밀리미터에 두께는 6밀리미터로 하여 물 위에 부양되도록 본 고안의 쑥뜸이 완성되어 쑥뜸을 장착한 전체사시도(도 4)와 같이 제작한 후 이를 좌변용 수조 위에 띄워 시술을 하고 좋은 효렴의 결과를 얻었다.
도 1은 본 고안의 쑥뜸에 사용되는 도구를 분리하여 펼쳐 놓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쑥뜸에 사용될 도구의 조립순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쑥뜸스틱을 세워줄 원형그물망의 상세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쑥뜸이 완성되어 쑥뜸을 장착한 전체사시도,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압착쑥뜸스틱, 20 : 원형그물망,
22 : 원형그물망입구, 24 : 원형그물망다리,
30 : 밑받침철사그물망, 32 : 대나무조립철선,
40 : 테두리소금, 42 : 소금 링 입구,
50 : 대나무원통, 52 : 통 입구,
54 : 그물망걸이, 56 : 통 절개부위,
60 : 스티로폼, A : 그물망상세도,
B : 조립개시 부, C : 투입방향표시,

Claims (1)

  1. 상하로 관통되게 절단한 대나무원통(50)의 상단원주 4곳의 통 절개부위(56)와, 상기 대나무원통 하단둘레의 일정 높이로 뚫은 다수개의 그물망걸이(54)와,
    상기 그물망걸이에 대나무조립철선(32)을 걸고 칸막이로 형성시킨 밑받침철사그물망(30)과, 상기 밑받침철사그물망에 원형그물망다리(24)로 부착시킨 원형그물망(20)과, 상기 대나무원통의 밑바닥에 부착시켜 부양시키는 스티로폼(60)으로 좌변용 수조에 띄우기 전에 상기 원형그물망에 별도로 제작된 압착쑥뜸스틱(10)을 테두리소금(40)의 중앙공간에 삽입하여 함께 끼우고 태우며 좌욕훈증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징인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KR2020080015124U 2008-11-11 2008-11-11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KR2004528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24U KR200452834Y1 (ko) 2008-11-11 2008-11-11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124U KR200452834Y1 (ko) 2008-11-11 2008-11-11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10U KR20080006410U (ko) 2008-12-19
KR200452834Y1 true KR200452834Y1 (ko) 2011-03-21

Family

ID=4132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124U KR200452834Y1 (ko) 2008-11-11 2008-11-11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283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89A (ko) * 2017-09-04 2019-03-13 정경균 뜸 처치를 위한 온통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079Y1 (ko) 2003-09-22 2003-12-18 배삼훈 수부유성 좌구기
KR200338135Y1 (ko) 2003-06-23 2004-01-07 배삼훈 일회용 좌구기
KR200341923Y1 (ko) 2003-11-26 2004-02-14 배삼훈 물에 고정되는 1 회용 좌구기
KR200440662Y1 (ko) 2007-03-07 2008-06-24 박오홍 뜸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8135Y1 (ko) 2003-06-23 2004-01-07 배삼훈 일회용 좌구기
KR200336079Y1 (ko) 2003-09-22 2003-12-18 배삼훈 수부유성 좌구기
KR200341923Y1 (ko) 2003-11-26 2004-02-14 배삼훈 물에 고정되는 1 회용 좌구기
KR200440662Y1 (ko) 2007-03-07 2008-06-24 박오홍 뜸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189A (ko) * 2017-09-04 2019-03-13 정경균 뜸 처치를 위한 온통구
KR101962877B1 (ko) * 2017-09-04 2019-03-27 정경균 뜸 처치를 위한 온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6410U (ko) 2008-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93941A (zh) 杀菌抗病毒熏香及其制备方法
CN204542835U (zh) 一种腰部艾灸器
KR200452834Y1 (ko) 좌욕쑥뜸 부유통대나무 용기
KR20110004002U (ko) 무연 황토 쑥뜸기
KR100538927B1 (ko) 간접 쑥뜸기
KR20110010590A (ko) 뜸질용 쑥 제조구
CN201969213U (zh) 具有氧疗功能的远红外桑拿浴室
CN203213528U (zh) 按摩洗浴防滑砖
KR200249105Y1 (ko) 의자형 좌욕기
CN210331131U (zh) 便携式葫芦灸
JP2010227526A (ja) 隔物温灸器
KR100915291B1 (ko) 쑥뜸기
CN205696834U (zh) 一种儿童椅
KR101182166B1 (ko) 헬스케어용 맥반석 벤치
KR20050059386A (ko) 건식훈증기를 구비한 한방헬스 의자
CN201042307Y (zh) 综合理疗沙发、椅
KR200386044Y1 (ko) 근적외선, 아로마 쑥뜸이 가능한 좌욕겸용의자
CN209967039U (zh) 一种感温变色按摩头及带有该感温变色按摩头的艾灸棒
KR200277119Y1 (ko) 일회용 쑥 훈증기
KR200356676Y1 (ko) 전통 옹기 좌욕기
KR200294214Y1 (ko) 옥 등으로 제조된 쑥뜸기
CN2792389Y (zh) 可更换坐垫的马桶
KR200237182Y1 (ko) 건강증진재 교환식 욕조
JP3188141U (ja) 陶器指圧マッサージ具
Ross Kwas, and: And Still Her Sacrum, and: Rockstone, and: Spirit and Form, and: Panoram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