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916B1 -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 Google Patents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916B1
KR101076916B1 KR1020040077585A KR20040077585A KR101076916B1 KR 101076916 B1 KR101076916 B1 KR 101076916B1 KR 1020040077585 A KR1020040077585 A KR 1020040077585A KR 20040077585 A KR20040077585 A KR 20040077585A KR 101076916 B1 KR101076916 B1 KR 101076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usb
chip
contact
contact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8572A (ko
Inventor
김재형
홍종철
권봉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Priority to KR102004007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9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43External electrical conta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4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G06K19/041Constructional details
    • G06K19/042Constructional details the record carrier having a form factor of a credit card and including a small sized disc, e.g. a CD or DV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3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ntaining at least one further contact interface not conform ISO-781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의 IC(integrated Circuit)칩이 구비된 IC카드에 있어서,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의 전원공급 접점(또는 VBUS)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촉점; USB의 신호 접점(또는 D+ 또는 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접촉점; USB의 접지 접점(또는 G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접촉점; 및 상기 IC칩과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 간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에 대한 것이다. 이에 의해, IC카드의 COB(Chip On Board)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을 연결하는 소정의 카드리더(Card Reader)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IC카드에 구비되는 상기 전원 접촉점, 데이터 접촉점 및 접지 접촉점 등을 통해 USB 기능을 지원하는 소정의 개인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에서 상기 IC칩으로 소정의 IC카드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하여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점이 있다.
USB,IC칩,접촉점

Description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IC Card with Interface for USB(Universal Serial Bus)}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USB용 인터페이스 및 USB용 접점을 구비한 IC카드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라 IC카드에 구비되는 USB용 인터페이스 및 USB용 접점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에서 IC칩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에서 IC칩을 리셋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에서 IC칩과 USB 간 프로토콜을 호환 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라 USB를 통해 IC카드와 인터페이싱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IC카드의 일면에 구비되는 USB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IC카드의 양면에 구비되는 USB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IC카드의 양면에 구비되는 USB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USB의 B플러그와 직접 인터페이싱되는 USB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IC카드 105 : IC칩
110 : 메모리부 115 : 프로세서부
120 : 입출력 인터페이스 125 : COB
130 : USB 인터페이스 135 : 전원 접촉점
140 : 데이터 접촉점(1) 145 : 데이터 접촉점(2)
150 : 접지 접촉점 155 : USB
200 : 전압 조정부 205 : 리셋부
210 : 메모리 215 : 클럭부
220 : 전송부 225 : 처리부
230 : 수신부
본 발명은 IC카드와 카드리더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연결하는 COB 이외에 상기 IC칩의 C1 접점, C7 접점, 및 C5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호 절연되어 있는 USB용 접촉점을 카드 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USB용 접촉점을 통해 개인 컴퓨터에서 USB를 통해 상기 IC칩으로 소정의 IC카드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IC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USB는 규격이 서로 다른 주변 기기(예컨대,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모뎀, 스피커 등)를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미국의 인텔(Intel),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DEC(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IBM(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 및 컴팩(Compaq)과 캐나다의 노텔(Nortel), 그리고 일본의 NEC(Nippon Electric Company)사 등에 의해 제안된 직렬 범용 버스로서, 서로 다른 규격의 주변 기기를 범용적으로 최대 127개까지 개인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는 특장점을 포함하고 있다.
IC카드는 중앙처리장치와 다양한 메모리 소자들을 내장하여 각종 디지털 정보를 저장 및 연산 처리할 수 있는 소정의 IC칩을 구비한 0.76mm 두께의 카드로서, ISO/IEC 7816 규격을 참조하면 카드 크기에 따라 가로세로 86.6*54(mm)의 ID-1 또는 66*33(mm)의 ID-00 또는 25*15(mm)의 ID-000 등이 있으며, 상기 IC카드에 구비되는 IC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컨대 CPU(Central Processing Unit)/MPU(Micro Processing Unit), 및/또는 암호화 연산을 위한 코프로세서 (Coprocessor))와 메모리(예컨대,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및 상기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버스(BUS) 등으로 구성되며, HID(Human Interface Device)가 생략된 소형 컴퓨터의 역할을 수행한다.
개인 컴퓨터(예컨대,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 및/또는 노트북(Notebook) 및/또는 포켓PC 및/또는 매킨토시 등)에서 상기 IC카드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기 위해서는 ISO/IEC 7816 규격을 기반으로 IC카드의 COB와 전기적 접점을 연결하며, 상기 COB를 통해 소정의 IC카드 동작 절차를 수행하는 카드리더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것은 상기 개인 컴퓨터의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으며, 카드리더가 구비되지 않은 개인 컴퓨터의 경우 사용자가 별도의 카드리더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물론,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IC카드 발급기관에서 소정의 카드리더를 무료로 사용자에게 배포하고 있으나, 상기 배포용 카드리더는 상기 카드 발급기관에서 발급한 IC카드를 사용하도록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범용성에 문제가 있고, 서로 다른 카드 발급기관에서 발급한 IC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서로 다른 카드리더를 연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IC카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ISO/IEC 7816의 규격을 따르는 COB 이외에, 서로 다른 규격의 주변 기기를 범용적으로 연결하는 USB를 통해 상기 IC카 드에 구비된 IC칩으로 소정의 IC카드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용 접촉점을 구비한 IC카드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USB용 접촉점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IC카드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IC카드에 구비된 IC칩으로 입력하고, 상기 IC칩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IC카드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IC(integrated Circuit)칩이 구비된 IC카드에 있어서,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의 전원공급 접점(또는 VBUS)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촉점; USB의 신호 접점(또는 D+ 또는 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접촉점; USB의 접지 접점(또는 G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접촉점; 및 상기 IC칩과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 간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IC칩의 전원 공급 접점(C1 접점)과 상기 전원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며, 상기 IC칩의 접지 접점(C5 접점)과 상기 접지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며, 상기 IC칩의 입출력 접점(C7 접점)과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통신 패킷으로부터 소정의 IC카드 명령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 필드를 독출하여 IC칩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으로부터 소정의 IC카드 응답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IC카드 응답 데이터를 소정의 통신 패킷에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통해 USB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부는 USB의 신호 접점(또는 D+ 또는 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데이터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IC칩의 입출력 접점(C7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의 처리부는 상기 IC칩을 리셋 시키기 위한 소정의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C칩의 리셋 신호 접점(C2 접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IC칩에 구비된 입출력 접점(C7 접점)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USB의 신호 접점(또는 D+ 또는 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데이터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원 접촉점을 통해 US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IC칩에서 인가될 수 있는 전압으로 드롭아웃(Dropout)시키는 소정의 전압 조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압 조정부는 상기 IC칩에 구비된 전원 공급 접점(C1 접점) 및 상기 전원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IC칩을 리셋 시키는 소정의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C칩의 리셋 신호 접점(C2 접점)으로 제공하는 리셋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리셋부는 상기 IC칩에 구비된 리셋 신호 접점(C2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IC칩이 작동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는 클럭을 발진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IC칩의 클럭 신호 접점(C3 접점)으로 제공하는 클럭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클럭부는 상기 IC칩에 구비된 클럭 신호 접점(C3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를 통해 상기 IC카드와 인터페이싱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드라이버(Driver)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 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기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기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상기 ISO/IEC 7816 규격을 따르는 접촉식 IC 카드를 기반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기능 구성을 기반으로 ISO/IEC 14443 규격을 따르는 비접촉식 IC카드에서 USB와 인터페이싱하는 IC카드를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접촉식 IC카드의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ISO/IEC 14443 규격을 따르는 비접촉식 IC카드 및/또는 별도의 접촉식 IC칩과 비접촉식 IC칩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카드 및/또는 하나의 IC칩을 접촉식 및 비접촉식으로 공유하는 콤비카드 등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면1은 본 발명에 따른 USB(155)용 인터페이스 및 USB(155)용 접점을 구비한 IC카드(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은 ISO/IEC 7816 규격을 따르는 접촉식 IC카드(100)에 있어서, 개인 컴퓨터의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IC칩(105)으로 소정의 IC카드(100)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직접 입·출력하는 USB 인터페이스(130)가 구비된 IC카드(10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ISO/IEC 7816 규격을 참조하면, IC카드(100)에 구비되는 IC칩(105)은 전원 공급(C1, VCC), 리셋 신호(C2, RST), 클럭 신호(C3, CLK), 접지(C5, GND), 프로그래밍 전원 공급(C6, VPP), 및/또는 입출력(C7, I/O)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점을 통해 카드단말장치와 통신(예컨대, 명령 또는 데이터 교환 등)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20)가 구비되는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접점(예컨대, C1,… ,C8)들은 와이어 본딩(Wire bonding)을 포함하는 소정의 공정을 통해 COB(125)에 구비된 각각의 접촉점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IC칩(105)은 CPU, MPU, 및/또는 코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부(115)와, ROM, RAM, EEPROM, FM 등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 메모리부(110)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 메모리 소자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예컨대, ROM)에는 IC카드(100) 내부 자원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칩 운영 체제(Chip Operating System; COS)가 저장되는데,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전원 공급(VCC) 접촉점을 통해 카드단말장치로부터 소정의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부(110)에 저장된 COS가 소정의 실행 메모리로 로딩되어 상기 IC칩(10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클럭 신호(CLK) 접촉점의 클럭 주파수(예컨대, 3.57MHz 또는 4.9MHz)를 기반으로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를 통해 상기 IC칩(105)과 카드단말장치 사이의 정보 또는 데이터 교환을 제어한다.
도면1을 참조하면, 상기 IC칩(105)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의 전원 공급(C1) 접점, 접지(C5) 접점 및 입출력(C7) 접점은 상기 IC카드(100) 내 구비되는 소정의 USB 인터페이스(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IC카드(100) 면에 구비되는 USB(155)용 전원 접촉점(135), 데이터 접촉점(140), 및 접지 접촉점(150)도 상기 IC카드(100) 내 구비되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 급(C1) 접점과 카드 면에 구비된 USB(155)용 전원 접촉점(135)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고, 상기 IC칩(105)의 접지(C5) 접점과 카드 면에 구비된 USB(155)용 접지 접촉점(150)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IC칩(105)의 입출력(C7) 접점과 카드 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155)용 데이터 접촉점(140)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2는 본 발명에 따라 IC카드(100)에 구비되는 USB(155)용 인터페이스 및 USB(155)용 접점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2는 상기 도면1과 같은 접촉식 IC카드(100)에 있어서, 상기 IC칩(105)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와 상기 IC카드(100) 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155)용 접촉점 사이에 구비되는 USB 인터페이스(130)의 바람직한 기능 구성과,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와 USB(155)용 접촉점 사이의 바람직한 전기적 연결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2를 참조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USB(155)용 전원 접촉점(135)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IC칩(105)에서 인가될 수 있는 전압으로 드롭아웃시키는 소정의 전압 조정부(100)와, 상기 IC칩(105)을 리셋 시키는 소정의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C칩(105)의 리셋 신호(C2) 접점으로 제공하는 리셋부(205)와, 상기 전압 조정부(100)로부터 제공되는 소정의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IC칩(105)이 작동하는데 요구되는 소정의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는 클럭을 발진 및/또는 생성하는 클럭부(215)와, 상기 개인 컴퓨터에서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IC카드(100)와 인터페이싱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소정의 드라이버(Driver)를 저장하는 메모리(210)와, 상기 데이터 접촉점(140)을 통해 소정의 IC카드(100) 명령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230)와, 상기 통신 패킷으로부터 소정의 IC카드(100) 명령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 필드를 독출하여 IC칩(105)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소정의 IC카드(100) 응답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처리하는 처리부(225) 및 상기 IC카드(100) 응답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를 통신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하여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전송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압 조정부(100)는 상기 USB(155)용 전원 접촉점(135)을 통해 공급되는 DC 5V의 전원을 IC칩(105)으로 인가할 수 있는 전압(예컨대, 클래스 A의 5V, 클래스 B의 3V)으로 조정하여 상기 IC칩(105)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 구비되어 있는 전원 공급(C1) 접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전압 조정부(100)는 상기 IC칩(105)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의 있는 전원 공급(C1) 접점과 USB용 접촉점의 전원 접촉점(1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압 조정부(100)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IC칩(105)으로 인가함에 있어서, 상기 IC칩(105)에 소정의 전원이 기 인가되어 있는지 판단(예컨대, 디퍼런스 신호를 이용하여 전원의 인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결과 상기 IC칩(105)에 소정의 전원이 인가되어 있는 경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압 조정부(100)가 상기 IC칩(105)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차단하는 경우, 상기 클럭부(215)가 소정의 IC칩(105)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는 클럭을 생성하여 상기 IC칩(105)의 클럭(C3) 접점으로 인가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및/또는 상기 처리부(225)가 상기 IC칩(105)의 리셋 신호(C2) 접점으로 리셋 신호를 인가하는 것이 차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셋부(205)는 상기 전원 조정부(200)가 적절하고 안정된 전원을 상기 IC칩(105)으로 인가하는 경우, 상기 IC칩(105)을 리셋 시키도록 미리 정의된 소정의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C칩(105)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 구비된 리셋 신호(C2) 접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리셋부(205)는 상기 IC칩(105)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의 있는 리셋 신호(C2)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럭부(215)는 상기 IC칩(105)이 동작하는데 요구되는 3.57MHz 또는 4.9MHz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클럭 주파수를 발진 및/또는 생성하여 상기 IC칩(105)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 구비된 클럭(C3) 접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클럭부(215)는 상기 IC칩(105)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의 있는 클럭(C3)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클럭부(215)는 내부에 소정의 발진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압 조정부(100)를 통해 입력되는 전원을 기반으로 소정의 주파수를 발진 및 3.57MHz 내지 4.9MHz으로 증폭하여 소정의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거나, 또는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통해 제공되는 소정의 펄스 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클럭 주파수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리(210)는 개인 컴퓨터에서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IC카드(100)와 인터페이싱하는 경우, 상기 개인 컴퓨터에 플러그 앤 플레이(Plug & Play; P&P) 방식으로 핫 플러깅(Hot Pluging)되어 상기 개인 컴퓨터에서 상기 IC카드(100)를 자동으로 인식 및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드라이버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IC카드(100)와 소정의 개인 컴퓨터가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인터페이싱되는 경우,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소정의 핫 플러깅 규약에 의거 상기 메모리로부터 소정의 드라이버 정보를 추출 및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개인 컴퓨터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 및/또는 USB(155)용 접촉점이 구비된 IC카드(100)를 자동으로 인식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수신부(230)는 상기 개인 컴퓨터에 구비되어 있는 소정의 IC카드(100)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IC카드(10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IC카드(100)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Packet)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수신부(230)는 도면2의 (가) 내지 (다)와 같이 “D+” 접점과 연결되는 USB(155)용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도면2의 (나) 내지 (라)와 같이 “D-” 접점과 연결되는 USB(155)용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현행 ISO/IEC 7816 규격을 따르는 상기 IC칩(105)은 비동기 반이중 바이트 전송(Asynchronous Half-Duplex Character Transmission) 및/또는 비동기 반이중 블록 전송(Asynchronous Half-Duplex Block Transmission)을 포함하는 반이중 통신을 지원(ISO/IEC 7816 규격에는 향후 제공된 전이중 방식의 프로토콜이 예약되어 있으나 현행 사용되지 않음)하며, 상기 반이중 통신 방식을 포함하는 APDU(Application Protocol Data Unit)을 사용하는데, 상기 수신부(230)를 통해 수신되는 IC카드(100)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는 상기 ISO/IEC 7816 규격에서 단말에서 IC카드(100)로 전송하도록 정의된 IC카드(100) 명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부(225)는 상기 수신부(230)로 수신된 통신 패킷으로부터 상기 IC카드(100) 명령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 필드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데이터 필드를 APDU 스펙의 IC카드(100) 명령으로서 상기 IC칩(105)의 입·출력 인터페이 스(120)에 구비된 C7 또는 I/O 접점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IC칩(105)의 C7 또는 I/O 접점으로 상기 IC카드(100)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IC카드(100) 응답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수신부(230)는 상기 IC칩(105)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의 있는 C7 또는 I/O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USB 인터페이스(130) 내부에서 상기 수신부(230) 또는 전송부(22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처리부(225)는 상기 수신부(230)로부터 IC카드(100) 명령에 해당하는 소정의 데이터 필드를 독출함에 있어서, 상기 IC카드(100) 명령이 ISO/IEC 7816 규격에서 정의한 APDU 스펙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상기 IC카드(100) 명령에 해당하는 데이터 필드가 상기 APDU 스펙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IC카드(100) 명령을 무시하거나, 또는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에 구비된 IC카드(100) 애플리케이션으로 재전송을 요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처리부(225)가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상기 IC카드(100) 명령에 대응하는 소정의 IC카드(100) 응답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IC카드(100) 응답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통신 패킷의 데이터 필드에 포함시켜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전송부(220)는 상기 IC칩(105)에 구비된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의 있는 C7 또는 I/O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면2의 (나) 내지 (다)와 같이 “D-” 접점과 연결되는 USB(155)용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도면2의 (가) 내지 (라)와 같이 “D+” 접점과 연결되는 USB(155)용 접촉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3은 본 발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130)에서 IC칩(105)으로 전원을 인가하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3은 USB 케이블의 A플러그(예컨대, USB 케이블의 개인 컴퓨터(Host)와 연결되도록 설계된 컨넥터)를 개인 컴퓨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하고, B플러그(예컨대, USB 케이블의 USB 장치와 연결되도록 설계된 컨넥터)를 상기 IC카드(100)에 구비된 USB(155)용 접촉점과 연결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에 구비된 전압 조정부(100)에서 상기 USB 케이블의 “VBUS” 접점(예컨대, RED 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IC칩(105)의 클래스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원으로 조정하여 인가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도면3을 참조하면,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 전압(예컨대, DC 5V)을 포함하는 소정의 전원이 입력되는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전압을 클래스 A에 대응하는 전압(5V) 또는 클래스 B에 대응하는 전압(3V)을 제외한 최저 전압으로 드롭아웃 시킨다(30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드롭아웃되는 전압은 상기 클래스 A에 대응하는 전압(5V) 또는 클래스 B에 대응하는 전압(3V)을 제외한 전압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IC칩(105)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최저 전압으로 드롭아웃 하되, 상기 전압값은 접지 전압(0V)보다는 큰 값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공급 전압이 드롭아웃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급(C1) 접점과 상기 드롭아웃된 전압의 차를 비교하고, 디퍼런스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전압차를 판독하여 상기 IC칩(105)으로 인가된 전원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305).
예컨대, 상기 IC칩(105)에 소정의 전원이 기 인가되어 존재한다면, 상기 드롭아웃된 전압과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급(C1) 접점 사이의 전압차는 상기 드롭아웃된 전압 이외의 전압값을 갖게 되며, 만약 상기 IC칩(105)에 기 인가된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상기 전압차는 상기 드롭아웃된 전압과 소정의 오차범위에서 동일한 값을 가질 것이다.
만약 상기 IC칩(105)에 기 인가된 전원이 존재한다면(310),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부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소정의 오류 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IC칩(105)에 접근하는 과정을 종료한다.
반면 상기 IC칩(105)에 기 인가된 전원이 존재하지 않는다면(315),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부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클래스 B에 해 당하는 3V로 드롭아웃 시키고(320), 상기 드롭아웃된 전원을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급(C1) 접점을 통해 상기 IC칩(105)으로 인가 및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유효한 ATR(Answer To Response)이 리턴되는지 판단한다(325).
만약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유효한 ATR이 리턴된다면(330), 상기 IC칩(105)은 클래스 B에 해당함으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전원 공급모드를 클래스 B 모드로 설정 및 3V의 전원을 안정적으로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급(C1) 접점으로 인가시킨다(335).
반면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유효한 ATR이 리턴되지 않는다면(340), 상기 IC칩(105)은 클래스 B가 아니므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클래스 A에 해당하는 5V로 전환시키고(345), 상기 클래스 A로 전환된 전원을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급(C1) 접점을 통해 상기 IC칩(105)으로 인가 및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유효한 ATR이 리턴되는지 판단한다(350).
만약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유효한 ATR이 리턴된다면(355), 상기 IC칩(105)은 클래스 A에 해당함으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전원 공급모드를 클래스 A 모드로 설정 및 5V의 전원을 안정적으로 상기 IC칩(105)의 전원 공급(C1) 접점으로 인가시킨다(360).
반면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유효한 ATR이 리턴되지 않는다면(365), 상기 IC칩(105)은 클래스 A는 물론 클래스 B도 아니므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고, 소정의 오류 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IC칩(105)에 접근하는 과정을 종료한다(370).
도면4는 본 발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130)에서 IC칩(105)을 리셋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4는 ISO/IEC 7816-2를 기반으로 상기 IC칩(105)의 입·출력 인터페이스(120)에서 RST 접점이 L상태, VCC 접점으로 전원이 안정적으로 인가, I/O 접점이 수신모드에 있고, VPP 접점이 유효 상태에서, CLK으로 적절하고 안정된 클럭 주파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의 리셋부(205)에서 상기 IC칩(105)으로 소정의 리셋 신호를 인가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ISO/IEC 7816을 참조하여 상기 IC칩(105)을 리셋 시키는 방식에는 IR(Internal Reset) 및/또는 AL(Active Low reset) 및/또는 SH(SyncHronous active reset) 등이 있는데, 실제 IC칩(105)에 적용되는 리셋 방식은 카드의 종류 및/또는 특성에 따라 상기 리셋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 및 사용된다. 도면4를 참조하여 상기 IC칩(105) 리셋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R 방식은 IC칩(105)이 소정의 명령이나 수행절차에 의해 내부적으로 리셋되 는 경우, 클럭 신호의 몇 사이클 주기 이후에 리셋되는데, 이 때 I/O 단자의 ATR 은 클럭 신호의 CLK(T0 이후의 t1)에 적용된 이후에 400~40000 클럭 사이클(t1)에서 시작된다. AL 방식은 IC칩(105)이 능동형 제로 리셋 상태인 경우, 클럭 신호가 CLK(T0 이후의 시간 t3)에 적용된 이후에 RST를 L상태에 최소한 40000 클럭 사이클(t3) 내에서 L상태의 RST로 시작하지 않으면 RST가 H(시간 T1) 상태에 놓여지며, 이 때 I/O 접점의 ATR은 RST(T0 이후의 t1)의 신호파형의 상승 끝면 시점 이후에 400~40000 클럭 사이클(t1)에서 시작된다. SH방식은 동기적으로 응답하는 IC칩(105)에 있어서, 모든 접점을 L상태로 유지 및 I/O 접점이 수신 모드에 놓여진 상태에서 RST가 L 상태로 복귀되기 전 최소 50μs(마이크로 초) 동안 H 상태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IC카드(100)에 구비된 IC칩(105)의 종류 및/또는 특성에 따라 상기 설명된 IR 방식 및/또는 AL 방식 및/또는 SH 방식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셋 방식을 통해 상기 IC칩(105)을 리셋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5는 본 발명에 따라 USB 인터페이스(130)에서 IC칩(105)과 USB 간 프로토콜을 호환시키는 바람직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5는 IC칩(105)에 적용되는 반이중 통신 방식의 APDU 프로토콜과 USB에 적용되는 전이중 통신 방식의 통신 패킷(500)을 호환시키는 바람 직한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APDU 프로토콜 및 통신 패킷의 기능 블록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5를 참조하면, 통신 패킷(500)은 동기화 필드(SYNC)(505)와 패킷 아이디 필드(PID)(510)와 데이터 필드(DATA)(515) 및 CRC 필드(520)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동기화 필드(505), 패킷 아이디 필드(510) 및 CRC 필드(520)는 USB 프로토콜 스펙에 의해 자동으로 동적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데이터 필드(515)는 상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상기 IC칩(105)에 적용되는 APDU 프로토콜 스택이 삽입된다.
도면5의 (가)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개인 컴퓨터에서 상기 IC칩(105)으로 데이터 전송이 없는 소정의 IC카드(100)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로서,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5바이트 APDU 해더를 포함하는 IC카드(100) 명령이 포함되며, 상기 APDU 해더의 P3 필드에는 ‘00’이 할당됨으로써 상기 IC카드(100) 명령에 후속되는 데이터가 없음을 명시한다. 상기 개인 컴퓨터로부터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APDU 해더가 포함된 통신 패킷(500)이 수신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로부터 APDU 해더를 독출하여 상기 IC칩(105)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상기 IC카드(100) 명령에 대응하는 응답(예컨대, 카드 응답과 트레일러(SW1, SW2) 필드)을 제공받아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포함시켜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전송한다.
도면5의 (나)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개인 컴퓨터에서 상기 IC칩(105)으로 소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로서, 상기 개인 컴퓨터에서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5바이트 해더를 포함하는 IC카드(100) 명령의 APDU 해더를 포함시켜 전송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로부터 상기 APDU 해더를 독출 및 상기 IC칩(105)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105)으로부터 APDU 해더에 대응하는 응답(예컨대, 카드 응답)이 제공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응답을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포함시켜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APDU 해더에 대응하는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개인 컴퓨터로부터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상기 IC카드(100)로 전송할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정의 APDU 바디(Body)를 통신 패킷(500)에 포함시켜 전송하고,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로부터 상기 APDU 바디를 독출 및 상기 IC칩(105)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105)으로부터 상기 IC카드(100) 명령의 APDU 바디에 대응하는 응답(예컨대, 트레일러(SW1, SW2) 필드)이 제공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응답을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포함시켜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전송한다.
도면5의 (다)는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IC칩(105)에서 개인 컴퓨터로 소 정의 정보 또는 데이터 전송하는 경우로서, 상기 개인 컴퓨터에서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5바이트 해더를 포함하는 IC카드(100) 명령의 APDU 해더를 포함시켜 전송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로부터 상기 APDU 해더를 독출 및 상기 IC칩(105)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105)으로부터 APDU 해더에 대응하는 소정의 응답(예컨대, 카드 응답, IC칩(105)에서 개인 컴퓨터로 전송할 정보 또는 데이터, 및 트레일러(SW1, SW2) 필드)이 제공되면,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응답을 상기 통신 패킷(500)의 데이터 필드(515)에 포함시켜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상기 개인 컴퓨터로 전송한다.
도면6은 본 발명에 따라 범용직렬통신을 통해 IC카드(100)와 인터페이싱하는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6은 USB 인터페이스(13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USB용 접촉점을 포함하는 IC카드(100)와, 소정의 USB 포트를 구비하여 상기 USB 포트를 통해 상기 IC카드(100)를 사용하는 소정의 IC카드(100) 애플리케이션이 구비된 개인 컴퓨터(605) 및 상기 IC카드(100)와 개인 컴퓨터를 연결하는 USB 케이블(600)로 이루어진 바람직한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6을 참조하면, 상기 IC카드(100) 내에서 IC칩(105)의 C7 또는 I/O 접점과 USB 인터페이스(130) 사이에는 APDU 프로토콜이 적용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에서 USB용 접촉점, USB 케이블(600) 및 개인 컴퓨터(605)에 구비된 USB 포트 사이에는 통신 패킷(500)을 이용하는 USB 프로토콜이 적용되며, 상기 USB 인터페이스(130)는 상기 도면5에 도시된 바와 같은 APDU와 통신 패킷(500) 사이의 호환 기능을 수행한다.
도면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방법에 따라 IC카드(100)의 일면에 구비되는 USB(155)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7은 전기적으로 상호 절연된 USB(155)용 접촉점을 상기 도면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술 구성을 포함하는 IC카드(100)의 일면에 구비하는 바람직한 경우에 대한 것이다.
상기 USB(155)용 접촉점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당업자의 의도 및/또는 상기 IC카드(100)와 개인 컴퓨터에 구비된 USB 포트를 인터페이싱하는 인터페이스 장치에 구비된 접점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예컨대, 접촉점의 모양과 크기 및 IC카드(100)의 변 내지 모서리로부터 이격간격과 이격각도 등)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7은 상기 IC카드(100)의 모서리에 상기 USB(155)용 접촉점이 구비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도면7의 (가)는 평행선 모양의 USB용 접촉점이 IC카드(100)의 좌상단부 모서리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면7의 (나)는 소정의 빗각을 이루며 사각형 모양의 USB용 접촉점이 IC카드(100)의 우상단부 모서리에 가로 방향 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면7의 (다)는 소정의 빗각을 이루는 USB(155)용 접촉점이 IC카드(100)의 좌하단부 모서리에 가로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고, 도면7의 (라)는 바둑판 모양의 USB(155)용 접촉점이 IC카드(100)의 우하단부 모서리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것이다. 물론, 본 도면7에 도시된 USB(155)용 접촉점 이외에도 다양한 접촉점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USB(155)용 접촉정의 형태 및/또는 구조에 의해 영향 받지 않는다.
도면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IC카드(100)의 양면에 구비되는 USB(155)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8은 상기 도면7의 (가)와 같은 USB(155)용 접촉점에 있어서, USB(155)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IC카드(100)의 앞면 또는 뒷면으로 인터페이싱되더라도, 이에 영향 받지 않고 상기 IC칩(105)과 성공적으로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USB(155)용 접촉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8을 참조하면, 상기 IC카드(100)의 앞면에는 전원 접촉점(135)(1), 데이터 접촉점(2,3) 및 접지 접촉점(4)에 해당하는 USB(155)용 접촉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IC카드(100)의 뒷면에는 상기 앞면과 반대방향(또는 대각방향)으로 전원 접촉점(135)(1’), 데이터 접촉점(2’,3’) 및 접지 접촉점(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와 같이 IC카드(100)의 앞면 과 뒷면에 구비된 USB(155)용 접촉점들은 도면8의 (가)와 도면8의 (나)와 같은 전기적 연결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와 같이 IC카드(100)의 앞면과 뒷면을 통해 이루어지는 USB(155)용 접촉점의 전기적 연결을 통해 소정의 USB(155)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상기 IC카드(100)의 앞면 또는 뒷면으로 인터페이싱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IC칩(105)과 성공적으로 인터페이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방법에 따르면, 상기 도면7과 같이 IC카드(100)의 일면에만 USB(155)용 접촉점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IC카드(100)와 인터페이싱하는 USB(155)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컨넥터 구조를 도면8의 (가) 및 도면8의 (나)와 같이 양면이 호환되도록 설계 및 제조함으로써 상기 USB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상기 IC카드(100)의 앞면 또는 뒷면으로 인터페이싱하는 것과 무관하게 상기 IC칩(105)과 성공적으로 인터페이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IC카드(100)의 양면에 구비되는 USB(155)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9는 상기 도면7의 (가)와 같은 USB(155)용 접촉점에 있어서, USB(155)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IC카드(100)의 앞면 또는 뒷면으로 동시에 인터페이싱하는 경우, 상기 USB(155)용 접촉점의 일부를 IC카드(100) 앞면에 구비하고 나머지를 IC카드(100) 뒷면에 구비하는 USB(155)용 접촉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9를 참조하면, 상기 IC카드(100)의 앞면에는 전원 접촉점(135)(1) 및 데이터 접촉점(2)에 해당하는 USB(155)용 접촉점이 구비되고, 뒷면에는 데이터 접촉점(3) 및 접지 접촉점(4)에 해당하는 USB(155)용 접촉점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USB(155)용 접촉점은 상기 IC카드(100)를 기준으로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약 0.76mm의 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USB(155)용 인터페이스 장치가 상기 모서리의 일면을 기준으로 상기 IC카드(100)의 양면으로 인터페이싱하는 경우, 최소의 면적으로 상기 범용직렬통신 수단과 상기 USB(155)용 접촉점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도면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 방법에 따라 USB(155)의 B플러그(1000)와 직접 인터페이싱되는 USB(155)용 접촉점을 예시한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도면10은 상기 도면9와 같이 IC카드(100)의 양면에 구비되는 USB(155)용 접촉점에 있어서, US(155)B의 B플러그(1000)와 직접 인터페이싱 되도록 USB(155)용 접촉점이 IC카드(100)의 양면에 구비되고, 상기 B플러그(1000)가 삽입될 수 있는 소정의 홈이 파여져 있는 IC카드(100)를 예시한 도면이다.
다만, 본 도면10은 USB 관련 규격에 의거 USB 장치에 연결되는 B플러그(1000)의 경우를 예시한 것일 뿐이며, USB(155)의 A플러그를 통해 인터페이싱 되도록 도면7의 (가) 내지 도면8과 같이 USB(155)용 접촉점과 홈을 구비하여도 무방하 며, 또는 본 발명을 위해 설계된 소정의 인터페이스 장치 및/또는 USB 컨넥터가 연결되도록 상기 USB(155)용 접촉점과 홈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며, 상기와 같은 다른 실시 방법을 따르는 경우 상기 IC카드(100)에 구비되는 USB(155)용 접촉점의 형태 및 구조는 각각의 실시 방법에 대응하도록 구비될 것은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방법을 따르는 도면10을 참조하면, USB(155)의 B플러그(1000)는 8.45(mm)의 외부 폭과 7.78(mm)의 높이 및 5.60(mm)의 내부 폭의 규격을 포함하며, 상기 B플러그(1000) 내 접점의 폭은 1.00(mm)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IC카드(100)에 구비되는 USB(155)용 접촉점은 상기와 같은 B플러그 규격을 만족하여 상기 IC카드(1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IC카드와 카드리더 사이의 전기적 접점을 연결하는 COB 이외에 상기 IC칩의 C1 접점, C7 접점, 및 C5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호 절연되어 있는 USB용 접촉점을 카드 면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USB용 접촉점을 통해 개인 컴퓨터에서 USB를 통해 상기 IC칩으로 소정의 IC카드 관련 정보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IC카드를 제공함으로써, 카드리더가 구비되지 않은 개인 컴퓨터를 보유한 사용자가 별도의 카드리더를 구매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IC카드 발급기관에서 발급한 IC카드에 대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8)

  1. IC(integrated Circuit)칩이 구비된 IC카드에 있어서,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의 전원공급 접점(또는 VBUS)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접촉점;
    USB의 신호 접점(또는 D+ 또는 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접촉점;
    USB의 접지 접점(또는 GND)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지 접촉점; 및
    상기 IC칩과 USB(Universal Serial Bus;범용직렬버스) 간 인터페이싱을 지원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IC칩의 전원 공급 접점(C1 접점)과 상기 전원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며,
    상기 IC칩의 접지 접점(C5 접점)과 상기 접지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며,
    상기 IC칩의 입출력 접점(C7 접점)과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전기적으로 중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통해 제공되는 데이터 필드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통신 패킷으로부터 IC카드 명령에 해당하는 데이터 필드를 독출하여 IC칩으로 제공하고, 상기 IC칩으로부터 IC카드 응답 데이터를 제공받는 것을 처리하는 처리부; 및
    상기 IC카드 응답 데이터를 통신 패킷에 포함하여 상기 데이터 접촉점을 통해 USB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전원 접촉점을 통해 US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을 상기 IC칩에서 인가될 수 있는 전압으로 드롭아웃(Dropout)시키는 전압 조정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IC칩을 리셋 시키는 리셋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IC칩의 리셋 신호 접점(C2 접점)으로 제공하는 리셋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USB 인터페이스는,
    상기 IC칩이 작동하는데 요구되는 동작 주파수에 대응하는 클럭을 발진 또는 생성하여 상기 IC칩의 클럭 신호 접점(C3 접점)으로 제공하는 클럭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12. 삭제
  13. 삭제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은,
    상기 IC 카드의 양면에 구비되거나 또는 단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은,
    상기 IC 카드의 양면에 분리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점은,
    평행선 형태 또는 빗각을 이루는 사각형 형태 또는 바둑판 형태로 상기 IC카드의 좌상단부 또는 우상단부 또는 좌하단부 또는 우하단부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위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C카드에 구비되는 IC칩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산 소자로 이루어진 프로세서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진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C카드는,
    접촉식 IC카드와, 비접촉식 IC카드와, 별도의 접촉식 IC칩과 비접촉식 IC칩이 구비된 하이브리드 카드와, 하나의 IC칩을 접촉식 및 비접촉식으로 공유하는 콤비카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USB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IC 카드.
KR1020040077585A 2004-09-25 2004-09-25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KR101076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585A KR101076916B1 (ko) 2004-09-25 2004-09-25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7585A KR101076916B1 (ko) 2004-09-25 2004-09-25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572A KR20060028572A (ko) 2006-03-30
KR101076916B1 true KR101076916B1 (ko) 2011-10-25

Family

ID=37139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7585A KR101076916B1 (ko) 2004-09-25 2004-09-25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9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8977B2 (en) 2007-09-12 2010-02-23 Infineon Technologies Austria Ag Method for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devices connected via a communication link
KR20090072717A (ko) * 2007-12-28 2009-07-02 슬림디스크 주식회사 플래시메모리의 배드정보를 암호화키로 사용하는유에스비 디스크, 유에스비 연결장치 및 그 방법
KR100872816B1 (ko) * 2008-05-02 2008-12-09 주식회사 스마트카드연구소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한 가입자 인증카드의 데이터제어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030A (ja) 1997-02-28 1998-11-13 Toshiba Corp 接続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02031762A1 (en) 2000-10-11 2002-04-18 Stmicroelectronics, Inc. Multi-mode smart card,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02030A (ja) 1997-02-28 1998-11-13 Toshiba Corp 接続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WO2002031762A1 (en) 2000-10-11 2002-04-18 Stmicroelectronics, Inc. Multi-mode smart card, system and associate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572A (ko)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80102B2 (ja) データ伝送の方法及びデータ伝送のためのカード
EP1643372B1 (en) USB device with secondary USB on-the-go function
KR101223986B1 (ko)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스마트 카드 및 이를포함하는 스마트 카드 시스템
JP4937736B2 (ja) 標準的なセキュリティ機能を含むメモリカード
EP1473664B1 (en) Smart card device as mass storage device
EP18407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nsing biometric and non-biometric smart card devices
US20060180674A1 (en) Security card apparatus
US7195161B2 (en) Smart card reader
US6793144B2 (en) Means for communicating with USB smart cards using full-speed or high-speed transfers
CN100401082C (zh) 具有智能卡阅读器的装置及用于测试该装置的方法
US8453939B2 (en) Smart card supporting a plurality of interfaces and interface method thereof
US5969333A (en) Data collection system for card readers
EP2461267A1 (en) System for communicating in a contact-less manner, and corresponding removable chip card, terminal and method
KR101076916B1 (ko)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아이씨 카드
KR20060028354A (ko)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 장치
KR101803286B1 (ko) 인터페이스 변환장치, 상기 인터페이스 변환장치를 구비한 임베디드 시스템 및 이에 이용되는 데이터 신호 전달 방법
KR101240486B1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KR101075090B1 (ko) 복수개의 접촉점을 구비한 아이씨 카드
JP2000285207A (ja) カードリーダ及びicカード
KR20090107011A (ko) 유에스비용 인터페이스 장치
KR20120088623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KR20130086013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방법
KR20100035642A (ko) 유에스비 인터페이스 장치
KR20070042792A (ko) Usb 데이터 통신 및 비접촉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카드및 스마트 카드 소켓
JPH10307901A (ja) Icカード・リーダライ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