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558B1 -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558B1
KR101074558B1 KR1020090066454A KR20090066454A KR101074558B1 KR 101074558 B1 KR101074558 B1 KR 101074558B1 KR 1020090066454 A KR1020090066454 A KR 1020090066454A KR 20090066454 A KR20090066454 A KR 20090066454A KR 101074558 B1 KR101074558 B1 KR 101074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partition plate
medium
customer
integrat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898A (ko
Inventor
최건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9006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558B1/ko
Publication of KR201100088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8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분리장치(30)에는 집적공간(13)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획판(31)이 구비되며, 상기 구획판(31)에 의해 매체가 권종(券種)별로 구분된다. 상기 구획판(31)은 가이드(40)를 따라 왕복이동 가능한 이동아암(35)에 결합된다. 이동아암(35)의 전진 및 후진 위치는 위치확인센서(47, 48)에 의해 감지된다. 고객이 복수의 매체 권종을 요청하면, 매수가 많은 제1권종(M1) 매체가 집적공간(13)으로 1차 방출되고, 다음에 구획판(31)이 전진하여 집적공간(13)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제2권종(M2)이 집적공간(13)으로 2차 방출되어 구획판(31)에 쌓이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구획판(31)에 의해 매체가 권종별로 구분되어 제공되므로 고객이 매체를 권종별로 구분하여 수취할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매체 자동 지급, 권종, 구분, 수취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A Media Separating Apparatus For Media Dispenser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고객의 요청에 따라 보관된 매체를 이송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매체자동지급기는 고객으로부터 입력되는 매체 지급 요청에 따라 매체를 지급하게 된다. 예를 들어 고객이 매체를 지급요청하면, 매체 보관부에서 매체를 이송하여 매체집적박스에 집적시키고, 매체의 집적이 완료되면 매체집적박스의 커버가 열리면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고객이 매체를 꺼내면 상기 커버가 닫히면서 고객이 매체 수취를 제대로 했는지 매체집적박스에 남은 매체를 검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매체자동지급기에 의하면, 고객이 여러 권종(券種)의 매체 동시에 요청할 경우 권종의 구분없이 매체가 동시에 방출되므로 고객이 매체를 정 리하려면 매체들을 수취한 후에 구분 및 확인하면서 권종에 따라 직접 분리해야하는 불편이 있었다. 예를 들어 지폐의 경우 고액권과 소액권이 동시에 방출되어 고객이 이들을 직접 구분하여 정리해야 하는 블편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객이 매체를 권종에 따라 분리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고객에게 제공될 매체가 방출되어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매체집적박스와; 상기 집적공간으로 제1권종이 방출된 후에 상기 집적공간으로 돌출되고 이후 방출되는 제2권종과 상기 제1권종을 분리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을 상기 집적공간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집적공간을 향해 전후진이 가능한 이동아암과; 상기 이동아암의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면 일측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이동아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가이드의 내측면에 맞물려 이동하는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획판이 결합되는 이동아암의 일면과 대응되는 상기 가이드의 가이드정면에는 상기 구획판의 양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체집적박스에는 상기 매체의 잔류를 감지하기 위한 광발생부와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매체잔류확인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광발생부 가 발생시키는 광(L)이 통과하도록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아암의 일측에는 위치감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아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위치감지부의 위치를 확인하는 두 개의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이동아암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이동아암의 전진최종위치와 후퇴최종위치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고객이 복수의 권종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가 매체의 방출순서를 결정하는 제1단계; 먼저 방출되는 제1권종이 집적공간으로 방출되는 제2단계; 상기 제1권종의 방출이 완료된 후에 구획판이 전진 이동하여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제3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뒤에 방출되는 것으로 결정된 제2권종이 방출되는 제4단계; 상기 집적공간이 개방되어 고객이 상기 구획판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제1권종과 제2권종을 구분하여 수취할 수 있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매수가 많은 권종을 먼저 방출되는 제1권종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매체분리장치의 구획판이 집적공간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복수의 매체 권종을 분리한다. 이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복수의 매체를 권종별로 구분하여 수취할 수 있게 되어 매체의 권종이 신속하게 확인되고 고객이 집적 매체를 구분하는 수고를 덜어주어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매체분리장치에서 구획판의 초기 위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매체분리장치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매체자동지급기는 매체를 보관하는 피드모듈(미도시)과, 상기 피드모듈로부터 매체를 이송시키는 딜리버리모듈(미도시)과, 상기 딜리버리모듈에 의해 이송된 매체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하는 고객접근모듈(10)로 구성된다.
고객접근모듈(10)에는 상기 딜리버리모듈에 의해 이송된 매체가 쌓이는 매체집적박스(12)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집적박스(12)는 상방으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집적공간(13)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공간(13)의 일면에는 매체(M1)가 집적되는 집적면(14)이 형성된다. 상기 집적면(14)은 상기 매체(M1)의 일면과 평행한 면이다. 상기 매체집적박스(12)의 개구된 상부는 커버(1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10)에는 상기 딜리버리모듈을 통해 이송된 상기 매체(M1, M2)가 상기 매체집적박스(12)로 방출되도록 하는 매체방출부(2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방출부(20)는 상기 매체(M1, M2)를 방출구(21) 방향으로 이송하는 피드롤러(23)와 아이들롤러(23')를 포함한다. 상기 피드롤러(23)는 이송벨트(25)에 의해 구동모터(미도시)의 동력을 전달받으며, 도 1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아이들롤러(23')는 상기 피드롤러(23)와 밀착된 상태에서 마찰에 의해 도 1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피드롤러(23)와 아이들롤러(23')에 의해 상기 매체(M1, M2)가 집적공간(13)으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고객접근모듈(10)에는 상기 집적공간(13)에 집적되는 매체(M1, M2)를 권종에 따라 분리하기 위한 매체분리장치(30)가 구비된다. 즉, 상기 매체분리장치(30)는 상기 집적공간(13)에 쌓이는 매체(M1, M2)의 제1권종(M1)과 제2권종(M2)을 구획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객이 제1권종(M1)과 제2권종(M2)으로 지급을 요청하였을 경우, 제1권종(M1)이 집적공간(13)에 모두 안착된 후에, 제2권종(M2)이 집적공간(13)으로 공급되는데, 상기 제2권종(M2)이 상기 방출구(21)를 빠져나오기 전에 상기 매체분리장치(30)의 구획판(31)이 상기 집적공간(13)으로 돌출되어 마지막 안착되는 제1권종(M1)과 처음으로 안착되는 제2권종(M2)을 구획하게 되는 것이다. 매체 권종의 분리과정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한번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매체분리장치(30)는 상기 집적공간(13)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획판(31)을 가진다. 상기 구획판(31)은 대략 납작한 판형상이며, 상기 집적면(14)과 평행하게 구비되어 매체를 분리한다. 상기 구획판(31)은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구획판(31)의 내부에는 두 개의 통공(33)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매체잔류확인센서(50)의 광(L)이 통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구획판(31)의 일측에는 이동아암(35)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아암(35)은 가이드(40)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아암(35)의 양측 단부 내부에는 기어(미도시)기 설치된다. 상기 기어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아암(35)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미도시)의 회전축과 연결된다. 상기 기어는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후술할 가이드(40)의 기어부(45)와 맞물려 상기 기어부(45)를 따라 이동한다.
상기 이동아암(35)의 일측 단부의 외측에는 위치확인센서(47, 48)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감지부(36)가 형성된다. 상기 위치감지부(36)의 재질, 색상, 형상 또는 위치감지부(36)가 발생시키는 신호 등을 상기 위치확인센서(47, 48)가 인지함에 따라 상기 이동아암(35)의 위치가 확인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감지부(36)가 상기 이동아암(35)의 단부에서 돌출되는 형상이며 가이드(4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40)는 상기 매체집적박스(12)의 외부에 두 개가 동일한 간격으로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40)에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개구됨에 의해 채널(41)이 형성된다. 상기 채널(41)에 상기 이동아암(35)의 양단부가 안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40)의 채널(41)의 안쪽 일면을 따라서는 상기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45)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기어부(45)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기어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아암(35)이 상기 가이드(40)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아암(35)의 위치감지부(36)가 돌출되는 상기 가이드(40)의 외측에는 제1 및 제2위치확인센서(47, 48)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이동아암(35)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위치감지부(36)는 상기 제1 및 제2위치확인센서(47, 48)와 선택적으로 마주하게 된다. 상기 제1위치확인센서(47)는 상기 이동아암(35)의 전진 최종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제2위치확인센서(48)는 상기 이동아암(35)의 후퇴 최종 위치를 확인한다. 상기 제1 및 제2위치확인센서(47, 48)와 상기 위치감지부(36)에 의해 상기 이동아암(35)의 위치와 작동여부가 확인된다.
도 4와 같이 상기 가이드(40)의 상기 구획판(31)과 결합되는 가이드정면(42) 양측에는 가이드슬릿(43)이 'ㄷ'자 형상으로 각각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43)은 상기 구획판(31)의 양단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상기 구획판(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매체집적박스(12)에는 집적공간(13)과 상기 구획판(31)에 잔류하는 매체를 감지하기 위한 매체잔류확인센서(50)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잔류확인센서(50)는 광발생부(53)와 광수신부(55)로 구성된다. 상기 광발생부(53)와 광수신부(55)는 서로 거리를 두고 위치하여 광발생부(53)에서 발생되는 광(L)을 상기 광수신부(55)가 확인함에 따라 상기 집적공간(13)에 매체라 잔류하는지 감지한다. 상기 광수신부(55)는 광발생부(53)의 광(L)이 감지되지 않으면 경고음을 울려 매체가 남아있음을 고객에게 알려준다.
상기 집적공간(13)에 매체가 남아 있지 않다면, 광발생부(53)의 광(L)이 집적공간(13)을 가로질러 광수신부(55)에 까지 도달하여 광수신부(55)의 경고음 발생 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구획판(31)이 집적공간(13)에 나와있을 때에도 상기 광(L)은 상기 구획판(31)의 통공(33)을 통해 직진할 수 있도록 된다.
반대로, 상기 집적공간(13)에 매체가 남아있으면, 상기 광발생부(53)의 광(L)이 매체에 의해 반사되고, 광수신부(55)가 광(L)을 감지하지 못하므로 경고음을 발생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과 매체 권종 분리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매체자동지급기의 초기상태는 도 3과 같이 매체분리장치(30)의 구획판(31)이 후퇴하여 집적공간(13)이 비워져 있는 상태이다.
고객이 매체 지급을 요청하면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이 시작된다. 매체자동지급기의 안내에 따라 고객이 매체지급매수를 결정하고(S100), 매체의 권종을 결정한다(S110). 고객이 복수의 권종 예를 들어 고액권과 소액권을 결정하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제어부(미도시)에서 권종에 따른 매체의 방출순서를 결정한다(S200). 상기 제어부는 방출매수가 많은 권종을 1차 방출하고 방출매수가 적은 권종을 2차 방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우선 배출될 제1권종(M1) 매체가 1차 방출된다(S210). 매체(M1, M2)의 방출은 피드롤러(23)가 동작됨에 따라 방출구(21)를 통해 이루어지며, 같은 방식으로 제1권종(M1)이 집적공간(13)에 차곡차곡 쌓인다.
제1권종(M1)이 모두 방출되면 상기 매체분리장치(30)의 구획판(31)이 전진하 여 집적공간(13) 내부로 돌출된다(S220). 상기 구획판(31)은 상기 구획판(31)과 결합된 이동아암(35)이 상기 가이드(40)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이동아암(35)의 왕복이동은 상기 이동아암(35)의 내부의 기어가 모터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40)의 기어부(45)에 맞물린상태에서 이동하게 됨에 의해 달성된다.
이와 같이 구획판(31)이 집적공간(13)에 돌출된 상태에서 매체의 제2권종(M2)이 집적공간(13)으로 방출된다(S230). 이렇게 방출된 제2권종(M2)은 상기 구획판(31)에 쌓이게 된다. 제2권종(M2)이 모두 방출되면, 상기 구획판(31)에 의해 제1권종(M1)과 구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매체집적박스(12)의 커버(15)가 오픈되며, 매체잔류확인센서(50)가 작동된다(S240). 고객은 오픈된 매체집적박스(12)에서 구획판(31)에 의해 분리되는 제1권종(M1)과 제2권종(M2) 매체를 따로따로 수취할 수 있게 된다(S250). 고객이 매체를 모두 수취한 경우, 커버(15)가 닫히면서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이 종료된다.
이때, 고객이 매체를 일부 수령하지 않아 매체가 집적공간(13)에 남게 되면, 매체잔류확인센서(50)에 의해 경고음이 발생되어 고객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구획판(31)이 후퇴한 후 집적공간(13)에 잔류한 매체를 별도의 회수장치(미도시)가 회수함으로써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이 종료된다.
한편, 상기 매체 권종 결정 단계에서 고객이 단일 권종을 선택한 경우, 매체 분리장치(30)가 동작되지 않으며 구획판(31)도 집적공간(13) 내부로 돌출되지 않는 초기상태를 유지한다(S300). 이 상태에서 단일 권종의 매체가 방출되고(S310), 커버(15)가 오픈되어 고객이 매체를 수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S320). 이때에도 매체잔류확인센서(50)가 작동되어 매체 잔류 여부를 알려준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아암(35)의 내부에 설치되고 구동모터(46)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미도시)가 가이드(40)의 기어부(45)를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매체분리장치(30)의 이동아암(35)이 가이드(4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동아암(35)을 가이드(40)를 따라 왕복이동시킬 수 있는 이동수단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링크장치와 공압실린더로 이동아암을 이동시키거나, 풀리와 벨트에 의해 이동아암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집적공간(13)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획판(31)이 두 개 구비되어 시간차를 두고 집적공간(13) 내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두 개의 구획판(31)이 시간차를 두고 돌출되면 세가지 권종의 매체가 구분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매체자동지급기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분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매체분리장치에서 구획판의 초기 위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매체분리장치를 화살표 A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객접근모듈 12: 매체집적박스
13: 집적공간 14: 집적면
20: 매체방출부 21: 방출구
23: 피드롤러 30: 매체분리장치
31: 구획판 35: 이동아암
40: 가이드 41: 채널
42: 가이드정면 45: 기어부
47, 48: 제1 및 제2위치확인센서 49: 가이드슬릿
50: 매체잔류확인센서 53: 광발생부
55: 광수신부 M1, M2: 제1 및 제2권종

Claims (7)

  1. 내부에 고객에게 제공될 매체가 방출되어 집적되는 집적공간이 형성되는 매체집적박스와;
    상기 집적공간으로 제1권종이 방출된 후에 상기 집적공간으로 돌출되고 이후 방출되는 제2권종과 상기 제1권종을 분리하는 구획판과;
    상기 구획판을 상기 집적공간 내외부로 선택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상기 구획판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집적공간을 향해 전후진이 가능한 이동아암과;
    상기 이동아암의 이동을 안내하며 내측면 일측에 기어부가 형성되는 가이드와;
    상기 이동아암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동력을 제공받고 상기 가이드의 내측면에 맞물려 이동하는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이 결합되는 이동아암의 일면과 대응되는 상 기 가이드의 가이드정면에는 상기 구획판의 양단이 삽입되어 안내되도록 가이드슬릿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매체집적박스에는 상기 매체의 잔류를 감지하기 위한 광발생부와 광수신부를 포함하는 매체잔류확인센서가 더 구비되고,
    상기 구획판에는 상기 광발생부가 발생시키는 광(L)이 통과하도록 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아암의 일측에는 위치감지부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동아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위치감지부의 위치를 확인하는 두 개의 위치감지센서가 상기 이동아암의 이동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상기 이동아암의 전진최종위치와 후퇴최종위치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6. 고객이 복수의 권종을 선택함에 따라 제어부가 매체의 방출순서를 결정하는 제1단계;
    먼저 방출되는 제1권종이 집적공간으로 방출되는 제2단계;
    상기 제1권종의 방출이 완료된 후에 구획판이 전진 이동하여 상기 집적공간 내부로 돌출되는 제3단계;
    상기 제어부에 의해 뒤에 방출되는 것으로 결정된 제2권종이 방출되는 제4단계;
    상기 집적공간이 개방되어 고객이 상기 구획판에 의해 분리된 상태의 제1권종과 제2권종을 구분하여 수취할 수 있는 제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대적으로 매수가 많은 권종을 먼저 방출되는 제1권종으로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방법.
KR1020090066454A 2009-07-21 2009-07-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KR101074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54A KR101074558B1 (ko) 2009-07-21 2009-07-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454A KR101074558B1 (ko) 2009-07-21 2009-07-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98A KR20110008898A (ko) 2011-01-27
KR101074558B1 true KR101074558B1 (ko) 2011-10-17

Family

ID=4361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454A KR101074558B1 (ko) 2009-07-21 2009-07-21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3997B1 (ko) 2017-11-08 2019-03-05 오장록 걷기운동 보조기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690B1 (ko) 2004-12-30 2010-12-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690B1 (ko) 2004-12-30 2010-12-2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입출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898A (ko)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3856B1 (ko) 지엽류 취급 장치
US9240107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dispensing bill
US7698880B2 (en) Coin wrapping machine
EP3299319B1 (en) Banknote stacking apparatus
US8596444B2 (en) Paper bill depositing/dispensing apparatus
JP2002260061A (ja) 紙幣取扱装置
KR20040073244A (ko) 지폐 입출금 장치
JP2005010967A (ja) 紙幣入出金装置および現金自動取引装置
JP200728029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5465188B2 (ja) 紙葉類取扱装置
KR101074558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분리장치 및 매체 권종 분리방법
KR101836305B1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2016157250A (ja) 媒体束収納装置及び媒体処理装置
JPWO2010032281A1 (ja) 紙幣入金処理ユニット、および紙幣入金処理ユニットに脱着可能な投入・返却ユニット
KR101745089B1 (ko) 지폐집적장치
CN108961535B (zh) 纸币处理装置
JP2019152905A (ja) 媒体処理装置
JP2016133966A (ja) 媒体引渡装置及びシャッタ開閉機構
KR102357061B1 (ko) 지폐처리장치 및 방법
KR101769622B1 (ko) 시트롤러를 이용한 지폐집적장치와 지폐집적방법
JP3467886B2 (ja) 紙葉類取扱い装置
KR20180033908A (ko) 지폐 쓰러짐 방지 기능을 갖는 지폐류 입출금 장치
JP6781032B2 (ja) 自動釣銭入出金機
JP2018045628A (ja) 媒体取引装置
JP6728762B2 (ja) 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