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198B1 -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5198B1
KR101075198B1 KR1020080099277A KR20080099277A KR101075198B1 KR 101075198 B1 KR101075198 B1 KR 101075198B1 KR 1020080099277 A KR1020080099277 A KR 1020080099277A KR 20080099277 A KR20080099277 A KR 20080099277A KR 101075198 B1 KR101075198 B1 KR 10107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ft ground
mat
ground work
compaction
work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0177A (ko
Inventor
정준교
이기웅
Original Assignee
이기웅
정준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기웅, 정준교 filed Critical 이기웅
Priority to KR102008009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51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4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0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28Stressing the soil or the foundation structure while formin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Resins including glasf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장비가 작업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장비 지지부(110); 본체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내구성이 우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
연약지반, 토공, 기초

Description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MAT FOR CONSTRUCTION ON WEAK SUBGRAD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OUND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약지반의 기초 공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의 초기 단계에서 수행되는 토공에는 대규모의 장비들이 사용되는데, 연약지반의 경우 이러한 장비의 중량을 지탱할 수 없으므로, 연약지반의 표면에 작업용 매트를 깔고 장비가 그 위를 운행하면서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가 연약지반(10) 위에 설치된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것이다.
종래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는 나무, 합성수지 등의 재질에 의해 단순한 판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는 내구성이 좋지 않아 재활용이 어렵다는 점,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이 좋지 않다는 점,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점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내구성이 우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설장비가 작업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장비 지지부(110); 상기 본체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제시한다.
상기 돌기(120)의 기저부는 뾰족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20)의 횡단면은 삼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20)는 피라미드 또는 원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는 판형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120)의 상면에 요홈(13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130)의 내면은 상기 돌기(12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중 상기 다수의 돌기(120)의 사이 영역에는 잔여공극 채움공(140)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120)에는 물다짐공(121)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연약지반(10) 상면에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짐층(20)의 상부에 판재(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 공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10) 상면에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짐층(20)의 상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 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연약지반(10) 상면에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짐층(2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여 포설층(2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설층(21)의 상부에 또 다른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a)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또 다른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a)의 상부에 2차로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2차 다짐층(2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다짐층(22)의 상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 공법을 함께 제시한다.
본 발명은 내구성이 우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며,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 할 수 있도록 하는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는 기본적으로, 건설장비가 작업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장비 지지부(110); 본체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기(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와 같이 단순한 판형 구조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본체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기(120)가 형성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매트(100)를 연약지반 위에 놓는 것만으로 일종의 팽이기초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는 FRP, 재생압축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내구성이 우수하여 재활용이 가능함에 따라 공사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120)는 팽이기초와 같이 하중분산효과를 일으키므로, 지지력 및 침하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단지 매트(100)를 연약지반 상면에 놓는 것만으로 위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바, 작업성이 향상되어 공기를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를 추가로 얻도록 한다.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돌기(120)는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는데, 팽이기초와 같은 하중분산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돌기(120)의 기저부가 뾰족한 것이 좋 고, 나아가 돌기(120)의 횡단면이 삼각 형상을 취하는 것이 더욱 좋다.
즉, 돌기(120)는 피라미드 또는 원뿔 형상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가 판형 구조를 취하는 경우, 장비 지지부(110)는 그 본체의 편평한 상면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연약지반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토공은 대규모 공사이고, 따라서 작업용 매트도 대단히 많은 수가 필요한바, 매트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중 돌기(120)의 상면에 요홈(130)이 형성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체의 상면에 토사를 채우고 그 위를 장비들이 운행하면 되므로, 매트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면서도, 연약지반 상면의 작업성 제고라는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취지로 요홈(130)은 가능한 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 4와 같이 요홈(130)의 내면이 돌기(12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취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경우, 도 5와 같이 다수의 매트(100,100a)의 단부가 상호 접촉하도록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다수의 매트(100,100a)의 단부가 상호 겹이음되도록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연약지반의 연약도가 크거나, 장비의 중량이 큰 경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은 구조를 취하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 를 이용한 기초공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는 그 자체가 팽이기초에 의한 하중분산효과의 원리를 채용한 것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초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공법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는 연약지반(10) 상면에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고, 그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한 후, 다짐층(20)의 상부에 철판 등의 판재(30)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위에서 장비의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고, 기초가 견고할 필요없는 간이 구조물을 이 위에 축조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다수의 돌기(120)의 사이 영역에 잔여공극 채움공(140)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통해 토사를 추가로 채워줌으로써 더욱 견고한 기초 구조물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120)에 다수의 물다짐공(121)이 형성되는 경우, 이를 통해 물을 부어 매트(100)의 하부에 물다짐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추가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공법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연약지반(10) 상면에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고,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한 후, 그 다짐층(20)의 상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는 것이다.
이 또한 기초가 견고할 필요없는 간이 구조물의 축조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공법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약지반(10) 상면에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고,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한 후, 다짐층(2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여 포설층(21)을 형성한다.
그 포설층(21)의 상부에 또 다른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a)를 설치하고, 그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a)의 상부에 2차로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2차 다짐층(22)을 형성한 후, 2차 다짐층(22)의 상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한다.
즉, 이는 2층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100a)가 사용되고, 2차에 걸친 다짐이 수행되는 견고한 기초 공법으로서, 간이 구조물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의 하중을 부담하는 구조물의 기초로서도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잔여공극 채움공(140), 물다짐공(121)이 형성된 매트(100)를 이용하는 경우, 더욱 견고한 기초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2 내지 9는 본 발명에 의한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제1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제2실시예의 단면도.
도 5는 제2실시예의 제1사용상태도.
도 6은 제2실시예의 제2사용상태도.
도 7은 제2실시예의 제3사용상태도.
도 8은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 9는 제4실시예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 공법의 제1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기초 공법의 제2실시예에 관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약지반 20 : 다짐층
21 : 포설층 22 : 2차 다짐층
30 : 판재 40 : 콘크리트
100,100a :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110 : 장비 지지부
120 : 돌기 121 : 물다짐공
130 : 요홈 140 : 잔여공극 채움공

Claims (12)

  1. 건설장비가 작업할 수 있도록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장비 지지부(110);
    상기 본체의 저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돌기(120);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120)의 기저부는 뾰족하며, 상기 돌기(120)의 횡단면은 삼각 형상이고, 상기 돌기(120)는 피라미드 또는 원뿔 형상이며,
    상기 본체는 상기 돌기(120)의 상면에 요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30)의 내면은 상기 돌기(120)의 외면과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본체 중 상기 다수의 돌기(120)의 사이 영역에는 잔여공극 채움공(140)이 형성되고,
    상기 돌기(120)에는 물다짐공(121)이 형성되며,
    상기 잔여공극 채움공(140)이 상기 물다짐공(121)에 비해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연약지반(10) 상면에 제1항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짐층(20)의 상부에 판재(3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 공법.
  11. 연약지반(10) 상면에 제1항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짐층(20)의 상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 공법.
  12. 연약지반(10) 상면에 제1항의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다짐층(20)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다짐층(20)의 상부에 토사를 포설하여 포설층(21)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포설층(21)의 상부에 또 다른 상기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a)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또 다른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100a)의 상부에 2차로 토사를 포설하고 다짐하여 2차 다짐층(22)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2차 다짐층(22)의 상부에 콘크리트(40)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초 공법.
KR1020080099277A 2008-10-09 2008-10-09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KR10107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277A KR101075198B1 (ko) 2008-10-09 2008-10-09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9277A KR101075198B1 (ko) 2008-10-09 2008-10-09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77A KR20100040177A (ko) 2010-04-19
KR101075198B1 true KR101075198B1 (ko) 2011-10-19

Family

ID=4221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277A KR101075198B1 (ko) 2008-10-09 2008-10-09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5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797B1 (ko) * 2016-07-21 2018-09-19 주식회사 엘림종합건설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049B1 (ko) * 2012-08-30 2014-06-18 삼원실업 주식회사 연약지반 보강공법
CN103410139B (zh) * 2013-08-20 2015-08-26 深圳市市政工程总公司 基坑狭窄区域回填密实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797B1 (ko) * 2016-07-21 2018-09-19 주식회사 엘림종합건설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0177A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1812B1 (ko) 그리드 보강재와 강봉이 설치되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 공법
RU729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промышленных площадок от подтоплений, ливневых вод и весенних паводков
CN100549310C (zh) 用于塔加固地基的装置和方法
KR100973613B1 (ko) 연약지반의 등분포 하중을 이용한 pc블록 임시용가설도로 시공방법
CN110777569A (zh) 膨胀土有限变形防上拱的地基结构和地基结构的施工方法
KR101075198B1 (ko) 연약지반 작업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기초 공법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KR101401730B1 (ko) 연약지반의 지지력 보강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보강구조물
KR101111655B1 (ko) 팽이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방법
JP5800546B2 (ja) プレキャスト製基礎板、プレキャスト製構造物の基礎および土留め用構造物の施工方法
KR100945473B1 (ko) 지면 보호용 식생블록 구조물 및 이 식생블록 구조물의 현장 타설 방법
EA014868B1 (ru)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лабых грунтов
KR101065726B1 (ko) 조립식 옹벽
CN208279959U (zh) 桩承式挡墙路堤
KR20090073330A (ko) 조경 옹벽구조물
KR101625652B1 (ko) 산책로 지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214375B1 (ko) 백호 진동다짐 팽이말뚝기초 공법
KR100787099B1 (ko) 식생보강토 시공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시공된 식생보강토시공구조
CN218990221U (zh) 一种高速公路浸水路基防护加固结构
KR20140036766A (ko) 내진성능을 갖는 철도 노반구조물
JP2013221347A (ja) 地盤構造および地盤改良方法
CN212128698U (zh) 一种泡沫轻质土桥台回填路堤
CN214573026U (zh) 一种水泥土桩路基加固结构
JPH0765315B2 (ja) 盛土の構造
CN215104344U (zh) 一种适用于软弱地基的零征地路基加宽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