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278B1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278B1
KR101075278B1 KR1020090096103A KR20090096103A KR101075278B1 KR 101075278 B1 KR101075278 B1 KR 101075278B1 KR 1020090096103 A KR1020090096103 A KR 1020090096103A KR 20090096103 A KR20090096103 A KR 20090096103A KR 101075278 B1 KR101075278 B1 KR 101075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econdary battery
bent portion
bare cell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6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8910A (ko
Inventor
백운성
윤희상
서경원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6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278B1/ko
Priority to US12/883,372 priority patent/US20110086244A1/en
Publication of KR20110038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8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current, e.g. fu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1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ouch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하부케이스와 라벨이 견고하게 접착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가 수납되고 일단에 전극단자가 노출된 베어셀,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모듈,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며, 베어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베어셀을 수용하며, 상부는 상부케이스와 접착되고, 하부는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라벨 및 라벨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차 전지, 라벨, 하부케이스, 절곡부

Description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가 수납된 베어셀을 포함한다. 외부 충격으로부터 베어셀을 보호하기 위해 베어셀은 라벨에 의해 감싸진다. 그리고, 라벨의 일측에는 하부케이스가 설치된다.
이차 전지의 제조 공정에서 이차 전지의 외부충격에 대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낙하테스트를 한다.
이때, 하부케이스와 라벨의 결합이 약한 경우에는 낙하 테스트에서 하부케이스가 라벨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하부케이스와 라벨이 견고하게 결합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전극조립체가 수납되고 일단에 전극단자가 노출된 베어셀,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모듈,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며, 베어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베어셀을 수용하며, 상부는 상부케이스와 접착되고, 하부는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라벨 및 라벨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절곡부의 종단은 라벨의 하단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절곡부는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는 호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절곡부는 라벨의 서로 대응하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벨의 하부에서 하부케이스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절곡부의 양측단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은 절곡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의 종단은 라벨의 하단 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는 라벨의 서로 대응하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벨의 하부에서 하 부케이스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절곡부의 양측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홀은 절곡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는 인서트 사출 또는 핫멜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라벨의 상부의 내측면은 상부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될 수 있다. 상기 라벨의 상부의 내측면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은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라벨의 상부의 내측면에는 핫실링 접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베어셀의 외측면과 라벨의 내측면은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베어셀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라벨의 내측면에는 핫실링 접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에 의하면, 하부케이스가 절곡부 및 관통홀에 의해 라벨의 하부에서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낙하테스트에서 하부케이스가 라벨에서 분리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조립상태도, 도 3a는 도 1에서 라벨의 정면도, 도 3b는 도 1에서 X-X'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100)는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하면, 베어셀(110), 보호회로모듈(120), 상부케이스(130), 라벨(140), 하부케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어셀(110)은 전극조립체(미도시), 전극단자(111) 및 제 1 절연테입(112)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셀(110)은 파우치 타입일 수 있다.
전극조립체(미도시)는 양극판, 세퍼레이트 및 음극판이 순차로 적층된 것으로, 젤리롤(jelly role)의 형상으로 권취되어 베어셀(11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다.
전극단자(111)는 제 1 전극단자(111a) 및 제 2 전극단자(11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전극단자(111a)는 베어셀(110)의 일단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 1 전극단자(111a)는 베어셀(110)의 일면을 따라 절곡되어 있다. 제 1 전극단자(111a)는 양극판 또는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적으로 음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 2 전극단자(111b)는 베어셀(110)의 일단에서 노출될 수 있다. 제 2 전극단자(111b)는 베어셀(110)의 일면을 따라 절곡되어 있다. 제 2 전극단자(111b)는 양극판 또는 음극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 1 전극단자(111a)와 전기적으로 반대의 극성일 수 있다.
제 1 절연테입(112)은 베어셀(110)의 일면과 제 1 전극단자(111a) 및 제 2 전극단자(111b)의 하부면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절연테입(112)는 양면 테입으로, 베어셀(110)의 일면을 따라 구부러진 제 1 전극단자(111a) 및 제 2 전극단자(111b)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보호회로모듈(120)은 기판(121), 보호회로부(122), 리드플레이트(123), 탭(124), 퓨즈(125) 및 외부단자(126), 제 2 절연테입(127)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1) 상에는 보호회로부(122), 리드플레이트(123), 탭(124), 퓨즈(125) 및 외부단자(126)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보호회로부(122)는 기판(121)에 형성되며, 충방전 제어 소자와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며, 과충전 또는 과방전시 회로를 오픈하여 이차 전지를 보호할 수 있다.
리드플레이트(123)는 기판(121)의 상부면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판(121)의 일측면 및 하부면을 따라 접혀 있다. 그리고, 리드플레이트(123)은 제 1 전극단자(111a)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탭(124)은 기판(121)에서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탭(124)의 일측면은 퓨즈(1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퓨즈(125)는 제 1 리드(125a), 본체(125b) 및 제 2 리드(125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리드(125a)는 본체(125b)의 일단에서 연장되어 탭(12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125b)는 베어셀(110)의 열을 감지하여 베어셀(110)의 온도가 일정온도를 초과하는 경우에 전기적으로 오픈될 수 있다.
제 2 리드(125c)는 본체(125b)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제 2 전극단자(11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퓨즈(125)의 본체(125b) 및 제 2 리드(125c)는 기판(121)의 일측면 및 하면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외부단자(126)는 기판(121)에서 상부를 향하여 돌출되어, 이차 전지(100)의 충전 또는 방전시 외부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제 2 절연테입(127)은 기판(121)의 하부와 리드플레이트(123)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절연테입(127)은 기판(121)의 하부와 본체(125b) 및 제 2 리드(125c)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 2 절연테입(130)은 이차전지(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기판(121)의 하부면과 리드플레이트(123)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기판(121)의 하부면과 퓨즈(115)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다.
상부케이스(130)는 사출 성형에 의해 별개로 형성된다. 상부케이스(140)는 보호회로부(122) 및 외부단자(126)에 대응되는 수용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부케이스(140)는 보호회로부(122) 및 외부단자(126)를 수용함으로써 보호회로모듈(120)과 조립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30)는 개구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개구부(131)는 보호회로모듈(120)과 상부케이스(130)가 결합되었을 때 외부단자(126)를 노출시킬 수 있다.
라벨(14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베어셀(110)을 수용할 수 있다. 라벨(140)의 상부는 상부케이스(130)와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케이스(130)의 외측면은 라벨(140)의 내측면과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 될 수 있다. 상부케이스(130)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라벨(140)의 내측면에는 핫실링접착제 예를 들어, 우레탄 변성 실리콘이 위치할 수 있다. 핫실링접착제를 사용하여, 상부케이스(130)와 라벨(140)을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베어셀(110)의 외측면은 라벨(140)의 내측면과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베어셀(110)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라벨(140)의 내측면에는 핫실링 접착제가 위치할 수 있다. 핫실링접착제를 사용하여, 베어셀(110)과 라벨(140)을 접착할 수 있다.
라벨(140)의 하부에는 절곡부(141) 및 관통홀(142)이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141)는 라벨(140)의 하부에서 라벨(14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141)는 호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141)의 종단(141a)은 라벨의 하단(140a)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141)는 라벨(140)의 서로 대응하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141)는 하부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부케이스(15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140)의 외측 방향으로 하부케이스(15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라벨(140)과 하부케이스(150)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관통홀(142)은 라벨(140)의 하부에서 하부케이스(150)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2)은 절곡부(141)의 양측단에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42)은 하부케이스(150)를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 또는 핫멜팅시 수지가 라벨(14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한다.
하부케이스(150)는 라벨(14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50)는 절곡부(141)를 수용하며 라벨(140)의 타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하부케이스(150)는 인서트사출 또는 핫멜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 및 하부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에 대한 도면 만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관통홀(242)은 절곡부(241)의 내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242)은 하부케이스(150)를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또는 핫멜팅시 수지가 라벨(24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 및 하부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에 대한 도면 만 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절곡부(341)는 직선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3b에서의 절곡부(141)가 호를 이루며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절곡부(341)의 형성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하부케이스가 형성된 라벨의 사시도, 도 7a는 도 6의 라벨의 정면도, 도 7b는 도 6에서 Y-Y'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 및 하부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 및 하부케이스에 대한 도면 만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서 라벨(440)의 하부에 절곡부(441) 및 관통홀(442)이 구비될 수 있다.
절곡부(441)는 라벨(440)의 하부에서 라벨(440)의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441)는 호를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441)의 종단(441a)은 라벨의 하단(440a)보다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부(441)는 라벨(440)의 서로 대응하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441)는 하부케이스(450)에 수용되어 하부케이스(45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라벨(440)의 외측 방향으로 하부케이스(450)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라벨(440)과 하부케이스(450)가 견고한 결합을 유지하게 한다.
관통홀(442)은 라벨(440)의 하부에서 하부케이스(450)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42)은 절곡부(441)의 양측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442)은 하부케이스(450)를 형성하는 인서트 사출 또는 핫멜팅시 수지가 라벨(44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한다.
하부케이스(450)는 라벨(44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450)는 절곡부(441)를 수용하며 라벨(440)의 타측을 밀폐시킬 수 있다. 하부케이스(450)는 인서트사출 또는 핫멜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절곡부(441)의 종단(441a)이 라벨의 타단(440a) 보다 하부에 위치함으로써, 하부케이스(450)는 라벨의 하단(440a)을 덮으며 형성된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한 라벨의 하단(44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 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는 도 6 내지 도 7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에 대한 도면 만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6 내지 도 7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절곡부(541)의 내부 영역에 관통홀(542)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542)은 하부케이스(350)를 형성하기 위한 인서트 사출 또는 핫멜팅시 수지가 라벨(540)의 내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하게 한다. 또한, 관통홀(542)을 통하여 절곡부(541)의 양측의 수지가 연결되므로, 하부케이스(350)가 보다 견고하게 라벨(54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는 도 6 내지 도 7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에 대한 도면 만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6 내지 도 7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라벨(640)은 절곡부(641)가 직선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도 8b에서의 절곡부(541)가 호를 이루며 연장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절곡부(641)의 형성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에 대한 도면 만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740)의 하부에 관통홀(7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차 전지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베어셀(110)의 하부를 상기 관통홀(741)에서 노출시키고, 하부케이스(150)를 형성하게 되면, 베어셀(110)의 측면과 하부케이스(150)의 접착에 의해 하부케이스(15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비교할 때 라벨의 형상이 상이하다. 따라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라벨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라벨에 대한 도면 만을 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도 1 내지 도 3b에 따른 이차 전지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는, 관통홀(841)의 상부면에서 관통홀(841)의 양측면과 이격되고, 라벨(840)의 상부면과 평행하게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부(8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842)의 내측 상부면은 베어셀(110)과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150)는 관통홀(841)를 통하여 베어셀(110)의 측면과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셀(110) 및 하부케이스(150)가 라벨(840)의 하부에서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차 전지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3a는 도 1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서 X-X'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하부케이스가 형성된 라벨의 사시도이다.
도 7a는 도 6의 라벨의 정면도이다.
도 7b는 도 6에서 Y-Y'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에서 라벨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차 전지
110 : 베어셀 120 : 보호회로모듈
130 : 상부케이스
140, 240, 340, 440, 540, 640, 740, 840 : 라벨
141, 241, 341, 441, 541 : 절곡부
242, 342, 442, 542 : 관통홀
150, 350 : 하부케이스

Claims (19)

  1. 전극조립체가 수납되고 일단에 전극단자가 노출된 베어셀;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베어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상기 베어셀을 수용하며, 상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접착되고, 하부는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종단은 상기 라벨의 하단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호를 이루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라벨의 서로 대응하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하부에서 하부케이스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절곡부의 양측단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절곡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전극조립체가 수납되고 일단에 전극단자가 노출된 베어셀;
    상기 전극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 또는 방전을 제어하는 보호회로모듈;
    상기 보호회로모듈을 수용하며, 상기 베어셀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케이스;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으로 상기 베어셀을 수용하며, 상부는 상기 상부케이스와 접착되고, 하부는 내부를 향하여 절곡되어 연장되는 절곡부가 구비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의 하부를 밀폐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의 종단은 상기 라벨의 하단 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라벨의 서로 대응하는 양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하부에서 하부케이스가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절곡부의 양측단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절곡부의 내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4.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인서트 사출 또는 핫멜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상부의 내측면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의 상부의 내측면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은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상기 라벨의 상부의 내측면에는 핫실링 접착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의 외측면과 상기 라벨의 내측면은 열융착 또는 열압착에 의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셀의 외측면과 접착되는 상기 라벨의 내측면에는 핫실링 접착제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090096103A 2009-10-09 2009-10-09 이차 전지 KR101075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03A KR101075278B1 (ko) 2009-10-09 2009-10-09 이차 전지
US12/883,372 US20110086244A1 (en) 2009-10-09 2010-09-16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6103A KR101075278B1 (ko) 2009-10-09 2009-10-09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8910A KR20110038910A (ko) 2011-04-15
KR101075278B1 true KR101075278B1 (ko) 2011-10-19

Family

ID=4385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6103A KR101075278B1 (ko) 2009-10-09 2009-10-09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086244A1 (ko)
KR (1) KR1010752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377B1 (ko) * 2009-09-14 2012-05-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팩
KR20130018478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20130018477A (ko) * 2011-08-09 2013-02-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팩
KR102459620B1 (ko) 2015-12-01 2022-10-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435A (ja) * 2001-09-06 2003-03-14 Gs-Melcotec Co Ltd 電池パック
KR100934459B1 (ko) * 2006-11-27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산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84380A (en) * 1998-11-02 2000-07-04 Hewlett-Packard Company Conforming intelligent battery label
WO2005078825A1 (en) * 2004-02-13 2005-08-25 Lg Chem, Ltd. Battery pack of improved structure
US7622219B2 (en) * 2004-10-27 2009-11-24 Panasonic Corporation Battery pack
KR100833736B1 (ko) * 2006-10-24 2008-05-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KR100947981B1 (ko) * 2007-11-12 201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JP2009187811A (ja) * 2008-02-07 2009-08-20 Sanyo Electric Co Ltd パック電池
KR100983144B1 (ko) * 2008-06-05 2010-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7435A (ja) * 2001-09-06 2003-03-14 Gs-Melcotec Co Ltd 電池パック
KR100934459B1 (ko) * 2006-11-27 2009-12-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생산성과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전지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086244A1 (en) 2011-04-14
KR20110038910A (ko)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256B1 (ko) 조립식 구조의 이차전지
KR100865392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22468B1 (ko) 배터리 팩
US7528573B2 (en) Rechargeable battery having bare cell and protection circuit module
US8703309B2 (en) Battery pack of excellent productability and structural stability
KR100928120B1 (ko) 이차 전지
EP1995804B1 (en) Battery pack
KR100670501B1 (ko) 이차전지
KR100551887B1 (ko) 이차전지
CN110140254B (zh) 包括保护电路模块的袋型二次电池组
JP6059708B2 (ja) バッテリーセルのセンシング基板
KR101116481B1 (ko) 배터리 팩
CN101409333B (zh) 电池组
US20110039128A1 (en)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03396B1 (ko) 몰딩부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795679B1 (ko) 이차전지
KR101075278B1 (ko) 이차 전지
US8541125B2 (en) Battery pack
KR20180006731A (ko) 이차 전지
KR102555490B1 (ko) 이차전지 팩
KR102198797B1 (ko) 이차전지 팩
KR101931119B1 (ko) 이차전지
KR101264462B1 (ko) 리드 플레이트와 베어셀을 리벳팅 결합하는 이차 전지
KR20130005117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091790A (ko) 폴리머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