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097B1 - 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097B1
KR101074097B1 KR1020070039254A KR20070039254A KR101074097B1 KR 101074097 B1 KR101074097 B1 KR 101074097B1 KR 1020070039254 A KR1020070039254 A KR 1020070039254A KR 20070039254 A KR20070039254 A KR 20070039254A KR 101074097 B1 KR101074097 B1 KR 101074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guide rail
guide
lever memb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9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5012A (ko
Inventor
정유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39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097B1/ko
Priority to EP08100039.0A priority patent/EP1965265B1/en
Priority to US11/968,968 priority patent/US7773910B2/en
Publication of KR20080095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5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0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originals
    • G03G15/605Holders for originals or exposure plat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43Allowing easy access, e.g. for maintenance or in case of paper j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3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몸체; 이 제 1 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몸체; 및 제 2 몸체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개폐장치;를 구비한다. 개폐장치는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일단이 링크 결합된 가이드레버부재; 및 상기 다른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을 규제하는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폐쇄시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는 제 2 가압부가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되고, 제 2 몸체가 급격하게 폐쇄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사용 편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커버, 개폐, 가이드, 도어, 힌지, 레일, 링크, 스프링, 캠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폐쇄 상태 및 개방 상태를 개략적으로 타낸 도면,
도 2는 도 1b에 나타낸 화상형성장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요부인 개폐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레일부재의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 개폐장치를 구성하는 가이드레버부재의 상세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가이드레버부재의 링크 결합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가이드레일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가이드레일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제 1 몸체 20;제 2 몸체
30,30';개폐장치 40;힌지유닛
50;가이드레버부재 51;C형 홈
52;이동축 53;이탈 방지 돌기
60,600;가이드레일부재 61;가이드레일
70;제 1 가압부 80;제 2 가압부
71,81;제 1 및 제 2 탄성 절곡부
72,82;제 1 및 제 2 탄성 공간부
610,620;제 1 및 제 2 탄성부재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구조가 개선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본체에 설치된 구성 부품의 보수유지 및/또는 용지 이송로에 잼된 용지의 제거를 위하여, 본체의 상부를 개방할 수 있는 커버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한 것이 많다. 이와 같이 개폐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 경우, 커버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유지시키는 개폐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커버를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로 유지시키는 종래의 개폐장치로, 일본 특개평 8-143054 호 및 일본 특개평 10-98278 호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본 특개평 8-143054 호 및 10-98278 호에 개시된 개폐장치는 단순히 커버 기능만 하여 무게가 무겁지 않은 커버의 경우에는 효율적이지만, 커버에 스캐너나 ADF 등 과 같은 부가장치가 마련되어 그 무게가 무거운 커버유닛의 경우에는 커버유닛의 개방 상태 유지가 어렵고, 또 커버유닛의 폐쇄시 커버유닛이 급격히 하강함으로써 본체에 충격을 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 특개 2006-119474 호에는 무게가 무거운 커버유닛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에서도 커버유닛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특개 2006-119474 호에는 화상형성유닛 또는 화상독취유닛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걸림부재; 및 다른 유닛에 지지되는 일단부와 화상독취유닛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걸림부재와 지지되는 타단부를 가지며, 개방 위치에서 양 유닛을 연결하는 링크부재;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일본 특개 2006-119474 호에 개시된 화상형성장치는 링크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그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링크부재의 타단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인장코일 스프링을 반드시 구비하여야만 소정의 목적하는 바를 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인장코일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 링크부재의 직립 상태가 불안정하여 작업 중(구성 부품 보수 유지 및/또는 잼 제거 등과 같은 작업) 커버유닛이 의도하지 않게 폐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무거운 커버유닛이 급격히 하강하여 폐쇄됨으로써 본체에 충격이 가해질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끼여 부상을 당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수 유지 등을 위한 본체 개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한 화 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상기 제 2 몸체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의 양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일단이 링크 결합된 가이드레버부재; 및 상기 다른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을 규제하는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폐쇄시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는 제 2 가압부가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몸체와 제 2 몸체는 그 전후 좌우 폭이 동일하며, 상기 제 2 몸체에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몸체에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외한 다른 화상형성유닛들이 C자형 용지 패스를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화상형성유닛들은 급지유닛, 현상유닛, 전사유닛, 정착유닛 및 배지유닛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 2 몸체에 구성된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부재는 상기 제 1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버부재는 상기 제 2 몸체에 링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상향 절곡된 제 1 탄성 절곡부와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여, 제 2 몸체가 개방된 경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을 규제함으로써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 때, 상기 제 1 탄성 공간부에는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제 2 탄성 절곡부와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여, 제 2 몸체가 폐쇄될 때 하강력을 감소시켜 제 2 몸체가 부드럽게 폐쇄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 2 탄성 공간부에는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가압부와 제 2 가압부는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제 2 가압부가 제 1 가압부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제 2 몸체의 개방 동작을 부드럽게 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버부재는 그 일단에 상기 제 2 몸체에 마련된 축에 후킹 결합되는 C형 홈이 마련되며, 그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마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제 2 몸체의 개방각도는 40 내지 80°범위, 바람직하게는 45°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몸체; 및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상기 제 2 몸체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의 양측면에 일단이 각각 링크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레버부재; 및 상기 다른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을 규제하는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몸체의 폐쇄시 급격한 하강을 방지하는 제 2 가압부가 마련된 가이드레일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가압부는 제 2 몸체의 무게에 따라 그 갯수가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제 1 몸체(10), 상기 제 1 몸체(10)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몸체(20) 및 상기 제 1 몸체(10)에 대한 상기 제 2 몸체(20)의 개폐를 가이드하는 개폐장치(30)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몸체(10)와 제 2 몸체(20)는 힌지유닛(40)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에 대하여 회동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힌지유닛(40)과는 다른 위치에 상기 개폐장치(30)가 위치되어 상기 제 2 몸체(20) 의 개폐 동작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몸체(10)와 상기 제 2 몸체(20)는 그 전후 좌우 폭이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며, 제 2 몸체(20)의 상면 또한 평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1 몸체(10)에는 화상 형성에 필요한 구성 부품으로서 급지유닛(11), 현상유닛(12), 전사유닛(13), 정착유닛(14) 및 배지유닛(15) 등이 C자형 용지 패스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몸체(20)에는 노광유닛(21)과 스캐너유닛(22) 등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몸체(10)(20) 내에 배치된 각 구성 부품의 보수 유지 및 용지 잼 제거 등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에 대하여 힌지유닛(40)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때, 상기 개폐장치(30)가 상기 제 2 몸체(20)의 개방 및 폐쇄를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장치(30)는 상기 제 2 몸체(20)가 제 1 몸체(10)에 대하여 과도한 각도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또한, 제 2 몸체(20)의 폐쇄시 자중에 의해 제 2 몸체(20)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몸체(10)에 대한 제 2 몸체(20)의 개방 각도는 40 내지 80°범위가 적당하다. 제 2 몸체(20)의 개방 각도가 80°를 넘어가는 경우 화상형성장치의 전복 위험이 있으며, 40°미만의 경우 보수 유지 및 잼 제거에 어려움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45°정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개폐장치(3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몸체(20)에 일단이 링크 결합된 가이드레버부재(50)와 상기 제 1 몸체(10)에 설치된 가이드레일부재(6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레버부재(50)는 그 일단에 C형 홈(51)이 마련된다. 이 홈(51)이 상기 제 2 몸체(20)에 마련된 축(23)에 후킹됨으로써 제 2 몸체(20)에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레버부재(50)의 타단에는 후술되는 가이드레일부재(60)에 연결되는 이동축(52)이 마련되며, 이 이동축(52)의 단부에는 이탈 방지 돌기(53)가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부재(60)는 제 1 몸체(10)의 일측면에 나사 등과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설치된다. 이 가이드레일부재(60)에는 상기한 가이드레버부재(50)의 이동축(52)이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이드레일(61)이 마련된다. 상기 가이드레일(61)은 제 1 가압부(70)와 제 2 가압부(8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레버부재(50)의 이동축(52)이 상기 가이드레일(61)에 삽입된 경우 이동축(52)의 단부에 마련된 이탈 방지 돌기(53)가 가이드레일(6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가이드레일(61)로부터 이동축(52)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가압부(70)는 상기 제 2 몸체(20)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50)의 타단부, 즉 이동축(52)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제 2 몸체(20)의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제 1 탄성 절곡부(71)와 이 제 1 탄성 절곡부(71)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탄성 공간부(7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용자에 의한 제 2 몸체(20)의 개방시 가이드레버부재(50)의 이동축(52)은 초기 위치에서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제 1 가압부(70)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고, 완전 개방된 시점에서 상기 이동축(52)은 제 1 가압 부(70)를 넘어 위치하게 된다. 제 2 몸체(20)가 완전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을 제거하면 제 2 몸체(20)의 자중에 의한 힘이 상기 가이드레버부재(50)에 작용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레버부재(50)의 이동축(52)은 상기 제 1 가압부(7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제 1 가압부(70)의 탄성은 상기 제 2 몸체(20)의 자중에 의한 힘 이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추가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제 2 몸체(20)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 2 가압부(80)는 상기 제 2 몸체(20)의 폐쇄시 그 자중에 의해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2 탄성 절곡부(81)와 이 제 2 탄성 절곡부(81)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탄성 공간부(8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 2 몸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외력이 제 2 몸체(20)에 가해지면, 제 1 가압부(70)에 지지되어 있던 가이드레버부재(50)의 이동축(52)이 제 1 가압부(70)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가이드레일(61)을 따라 제 2 가압부(80) 쪽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제 2 가압부(80)가 상기 이동축(52)이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축(52)은 상기 제 2 가압부(8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천천히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몸체(20)는 서서히 폐쇄되게 된다. 상기 이동축(52)이 상기 제 2 가압부(80)를 넘어서서 초기 위치로 이동하면 이 위치를 상기 제 2 가압부(80)가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추가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제 2 몸체(20)는 들리거나 하지 않는다.
즉, 상기한 가이드레일(61)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가압부(70)(80)의 구성만 으로 가이드레버부재(50)의 적어도 2개의 위치가 확실히 규제되며, 제 2 몸체(20)의 폐쇄시 제 2 몸체(20)가 급격히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종래의 일본 특개 2006-119474 호에서는 위와 같은 작용을 위해 인장코일 스프링이 반드시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추가의 스프링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가압부(70)와 제 2 가압부(80)는 그 높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가압부(70)의 높이보다 상기 제 2 가압부(80)의 높이를 높게 하는 경우, 제 2 몸체(20)의 개방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좋다. 이 때, 부가적으로 제 2 몸체(20)의 폐쇄시 제 2 몸체(20)가 보다 천천히 하강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의 요부인 가이드레일부재(600)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인 구성은 앞서 설명한 가이드레일부재(60)와 동일하나, 제 1 및 제 2 탄성 공간부(72)(82)에 제 1 및 제 2 탄성부재(61O)(620)가 설치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가이드레일부재(6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610)(620)는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공간부(72)(82)에 설치되어 제 1 및 제 2 탄성 절곡부(71)(81)의 탄성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 절곡부(71)(81)의 자체 탄성에 더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610)(620)에 의한 탄성이 상기 탄성 절곡부(71)(81)에 가해지므로 가이드레버부재(50)의 위치 규제 및 제 2 가압부(80)의 댐퍼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20)의 무게가 더 무거운 경우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610)(6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 2 몸체(20)의 무게에 따라 탄성부재(610)(620)의 수를 증감하여 구성함으로써 화상형성장치의 다양한 모델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의한 개폐장치는 제 2 몸체(20)의 무게에 따라 가압부의 수를 3개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가압부를 3개로 구성하는 경우, 앞선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가압부(70)(80) 사이에 제 3 가압부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면, 제 2 몸체(20)가 무거운 경우에도 2단계로 댐퍼 역할을 함으로써 제 2 몸체(20)의 급격한 하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는 개폐장치(30)(30')가 제 1 몸체(10) 및 제 2 몸체(20)의 양측면 모두에 대칭적으로 구비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장치(30)(30')를 화상형성장치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하면, 제 2 몸체(20)의 지지력이 평형을 이룸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제 2 몸체(2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 2 몸체(20)의 폐쇄 동작도 보다 원활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제 1 몸체(10)에 가이드레일부재(60)가 설치되 고, 제 2 몸체(20)에 가이드레버부재(50)가 설치된 예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 제 1 몸체(10)에 가이드레버부재(50)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몸체(20)에 가이드레일부재(60)가 설치될 수도 있는 등 도시예의 경우로 꼭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 2 몸체(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커버유닛에 해당)에 스캐너유닛 및/또는 ADF가 구성되거나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구성됨으로써 제 2 몸체가 무겁게 구성된 화상형성장치의 경우에도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를 안정적이면서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몸체의 폐쇄시에도 급격히 하강하지 않고 부드럽게 폐쇄되므로 제 2 몸체가 급격히 하강하여 폐쇄됨으로써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구성 부품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폐쇄시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몸체 사이에 끼일 염려가 없다.
또한, 위와 같은 기능이 가이드레일부재와 가이드레버부재의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성이 대폭 개선된 저가의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2)

  1.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몸체;
    상기 제 2 몸체의 회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을 포함하는 가이드레버부재; 및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일단이 연결되지 않은 한 몸체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레일부재는,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1단과 상기 제 2 몸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구성하며, 탄성으로 상기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을 규제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구성하며, 탄성으로 상기 제 2 몸체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급격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 및 제 2 몸체는 그 전후좌우 폭이 동일하며,
    상기 제 2 몸체에는 레이저 스캐닝 유닛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몸체에는 상기 레이저 스캐닝 유닛을 제외한 다른 화상형성유닛들이 C자형 용지 패스를 이루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몸체에 구성된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 상기 가이드레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와 상기 제 2 가압부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부의 높이가 상기 제 1 가압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상향 절곡된 제 1 탄성 절곡부; 및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공간부에는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 1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제 2 탄성 절곡부; 및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공간부에는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제 2 탄성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상향 절곡된 제 1 탄성 절곡부; 및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제 2 탄성 절곡부; 및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가이드레일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제 2 몸체에 마련된 축에 후킹 결합되는 C형 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제 2 몸체의 개방각도는 40 내지 8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제 2 몸체의 개방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인쇄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제 1 몸체;
    상기 제 1 몸체에 대하여 회동 개폐 가능한 제 2 몸체;
    상기 제 2 몸체의 회동을 제어하며,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어느 한 몸체에 연결된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쪽인 타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레버부재; 및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버부재에 대응되며, 상기 제 1 몸체 및 상기 제 2 몸체 중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일단이 연결되지 않은 한 몸체에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레일부재 각각은,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몸체가 개방 상태에 있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1단과 상기 제 2 몸체가 폐쇄 상태에 있는 위치에 대응되는 제2단을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구성하며, 탄성으로 상기 제 2 몸체의 개방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레버부재의 타단을 규제하는 제 1 가압부; 및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부를 구성하며, 탄성으로 상기 제 2 몸체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급격하게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 2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 상기 가이드레일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에 상향 절곡된 제 1 탄성 절곡부; 및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1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가압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타측에 상향 절곡된 제 2 탄성 절곡부; 및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의 하측에 형성된 제 2 탄성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1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탄성부재와 상기 제 2 탄성 공간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 2 탄성 절곡부를 탄성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상기 제 2 몸체의 개방각도는 40 내지 80°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몸체에 대한 제 2 몸체의 개방각도는 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70039254A 2007-01-03 2007-04-23 화상형성장치 KR101074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54A KR101074097B1 (ko) 2007-04-23 2007-04-23 화상형성장치
EP08100039.0A EP1965265B1 (en) 2007-01-03 2008-01-03 Image Forming Apparatus
US11/968,968 US7773910B2 (en) 2007-01-03 2008-01-03 Image form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9254A KR101074097B1 (ko) 2007-04-23 2007-04-23 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12A KR20080095012A (ko) 2008-10-28
KR101074097B1 true KR101074097B1 (ko) 2011-10-17

Family

ID=40154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9254A KR101074097B1 (ko) 2007-01-03 2007-04-23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09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8336A1 (en) * 2004-10-22 2006-04-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restricts excessive pivotal movement of image read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88336A1 (en) * 2004-10-22 2006-04-2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restricts excessive pivotal movement of image read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5012A (ko)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1818B2 (en) Multifunction peripheral having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JP5256968B2 (ja) 画像形成装置
JP4650308B2 (ja) 鍵盤蓋の開閉機構
CN110745591B (zh) 片材给送装置和图像形成装置
KR100744049B1 (ko) 힌지 유닛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7383421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96526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4102678A (ja) 電子機器の上部開閉機構
EP2546704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162846A (en) Cover control mechanism
JP485832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90283987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074097B1 (ko) 화상형성장치
US8611792B2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upper unit case, and image record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same
JP2010058302A (ja) 戸開閉順序規定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75601B2 (ja) 操作部角度調整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2816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9165A (ja) 上部カバー、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198142B2 (ja) 画像形成装置
JP5459502B2 (ja) 上部ユニットケースの開閉装置
JP468924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62037A (ja) 画像形成装置
JP666232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57156A (ja) 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
JP4657682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