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5011B1 - Temporary assembly of tru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clamping device - Google Patents
Temporary assembly of tru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clamp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5011B1 KR101075011B1 KR1020100112968A KR20100112968A KR101075011B1 KR 101075011 B1 KR101075011 B1 KR 101075011B1 KR 1020100112968 A KR1020100112968 A KR 1020100112968A KR 20100112968 A KR20100112968 A KR 20100112968A KR 101075011 B1 KR101075011 B1 KR 1010750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or
- clamping means
- truss structure
- pair
- weld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1503 Joints Anatomy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58 poly(methylsil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8 quality contro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트러스 구조물의 각 부재와 조인트유닛의 연결구를 가조립함과 아울러 조인트유닛의 각 연결구와 각 부재에 대응하는 클램핑수단은 조인트유닛의 연결구와 이 연결구에 연결되는 부재가 긴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용접용 지그는 용접선을 정확하게 정렬시키면서도 몸체 내부에 구름수단을 구비하여 조인트 유닛의 연결구와 각 부재의 외경면을 원활하게 회전가능하도록 하여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접합부를 용접선이 단속되지 않으면서도 용접기로 용이하게 용접하도록 연동시킴으로써 작업능률의 향상은 물론 트러스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ing means is used to temporarily assemble each member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connector of the joint unit, and the clamping means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or and the member of the joint unit includes the connector of the joint unit and the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e welding jig is equipped with rolling means inside the body while aligning the welding line accurately, so that the joint of the joint unit and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each member can be rotated smoothly, and the joint of each connector and each member is wel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truss structure which is temporarily assembled using a clamping means capable of improving work efficiency as well as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truss structure by interlocking the welder to weld easily without interrup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상부 조인트유닛의 연결구와 각 부재를 클램핑수단으로 고정시켜 트러스구조물을 가조립하고, 가조립된 트러스구조물을 시공하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a truss structure which is preassembled by using a clamping means for temporarily assembling a truss structure by fixing the connector and each member of the lower and upper joint units with clamping means and constructing the assembled truss structure.
일반적으로 교량건설에 주로 사용되는 교량구조는, PCS박스거더교, 강합성플레이트거더교, 강합성박스거더교, 트러스교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파이프를 이용한 트러스교의 다양한 장점이 부각되면서 최신 교량형식으로 시도되고 있다.In general, the bridge structures commonly used in bridge construction include PCS box girder bridge, steel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steel composite box girder bridge, and truss bridge.In recent years, various advantages of truss bridges using pipes have been highlighted. have.
상기 파이프 트러스교는, 한 평면 내에서 직선의 트러스부재를 삼각형태로 연속적으로 연결.조립하는 트러스구조물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작 난이도 및 제작단가가 다른 교량형식에 비해 높은 이유로 아직까지는 적용이 빈번하지 못한 실정이다.Since the pipe truss bridge must manufacture a truss structure that continuously connects and assembles a linear truss member in a triangular shape in one plane, the difficulty of manufacture and the manufacturing cost a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bridge types. It is true.
일예로, 2006년 독일에서 준공된 St.Kilian Viaduct 고가교는, 도 1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장에서 트러스구조물 제작시, 중량이 큰 하.상현재와 사재를 용접 위치에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해 프레임 구조를 갖는 다수의 동바리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n example, the St. Kilian Viaduct viaduct, completed in Germany in 2006, has a frame structure for accurately supporting heavy lower and upper chords and materials at the welding position, as shown in FI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a large number of groups were required.
또한, 도 1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을 현장이동시킨 후, 트러스구조물의 블록간 용접연결시에도 부재간 용접선을 정확하게 유지하게 위해 지지구조물을 특수제작하고, 이를 고공에서 교량이 안치되는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이 수반되어 공사비와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14b, after moving the fabricated truss structure in the field, the support structure is specially manufactured to maintain the weld line between the members even during the inter-block welding connection of the truss structure, and the bridge is placed in the ai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period increased due to the complicated process to be correctly installed at the location.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이 특허 제965750호로 가조립이 가능한 파이프 트러스 조인트유닛구조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트러스교의 시공방법을 등록받은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pplicant has registered a pipe truss joint unit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pipe truss bridge using the same can be prefabricated in Patent No. 965750.
선 등록된 특허는, 도 15a 내지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240)이 삽입된 가지연결구(230)와 트러스부재(100)를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상기 가지연결구(230)에 형성된 작업홀(260)을 통해 연결링(240)이 가지연결구(230)와 트러스부재(100)에 위치하도록 이동시킨 후, 상기 가지연결구(230)와 트러스부재(100)를 용접으로 고정시키는 링 연결방식과 일단의 단부에 개선각 경사부와 루트부 외에 소켓지지부를 두어 소켓지지부에 일단이 연결되는 타단부재를 삽입시키는 소켓 연결방식을 도입하였다.The pre-registered patent, as shown in Figure 15a to 15b, after the
그러나 소켓연결방식은 단부의 개선가공 뿐만 아니라 루트면 및 소켓지지부를 모두 절삭가공해야 하므로 절삭량이 과다하여 가공비가 급증하며, 트러스부재 내경면과 연결링의 외경면이 동일하도록 연결링의 주문제작이 불가피하므로 제작단가의 상승으로 공사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 및 연결링의 제작과정 및 운반과 보관 중의 외력에 의해 정원을 유지하지 못하면 연결링의 조립이 불가능하여 이의 보정에 많은 시간과 공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의 용접선을 일치시키는 뒷댐재 역할을 하는 연결링을 용접 완료 후, 가지연결구 및 트러스부재에서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ocket connection method requires both the root face and the socket support part to be cut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the end. Therefore, the cutting cost is excessive due to the excessive cutting amount. As it was inevitabl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onstruction cost w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the manufacturing cost, and if the garden was not maintained by the external forc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ransportation and storage of the branch connector, the truss member, and the connection ring, the assembly of the connection ring was impossibl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labor to calibrat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be removed from the branch connector and the truss member after the completion of welding the connecting ring serving as a backing material to match the welding line of the branch connector and the truss member.
또한, 뒤댐재 역할을 하는 연결링을 제거하지 못할 경우, 용접부에 발생하는 응력의 크기가 작용하중에 따라 변하는 변동응력 발생시, 피로균열이 발생하여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onnection ring that serves as a damaging material is not removed, when the variation of the stress generated in the weld portion varies depending on the working load, fatigue cracking occurs and shortens the life.
또한, 선 등록된 특허는, 상기 연결링에 결합되는 가지연결구와 트러스부재의 두께가 다를 경우, 두께가 작은 쪽의 부재 내경이 연결링 외경과 일치하지 않음에 따라 두께가 작은 쪽의 부재는 중력의 영향으로 두께가 큰 쪽의 부재, 즉 연결링 중심선에서 벗어나기 때문에 두 부재의 용접면이 서로 어긋나므로 제작오차를 근본적으로 피할 수 없어 견고한 시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변단면 적용이 곤란했으며 이로 인해 공사비의 최적화를 위해 필수인 부재의 변단면 적용이 불가능하였다.In addition, the pre-registered patent, when the thickness of the branch connector and the truss member coupled to the connecting ring is different,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member of the smaller thickness does not match the outer diameter of the connecting ring, the member of the smaller thickness is gravity Since the welding surface of the two members deviates from each other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ember with the larger thickness, that is, from the center line of the connecting ring, the manufacturing error is fundamentally inevitable. It was not possible to apply the cross section of the member, which is essential for the optimization of.
또한, 선 등록된 특허는, 중력의 영향을 받는 사재 및 수직재에서는 부재 자중에 의해 부재가 하향으로 미끄러짐이 발생하므로 부개간의 루트간격이 일정하지 않거나 없음으로 인해 정밀한 가조립이 어렵고 구조용 파이프 부재에서 완전용입용접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소정의 루트간격 확보가 어려워 구조용 파이프 부재의 용접품질 확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pre-registered patent, because the member slips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member in the sand and vertical material affected by gravity, it is difficult to precise pre-assembly due to the non-uniform root spacing between gaps, and completely penetration in the structural pipe member Sinc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predetermined root spacing necessary for welding, it is difficult to secure welding quality of the structural pipe member.
이와 아울러 선출원된 파이프 트러스 제작방법은, 가지연결구와 파이프부재 사이의 유동을 방지하는 구속기구를 확보하지 못해 가지연결구와 파이프부재의 용접시, 고품질의 용접확보를 위한 파이프 자동용접의 적용이 곤란한 문제점도 아울러 갖고 있었다.In addition, the pre- filed truss manufacturing method is difficult to apply a pipe automatic welding for ensuring high quality welding when welding the branch connector and the pipe member because the restraint mechanism that prevents the flow between the branch connector and the pipe member is not secured. Also had.
또한, 파이프 트러스의 경우 파이프 단품을 용접하는 것이 아니므로 용접자세를 바꾸기 위해서는 대형 트러스 구조물 블록 전체를 뒤집어야 하는데, 이는 대형 장비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완전한 구조게를 형성하지 못한 가조립 상태에서는 용접자세를 바꾸기 위한 구조물 블록 뒤집기 작업 수행시 가조립의 정확도를 보증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수동 위보기 용접이 불가피하여 고품질의 용접 품질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pipe trusses, the pipe truss is not welded separately, so in order to change the welding posture, the entire large truss structure block must be turned over. There was a drawback that the accuracy of pre-assembly could not be guaranteed when performing structural block flipping to change posture. For this reason, manual beam welding was inevitable, which made it difficult to secure high quality welding quality.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점지지부에 안착된 조인트유닛의 연결구와 각 부재를 클램핑수단으로 고정시켜 무응력상태에서 트러스구조물의 가조립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가조립된 트러스구조물의 용접 전, 형상 및 위치확인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트러스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fect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cure the connection of the joint unit and each member seated in the node support portion by clamping means to enable the temporary assembly of the truss structure in a stress-free state. In addition,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truss structure to be pre-assembled by using a clamping means capable of precisely manufacturing the truss structure to be able to correct the shape and positioning before welding of the pre-assembled truss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인트유닛의 연결구와 각 부재를 클램핑수단으로 고정시켜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루트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외경이 같으면서 내경 즉, 두께가 다른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켜 용접기에 의한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fixing the connector and each member of the joint unit with the clamping means to maintain a constant spacing of each connector and each member so as to enable precise construction and the same inner diameter, that is, thicknes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of a truss structure which is temporarily assembled using clamping means that can easily fix another member to enable precise welding by a welding machine and improve quality.
본 발명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은,Truss structure to be assembl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clamping means,
하부 조인트유닛과;A lower joint unit;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의 수평연결구에 클램핑수단으로 연결되는 하현부재와;A lower member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or of the lower joint unit by clamping means;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의 수직연결구에 클램핑수단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와;A vertical member connected to the vertical connector of the lower joint unit by clamping means;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의 사재연결구에 클램핑수단으로 연결되는 사부재와;A yarn member connected to the yarn connector of the lower joint unit by clamping means;
상기 수직부재와 사부재 상단부에 수직연결구와 사재연결구가 클램핑수단으로 연결되는 상부 조인트유닛과;An upper joint unit having a vertical connector and a yarn connector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and the upper end of the yarn member by clamping means;
상기 상부 조인트유닛의 수평연결구에 클램핑수단으로 연결되는 상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op member connected to the horizontal connector of the upper joint unit by a clamping means,
상기 클램핑수단은, The clamping means,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의 각 연결구 중 어느 하나의 연결구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와 부재 사이의 루트간격 확인 및 정확하게 조절된 루트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구와 부재의 접합부를 용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몸체를 하나 이상 연결하는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으로 연결된 한 쌍의 몸체의 체결편에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pair of bodi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connector of the lower, upper joint unit, a pair of opposite to each oth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any one member connected to the connector A body is provided, and a connecting piece for connecting one or more pairs of bodies to form a space for welding a joint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member while maintaining a root interval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member and maintaining a precisely adjusted root interval is provid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fastening the bolt / nut to the fastening piece of the pair of bodie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ece.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소켓연결방식의 적용에 다른 과다한 절삭가공이 일반 개선가공으로 단순화되어 부재의 가공비가 급감하며, 트러스부재의 원주와 두께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소규모 특수제작이 불가피한 연결링이 필요없어 트러스구조물의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essive cutting processing other than the application of the existing socket connection method is simplified to general improvement processing, the processing cost of the member is drastically reduced, and the connection ring, which is inevitable for small-scale special manufacturing, in various sizes depending on the circumference and thickness of the truss member is required. Since the production cost of the truss structure can be reduced, the economic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결링 방식의 적용시, 트러스구조물의 원주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 트러스구조물 위치에 따라 부재 두께를 달리하는 변단면 적용이 가능하여 공장에서 생산되는 고품질의 저렴한 기성 구조용 파이프를 사용하면서도 최적화 단면 시공이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고, 경제성 측면 뿐만 아니라 시공성 및 품질관리 측면에서도 클램핑수단을 통해 경미한 제작오차를 갖는 파이프부재의 결합과 보정이 가능해 시공성이 향상되며 용접되는 두 부재간의 용접선 정렬과 루트간격 유지가 용이하고 정확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a cross-sectional surface that varies the thickness of the membe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truss structure for the same member as the circumference of the truss structure when the connection ring method is applied, the high-quality low-cost ready-made structural pipe produced in the factory It is possible to use the optimized cross section while using it, and it is possible to combine and correct pipe members with slight manufacturing error through clamping means not only in terms of economy but also in terms of workability and quality control. Maintaining alignment and root spacing is easy and accurat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램핑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부재들을 견고하게 지지하므로 자동용접기의 진동 및 회전에 다른 부재간 용접선의 유동이 방지되어 자동용접기의 적용이 용이해지고 용접자세의 영향을 받지 않고도 고품질의 용접을 저렴한 비용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mbers are firmly supported through the clamping means, the flow of welding lines between the other members is prevented due to vibration and rotation of the automatic welding machine, so that the application of the automatic welding machine is easy and high quality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welding postur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can secure the welding at low cos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절점지지부에 안착된 조인트유닛의 연결구와 각 부재를 클램핑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무응력상태에서 트러스구조물의 가조립이 가능하므로 제작 응력의 발생과 제작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부품수의 감소에 따라 제조원가를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조립된 트러스구조물의 용접 전, 부재가공의 정확도와 형상 및 위치확인에 대한 보정이 가능하여 정확하게 트러스구조물을 제작함과 아울러 작업능률의 향상으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emporarily assemble the truss structure in a stress-free state by firmly fixing the connector and each member of the joint unit seated in the node supporting portion by the clamping means, and prevents the occurrence of fabrication stress and fabrication deformation As the number of parts is reduced,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accuracy, shape and positioning of member processing can be corrected before welding of the prefabricated truss structure. By improving the efficiency,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air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인트유닛의 연결구와 각 부재를 클램핑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시켜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루트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정밀시공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원주가 같으면서 두께가 다른 부재를 용이하게 고정시켜 용접기에 의한 정밀한 용접이 가능하도록 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므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and each member of the joint unit is firmly fixed by the clamping means to maintain a constant spacing between each connector and each member to enable precise construction and the same circumference and different members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because it can be easily fixed to enable precision welding by the welding machine to improve the quality.
도 1은 본 발명 조인트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클램핑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조립된 트러스 구조물의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도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트러스 구조물의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수단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클램핑수단 설치상태도
도 9는 도 8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1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설치상태도
도 12는 도 10의 측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트러스 구조물의 용접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b는 St.Kilian Viaduct 고가교 공장제작 및 현장용접사진
도 15a 내지 도 15b는 선 등록된 특허의 설치과정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oi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installation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lded state of the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mean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lamping means installation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installation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elded state of the truss structur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a to 14b is a St.Kilian Viaduct bridge construction and field welding photograph
15a to 15b is a process of installation of a pre-registered paten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조인트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클램핑수단의 사시도이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join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amp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A)은, 하부 조인트유닛(2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평연결구(22)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하현부재(3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직연결구(23)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4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사재연결구(24)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사부재(5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40)와 사부재(50) 상단부에 수직연결구(63)와 사재연결구(64)가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상부 조인트유닛(60)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조인트유닛(60)의 수평연결구(62)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상현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truss structure A is temporarily assembled using the clamp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은, 몸체부(21)(6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1)(61) 양단부에 하현부재(30) 및 상현부재(70)가 연결되는 수평연결구(22)(62)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21)(61) 외경면에 수직부재(40)가 연결되는 수직연결구(23)(6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1)(61) 외경면에 사부재(50)가 연결되는 사재연결구(24)(64)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는 끝단이 절단되면서 단부 외경면에 용접이 용이하도록 접합부(25)(65)가 개선가공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and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각 연결구(22)(23)(24)(62)(63)(64) 중 어느 하나의 연결구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81)(8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30)(40)(50)(70)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83)(83')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사이의 루트간격 확인 및 정확하게 조절된 루트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접합부(25)(65)를 용접하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쌍의 몸체(81)(81')(83)(83')를 하나 이상 연결하는 연결편(85)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85)으로 연결된 한 쌍의 몸체(81)(81')(83)(83')의 체결편(82)에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8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clamping means 8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connectors 22, 23, 24, 62, 63, 64 of the lower and upper
상기 한 쌍의 몸체(81)(81')(83)(83') 원주는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원주와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ircumference of the pair of
상기 고정부재(84)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81)(81')(83)(83')의 체결편(82) 사이에 간격(S)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한 쌍의 몸체(81)(81')(83)(83') 내경면에 장착되어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미끄럼방지부재(89)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non-slip member (89) mounted on the inner diameter surfaces of the pair of bodies (81, 81 ', 83, 83') to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클램핑수단을 이용한 트러스구조물의 제작방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russ structure using the clamp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구조물(A)의 제작 현장에 절점지지부(10)를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후, 상기 절점지지부(10)에 하부 조인트유닛(20)의 몸체부(21)를 안착시키는데, 상기 몸체부(21)는 절점지지부(10) 중앙에 위치하도록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as shown in Figure 3, after installing the
상기 절점지지부(10)에 하부 조인트 유닛(20)의 몸체부(21)가 안착되면,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20)의 수평연결구(22)와 동일 선상으로 하현부재(3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20)의 수평연결구(22)와 하현부재(30) 일측 및 상기 하현부재(30) 타측과 하부 조인트 유닛(20')의 수평연결구(22)를 클램핑수단(80)으로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킨다.When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직연결구(23) 및 사재연결구(24)와 수직부재(40) 및 사부재(50)를 각각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연결구(23)와 수직부재(40) 및 사재연결구(24)와 사부재(50)를 클램핑수단(80)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수직부재(40)와 사부재(50)에 상부 조인트유닛(60)(60')의 몸체부(61)에 형성된 수직연결구(63)와 사재연결구(64)를 각각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부재(40)와 수직연결구(63) 및 사부재(50)와 사재연결구(64)를 클램핑수단(80)으로 각각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vertical connector 23 and the yarn connector 24, the
또한, 상기 상부 조인트유닛(60)(60')의 수평연결구(62)와 상현부재(70)를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평연결구(62)와 상현부재(70)를 클램핑수단(80)으로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connector 62 and the
이때,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상기 수평연결구(22) 외경면에 클램핑수단(80)의 한 쌍의 몸체(81)(81')를 밀착시키고, 상기 하현부재(30) 외경면에 클램핑수단(80)의 한 쌍의 몸체(83)(83')를 밀착시킨 후,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루트간격을 확인하는데,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루트간격은 한 쌍의 몸체(81)(81')(83)(83')에 하나 이상 연결된 연결편(85) 사이의 공간으로 확인하고, 정확하게 조절된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정확한 루트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몸체(81)(81')(83)(83')의 체결편(82)에 볼트/너트의 고정부재(84)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At this time, the clamping means 80, the pair of body 81 (81 ') of the clamping means 80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connector 22, the clamping on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the
상기 한 쌍의 몸체(81)(81')(83)(83') 원주가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원주보다 작게 형성되면, 한 쌍의 몸체(81)(81')(83)(83')에 형성된 체결편(82) 사이에 소정의 간격(S)이 생기게 되고, 이 간격(S)을 활용하여 체결편(82)에 볼트/너트의 고정부재(84)가 강하게 체결하여 한 쌍의 몸체(81)(81')(83)(83') 내경면 또는 내경면에 부착된 미끄럼방지부재(89)가 각 연결구와 부재의 외경면을 강하게 가압함과 동시에 강한 밀착력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유동을 방지하면서 강결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air of
상기 연결편(85)은,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루트간격을 확인한 후, 한 쌍의 몸체(81)(81')(83)(83')에 고정할 수도 있고, 상기 한 쌍의 몸체(81)(81')(83)(83')와 연결편(85)이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한 쌍의 몸체(81)(81')(83)(83')를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에 고정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The connecting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끝단이 직각으로 절단되면서 접합부(25)(65)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개선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s 25 and 65 of the connectors 22, 23, 24, 62, 63, 64 and the ends of the
또한, 상기 클램핑수단(80)이 하.상현부재(30)(70)와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수평연결구(22)(62)에 설치될 때, 상기 하.상현부재(30)(70)의 자중에 의해 하나 이상의 연결편(85)에 전단력과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상기 클램핑수단(80)이 수직재(40)와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수직연결구(23)(63)에 설치될 때, 상기 수직재(40)의 자중에 의해 하나 이상의 연결편(85)에 축력이 주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클램핑수단(80)이 사재(50)와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사재연결구(24)(64)에 설치될 때 사재(50)의 자중에 의해 하나 이상의 연결편(85)에는 축력, 전단력, 모멘트가 모두 작용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편(85)은 충분한 단면 강성을 확보하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clamping means 80 is installed in the horizontal connector 22, 62 of the lower and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트러스구조물(A)을 형성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A)의 하부 조인트유닛(20)은 절점지지부(1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트러스구조물(A)의 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트러스구조물(A)의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o form the truss structure (A), since the lower
상기 가조립된 트러스 구조물(A)의 형상 및 정확도를 검사하여 형상 및 정확도를 유지하면, 클램핑수단(80)의 연결편(85) 사이의 공간을 통해 용접기로 각 연결구(22)(23)(24)(62)(63)(64)의 접합부(25)(65)와 각 부재(30)(40)(50)(70)의 접합부(31)(41)(51)(71)를 용접기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데, 상기 용접기는 클램핑수단(8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작업자에 의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If the shape and accuracy of the preassembled truss structure (A) is inspected to maintain shape and accuracy, each connector (22) (23) (24) is weld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onnecting pieces (85) of the clamping means (80). Welding the
또한,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각 부재(30)(40)(50)(70)를 연결한 부재(30)(40)(50)(70) 양단에 고정된 2개의 클램핑수단(80) 중 어느 하나의 클램핑수단(80)은 긴결을 유지함과 동시에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의 클램핑수단(80)은 긴결을 완화시켜 상기 클램핑수단(80)을 회전시키면서 용접기로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접합부를 용접하여 트러스구조물(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클램핑수단(80)의 고정부재(84)는 클램핑수단(80)이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외경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을 정도로 체결력을 완화시키면 된다.
Here, the fixi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조인트유닛(20)이 구성되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평연결구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하현부재(30)가 구성되며,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직연결구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수직부재(40)가 구성되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사재연결구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사부재(50)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부재(40)와 사부재(50) 상단부에 수직연결구와 사재연결구가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상부 조인트유닛(60)이 구성되고, 상기 상부 조인트유닛(60)의 수평연결구에 클램핑수단(80')으로 연결되는 상현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lower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은, 몸체부(21)(6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1)(61) 양단부에 하현부재(30) 및 상현부재(70)가 연결되는 수평연결구(22)(62)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21)(61) 외경면에 수직부재(40)가 연결되는 수직연결구(23)(63)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21)(61) 외경면에 사부재(50)가 연결되는 사재연결구(24)(64)를 포함하며,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는 끝단이 절단되면서 접합부(25)(65)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개선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wer and upper
상기 클램핑수단(80')은,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각 연결구(22)(23)(24)(62)(63)(64) 중 어느 하나의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30)(40)(50)(70) 외경면에 밀착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87)(87')가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몸체(87)(87') 내부에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사이의 루트간격 확인 및 정확하게 조절된 루트간격을 유지하면서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접합부(25)(65)를 용접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관통된 관통공간(88)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사이의 루트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몸체의 체결편(82)에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재(8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clamping means 80 'is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ors 22, 23, 24, 62, 63 and 64 of the lower and upper
상기 한 쌍의 몸체(87)(87') 원주는,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원주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ircumference of the pair of
상기 고정부재(84)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87)(87')의 체결편(82) 사이에 간격(S)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gap S is formed between the
상기 한 쌍의 몸체(87)(87') 내경면에 장착되어 마찰계수를 증가시키는 미끄럼방지부재(89)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non-slip member (89)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ir of bodies (87, 87 ') to increase the coefficient of friction.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클램핑수단(80')을 이용한 트러스구조물(A)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fabrication process of the truss structure A using the clamping means 80 'which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점지지부(10)에 각각 안착된 하부 조인트 유닛(20)(20')의 수평연결구(22)와 하현부재(30)를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하부 조인트 유닛(20)의 수평연결구(22)와 하현부재(30) 일측 및 상기 하현부재(30) 타측과 하부 조인트 유닛(20')의 수평연결구(22)를 클램핑수단(80')으로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킨다.First, as shown in FIGS. 8 to 9, the horizontal connector 22 and the
그리고, 상기 하부 조인트유닛(20)의 수직연결구(23) 및 사재연결구(24)와 수직부재(40) 및 사부재(50)를 각각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직연결구(23)와 수직부재(40) 및 사재연결구(24)와 사부재(50)를 클램핑수단(80')으로 고정시킨 후, 상기 수직부재(40)와 사부재(50)에 상부 조인트유닛(60)(60')의 몸체부(61)에 형성된 수직연결구(63)와 사재연결구(64)를 각각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수직부재(40)와 수직연결구(63) 및 사부재(50)와 사재연결구(64), 상부 조인트유닛(60)(60')의 수평연결구(62)와 상현부재(70)를 동일 선상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평연결구(62)와 상현부재(70)를 클램핑수단(80')으로 각각 고정시킨다.In addition, the vertical connector 23 and the yarn connector 24, the
이때, 상기 클램핑수단(80')의 관통공간(88)을 통해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루트간격을 확인하면서 정확하게 조절된 루트간격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수단(80')은 각 연결구와 각 부재 외경면에 한 쌍의 몸체(87)(87')를 밀착시킨 후, 관통공간(88)을 통해 연결구와 부재의 루트간격을 확인 및 조절한 상태에서 한 쌍의 몸체(87)(87')의 체결편(82)에 볼트/너트의 고정부재(84)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At this time, through the through
상기 한 쌍의 몸체(87)(87') 원주는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원주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한 쌍의 몸체(87)(87') 원주가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원주보다 작게 형성되면, 한 쌍의 몸체(87)(87')에 형성된 체결편(82) 사이에 소정의 간격(S)이 생기게 되고, 이 간격(S)은 체결편(82)에 볼트/너트의 고정부재(84)가 강하게 체결하여 한 쌍의 몸체(87)(87') 내경면 또는 내경면에 부착된 미끄럼방지부재(89)가 각 연결구와 부재의 외경면을 강하게 가압함과 동시에 강한 밀착력에 의한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유동을 방지하면서 강결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The pair of circumferences of the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끝단이 직각으로 절단되면서 접합부(25)(65)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개선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ds 25 and 65 of the connectors 22, 23, 24, 62, 63, 64 and the ends of the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트러스구조물(A)을 형성하고, 상기 트러스구조물(A)의 하부 조인트유닛(20)은 절점지지부(1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트러스구조물(A)의 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면서 트러스구조물(A)의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By repeating the above process to form the truss structure (A), since the lower
상기 가조립된 트러스 구조물(A)의 형상 및 정확도를 검사하여 형상 및 정확도를 유지하면, 클램핑수단(80')의 관통공간(88) 사이의 공간을 통해 용접기로 각 연결구(22)(23)(24)(62)(63)(64)의 접합부(25)(65)와 각 부재(30)(40)(50)(70)의 접합부(31)(41)(51)(71)를 용접기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데, 상기 용접기는 클램핑수단(80')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작업자에 의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If the shape and accuracy of the pre-assembled truss structure (A) is inspected to maintain shape and accuracy, each connector (22) (23) (with a welder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through
또한, 다른 클램핑수단(80')의 체결력은 유지시킨 상태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할 위치에서의 클램핑수단(80')의 고정부재(84) 체결력만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용접을 수행하는 위치의 클림팽수단(80')을 회전시키면서 용접기로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접합부를 용접하여 트러스구조물(A)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lamping pin at the position where welding is performed while the clamping force of the clamping means 80 'is relaxed only at the position where the welding operation is to be performed while the clamping force of the other clamping means 80' is maintained. The truss structure A can be formed by welding the joint of each connector and each member with a welding machine while rotating the means 80 '.
또한, 상기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접합부를 용접하는 다른 실시예는,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각 부재(30)(40)(50)(70)를 연결한 2개의 클램핑수단(80)(80') 중 어느 하나의 클램핑수단(80)(80') 즉,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의 클램핑수단(80)(80')을 해체하는데, 이는 고정부재(84)의 너트를 볼트에서 분리한 후, 한 쌍의 몸체(81)(81')(83)(83')(87)(87')를 연결구와 부재에서 분리한다.In addition, another embodiment of welding the joints of the respective connectors and each member, the respective connectors 22, 23, 24, 62, 63, 64 and each
이때, 상기 트러스 구조물(A)을 이루는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각 부재(30)(40)(50)(70) 및 이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클램핑수단(80)(80') 중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의 클램핑수단을 해체하는 것이므로 트러스 구조물(A)의 형상은 변형되지 않으며, 해체된 부분에 파이프 용접용 지그(90)를 장착함으로써,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에서의 연결구와 이에 연결되는 부재는 용접부가 대향하면서 일정한 용접루트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each connector 22, 23, 24, 62, 63, 64 and each
상기 클램핑수단(80)(80')이 해체된 부분에는 파이프 용접용 지그(90)를 장착하는데, 상기 파이프 용접용 지그(9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20)(60)의 각 연결구(22)(23)(24)(62)(63)(64) 중 어느 하나의 연결구 외경면을 수용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91)(91')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 외경면을 수용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93)(93')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91)(91')(93)(93') 내경면에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도록 일정각도 구획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구름수단(95)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의 루트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몸체(91)(91')(93)(93')를 하나 이상 연결하는 연결편(96)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96)으로 연결된 한 쌍의 몸체(91)(91')(93)(93')의 체결편(92)을 고정부재(94)의 볼트.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한다.A
또한,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각 부재(30)(40)(50)(70)를 연결하는 파이프 용접용 지그(90)의 설치는,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연결구(22)(23)(24)(62)(63)(64)의 외경면에 한 쌍의 몸체(91)(91')를 밀착시키고, 상기 각 부재(30)(40)(50)(70)의 외경면에 구름수단(95)을 밀착시킨 후, 한 쌍의 몸체(91)(91')(93)(93')의 체결편(92)에 고정부재(94)의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고정시킨다.In addition, installation of a
상기 한 쌍의 몸체(91)(91')(93)(93') 원주는 연결구(22)(23)(24)(62)(63)(64)와 부재(30)(40)(50)(70) 원주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ircumference of the pair of
상기 한 쌍의 몸체(91)(91')가 각 연결구와 각 부재의 원주보다 작게 형성되면, 상기 한 쌍의 몸체(91)(91')에 각각 형성된 체결편(92) 사이에 약간의 간격(S)이 생긴다. 이 간격은 체결편(92)에 고정부재(94)의 볼트/너트를 강결하게 체결할 경우, 한 쌍의 몸체(91)(91') 내경면에 돌출된 구름수단(95)이 각 연결구 및 각 부재의 외경면을 강하게 가압하는데, 이는 구름수단(95)이 연결구와 부재의 외경면에 들뜸없이 밀착되기 위함이고, 상기 구름수단(95)의 연결구와 부재의 외경면 밀착은 접합부 양측의 용접선이 오차없이 일정한 루트 간격을 유지하기 위함이다.When the pair of
이때, 상기 파이프 용접용 지그(90)를 회전시키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결구(22)(23)(24)(62)(63)(64)와 각 부재(30)(40)(50)(70)의 접합부(25)(65)를 용접기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데, 상기 용접기는 파이프 용접용 지그(90)에 각 연결구와 각 부재에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장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작업자에 의한 통상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13 while rotating the
여기서, 상기 파이프 용접용 지그(90)의 구름수단(95)이 연결구 및 부재의 외경면을 가압하고 있으므로 구름수단(95)에 의해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파이프 용접용 지그(90)의 회전으로 파이프 용접용 지그(90)에 용접기가 연동된 경우, 용접기가 접합부를 용이하게 용접할 수 있으며, 이의 과정을 반복하여 트러스 구조물(A)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Here, since the rolling means 95 of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limited to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to mean meanings and concepts.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herein are only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change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A: 트러스 구조물 10: 절점지지부
20: 하부 조인트유닛 30: 하현부재
40: 수직부재 50: 사부재
60: 상부 조인트유닛 70: 상현부재
80: 클램핑수단 90: 파이프 용접용 지그A: Truss structure 10: Node support
20: lower joint unit 30: lower member
40: vertical member 50: dead member
60: upper joint unit 70: top member
80: clamping means 90: jig for welding pipe
Claims (10)
상기 트러스구조물이 정확도를 유지하면, 가조립된 트러스구조물의 용접하고자하는 부분의 클램핑수단을 해체하는 단계와;
상기 클램핑수단이 해체된 트러스구조물의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에 원활할 회전을 안내하도록 다수의 구름수단이 구비된 파이프 용접용 지그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트러스구조물의 용접하고자 하는 부분에 장착된 파이프 용접용 지그를 회전시키면서 연결구와 부재의 접합부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접합부의 용접이 완료된 파이프 용접용 지그를 용접된 접합부에서 해체하여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Fixing each connector and each member of the lower and upper joint units with clamping means to check and correct the shape and accuracy of the prefabricated truss structure;
If the truss structure maintains accuracy, disassembling the clamping means of the portion to be welded to the assembled truss structure;
Installing a pipe welding jig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olling means to guide smooth rotation to a portion to be welded to the truss structure in which the clamping means is disassembled;
Welding a joint between a connector and a member while rotating a pipe welding jig mounted on a portion of the truss to be welded;
And disassembling and separating the pipe welding jig for welding the welded joint from the welded joint, wherein the truss structure is temporarily assembled using the clamping means.
상기 하·상부 조인트유닛의 각 연결구 중 어느 하나의 연결구 외경면을 수용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어느 하나의 부재 외경면을 수용하도록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몸체가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몸체 내경면에 원활한 회전을 안내하도록 일정각도 구획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구름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구와 부재의 루트간격을 유지하도록 한 쌍의 몸체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편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으로 연결된 한 쌍의 몸체의 체결편에 볼트/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jig for welding a pipe according to claim 8,
A pair of bodies provided to face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outer diame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connector of the lower, upper joint unit, a pair of mutually opposite to accommodate any one outer diameter surface connected to the connector A body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rolling means are provided to be partitio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guide the smooth rotation on the pair of inner diameter surfaces of the body, and connects the pair of bodies to maintain the root spacing between the connector and the member. The above connecting piece is provide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russ structure is prefabricated using a clamp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ing member for fastening the bolt / nut to the fastening piece of the pair of bod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iece.
상기 고정부재가 체결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몸체의 체결편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핑수단을 이용하여 가조립되는 트러스구조물의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Construction method of the truss structure is temporarily assembled using a clamp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gap is formed between the fastening pieces of the pair of body to which the fixing member is fasten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1/004930 WO2012005505A2 (en) | 2010-07-08 | 2011-07-06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structure temporarily assembled by using clamping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76754 | 2010-08-10 | ||
KR1020100076754 | 2010-08-10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1962A Division KR101201868B1 (en) | 2010-07-08 | 2011-04-07 | Temporary assembly of truss structures by clamping devi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5011B1 true KR101075011B1 (en) | 2011-10-20 |
Family
ID=45033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12968A KR101075011B1 (en) | 2010-07-08 | 2010-11-12 | Temporary assembly of tru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clamp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501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8601A (en) * | 2017-10-31 | 2019-05-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
KR102488197B1 (en) * | 2022-06-17 | 2023-01-13 |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 Methods for repairing of cable-stayed bridges and bracket used therefo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87292U (en) | 1979-11-30 | 1981-07-13 | ||
KR200245809Y1 (en) | 2001-06-02 | 2001-10-17 | 포철산기주식회사 | Jig of connection for pipe |
KR100965750B1 (en) * | 2009-05-29 | 2010-06-24 | 안경수 | Joint unit structure of pipe truss for temporary assembly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russ bridge with it |
-
2010
- 2010-11-12 KR KR1020100112968A patent/KR101075011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87292U (en) | 1979-11-30 | 1981-07-13 | ||
KR200245809Y1 (en) | 2001-06-02 | 2001-10-17 | 포철산기주식회사 | Jig of connection for pipe |
KR100965750B1 (en) * | 2009-05-29 | 2010-06-24 | 안경수 | Joint unit structure of pipe truss for temporary assembly and method constructing the truss bridge with it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48601A (en) * | 2017-10-31 | 2019-05-09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
KR102033052B1 (en) | 2017-10-31 | 2019-10-16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
KR102488197B1 (en) * | 2022-06-17 | 2023-01-13 | 다올이앤씨 주식회사 | Methods for repairing of cable-stayed bridges and bracket use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54238B2 (en) | Beam-column joint structure | |
US20190338506A1 (en) | Pillar fixing metal fitting | |
KR101075011B1 (en) | Temporary assembly of truss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by clamping device | |
CN202064456U (en) | End and local extension type buckling-prevention support-beam-column connecting joint | |
JP2006276015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installation part of jet pump riser tube brace to reactor vessel pad in reactor | |
CN102296704B (en) | End part local elongation type anti-buckling support-beam-column connecting node | |
KR101685577B1 (en) | Jig For Fabricating the Concrete Pile Mol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Concrete Pile Mold Using the Same | |
KR101201868B1 (en) | Temporary assembly of truss structures by clamping device | |
KR20130042837A (en) | Construction method of pipe truss using temporary assembly | |
JP2017223071A (en) | Joining method for and joined structure of steel member | |
CN114799753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spatial special-shaped multi-curved-surface steel structure | |
JP5706731B2 (en) | Column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nd tower-lik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 |
JP6446346B2 (en) | Installation method of diagonal pillar | |
JP5682960B2 (en) | Steel structure reinforcement structure and reinforcement method | |
KR20120121651A (en) | Temporary assembly device of truss structures and consturction method of truss structures construction methode thereof using temporary assembly device | |
KR102077167B1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ipe rack structure | |
JPH08311989A (en) | Joint structure of steel skeleton building construction | |
JP2008038367A (en) | Disassemblable column/beam joint | |
JP7013352B2 (en) |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 |
JP6802675B2 (en) | Beam-column joining method and joint member | |
JP2003239532A (en) | Walkway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 |
KR10141990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ubular diagrid system | |
WO2012005505A2 (en) |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structure temporarily assembled by using clamping means | |
JP2019112876A (en) | Junction fitting and building structure using the same | |
JP7162457B2 (en) | Joining structure of retrofitted br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