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375B1 -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375B1
KR101075375B1 KR1020080134095A KR20080134095A KR101075375B1 KR 101075375 B1 KR101075375 B1 KR 101075375B1 KR 1020080134095 A KR1020080134095 A KR 1020080134095A KR 20080134095 A KR20080134095 A KR 20080134095A KR 101075375 B1 KR101075375 B1 KR 101075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mpressor
reservoir
cooling system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6158A (ko
Inventor
우병태
김대경
최현용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4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3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76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6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의약품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유기성 물품이 각종 호기성 생물에 의해 쉽게 변질되지 않도록 하거나, 일정 온도 이하로 특정 물품들을 냉각 또는 냉동시키기 위해 저온 보관하는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고는 실내에 설치하고, 냉각 구동시 발생하는 열은 실외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해서, 냉각시스템의 구동으로 인한 실내 온도 영향을 최소화하고, 저장고는 플러그인 타입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서 필요에 따라 저장고의 개수와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체로 상태변화시키고, 제2인출라인(OL2)이 연결된 압축기(10); 압축기(1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를 저온 고압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 응축기(2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의 배출을 제어하고, 냉매액체가 흐르는 제1인입라인(LL1)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호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팽창밸브(30); 물품을 수용하는 다수의 저장고(40); 저장고(40)에 각각 설치되고, 제1인입라인(LL1)과 연통하도록 고정된 제2인입라인(LL2)을 통해 응축기(20)로부터 이송 배출된 냉매액체가 기화되면서 저장고(40) 내부의 열을 흡열하며, 제2인출라인(OL2)과 연통하는 제1인출라인(OL1)을 통해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10)로 이송하는 증발기(50); 팽창밸브(30)와 연결된 제1인입라인(LL1)과, 압축기(10)와 연결된 제2인출라인(OL2)의 말단이 각각 병렬 배치된 어댑터(A); 및 증발기(50)와 연결되며 제1인입라인(LL1) 및 제2인출라인(OL2)에 각각 연통하는 제2인 입라인(LL2) 및 제1인출라인(OL1)의 말단이 병렬 배치되고, 어댑터(A)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커넥터(C); 압축기(10) 및 팽창밸브(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0); 및 제어부(60)의 작동 제어 결과가 출력되는 출력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Cooling system having the storehouse of plugin type}
본 발명은 음식물, 의약품 및 화장품 등과 같은 유기성 물품이 각종 호기성 생물에 의해 쉽게 변질되지 않도록 하거나, 일정 온도 이하로 특정 물품들을 냉각 또는 냉동시키기 위해 저온 보관하는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물품이 보관되는 저장고는 실내에 설치하고, 냉각 구동시 발생하는 열은 실외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해서, 냉각시스템의 구동으로 인한 실내 온도 영향을 최소화하고, 저장고는 플러그인 타입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서 필요에 따라 저장고의 개수와 설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각(냉동기능을 포함) 기능을 갖는 냉장장치는 일반 가정은 물론 영업소, 실험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된다.
냉장장치는 냉매로 활용되는 물질이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하면서 주변의 열을 흡수하고, 이 과정에서 주변 온도가 낮아지면서 시원해지는 냉동의 기본원리가 응용된 장치이다. 상기 냉장장치는, 냉매를 강제로 압축해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로 배출하는 압축기와, 고온고압의 냉매기체로부터 열을 빼앗아 냉매액체로 상태변화시키는 응축기와, 응축기로부터 배출되는 저온 고압의 냉매액체가 팽창하도록 배출하는 팽창밸브와, 급격한 압력 저하로 냉매액체가 기화되면서 주변 온도를 흡수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그런데, 냉매로 널리 활용되는 물질은 인체에 유해한 독성이 있고, 주변환경의 균형을 해할 수 있는 성질을 가지므로,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그리고 압축기로 이어지는 냉매의 순환라인은 냉매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탈착이 불가능한 밀폐형으로 제작되어야 했다. 결국, 종래에는 상기 순환라인이 하나의 냉장장치에 일체로 된 구조로서, 냉장장치 자체의 무게가 크고 개당 제조비용 및 운영비용이 증가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냉장장치는 냉장장치에 구비된 저장고의 내부온도를 낮추는 대신 저장고의 주변 온도는 증가시키므로, 실내에 냉장장치를 다수 설치할 경우 실내 온도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냉장장치를 다수 설치해야 하는 영업소 또는 실험실 등에서는 실내 환경을 조정하기 위해 에어컨과 같은 별도의 냉방장치를 설치해야 했고, 이는 부수적인 관리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므로, 이러한 문제를 발생시키는 종래 냉장장치의 보완이 시급히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냉장장치가 갖는 냉각기능을 위한 불가피한 발열을 실외에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면서 물품 저장을 위한 저장고는 사용자의 편의와 필요에 따라 설치 및 해제가 가능하고, 냉각기능을 가지면서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한 다수의 저장고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체로 상태변화시키고, 제2인출라인(OL2)이 연결된 압축기(10); 압축기(1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를 저온 고압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 응축기(2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의 배출을 제어하고, 냉매액체가 흐르는 제1인입라인(LL1)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호 병렬 연결되는 다수의 팽창밸브(30); 물품을 수용하는 다수의 저장고(40); 저장고(40)에 각각 설치되고, 제1인입라인(LL1)과 연통하도록 고정된 제2입라인(LL2)을 통해 응축기(20)로부터 이송 배출된 냉매액체가 기화되면서 저장고(40) 내부의 열을 흡열하며, 제2인출라인(OL2)과 연통하는 제1인출라인(OL1)을 통해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10)로 이송하는 증발기(50); 팽창밸브(30)와 연결된 제1인입라인(LL1)과, 압축기(10)와 연결된 제2인출라인(OL2)의 말단이 각각 병렬 배치된 어댑터(A); 증발기(50)와 연결되며 제1인입 라인(LL1) 및 제2인출라인(OL2)에 각각 연통하는 제2인입라인(LL2) 및 제1인출라인(OL1)의 말단이 병렬 배치되고, 어댑터(A)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커넥터(C); 압축기(10) 및 팽창밸브(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0); 및 제어부(60)의 작동 제어 결과가 출력되는 출력부(80);를 더 포함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냉각기능을 갖는 다수의 저장고를 효율적이면서도 경제적으로 관리 및 유지할 수 있고, 저장고의 탈부착 또한 용이해서 저장고의 배치 위치를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한편, 압축기 등의 구동으로 발생하는 소음과 발열에 의한 실내 영향을 최소화시킴으로서, 냉각기능을 갖는 저장고의 사용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냉매를 압축해 고온고압의 냉매액체로 상태 변화시키는 압축기(10)와, 냉매액체를 저온고압의 냉매액체로 응축시키는 응축기(20)와, 응축기(2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를 팽창시켜서 배출시키는 팽창밸브(30)와, 물품이 저장되는 저장고(40)와, 저장고(40)에 내설되고 팽창밸브(3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가 기화되면서 저장고(40)의 내부에서 흡열하는 증발기(50) 와, 압축기(10)와 팽창밸브(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와, 제어부(60)의 작동제어를 위해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70)와, 제어부(60)의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80)를 포함한다.
압축기(10)는 냉매압축을 위한 구동모터와 실린더 구조가 포함되며, 각종 냉각장치 및 에어컨 등과 같은 기구들에 널리 적용된 공지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압축기(10)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압축기(10)는 실외에 설치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압축기(10)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장치이므로, 냉각시스템의 실질적인 구동소음은 압축기(10)로부터 발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기(10)의 실외 설치를 통해 냉각시스템의 구동소음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응축기(20)는 압축기(10)로부터 이송되는 냉매액체의 이송관에 냉각수 또는 냉각기체를 접촉시켜서 냉매액체가 갖는 열을 빼앗는 것으로, 수냉식일 경우 냉각수의 순환을 강제로 진행해야 하므로 냉각수 순환을 위한 순환장치가 더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공냉식일 경우 압축기(10)로부터 이송되는 냉매액체의 이송관이 공기와 효과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길게 형성시켜서, 냉매액체의 냉각효율을 높이도록 한다.
응축기(20)는 상술한 수냉식 및 공냉식 이외에도 증발식 등의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를 위한 기계적 구조 또한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응축기(20)는 압축기(10)와 더불어 실외에 설치될 수 있다. 압축기(10)는 고온고압의 냉매액체로부터 발열이 이루어지는 구간이므로, 응축기(20)의 주변을 높은 온도로 가열하게 된다. 즉, 응축기(20)가 실내에 설치될 경우, 실내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팽창밸브(30)는 저온고압의 냉매액체 배출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동작은 제어부(60)의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팽창밸브(30)의 개폐를 통해 저장고(40)의 온도조절을 위한 냉매 유입이 조절되면서, 저장고(40) 내부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다수의 저장고(40; 저장고1 내지 저장고4)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팽창밸브(30) 또한 각각의 저장고(40)에 상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서, 저장고(40) 별로 하나의 팽창밸브(30)가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팽창밸브(30)를 통해 이송되는 냉매액체는 제1,2인입라인(LL1, LL2)을 통해 증발기(50)로 유입되고, 증발기(50)에서 기화된 냉매기체는 제1,2인출라인(OL1, OL2)을 통해 압축기(10)로 유출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저장고(40) 별로 제1,2인입라인(LL1, LL2) 및 제1,2인출라인(OL1, OL2) 간의 플러그인 타입의 탈부착 연통이 가능하도록 해서,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저장고(40)의 설치 및 해제를 가능토록 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팽창밸브(30)로부터 인출되는 제1인입라인(LL1)과 제2인입라인(LL2)은, 제1인입라인(LL1)의 말단에 구비된 어댑터(A)와 제2인입라인(LL2)의 말단에 구비된 커넥터(C) 간의 탈부착으로 그 연통이 제어된다.
즉, 제1인입라인(LL1)과 어댑터(A)는 실내에 배관 및 설치돼 고정되고, 저장 고(40)와 연결된 제2인입라인(LL2)과 커넥터(C)는 이동성을 가지면서 필요한 지점에 저장고(40)를 냉각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어댑터(A) 및 커넥터(C)는 관 형상의 제1,2인입라인(LL1, LL2)을 기계적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통시킬 수 있음은 물론, 패킹 및 실링 작업을 통해 어댑터(A)와 커넥터(C) 간의 기밀성을 담보할 수 있다.
어댑터(A)와 커넥터(C) 간의 탈부착은 스크류 연결방식, 소켓 연결방식, 플랜지를 이용한 핀 또는 볼트 체결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한편, 어댑터(A)와 커넥터(C)는 제1,2인입라인(LL1, LL2)과 더불어, 제1,2인출라인(OL1, OL2)의 탈부착 연통을 매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발기(50)로 인입된 냉매액체는 증발기(50)에서 기화하면서 냉매기체로 상태변화하고, 열을 흡수한 냉매기체는 제1,2인출라인(OL1, OL2)을 통해 압축기(10)로 이송된다. 그런데, 저장고(40)에 내설되는 증발기(50)는 저장고(40)와 함께 이동성이 있으므로, 제1,2인출라인(OL1, OL2)은 제1,2인입라인(LL1, LL2)과 더불어 어댑터(A)와 커넥터(C)를 매개로 탈부착 연통해야 한다. 결국, 어댑터(A)와 커넥터(C)는 제1,2인입라인(LL1, LL2)과 제1,2인출라인(OL1, OL2)이 상호 격리되도록 분리하고, 제1,2인입라인(LL1, LL2)과 제1,2인출라인(OL1, OL2)은 각각 개별적으로 밀폐되어서, 냉매의 유출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저장고(40)는 물품을 보관하는 중공을 갖는 구조물로, 제어부(60)의 팽창밸브(30) 구동 조작을 위한 정보 확보용 온도센서(41)가 설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41)는 저장고(40) 내 온도를 감지하면서 그 결과를 제어부(60)로 전송하고, 제 어부(60)는 설정된 온도에 따라 저장고(40) 내부 온도를 조정하기 위해 팽창밸브(3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증발기(50)는 저장고(40)에 내설되어서, 냉매액체의 기화작용으로 일어나는 흡열이 저장고(40) 내부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제어부(60)는 저장고(40)의 온도를 확인하면서 압축기(10), 응축기(20) 및 팽창밸브(30)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다수의 저장고(40)를 통합관리할 수 있도록 특정 지점에 설치될 것이다. 물론, 저장고(40)가 다수일 경우 저장고(40) 별로 연결된 팽창밸브(30)를 각각 제어하면서, 저장고(40) 별 내부 온도제어도 가능할 것이다.
참고로, 저장고(40)는 일반 냉장고용, 냉동고용, 김치냉장고용, 화장품냉장고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므로, 이에 맞는 적절한 온도 조정이 각 저장고(40) 별로 이루어질 것이며, 이를 위해 다수의 팽창밸브(30)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될 것이다.
입력부(70)는 사용자가 제어부(60)의 구동을 위한 입력값을 입력하고, 이 입력값을 제어부(60)에 전달하는 것으로, 버튼방식, 키패드 방식, 터치스크린 등 다양한 입력수단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60)와 더불어 특정 지점에 설치되어서, 실내 곳곳에 배치된 다수의 저장고(40)를 일 지점에서 효과적으로 통합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출력부(80)는 제어부(60)의 제어상태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것으로, 모니터, 램프, 스피커 등과 같이 다양한 매개체로 정보를 안내할 수 있 을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제2인출라인(OL2)에 배출라인(WL)과, 배출라인(WL)을 개폐하는 3-Way 밸브 타입의 조절밸브(CV)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조절밸브(CV)는 제2인출라인(OL2)을 따라 흐르는 냉매를 압축기(10) 또는 배출라인(WL) 중 한 곳으로 흐르도록 조정해서, 변질된 냉매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저장고(40)의 탈부착이 가능한 것으로서, 어댑터(A) 및 커넥터(C)의 탈부착 과정에서 냉매가 유출되거나 외부 공기가 제1,2인입라인(LL1, LL2) 또는 제1,2인출라인(OL1, OL2)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외부 공기가 냉매와 혼합되면 냉매의 냉각효율이 현저히 저하되므로, 유입된 공기를 배출시켜야 할 것이다.
따라서, 어댑터(A) 및 커넥터(C)를 매개로 한 저장고(40)의 탈부착 작업 후 냉각시스템을 정상가동시키기 전에, 조절밸브(CV)를 조정해서 압축기(10)와 연통하는 제2인출라인(OL2)은 폐구하고 배출라인(WL)은 개구한다. 결국, 증발기(50)로부터 유출된 후 어댑터(A) 및 커넥터(C)를 통과한 냉매는 유입된 공기와 더불어 배출라인(WL)으로 이송 및 배출된다. 물론, 배출라인(WL)의 말단은 별도의 탱크(미도시함)와 밀폐상태로 연결되어서, 공기와 혼합된 냉매를 수용 및 처리할 수 있을 것 이다.
한편, 전술한 공기 제거과정에서 소실된 냉매는 재충진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충분한 냉매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냉각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압축기(10), 응축기(20), 팽창밸브(30) 및 증발기(50)로 이어지는 순환라인에 냉매를 주입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압축기(10)와 연통하는 주입라인(IL)에 냉매를 주입해서, 상기 순환라인에서 충분한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배출라인(WL)을 통한 공기 배출 후 낮아진 순환라인의 내압을, 주입라인(IL)으로의 냉매 주입으로 상승시켜서, 소실된 냉매를 보충하는 것이다.
참고로, 주입라인(IL)의 개폐를 위해 밸브(V)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주입라인(IL)은 냉매를 보관하는 탱크(T)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에 적용된 용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에 적용된 저장고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인 바, 이를 참조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저장고(40) 내에 어떠한 물품이 보관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출력부(80)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저장고(40)는 태그(130)가 내장된 용기(100)를 수용하고, 태그(130)를 읽기 위한 리더기(43)가 내설된다.
태그(130)는 바코드가 인쇄된 라벨이거나, RF신호를 발신하는 IC칩일 수 있 는데, 용기(100)에 담긴 내용물에 따라 태그(130)의 정보 값을 작성 또는 입력할 수도 있고, 태그(130)의 정보 값을 미리 입력한 후 해당 태그(130)가 장착된 용기(100)에 상기 정보 값에 상응하는 내용물을 담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전자의 일 예로, 태그(130)가 바코드일 경우 용기(100)에 특정 내용물을 담은 후, 이 내용물에 상응하는 정보를 바코드로 출력해서 해당 라벨을 붙일 수도 있고, 태그(130)가 IC칩일 경우 용기(100)에 특정 내용물을 담은 후, 이 내용물에 상응하는 정보를 IC칩에 입력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태그(130)가 장착된 용기(100)는 저장고(40) 내에 배치되고, 저장고(40)에 설치된 리더기(43)에 읽힌다. 이때, 리더기(43)의 태그(130) 확인은 다양한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예시는 아래에서 상세히 제시하도록 한다.
리더기(43)로 읽힌 태그(130)의 정보는 제어부(60)로 전송되고, 제어부(60)의 식별모듈(61)은 전송된 신호를 읽어서 당해 정보의 내용을 확인한다. 물론, 이렇게 확인된 정보는 출력부(80)에 출력되고, 사용자는 저장고(40)를 열어보지 않아도 내부에 보관되고 있는 물품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리더기(43)는 태그(130)를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읽을 수 있다.
1. 사용자가 저장고(40) 내에 용기(100)를 배치할 때, 리더기(43)에 용기(100)를 인접시켜서 제어부(60)에 정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방식.
2. 사용자가 저장고(40) 내에 보관되는 내용물을 확인코자 입력부(70) 조작 을 통해 제어부(60)에 명령하면, 제어부(60)는 리더기(43)를 구동시켜서 저장고(40) 내에 배치된 용기(100)들의 태그(130)를 모두 읽고, 이렇게 읽혀진 정보를 제어부(60)로 전송해서 이를 저장 및 출력하는 방식.
결국, 저장고(40)에 배치된 내용물은 용기(100)에 장착된 태그(130) 확인을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미 설명된 인출번호 "110"과 "120"은 각각 "바닥부"와 "펜스"를 인출한 것으로, 태그(130)가 바닥부(110)의 홈(111)에 내설되는 모습을 제시한 것이다. 하지만, 태그(130)의 설치위치는 물론 용기(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사용자가 입력부(70)를 직접 조작함으로서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나, 외부에서 홈네트워크 통신시스템 등을 이용해 제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홈네트워크 통신시스템이란, 인터넷(I) 또는 전화(TEL)를 통해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기를 작동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상기 제어부(60) 또한 이러한 통신시스템과 통신하면서 작동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은 제어부(60)와 홈네트워크 통신시스템을 연결하는 통신단말기(90)를 더 포함한다.
결국, 전화(TEL) 또는 인터넷(I)을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제어신호는 통신단말기(90)를 통해 제어부(60)로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제어부(60)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해서 냉각시스템을 제어한다.
미설명한 인출번호 "42"는 용기(100)가 안착되는 "선반"을 인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에 적용된 용기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에 적용된 저장고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시스템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압축기 20; 응축기
30; 팽창밸브 40; 저장고
50; 증발기 60; 제어부
70; 입력부 80; 출력부
90; 통신단말기 LL1, LL2; 제1,2인입라인
OL1, OL2; 제1,2인출라인 IL; 주입라인

Claims (8)

  1. 냉매를 고온 고압의 액체로 상태변화시키고, 제2인출라인(OL2)이 연결된 압축기(10);
    압축기(1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를 저온 고압으로 응축하는 응축기(20);
    응축기(20)와 상호 병렬 연결되어서 응축기(20)로부터 이송된 냉매액체의 배출을 제어하고, 상기 냉매액체의 배출을 위해 제1인입라인(LL1)의 일단이 연결되는 다수의 팽창밸브(30);
    물품을 수용하는 다수의 저장고(40);
    저장고(40)에 각각 설치되고, 제1인입라인(LL1)과 연통하도록 고정된 제2인입라인(LL2)을 통해 응축기(20)로부터 이송 배출된 냉매액체가 기화되면서 저장고(40) 내부의 열을 흡열하며, 제2인출라인(OL2)과 연통하는 제1인출라인(OL1)을 통해 기화된 냉매를 압축기(10)로 이송하는 증발기(50);
    팽창밸브(30)와 연결된 제1인입라인(LL1)과, 압축기(10)와 연결된 제2인출라인(OL2)의 말단이 각각 병렬 배치된 어댑터(A);
    증발기(50)와 연결되며 제1인입라인(LL1) 및 제2인출라인(OL2)에 각각 연통하는 제2인입라인(LL2) 및 제1인출라인(OL1)의 말단이 병렬 배치되고, 어댑터(A)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속되는 커넥터(C);
    압축기(10) 및 팽창밸브(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제어부(6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70); 및
    제어부(60)의 작동 제어 결과가 출력되는 출력부(8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40)는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 그 결과를 제어부(60)로 전송하는 온도센서(4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출라인(OL2)과 연통하는 배출라인(WL)과, 제2인출라인(OL2)과 배출라인(WL) 중 한 곳으로 냉매가 이송되도록 제2인출라인(OL2)과 배출라인(WL)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10)와 연통하며, 외부로부터 냉매가 주입되는 주입라인(I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40)에 내장되고 정보를 저장하는 태그(130)가 장착된 용기(100)와, 저장고(40)에 탑재되고 태그(130)의 정보를 읽어서 제어부(60)로 전송하는 리 더기(43)와, 리더기(43)가 전송한 정보를 수신 및 확인해서 출력부(80)를 통해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식별모듈(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130)는 바코드이고, 리더기(43)는 바코드 리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130)는 RF신호를 발신하는 IC칩이고, 리더기(43)는 RF신호 수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60)와 통신하면서 사용자가 전화 또는 인터넷으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해 제어부(60)에 입력하는 통신단말기(90)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60)는 통신단말기(9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압축기(10) 또는 팽창밸브(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KR1020080134095A 2008-12-26 2008-12-26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KR101075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95A KR101075375B1 (ko) 2008-12-26 2008-12-26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4095A KR101075375B1 (ko) 2008-12-26 2008-12-26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58A KR20100076158A (ko) 2010-07-06
KR101075375B1 true KR101075375B1 (ko) 2011-10-24

Family

ID=42637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095A KR101075375B1 (ko) 2008-12-26 2008-12-26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3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19B1 (ko) * 2001-03-21 2006-03-06 광동 켈론 일렉트로니컬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분리된 병렬식 멀티-웨이 냉각회로를 갖는 냉장고 및 그의제어방법
KR100750234B1 (ko) * 2005-12-30 2007-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식품 저장고의 유지 관리 제어 시스템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6519B1 (ko) * 2001-03-21 2006-03-06 광동 켈론 일렉트로니컬 홀딩 컴퍼니, 리미티드 분리된 병렬식 멀티-웨이 냉각회로를 갖는 냉장고 및 그의제어방법
KR100750234B1 (ko) * 2005-12-30 2007-08-17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식품 저장고의 유지 관리 제어 시스템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6158A (ko) 2010-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7364B2 (en) High efficiency refrigerator
US8109327B2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heat exchange modules with indirect expansion cooling and in-tube electric heating
US8806886B2 (en) Temperature controlled devices
US7980093B2 (en) Combined refrigerant compressor and secondary liquid coolant pump
CN103261815B (zh) 空调装置
CN102803865A (zh) 运输制冷系统中的能力和压力控制
KR100816642B1 (ko) 냉동탑차용 냉동장치
CN102192626B (zh) 使用液态冷冻剂的冷冻器及方法
KR100995695B1 (ko) 보냉차량
JP5169282B2 (ja) 自動販売機
KR20210114860A (ko) 제냉 시스템
JP2006234225A (ja) 冷媒回路
ITTO20060116A1 (it) Apparato atto alla conservazione in particolare di derrate alimentari di tipo modulare
KR100907338B1 (ko) 축냉 물질을 이용하는 보냉차량
KR101075375B1 (ko) 플러그인 타입의 저장고를 갖는 냉각시스템
US8359874B2 (en) Secondary cooling path in refrigerator
US7216492B2 (en) Portable refrigeration unit
CN103998876B (zh) 制冷装置及用以检测其中是否填充有不同制冷剂的方法
CN210004657U (zh) 冷藏冷冻冰箱
US20100043460A1 (en) Chiller and reaction blocks
JP4911142B2 (ja) 冷媒回路装置
JP6377668B2 (ja) 飲料貯蔵装置
JP2007187370A (ja) 冷媒サイクル装置
EP3171106A1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use of a refrigerated display case
US20060010885A1 (en) Refrigeration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