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839B1 -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839B1
KR101076839B1 KR1020110052268A KR20110052268A KR101076839B1 KR 101076839 B1 KR101076839 B1 KR 101076839B1 KR 1020110052268 A KR1020110052268 A KR 1020110052268A KR 20110052268 A KR20110052268 A KR 20110052268A KR 101076839 B1 KR101076839 B1 KR 101076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sher
washer filter
air
forced circ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열
김영태
김방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Priority to KR1020110052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02Loose filtering material, e.g. loose fibres
    • B01D39/06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fibres, glass beads or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01D2253/1085Zeolites characterized by a silicon-aluminium rati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 B01D2279/51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in clean rooms, e.g. production facilities for electronic devices, laborato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공장 등과 같은 정밀산업현장에 적용되는 클린룸 등의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와 더불어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처리하는 순환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되고 후방에 워셔 필터를 이용한 정화수단을 설치하여 강제순환수단으로 강제순환하는 공기를 정화수단으로 정화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을 가지는 다수개의 워셔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워셔 필터에 흡수액을 공급하여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Clean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of Circulating Air}
본 발명은 반도체공장 등과 같은 정밀산업현장에 적용되는 클린룸 등의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와 더불어 유해가스를 흡수하여 처리하는 순환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되고 후방에 워셔 필터를 이용한 정화수단을 설치하여 강제순환수단으로 강제순환하는 공기를 정화수단으로 정화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공기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을 가지는 다수개의 워셔 필터를 설치하고, 상기 워셔 필터에 흡수액을 공급하여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도록 이루어지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나 액정패널(LCD)과 같은 제품은 제조 장소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가스가 소정 범위 이하로 유지되어야 제조 공정에서 제품의 불량이 발생하지 않으며, 우수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와 습도가 제어되고 공기 중에 유해 가스가 소정 범위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공간을 클린룸(Clean Room)이라고 한다.
도 1은 상기와 같은 클린룸 조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순환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한편, 일정량의 외기를 정화하여 시스템으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공조시스템(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2는 상기 공조시스템(100)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순환하는 공기에 포함된 질산화물(NOx)이나 황산화물(SOx)과 같은 산성 무기물, 암모니아(NH3) 같은 염기성 무기물, 유기 용제류나 다이옥신 등과 같은 유기물을 제거하면서 계속 순환하도록 하는 순환공기 공조장치(150)를 확대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공조시스템(100)은 온도와 습도가 제어되며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가스도 소정 범위 이하로 유지되어 반도체나 액정패널과 같은 정밀 제품을 제조하는 클린룸(101)과; 상기 클린룸(101)으로부터 순환되는 공기가 유입되어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성, 염기성 무기물이나 유기물을 제거하는 순환공조장치(150)가 설치되는 공조챔버(110)와; 소정량의 외기를 정화하여 상기 공조챔버(110)로 공급하는 외기공조장치(140)와; 상기 순환공조장치(150)에 의하여 정화된 순환공기와 외기공조장치(140)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기를 안내하는 유도로(120)와; 상기 유도로(120)를 통하여 순환하는 그린 공기를 상부로부터 클린룸(10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상부챔버(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조챔버(110)에 설치되는 순환공조장치(15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151)와, 상기 케이스(151) 내에 구비되어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송풍기구(165)와, 순환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산성, 염기성 무기물 및 유기물과 같은 유해 가스를 제거하는 필터부(157)로 구성된다.
도 2에서 미설명 부호 156은 필터부(156) 전방으로 구비되어 공기 중에 포함되는 분진 등을 제거하는 HEPA필터와 같은 프리필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필터부(157)는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가스에 따라서 다양한 흡착제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유해 가스가 질산화물(NOx)이나 황산화물(SOx)과 같은 산성 가스인 경우에는 알칼리성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하고, 유해 가스가 암모니아와 같은 염기성 가스인 경우에는 산성 이온교환수지를 구비한다. 그리고 유기용제류나 다이옥신과 같은 유기화합물인 경우에는 점착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와 같은 다공성 흡착제를 사용한다. 그리고 제거되어야 하는 유해 가스가 산성 가스, 염기성 가스 및 유기화합물인 경우에는 상기 흡착제들을 적층하거나 서로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순환공기 정화장치(150)는 필터부(157) 만으로 공기 중에 포함되는 유해 가스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필터부(157)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유기물의 경우 미세 세공에 의한 모세관 현상으로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점착활성탄이나 제올라이트를 흡착제로 사용하는 유기물 제거 필터의 경우에는 수명은 더욱더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필터의 수명 단축, 특히 유기물 제거 필터의 수명 단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필터부(157) 전방에 분무 기구와 절곡된 형태의 다수의 엘리미네이터를 소정 간격으로 상하로 적층한 장치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분무 기구에서 분무된 물이 유해 가스와 접촉하면서 유해 가스를 포집하고, 유해 가스를 포집한 상태에서 절곡되어 적층된 엘리미네이터 사이를 통과하면서 엘리미네이터와 충돌하여 엘리미네이터에 흡수되어 회수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물을 분무하기 위하여 고압의 펌프가 필요하였고, 물이 고르게 분무되도록 하기 위하여 충분한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전체적인 부피가 증가하였으며, 분무되는 물에 이물질이 포함되는 경우 분무 기구가 자주 막히는 문제가 있었으며, 분무된 물이 모두 회수되지 못하므로 계속해서 물을 보충하여야 하며, 회수되지 못한 물이 후방에 설치되는 필터부(157)로 전달되어 필터부(157)의 성능과 수명이 저하되고, 절곡된 형태로 적층되는 엘리미네이터를 제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공기가 적층된 엘리미네이터 사이를 통과하여야 하므로 엘리미네이터에 의하여 흐름 저항이 증가하여 엘리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압력 손실은 약25㎜Aq로서 압력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문헌((KR) 등록특허 10-0768044호)인 순환공기 공조장치를 제공한 바가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에 의하여 제공된 특허문헌((KR) 등록특허 10-0768044호)인 순환공기 공조장치에서 사용되는 유해가스를 흡수하는 흡수장치에서는 순환하는 공기가 흡수액과 접촉하도록 다수개의 흡수봉을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경우 흡수액과 순환하는 공기가 접촉하는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량의 흡수봉을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흡수장치의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습니다.
(KR) 등록특허 10-0768044호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 즉, 본 출원인이 제공한 등록특허 10-0768044호)인 순환공기 공조장치의 개량발명으로, 여과필터부 전방으로 설치되어 유해가스를 제거하므로 여과필터부의 수명을 연장하며, 분무장치가 필요하지 않으며, 분무되는 흡수액이 고르게 퍼지도록 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콤팩트한 구조로 할 수 있도록 하되, 흡수액을 흡수하여 포함하는 워셔 필터를 순환하는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와 흡수액 사이에 접촉 효율을 높여 좁은 공간에서도 순환하는 공기 내에 유해가스의 제거효율을 높이고, 순환하는 공기 중의 유해가스를 흡수하도록 하는 흡수 공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여과필터부의 성능저하나 수명 단축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루어진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흡수액을 흡수하여 포함하는 워셔 필터를 이용한 정화수단의 전방에 공기를 강재로 순환하는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되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이 덕트의 중앙부분에 집중됨으로써 발생하는 정화효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는, 전단부에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유입된 순환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격판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실을 구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실 중 전방에 형성된 강제순환용 실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수단과; 상기 강제순환수단의 후방에 형성된 정화용 실에 설치되어 강제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정화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은, 흡수액을 흡수하며 공기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워셔 필터로 구성된 워셔 필터부와, 상기 워셔 필터부의 워셔 필터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공급수조와, 상기 워셔 필터부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는 회수수조로 구성되어 흡수액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유해가스 흡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강제순환용 실 전방에 챔버용 실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수단에는 유해가스 흡수수단을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 또는 수분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및 제거하는 여과필터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해가스 흡수수단에서,
워셔 필터부는 다수개의 글라스섬유페이퍼로 이루어진 워셔 필터가 중첩되게 각각 구성되는 전단 워셔 필터부와 후단 워셔 필터부로 구성되고,
공급수조는 후단 워셔 필터부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제1 공급수조와, 전단 워셔 필터부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제2 공급수조로 구성되고,
회수수조는 후단 워셔 필터부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여 회수된 흡수액을 제2 공급수조에 공급하도록 펌핑수단이 구비된 제1 회수수조와, 전단 워셔 필터부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는 제2 회수수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워셔 필터는 사선 방향의 파형으로 굴곡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강제순환수단에 의하여 순환되는 순환공기는 흡수액이 공급되어 흡수액을 포함하는 워셔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흡수액과의 접촉성이 향상되어 유해가스의 제거능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와 같이 순환공기가 흡수액을 포함하는 다공성의 워셔 필터를 통과함으로써 흡수액과 순환공기와의 접촉성이 매우 향상되어 유해가스의 제거능력이 향상되며, 이로 인하여 유해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정화수단의 부피를 줄일 수 있어 전체적인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부피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공성의 워셔 필터을 통과시 일부 미세입자가 워터 필터에 포집될 수 있으며, 포집되는 미세입자는 흡수액과 함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후단에 미세입자를 제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여과필터부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여과필터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워셔 필터를 파형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켜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강제순환수단이 정화수단의 전방인 전단부에 설치됨으로써 공기의 흐름시 중앙부분에 집중되는 현상으로 정화수단의 중앙부분에서 집중적으로 정화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정화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내에 설치되어 유닛형태인 일체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설치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공기정화 공조장치의 일실시 예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의한 공기정화 공조장치에 사용되는 순환공기 공조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구조에 대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정화수단에 적용된 유해가스 흡수수단에 대한 정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정화수단에 적용된 유해가스 흡수수단에 대한 사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유해가스 흡수수단에 사용되는 워셔 필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유해가스 흡수수단에 사용되는 워셔 필터의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강제순환수단부분에 대한 개략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종래기술과 동등한 내용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인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은 클린룸의 일측에 설치되어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수단(20)과, 상기 강제순환수단(20)으로 순환되는 (순환)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정화수단(30)으로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인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의 일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일측에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11)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부공간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수단(20)과, 상기 케이스(10) 내부공간의 강제순환수단(20) 후단에 설치되어 강제순환수단(20)으로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정화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전단부에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유입된 순환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12)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격판(10a)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실(13)로 나누어지며, 상기 실(13)은 유입구(11)가 형성되어 있는 챔버용 실(13-1)과, 상기 챔버용 실(13-1) 후방으로 강제순환수단(20)이 설치되는 강제순환용 실(13-2), 정화수단(30)이 설치되는 정화용 실(13-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는 도 3과 같이 베이스 프레임(B) 설치되고, 각각의 실(13)에 강제순환수단(20)과 정화수단(30)이 설치된 하나의 유닛형태로 구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강제순환수단(20)은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보통 브로워가 사용되며, 그 밖의 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강제순환수단(20)은 정화수단(30)의 전방에 설치됨으로써 순환하는 공기가 정화수단(30)의 단면적 중심부분에 집중되어 편중되게 이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으로 중앙부분에서 편중되게 이동하는 공기로 인하여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예를들면, 강제순환수단(20)에는 도 8과 같이 강제순환하는 순환공기가 정화수단(30)에 단면적에 골고루 분포되어 이동하도록 순환공기의 이동방향을 제어하는 공기안내장치(21)가 더 설치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공기안내장치(21)는 공기의 이동시 중앙부분에서 집중이 이루어짐으로써 중앙부분에 편중되어 이동하는 공기로 인하여 정화효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정화수단(30)은 흡수액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을 포함하여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것으로, 일실시 예를 도시한 도 3과 같이 흡수액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유해가스 흡수수단(40)과, 상기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의 후단에 설치되어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을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 또는 수분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및 제거하는 여과필터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해가스 흡수수단(40)과 여과필터부(50)는 이격되게 설치하여 버퍼(BUFFER)부(60)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은 흡수액을 흡수하며 공기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워셔 필터(41a)로 구성된 워셔 필터부(41)와, 상기 워셔 필터부(41)의 워셔 필터(41a)에 흡수액을 임시 저장하여 공급하는 공급수조(42)와, 상기 워셔 필터부(41)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는 회수수조(43)로 구성되어 흡수액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것이다(도 4 참조).
상기 공급수조(42)에 임시저장되는 흡수액은 필터부(41)의 워셔 필터(41a)에 공급되고, 상기 필터부(41)의 워셔 필터(41a)에 공급된 흡수액은 회수수조(43)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공급수조(42)의 흡수액이 필터부(41)의 워셔 필터(41a)에 공급되면, 워셔 필터(41a)는 흡수액을 흡수하여 포함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흡수액을 흡수하여 포함하고 있는 워셔 필터(41a)를 도 6과 같이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가 흡수액에 의하여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공기가 다공성의 워셔 필터(41a)를 통과함으로써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 일부가 제거될 확률이 높으며 이로 인하여 후설되는 여과필터부(50)의 부하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상기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은, 다수개의 워셔 필터(41a)가 중첩되게 각각 구성되는 전단 워셔 필터부(41-1)와 후단 워셔 필터부(41-2)로 구성되는 워셔 필터부(41)와, 상기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제1 공급수조(42-1)와,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제2 공급수조(42-2)로 구성되는 공급수조(42)와, 상기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여 회수된 흡수액을 제2 공급수조(42-2)에 공급하도록 펌프로 이루어진 펌핑수단(44)이 구비된 제1 회수수조(43-1)와,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는 제2 회수수조(43-2)로 구성되는 회수수조(43)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은, 제1 공급수조(42-1)에 있는 흡수액이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 공급되고, 상기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 공급에 공급된 흡수액은 제1 회수수조(43-1)에 회수되고, 상기 제1 회수수조(43-1)에 회수된 흡수액은 펌핑수단(44)에 의하여 제2 공급수조(42-2)에 공급되고, 상기 제2 공급수조(42-2)에 공급된 흡수액은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공급되고, 상기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공급된 흡수액은 제2 회수수조(43-2)에 회수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서 1차 사용된 흡수액이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공급되어 2차 사용되도록 흡수액이 순환함으로써 순환하는 공기가 1차 사용된 흡수액과 1차 접촉하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은 흡수액과 2차로 접촉하도록 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함으로써 처리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상기 워셔 필터부(41)를 형성하는 워셔 필터(41a)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을 가지며, 흡수액을 흡수하여 포함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워셔 필터(41a)는 글라스섬유페이퍼를 골격으로 성형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라스섬유페이퍼를 골격으로 하고 무기성 바인더와 무기충진재를 사용하여 성형하였으며, 이러한 상기 워셔 필터(41a) 도 5와 도 6과 같이 상기 워셔 필터(41a)는 파형으로 굴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셔 필터(41a)가 파형으로 굴곡됨으로써 구조적으로 안정될 수 있는 강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워셔 필터(41a)에 굴곡된 파형은 도 4와 같이 가상의 수직선(Y)을 중심으로 사선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도 5와 도 6과 같이 상기 워셔 필터(41a)는 다수개가 중첩되게 설치되어 복층구조로 이루어지며, 근접한 워셔 필터와 굴곡된 파형의 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워셔 필터(41a)의 여러 가지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워셔 필터(41a)는 도 7의 (a)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상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파형(
Figure 112011040983268-pat00001
)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도 7의 (b)와 (c)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
Figure 112011040983268-pat00002
', '
Figure 112011040983268-pat00003
' 등과 같은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는 도 7의 (d)와 같이 단면의 형태가 '
Figure 112011040983268-pat00004
' 와 같이 다각형의 하니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워셔 필터(41a)는 전술된 바와 같이 글라스섬유페이퍼를 골격으로 하고 무기성 바인더와 무기충진재를 사용하여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알루미나 실리카겔을 사용한 미디어(media) 친수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워셔 필터(41a)는 도 5와 도 6과 같이 강제순환수단(20)으로 순환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을 가진다.
예를 들어 친수성 섬유의 경우 친수성 섬유가 격자형태의 직물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부(50)는 수분을 제거하는 데미스터(Demister)(51), 미세입자를 포집(제거)하는 여과필터(52)로 구성된다.
상기 데미스터(Demister)(51)는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을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를 흡수액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을 통과한 공기는 다량의 수분을 포함한다.
상기 여과필터(52)는 흡수성 부직포로 이루어진 필터를 이용하며, 공기를 통과시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보통 제1 여과필터(52-1)와, 상기 제1 여과필터(52-1)와 이격되게 제2 여과필터(52-2)를 설치하여 2단으로 배치하여 사용한다.
10 : 케이스 20 : 강제순환수단
30 : 정화수단 40 : 유해가스 흡수수단
41 : 워셔 필터부 41a : 워셔 필터
42 : 공급수조 43 : 회수수조
50 : 여과필터부

Claims (10)

  1.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흡수액과 필터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순환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전단부에 순환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후단부에 유입된 순환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복수개의 격판(10a)이 설치되어 다수개의 실(13)을 구비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형성된 다수개의 실(13) 중 전방에 형성된 강제순환용 실(13-2)에 설치되어 공기를 강제로 순환시키는 강제순환수단(20)과,
    상기 강제순환수단(20)의 후방에 형성된 정화용 실(13-3)에 설치되어 강제 순환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가스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정화수단(30)을 포함하며,
    상기 정화수단(30)은, 흡수액을 흡수하며 공기가 통과하도록 다공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워셔 필터(41a)가 중첩되게 각각 구성되는 전단 워셔 필터부(41-1)와 후단 워셔 필터부(41-2)로 구성된 워셔 필터부(41)와; 상기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제1 공급수조(42-1)와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흡수액을 공급하는 제2 공급수조(42-2)로 구성된 공급수조(42)와; 상기 후단 워셔 필터부(41-2)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여 회수된 흡수액을 제2 공급수조(42-2)에 공급하도록 펌핑수단(44)이 구비된 제1 회수수조(43-1)와, 전단 워셔 필터부(41-1)에 공급된 흡수액을 회수하는 제2 회수수조(43-2)로 구성된 회수수조(4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흡수액을 이용하여 유해가스를 처리하는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는 강제순환용 실(13-2) 전방에 챔버용 실(13-1)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단(30)에는 유해가스 흡수수단(40)을 통과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 또는 수분을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 및 제거하는 여과필터부(50)가 더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강제순환수단(20)과 정화수단(30)이 설치된 유닛형태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필터(41a)는 글라스섬유페이퍼를 골격으로 한 무기성 바인더와 무기충진재를 사용하여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필터(41a)는 알루미나 실리카겔을 사용한 미디어(media)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필터(41a)는 글라스섬유페이퍼 또는 알루미나 실리카겔을 사용한 미디어(media) 또는 친수성 섬유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되, 단면이 파형(
    Figure 112011061812699-pat00005
    ) 형태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필터(41a)은 다수의 복층구조로 중첩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 필터(41a)은 근접한 워셔 필터와 굴곡된 파형의 사선 방향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10. 삭제
KR1020110052268A 2011-05-31 2011-05-31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KR101076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68A KR101076839B1 (ko) 2011-05-31 2011-05-31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68A KR101076839B1 (ko) 2011-05-31 2011-05-31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839B1 true KR101076839B1 (ko) 2011-10-25

Family

ID=4503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268A KR101076839B1 (ko) 2011-05-31 2011-05-31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2419A1 (zh) * 2022-10-17 2024-04-25 路建霞 一种空气净化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14B1 (ko) * 2005-06-20 2007-02-26 이후근 유해가스 여과장치
KR100764601B1 (ko) * 2006-11-10 2007-10-08 주식회사 애니텍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또는 다양한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0918565B1 (ko) *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6914B1 (ko) * 2005-06-20 2007-02-26 이후근 유해가스 여과장치
KR100764601B1 (ko) * 2006-11-10 2007-10-08 주식회사 애니텍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또는 다양한 유해가스 정화장치
KR100918565B1 (ko) *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82419A1 (zh) * 2022-10-17 2024-04-25 路建霞 一种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62620B1 (en) Discharge-gas treatment system
CN107789970B (zh) 一种箱式空气净化器
CN107051110A (zh) 喷漆废气处理设备及其处理工艺
JPWO2003001122A1 (ja) 空気清浄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空気清浄装置
CN204799049U (zh) 湿法微米级颗粒物捕集空气净化装置
KR20190105283A (ko) 분진과 황산화물, 질소산화물의 복합처리시스템
CN104128059A (zh) 撞击流气体净化系统
CN206103392U (zh) 一种高温高湿油气回收和净化装置
KR20110108971A (ko) 집진 장치
KR100686914B1 (ko) 유해가스 여과장치
KR101105267B1 (ko)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KR101546227B1 (ko) 다단 원통형 구조물을 구비하는 스크러버
CN1997437A (zh) 结合空气输送装置的化学过滤设备
KR100607862B1 (ko) 저온활성탄 촉매를 이용한 엘시디용 기판유리 용해로의배출가스 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JPH08108042A (ja) 排煙の脱硫、脱硫・脱硝、脱硫・脱硝・二酸化炭素除去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に用いる触媒、吸収剤
CN106422662A (zh) 一种有机废气净化装置
KR200326029Y1 (ko) 배가스 처리용 하이브리드 형 스크러버 장치
KR101076839B1 (ko) 전방에 강제순환수단이 설치된 워셔 필터를 이용한 순환공기 정화장치
WO2016208979A1 (ko) 폐가스 성상에 따라 처리에 적합하도록 복수기능의 기액접촉수단으로 조합된 폐가스 처리 스크러버
KR101518320B1 (ko) 하이브리드형 유해가스 처리 시스템
JP3552141B2 (ja) ケミカル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空気濾過方法
KR100530428B1 (ko) 매연처리 필터백, 매연처리장치 및 매연처리방법
CN211799931U (zh) 一种废气处理系统
KR20070000410U (ko) 활성탄 카본집진기
CN210874635U (zh) 一种废气处理用多级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