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3185B1 -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3185B1
KR101073185B1 KR1020050023537A KR20050023537A KR101073185B1 KR 101073185 B1 KR101073185 B1 KR 101073185B1 KR 1020050023537 A KR1020050023537 A KR 1020050023537A KR 20050023537 A KR20050023537 A KR 20050023537A KR 101073185 B1 KR101073185 B1 KR 101073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audio signal
digital audio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23A (ko
Inventor
이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Priority to KR102005002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3185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3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3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7Class D power amplifiers; Switching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designed for a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51Pulse width modulation being used in an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OST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모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및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광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디지털 변환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40) 및 디지털/디지털 변환부 및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MOST, 광통신, 5.1CH, 7.1CH, PWM

Description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DIGITAL AMPLIFIER AND METHOD USING 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
본 발명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MOST(Media Oriented System transport: 이하 "모스트"라 함)를 이용하여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로는 카오디오가 대표적이다. 상기 카오디 오는 초기, 라디오와, 테이프 플레이어의 기능만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로 차량용 텔레비전, CD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및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독립 장치 및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이 상기 복수개의 독립 장치들이 결합된 복합장치들이 등장하였으며, 운전자는 통합 장치를 구매하여 장착하거나 각각의 독립 장치들을 구매하여 기존 장치들과 연결하여 장착하였다.
그러나 통합 장치는 사용하지 않는 기능들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독립 장치들을 구매하여 기존 장치와 연결하는 경우 연결 장치간 호환성 문제가 있었으며, 두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선(Wire)들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광통신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장치들 간의 디지털 통신을 수행하는 모스트(MOST) 통신 프로토콜 기술이 멀티미디어 장치에 적용될 것이다. 상기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므로 인해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장치들 간의 연결 및 분리가 용이하고 멀티미디어 장치들 간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모스트 통신 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므로 상기 모스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들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스트 통신을 이용하는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및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광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디지털 변환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40) 및 디지털/디지털 변환부 및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모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및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방 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광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통상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들은 라디오,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 CD 플레이이어 및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들 간을 모스트 프로토콜에 의해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상기 각 멀티미디어 장치들 각각은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으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멀티미디어 장치들을 통합 제어하기 위한 헤드 유닛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는 제어부(10), 저장부(20), 인터페이스부(30), 디지털 신호 처리부(40), 디지털/디지털 변환부(50) 및 증폭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제어 신호를 헤드 유닛 또는 각 멀티미디어 장치들로부터 입력받고 입력받은 제어신호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부(20)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증폭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영역과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구비한다.
인터페이스부(30)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2-Wire의 광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에 따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 인터페이스부(30)는 상기 모스트 프로토콜에 따라 수신되는 디지털 데이터로부터 제어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분리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제어부(10)로 출력하고,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 처리부(40)로 출력한다.(211 단계)
디지털 신호 처리부(40)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부(3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디지털 신호 처리, 즉 청취자의 취향에 맞는 음향 모드, 예를 들면, 발라드, 째즈, 락 등과 같은 음향 효과를 가지도록 처리하여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213단계)
디지털/디지털 변환부(50)는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8채널의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215단계)
증폭부(60)는 상기 PWM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PWM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SP)를 통해 출력한다.(217단계)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광통신을 이용함으로 아날로그 증폭장치가 가지 고 있는 복잡한 수많은 선들을 단 2개의 선으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적으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함으로 오디오 신호에 다양한 디지털 신호 처리(DSP) 효과를 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모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및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광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와,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고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지털/디지털 변환부와,
    소정의 제어를 받아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헤드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40) 및 디지털/디지털 변환부 및 증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청취자 취향에 따른 복수의 음향 모드를 가지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8채널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장치.
  3. 모스트 통신을 이용하여 헤드 유닛 및 복수개의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연결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방법에 있어서,
    상기 헤드 유닛 및 멀티미디어 장치들과 모스트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광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된 디지털 신호로부터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어 신호를 분리하는 과정과,
    상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청취자 취향에 따른 복수의 음향 모드를 가지도록 디지털 신호 처리하여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제2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 및 증폭하여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가 8채널 펄스폭 변조 디지털 오디오 신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방법.
KR1020050023537A 2005-03-22 2005-03-22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KR101073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37A KR101073185B1 (ko) 2005-03-22 2005-03-22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537A KR101073185B1 (ko) 2005-03-22 2005-03-22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23A KR20060101923A (ko) 2006-09-27
KR101073185B1 true KR101073185B1 (ko) 2011-10-12

Family

ID=37632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537A KR101073185B1 (ko) 2005-03-22 2005-03-22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318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23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3234B2 (en) Audio signal output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outputting audio signal
US6795004B2 (en) Delta-sigma modulation apparatus and signal amplification apparatus
US7936886B2 (en) Speaker system to control directivity of a speaker unit using a plurality of microphones and a method thereof
JP4792156B2 (ja) マイクロホンアレイを有するボイス制御システム
KR102202722B1 (ko) 헤드셋 장치에서 출력 신호를 적응적으로 교정하는 방법 및 헤드셋 장치
CN101005272A (zh) 多通道数字放大器、其信号处理方法及其音频再现系统
US2015036506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an audio signal
JP2009104459A (ja) 音声信号出力装置、プログラムの更新方法
US20090287329A1 (en) Audio Processor
KR101073185B1 (ko) 모스트 통신을 이용한 디지털 증폭 장치 및 방법
US20110058688A1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6737395B2 (ja) 信号処理装置
CN101212844B (zh) 普及型数码交叉网络音响系统
US20090284402A1 (en) Audio Processor
JP6018491B2 (ja) D/a変換回路、ゼロクロス点検出方法、それを用いた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オーディオコンポーネント装置、電子機器
JP2009225391A (ja) 音声再生システム
JP3788889B2 (ja) 音響再生装置及びスピーカ装置
US7496417B2 (en) Audio processing system for use in multi-channel audio chip
JP4207832B2 (ja)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JP2009060336A (ja) 増幅装置
JP4855207B2 (ja) ボリューム制御装置、方法、それを用いたオーディオ信号増幅回路ならびに電子機器
US20020198614A1 (en) Audio signal enhancement system
KR100551378B1 (ko) 헤드폰 출력을 위한 광디스크 재생장치의 디지털 리시버
KR20070068854A (ko) 디지털 앰프모듈이 구비된 퍼스널컴퓨터 및 그 디지털앰프모듈의 5.1채널 제어방법
JPH10334650A (ja) デジタ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