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107B1 - 가입자 수신기로 컨텐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입자 수신기로 컨텐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107B1
KR101076107B1 KR1020067010608A KR20067010608A KR101076107B1 KR 101076107 B1 KR101076107 B1 KR 101076107B1 KR 1020067010608 A KR1020067010608 A KR 1020067010608A KR 20067010608 A KR20067010608 A KR 20067010608A KR 101076107 B1 KR101076107 B1 KR 101076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hannel
control signal
transmitted
suppl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770A (ko
Inventor
스펜서 스테펀스
아란 벨
Original Assignee
워너 브로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너 브로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filed Critical 워너 브로스. 엔터테인먼트 인크.
Publication of KR20070007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09Arrangements for device control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Arrangements for control of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14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 H04H60/23Arrangements for conditional access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related services using cryptography, e.g. encryption, authentication, key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9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 H04H60/51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receiv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는 수급 장치가 공급 장치로부터 예정된 거리안에 있는 경우에만 상기 공급 장치로부터 상기 수급 장치로 분배된다. 일실시예에서, 제어신호는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상기 수급 장치로 전송되고 상기 수급 장치에 의해 제어신호가 적절하게 수신된 경우에만 컨텐츠는 전송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암호화되면 암호화키는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컨텐츠는 또한 수급 장치로 전송되며, 수급 장치는 디코드된 키를 적절하게 복사할 수 없다면 컨텐츠를 디코드할 수 없다. 제어신호는 무선 채널, IR 채널 또는 AC선등을 통하여 전송된다. 컨텐츠는 표준 유선 채널 또는 표준 무선 채널을 사용하는 인터넷을 통하여 전송된다.
공급 장치, 수급 장치, 컨텐츠, RTT, 비컨, 복호화, 암호화

Description

가입자 수신기로 컨텐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content diffusion to local receivers}
본 발명은 단지 송신 장치로부터 특정한 최대 거리안에 있는 수신 장치에 의해서만 컨텐츠가 전송되거나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컨텐츠의 분배, 재현, 또는 재생이 제한되기를 바라는 컨텐츠 수급 장치가 컨텐츠 공급 장치(일예로 셋톱박스)로부터 동일한 사용자의 가정, 사업처, 다른 지리적인 제한 구역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는(높은 신뢰성을 가지고) 방법이 현재 없다는 기본적인 문제점에 대하여 본 발명은 해결책을 제시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만일 수급 장치와 공급 장치가 인터넷을 통하여 연결되면 지구상에서 서로 맞은편에 위치할 수도 있다.
IEEE 1394, USB, MOST 및 IP 망에 걸쳐 복제 방지를 위하여 디지털 전송 컨텐트 보호(DTCP: 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http://www.dtcp.com) 프로토콜이 사용되는 경우는 특별한 관심 대상이 된다. DTCP는 단지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 사이의 링크에 대한 "안전"만을 보장하며,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의 근 접에 대한 확립된 견해가 없다. 문제의 일부분은 5C 표준에 의하여 해결되었으며, 5C 표준은 수신기가 5C 인코드된 컨텐츠의 디코드/저장/재생을 실질적으로 보장한다. 그러나, 인증된 5C 수신 장치가 5C 공급 장치로부터 아주 멀리 위치시키는 것도 컨텐츠 공급자에 의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5C 표준은 컨텐츠의 지리적인 확산을 제한하는 문제를 본질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수신 장치에 PIN을 삽입하거나 스마트 카드를 삽입하여 컨텐츠 수신 사용자를 제한하려는 기술들이 시도되어 원하지 않는 컨텐츠의 확산을 제한하도록 하는 것에 도움을 주었지만, 수신 사용자가 수신 장치를 잠재 컨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져 위치하도록 하는 기본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대상의 지리적인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들은 잘 알려져 있다.
"삼각법"은 전자파를 방출하는 대상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수년동안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방향성 안테나와 지도와 같은 지리 정보를 가지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는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수신기를 사용한다. 수신기의 위치가 주어지고 최대 강도를 갖는 수신 신호의 방향이 주어지면 각각의 수신기로부터 최대 강도의 수신 신호의 방향의 무한점으로 지도상에 그려지는 선들의 교차점에 송신기가 위치한다는 것이 쉽게 얻어진다. 이 경우에, 송신기의 협력은 필요하지 않으며, 실제상 삼각법은 인증되지 않는 송신기를 알아내기 위하여 종종 사용된다. 삼각형 기반의 접근법은 컨텐츠 수신기가 전자파를 방출하고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삼각형 수신기가 사용가능할 때 발명의 목적에 유용하다.
최근에, 수신기가 인공위성자동위치측정 시스템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을 사용하여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는데, 인공위성 자동위치측정 시스템은 GPS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신호의 차등지연을 측정하는 것에 의존한다. 컨텐츠 수신기가 GPS 수신기와 상향 채널 송신기를 포함한다면 컨텐츠 수신기는 자신의 위치를 컨턴츠 공급 장치에게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다. 컨텐츠 공급 장치는 GPS 수신기 및/또는 지리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켄텐츠 수신 장치로부터 거리를 계산할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GPS는 실내에서 신뢰성이 없으며, 또한 잘못된 위치로 세팅된 수신기에는 신뢰성이 없다.
소위 초광대역 무선(UWB)이라고 불리는 위치 측정 기술이 최근에 개발되었다. 일예로 Aether wire & Location, Inc에 의해 출원된 US6,002,708호에는 "Spread spectrum localization" 에 그러한 내용이 잘 개시되어 있다.
송신기로부터 근접해 있는 수신기의 있어서 공급 장치로부터 수급 장치로 전송되는 신호와 대응되는 반송 신호의 왕복시간(RTT:Round -Trip Time)을 측정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단일 송신기-수신기 쌍의 단일한 협력이 있는 경우에, 이러한 왕복 시간의 측정은 수신기가 송신기에 충분히 접근되어 있으며 컨텐츠의 특정한 양의 디코드/저장/재생이 인증된 수신 장치에 있어서 위치를 측정하기에 충분하다.
하나의 제안된 반확산 기법은 IP 패킷의 생존시간(TTL:Time to live)을 3으로 세팅한 공급 장치와 관련된다. 이것은 홈네트워트에서 패킷이 3개 이상의 라우터를 경유할 것이 예상되지 않음을 의미하며, 또한 홈의 경계 안에 있고(어떤 연구에서는 홈네트워크와 연결된 ISP넘어에 6개의 라우터를 경유하는 것을 보여준다), 세번째 라우터는 패킷을 "삭제"(즉, 버림)하도록 조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두번째 잠재적인 기법은 DTCP-레벨 핑(ping) 메시지를 용하여 RTT를 측정하는 것이다.
다른 제안된 기법은 무선 지역 네트워크(일부 또는 전부)에 연결 동등 프로토콜(WEP:Wired Equivalency Protocol)의 채용을 요구한다. 이러한 기법은 다음에 의하여 무선 컨텐츠 소스의 범위에 위치한 의도되지 않은 수신기에 의해 단순히 발생되는 컨텐츠의 의도되지 않은 공유를 해결한다.
1. 악의 없는 공유장소, 일예로 이웃에 의한 수신
2. 또는 도청, 일예로 보호되지 않는 무선 네트워크의 수신 범위안에 주차된 자동차의 프리로더 등
Http://www.spectrum.ieee.om/webonly/publicfeature/iul03/e911.htm의 기사에서는 위에서 언급되지 않은 LORAN과 같은 오래된 다수의 위치 측정 기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것은 위에 언급되어 있는 Aether Wire&Location Inc.(Nicasio,Calif.)의 특허에 언급되어 있다.
Enterasys Networks에 의해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공개번호 WO 03/075125 A2는 RTT의 사용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는데 위치 인식 데이터 네트워크(location aware data network"에서 수신 장치에 권한을 부여하는 수단으로서 다른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있다.
XtremeSpectrum에 의해 출원된 국제 특허출원 공개번호 WO 01/93434 A2에는 UWB 무선 매체와 통신하는 장치가 포함된 네트워크에 있어서 원거리 장치에 기능을 인에이블/디스에이블하는 RTT와 삼각법의 사용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Denning, et. al.,에 의한 미국 특허출원공개번호 2002/0136407에는 특정한 지리적 위치에서 데이터가 암호화되는 시스템/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위치 정보는 전형적으로 GPS에 의해 공급된다.
본 발명은 어떤 특정 지역 네트워크(일예로, 그러나 한정되지는 않는 홈네트워크)에 기반한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는 거리로 컨텐츠 확산을 제안하는 기법에 대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기법은 공급 장치(source)로부터 허용된 거리에 있는 수급 장치(sink)의 승인된 수신을 보장하며, 더 먼거리에서의 수신을 방지하게 되는데, 후자는 특별히 지역 네트워크가 연결된 인터넷과 같은 원격 범위의 수신을 포함한다.
여러 다른 기법들이 어떤 경우(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에 채용될 수 있는데, 상호 결합되어 채용되거나 RTT측정 기법과 결합되어 채용될 수 있다.
A. 왕복 시간(RTT) 측정을 위한 핑 기법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잠재 수신 장치는 잠재 컨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한 "핑(ping)"(즉, "당신은 이것을 들을 수 있나요?") 메시지에 응답하여 핑 메시지를 공급장치로 돌려보내야 한다. 그러면, 공급 장치는 자신에 의해 전송된 핑 메시지와 수급 장치로부터 잠재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에 대응하여 되돌려진 핑 메시지의 시간의 왕복시간에 근거하여 잠재 수급 장치가 "충분히 가깝게 있는지" 또는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알아내기 위하여 시도한다.
이러한 기법이 사용될 때에는 DTCP 링크에 데이터 전송이 허용되기에 앞서 RTT의 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RTT는 경험적으로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가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그것은 난스(nonce)를 포함함)의 시간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공급 장치가 RTT값을 결정하기 위하여 재시도하는 횟수는 제한이 없다. 적절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설계에서, 복수의 RTT 측정의 수행에 의한 소비자 자각 성능에 대한 영향은 고려되어야 한다. "난스"라는 용어는 랜덤 또는 반복되지 않는 값으로 정의되면 프로토콜에 의한 데이터 교환에 포함되며, 생존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그 결과 재생 공격을 감지하고 보호한다.
선택적으로, RTT는 매체 접근 제어 프로토콜 레벨(MAC: Medium Access Control)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특히 무선 네트워크에 있어서, 잠재 공급 장치는 구역안과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수급 장치를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RTT값을 얻기 위하여 핑 메시지의 재시도(가능한 한 여러번)를 하는 것은 당연하다. 예를 들면, 무선 네트워크에서 RTT 평균은 100-200ms이며, 그와 달리 유선 네트워크에서는 거의 수초(ms)이며,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에서 RTT 값의 분포의 범위는 유선 네트워크의 RTT값의 분포를 잠재적으로 포함하여 아주 큰 값, 일예로 1S에 이르며, 수급 장치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즉, 인터넷을 통하여 고속 유선 접속보다 작은 값) 보여주는 RTT값을 얻기 위해서는 복수의 핑 시도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잠재적인 켄텐츠 공급자는 켄텐츠 교환 세션마다 여러번(여기에서 여러번의 가능한 재시도를 포함함)의 잠재 컨텐츠 수급 장치에 대한 핑을 준비하여야 하는데, 비록 복수의 컨텐츠 교환 세션에서 단지 한번으로 충분하다는 것이 증명된 경우에도 그러하며, 컨텐츠 교환 프로토콜 일예로 DTCP이 컨텐츠 수급 장치가 복수의 세션 동안에 유지되는 것이 허용된 경우에도 그러하다.
일반적으로, 단일 RTT는 표준을 지시한다면, 수급장치는 공급 장치로부터 원하는 거리에 있다고 간주된다.
B. "비컨(Beacon)" 기법
잠재 켄텐츠 수신기는 비컨으로부터 수신기가 수신한 일단의 정보(즉, 송신기의 일단의 정보)를 참조하여 수신하기를 원하는 컨텐츠에 대한 잠재 공급 장치에게 허용가능한 시간내에 일단의 정보를 수신하였음을 알려줌으로 잠재 컨텐츠 공급 장치로부터 허용가능한 물리적인 거리안에 있다는 것을 증명하여야 한다. 이 기법에 있어서, 잠재 수신기는 "나는 당신의 메시지를 수신하였고 그 켄텐츠를 확실이 이해하였다는 증거를 제시할 수 있는 일단의 정보를 가지고 있다"라고 말하는 것과 같은 메시지로 응답하여야 한다. 반송시간은 경험적으로 완전하고 신뢰할만한 접속이 이루어진 때로부터 결정된다. 인증에는 바람직하게 공급 장치와 수급장치의 난스의 교환을 포함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난스"는 잠재 공급 장치에서 전송하는 "일단의 정보"인 난스 정보일 수 있다. 홈과 같이 고국소 구역(higly-localized geographic area)에 컨텐츠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시나리오에 있어서, 비컨에 의해 방사되는 전자파의 에너지는 작아서 "본질적으로 구역"안에 한정되는데, 즉 고국소 구역의 경계안(매우 근접한 곳에서)만 수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이 기법에 있어서, 비컨은 데스트 신호(핑과 같은)로 제한된 범위를 가지고 있는 전송 매체의 일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는 경로로 전송된다. 반송은 유선 또는 무선 경로를 포함한다.
C. 복호화 키를 이용한 위치 측정 프로토콜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급 장치와 잠재 수급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첫번째 데이터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며, 암호와 키 또는 다른 신호를 제한 범위의 두번째 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 잠재 수급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키를 수신하였다는 확인 신호는 자동적으로 잠재 수급 장치가 원하는 범위에 있음을 알려주며, 따라서 컨텐츠는 공급된다. 이러한 기법의 일예로서, 5C프로토콜에서, 일련의 메시지는 잠재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 사이에 "검색"(즉,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가 네트워크 상에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검색"하는 것)과 인증(즉, 수급 장치는 5C 컨텐츠를 수신하는 것이 허용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교환된다. 다음으로,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세션키는 공급 장치로부터 컨텐츠의 복호화가 승인된 수급 장치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검색과 인증 메시지는 잠재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를 연결하는 컨텐츠 전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며, 반면에 세션키는 비컨을 통하여 전송되며(일예로 RF, 전력선, 적외선 또는 다른 비컨)등을 통하여 전송된다. 비컨을 통하여 세션키가 전송되는 것은 수급 장치가 충분히 근접해 있다는 것을 신뢰성 있게 보증하며, 세션키가 없는 수급 장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A는 컨텐츠 공급 장치와 의도된 수급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RTT가 사용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도 1A의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핑 신호와 반송 신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컨텐츠 공급 장치와 의도된 수급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데 비컨이 사용되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3B 및 3C는 RTT 기법, 비컨 기법 그리고 위치 측정 및 복호화 키 프로토콜을 각각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위치 측정을 위하여 여러 기법을 결합하여 사용하는 시스템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급 장치(12)에서 잠재 수급 장치(14)로 핑 신호를 전송하는 시스템(10)을 보여준다. 핑 신호는 본질적으로 "당신은 이것을 들을 수 있습니까?"라고 물어보는 것과 같다. 잠재 수급 장치는 "이것은 내가 들은 것입니다"를 의미하는 반송 신호의 응답을 생성한다. 다른 말로, 핑 신호는 적어도 ABCDEFG 비트들의 하나의 데이터 세그멘트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반송 신호는 이상적으로 동일한 데이터 세그멘트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급 장치(12) 와 수급 장치(14)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 지점(도시되지 않음)을 통하여 인터넷, 인트라넷 또는 다른 분산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메시지의 교환을 수행한다. RTT1 파라미터는 특정 부분이 전송되는 순간(일예로 중요한 비트인 G)과 공급 장치(12)가 동일한 부분을 전송받는 시간의 간격으로 정의된다. 그와 달리 RTT2 파라미터는 다른 부분(일예로 비트 C) 또는 다른 부분들(비트 C의 핑과 E의 반송 신호)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공급 장치(12)와 잠재 수급 장치(14)의 거리와 관련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여러번의 핑 메시지는 공급 장치에 의해 전송되며, RTT1과 RTT2는 각각의 대응되는 응답으로부터 결정된다. 만약 이러한 파라미터들이 지정된 임계치보다 작다면 잠재 수급 장치(14)는 공급 장치(12)로부터 허용되는 거리안에 있다.
도 2는 비컨을 포함한 위치 측정 전송 경로를 사용하는 시스템(20)의 일예를 보여준다. 시스템(20)은 컨텐츠 공급 장치, 액세스 포인트(24) 그리고 잠재 수급 장치(26)를 포함한다. 공급 장치(20)는 첫번째로 메시지(핑과 같은)를 전송한다. 일실시예에서 메시지는 액세스 포인트(24)로 유선 또는 무선 데이터 경로를 통하여 전송된다. 액세스 포인트(24)는 메시지를 잠재 수급 장치(26)로 전송한다. 이러한 경로의 말단부는 바람직하게 예를 들면 블루투스, 802.11와 같은 무선 채널, IR채널 또는 AC(전력선) 채널등에 기반한 제한 범위 채널을 사용한다.
잠재 컨텐츠 수신기가 공급 장치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다면, 즉 액세스 포인트(24)의 범위(28)의 외부에 있다면 핑 신호를 수신할 수 없으며 응답 신호를 반송할 수 없다. 잠재 컨텐츠 수신기가 충분히 가까이 있다면, 핑을 수신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응답에 일예로 난스를 포함하여 특정한 공급 장치로부터 수신하였음을 알려주는 핑 응답 신호를 반송한다. 수급 장치로부터 응답은 비컨 응답을 가질필요는 없다. 응답은 일반적인 네트워크(일예로 유선 또는 무선 채널)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컨텐츠는 수급 장치에 핑의 전송과 핑 응답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었던 동일한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고, 다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핑 신호를 발생하는 비컨은 공급 장치(22), 액세스 포인트(24) 또는 다른 전송장치가 될 수 있다. 비컨은 또한 일예로 레이저 빔, IR빔 등의 광빔과 같은 다른 형식으로 그 자신의 핑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시스템(10)과 시스템(20)의 동작은 도 3A 및 3B에 대비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시스템(10)은 단계 102에서 핑 신호를 전송하고, 단계 104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단계 106에서 대응되는 RTT가 계산된다. 단계 108에서 현재 RTT가 예정 값 또는 상수 K보다 작은지를 판단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판단 결과 작다면, 잠재 수급 장치(14)가 충분히 가까이 있는 것임으로, 단계 110에서 컨텐츠는 잠재 수급 장치로 전송된다. 판단 결과 RTT가 K보다 크다면, 이러한 과정은 여러번 반복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20)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단계 202에서 공급 장치(22)는 난스를 포함한 핑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204에서 잠재 수급 장치로부터 반송 난스를 가지고 있는 응답 신호를 수신한다. 위에서 설명하였듯이, 공급 장치로부터 잠재 수급 장치로의 전송 또는 잠재 수급 장치로부터 공급 장치로의 전송(또는 전송의 일부)중 적어도 하나는 제한 범위를 가지는 채널을 경유한다. 단계 206에서, 수신된 난스는 검출된다. 단계 208에서, 수신된 난스는 전송된 난스 와 비교된다. 비교 결과 일치 된다면 잠재 수급 장치(26)가 충분히 가까이 있음을 의미하며 단계 210에서 컨텐츠는 유선 또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단계 208에서 일치되지 않는다면 과정은 여러번 반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두가지 다른 채널, 하나는 공동 채널 예를 들면 높은 데이터 전송 능력을 갖는 채널이고 그리고 다른 하나는 제한 범위를 갖는 채널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에서, 약간의 표준 데이터는 제2 채널을 통하여 수급 장치로 보내진다. 표준 데이터는 성공적으로 전송되어도 컨텐츠에 영향이 없는 정보를 포함하도록 선택된다. 도 3C는 그러한 시스템의 동작을 보여준다. 단계 302에서 공급 장치( 또는 다른 장치)는 잠재 공급 장치를 검색할 수 있는 일반 신호를 전송하거나 특정한 잠재 공급 장치를 검색할 수 있는 특정한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304에서는 전송자는 잠재 공급 장치가 발견되었음을 알려주는 검색 응답 신호를 수신하며, 단계 306에서 접속 프로토콜이 시행된다. 통신은 아주 바람직하게 표준적인 통신 채널을 통하여 수행된다. 다음으로, 단계 308에서 키는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잠재 공급 장치로 보내진다. 위에서 설명하엿듯이, 이러한 채널은 무선 (802.11) 채널, AC선 채널, RF채널 등등이 될 수 있다.
단계 310에서, 전송자는 키를 수신하였다는 확인 신호를 기다린다. 만약 그러한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과정이 멈춘다. 정당한 확인 신호가 수신되면, 단계 312에서 암호화된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은 공동 채널 또는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수행된다. 단계 314에서, 컨텐츠는 단계 308에서 전송된 키를 사용하여 복호화된다.
물론, 어느 두개 또는 모든 세 개의 기법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30)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처음에, 일련의 메시지는 잠재 공급 장치(32)와 수급 장치(34) 사이에 검색(즉,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는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공통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한다는 것을 검색하기 위한 것이다)과 인증(즉, 수급 장치(34)는 공급 장치(34)로부터 5C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도록 허용된 장치라는 것을 인증하는 것이다)을 위하여 교환된다. 공급 장치의 제어부(36)에서 메시지가 생성되며 컨텐츠 송신기(42)를 통하여 전송된다. 이러한 메시지는 수급 장치(34)로 고성능 컨텐츠 채널(56)을 경유하여 전송된다.
수급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 수신기(50)는 메시지를 수신하며, 수급 장치 제어기(45)로 전송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인증 송신기(52)와 채널(56) 그리고 인증 수신기(44)를 경유하여 전송되는 적절한 응답 신호를 생성한다. 채널(56)은 유선(일예로 1394) 또는 무선(일예 802.11) 전송 매체일 수 있다. 최초의 메시지에는 핑 신호 또한 전송되며(필요하다면 여러번)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의 거리가 너무 크지 않은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합성 RTT가 분석된다.
일단 공급 장치(32)와 수급 장치(34)가 적절한 접속 프로토콜의 교환을 수행하고 인증 절차가 완료되면, 세션 키는 공급 장치로부터 수급 장치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검색과 인증 메시지가 컨텐츠 채널(56)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으며, 반면에 세션키는 비컨(일예로, 위에서 언급된 RF, 전력전, 자외선, 다른 비컨 들)과 같은 제한 범위 국소 매체를 통하여 전송될 수있다. 비컨을 통하여 세 션 키를 전송하는 것은 수급 장치가 충분히 가까이 있음에 대한 추가적인 신뢰를 제공하며, 결과적으로 세션키가 없는 수급 장치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없다. 키는 공급 장치 제어기(36)에 의해 초기화되며 국소 송신기(38), 채널(54) 을 통하여 전송되며, 국소 수신기(46)와 수급 장치 제어기(45)를 통하여 수신된다. 수급 장치 제어기(45)는 공급 장치(32)에 국소 송신기(48)와 채널(54) 그리고 국소 수신기(40)를 통하여 전송할 적절한 확인 신호를 생성한다.
수급 장치가 충분히 가까이 있다는 더 높은 레벨의 신뢰를 제공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핑은 공급 장치로부터 수급 장치로 제한 범위 채널(54)을 통하여 전송되며, 합성 RTT가 다시 계산되며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가 충분히 가까이 있다는 것을 결정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기본 접속 프로토콜은 채널(56)을 통하여 전송되며, 컨텐츠는 제한 범위 채널(54)을 통하여 전송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공급 장치와 수급 장치의 모든 통신은 제한 범위 채널(54)와 (56)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채널(56)은 사용되지 않는다. 컨텐츠 교환은 짧은 무선 매체 일예로 802.11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한 경우에 모든 위치 측정과 인증 메시지는 그러한 매체를 통하여 전송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한 범위 채널로 정의되는 여러 다른 경로들이 제공되며, 메시지의 일부는 서브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고, 데이터는 다른 서브 채널을 통하여 전송된다. 일예로 핑 신호는 무선 수단(일예로 802.11 또는 블루투스)를 통하여 전송되고, 컨텐츠는 전력선을 통하여 전송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컨텐츠는 802.11 무선을 통하여 전송되고 핑과 RTT 측정은 다른 제한 범위 매체 일예로 전력선을 통하여 수행된다. 여러 다른 채널의 사용의 결합이 시스템에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실시예에서는, 단일 비컨이 메시지와 컨텐츠를 수급 장치로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잠재 컨텐츠 공급 장치에 같이 위치할 필요는 없는 복수의 비컨이 사용된다. 그러한 예로서, 위에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 모드는 비컨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거리(일예로 RTT로부터 계산됨)에 비컨으로부터 수급 장치의 거리를 합한 값이 잠재 컨텐츠 공급 장치가 잠재 수급 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재생이 허용하기에 충분히 작은 지를 검증하는 절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첨부된 청구항으로부터 한정되는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에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20)

  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신호와 컨텐츠를 전송하며, 적어도 상기 제어신호는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공급 장치; 및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고, 또한 상기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할때 상기 컨텐츠의 사용이 가능한 수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며,
    상기 공급 장치와 상기 수급 장치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접속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코드화되어 있고, 상기 제어신호는 키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수급 장치는 상기 키를 사용하여 상기 코드화된 컨텐츠를 디코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와 상기 컨텐츠는 제한 범위 채널과 공동 채널을 통하여 신호를 교환하기 위해 채용되며, 상기 컨텐츠는 공동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는 상기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범위 채널은 무선 채널, IR채널 및 AC선 채널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7.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한 허용 응답을 수신할 때 컨텐츠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공급 장치; 및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응답을 발생하며, 계속하여 상기 컨텐츠를 수신하는 수급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 장치와 상기 수급 장치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접속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핑 신호와 난스(nonce) 정보를 포함하며, 반송 신호는 상기 난스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상기 컨텐츠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공동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무선 채널, IR채널 및 AC선 채널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며, 상기 컨텐츠는 유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IR 채널, 무선 채널 및 AC 선들 중에 하나를 통하여 전송되며, 컨텐츠는 IR 채널, 무선 채널 및 AC선 들중에 하나를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예정된 지역에 컨텐츠를 전송하는 시스템.
  15. 공급 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수급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급 장치에 의해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응답 신호를 반송하는 단계; 및
    응답에 대응하여 상기 수급 장치로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 장치와 상기 수급 장치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접속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분배하는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공동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분배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유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분배하는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무선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분배하는 방법.
  19. 제한 범위 채널을 통하여 디코드된 키를 전송하는 단계;
    수급 장치가 디코드된 키를 수신하는 단계;
    확인 신호에 대응하여 컨텐츠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디코드된 키를 사용하여 상기 컨텐츠를 디코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공급 장치와 상기 수급 장치는 컨텐츠를 전송하기 전에 접속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드된 키에 응답하여 상기 수급 장치가 확인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확인 신호에 응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분배 방법.
KR1020067010608A 2003-10-31 2004-11-01 가입자 수신기로 컨텐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KR101076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1653803P 2003-10-31 2003-10-31
US60/516,538 2003-10-31
PCT/US2004/036271 WO2005043797A2 (en) 2003-10-31 2004-11-01 Method and system for limiting content diffusion to local receiv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770A KR20070007770A (ko) 2007-01-16
KR101076107B1 true KR101076107B1 (ko) 2011-10-21

Family

ID=34549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608A KR101076107B1 (ko) 2003-10-31 2004-11-01 가입자 수신기로 컨텐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58800B2 (ko)
EP (2) EP2383916A1 (ko)
JP (1) JP2007517424A (ko)
KR (1) KR101076107B1 (ko)
AU (1) AU2004307167B2 (ko)
CA (1) CA2544345A1 (ko)
WO (1) WO200504379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0913B1 (ko) 2003-07-28 2011-03-09 소니 주식회사 데이터 송신 장치, 데이터 사용 인정 방법, 데이터 수신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US7302593B2 (en) * 2003-12-18 2007-11-27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remotely querying a blade server's physical location within a rack of blade servers
JP4371986B2 (ja) * 2004-11-30 2009-11-25 株式会社東芝 記録再生装置及びファイル転送方法
US20060205449A1 (en) * 2005-03-08 2006-09-14 Broadcom Corporation Mechanism for improved interoperability when content protection is used with an audio stream
US20060223582A1 (en) * 2005-03-31 2006-10-05 Nokia Corporation Switching device via power key initiated wizard
JP4935015B2 (ja) * 2005-07-29 2012-05-23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送信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
JP3949148B2 (ja) * 2005-09-06 2007-07-25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受信装置、送信装置およ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KR100823260B1 (ko) * 2006-01-19 2008-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도메인에 가입하지 않은 기기로 콘텐트를 전송하는 방법 및장치
JP4509955B2 (ja) * 2006-03-13 2010-07-21 株式会社東芝 Vpn通信検出方法及び装置
US8495691B1 (en) 2006-04-12 2013-07-23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ent localization in a network device
US7613829B2 (en) * 2006-05-22 2009-11-03 Nokia Corporation Proximity enforcement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US8086873B2 (en) * 2006-06-05 2011-12-27 Lenovo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controlling file access on computer systems
US20080031136A1 (en) * 2006-08-07 2008-02-07 Gavette Sherman L Round trip time (rtt) proximity detection testing
US8099763B2 (en) * 2006-08-25 2012-01-17 Cisco Technolog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ange-confined communications
US20080114865A1 (en) * 2006-11-14 2008-05-15 Rothman Michael A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computing platforms
WO2008090980A1 (ja) * 2007-01-25 2008-07-31 Panasonic Corporation パケット往復時間測定方法
GB2452479A (en) * 2007-08-31 2009-03-11 Sony Corp Content protection through deletion of a decryption key in response to a predetermined event
JP2010252315A (ja) * 2009-03-27 2010-11-04 Jvc Kenwood Holdings Inc 受信装置、プログラム、及び受信方法
US9002010B2 (en) * 2009-09-10 2015-04-07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Secur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over a wireless link
US20140337505A1 (en) * 2013-05-08 2014-11-13 Htc Corporatio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099A (ja) * 2001-10-19 2003-05-09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子機器及び制御装置
JP2003224556A (ja) * 2002-01-28 2003-08-08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891A (en) 1994-07-22 1998-05-05 Aether Wire & Location Spread spectrum localizers
US6052784A (en) * 1997-10-14 2000-04-18 Intel Corporation Network discovery system and method
US6636740B1 (en) 1998-06-16 2003-10-21 Ericsson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position computation based on broadcast initialization data
US6490355B1 (en) * 1998-07-14 2002-12-0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a time-dependent watermark for the purpose of copy protection
US6405033B1 (en) 1998-07-29 2002-06-11 Track Communications, Inc. System and method for routing a call using a communications network
US7058414B1 (en) 2000-05-26 2006-06-06 Freescale Semiconductor, Inc. Method and system for enabling device function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SE522344C2 (sv) * 1999-02-26 2004-02-03 Ericsson Telefon Ab L M Metod och anordning för trådlös telekommunikation
US7023833B1 (en) * 1999-09-10 2006-04-04 Pulse-Link, Inc. Baseband wireless network for isochronous communication
SG114479A1 (en) * 2000-11-27 2005-09-28 Ibm Selecting a target device in a device network
US6826699B1 (en) * 2000-10-19 2004-11-30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protocols with multiple sink devices
US7143289B2 (en) 2000-10-30 2006-11-28 Geocodex Llc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encrypted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cation identity and key tables
US20030088768A1 (en) * 2001-11-02 2003-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ransmitting a broadcast via the internet within a limited distribution base of listeners
US6999533B2 (en) * 2001-11-30 2006-02-14 Qualcomm, Incorporated Demodulating encoded data
US7038619B2 (en) * 2001-12-31 2006-05-02 Rdp Associates, Incorporated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enabled media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US7295556B2 (en) 2002-03-01 2007-11-13 Enterasys Networks, Inc. Location discovery in a data network
JP3967193B2 (ja) * 2002-05-21 2007-08-29 スパンション エルエルシー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647903B2 (ja) * 2003-07-09 2011-03-09 株式会社東芝 情報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伝送制御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4099A (ja) * 2001-10-19 2003-05-09 Pioneer Electronic Corp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子機器及び制御装置
JP2003224556A (ja) * 2002-01-28 2003-08-08 Toshiba Corp 通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4307167B2 (en) 2009-11-26
CA2544345A1 (en) 2005-05-12
EP1678852A2 (en) 2006-07-12
WO2005043797A2 (en) 2005-05-12
EP1678852A4 (en) 2008-08-13
WO2005043797A3 (en) 2005-09-29
KR20070007770A (ko) 2007-01-16
JP2007517424A (ja) 2007-06-28
EP2383916A1 (en) 2011-11-02
US7158800B2 (en) 2007-01-02
AU2004307167A1 (en) 2005-05-12
US20050160450A1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107B1 (ko) 가입자 수신기로 컨텐츠 확산을 제한하기 위한 방법 및시스템
US8208634B2 (en) Position based enhanced security of wireless communications
US8051292B2 (en) System for proximity determination
KR20070008672A (ko) 네트워크 시그너처를 사용한 위치 결정 방법 및 장치
US9220013B2 (en) Tune control for shared access system
JP2016516341A (ja) ルータの物理的位置に基づくセキュアな経路制御
US20180219840A1 (en) Server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 geo-encrypted message
WO2017202355A1 (zh) 无线中继的实现
CN104160673A (zh) 基于信任度的安全路由
US20070116290A1 (en) Method of detecting incorrect IEEE 802.11 WEP key information entered in a wireless station
Shue et al. From an {IP} Address to a Street Address: Using Wireless Signals to Locate a Target
Tomandl et al. VANET privacy by “defending and attacking”
CN111917537A (zh) 一种基于基站的移动通信终端量子通信方法及系统
KR102613703B1 (ko) 동기식 무선 분산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신뢰성 보장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장치
KR20090063335A (ko) 네트워크 키를 이용하여 보안화된 지그비 네트워크에서의네트워크 접속 방법
Chowdhury Trust, Privacy, and AdaptiveForwarding in Wireless Named-Data Networks
KR20230026755A (ko) 이종 양자 암호화를 이용한 통신 방법 및 이를 위한 네트워크
KR20100059163A (ko) 애드혹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블랙홀 공격에 대비한 패킷 전송 장치 및 방법
JP2009141799A (ja) 端末認証方法、携帯端末装置、端末認証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FR3024623A1 (fr) Procede d'appairage mis en œuvre dans un systeme radiocommunication et point d'acces d'un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pour la mise en œuvre d'un tel procede d'appai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