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852B1 -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852B1
KR101071852B1 KR1020090039141A KR20090039141A KR101071852B1 KR 101071852 B1 KR101071852 B1 KR 101071852B1 KR 1020090039141 A KR1020090039141 A KR 1020090039141A KR 20090039141 A KR20090039141 A KR 20090039141A KR 101071852 B1 KR101071852 B1 KR 101071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ysophosphatidylcholine
acid
inflammatory
docosahexaenoyl
active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0368A (ko
Inventor
김미리
석대은
Original Assignee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39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852B1/ko
Priority to JP2009234979A priority patent/JP2010260843A/ja
Priority to US12/581,026 priority patent/US20100286093A1/en
Publication of KR20100120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03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61Phosphorus acids or esters thereof not having P—C bonds, e.g. fosfosal, dichlorvos, malathion or mevinphos
    • A61K31/6615Compounds having two or more esterified phosphorus acid groups, e.g. inositol triphosphate, phyt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83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 A61K31/685Diesters of a phosphorus acid with two hydroxy compounds, e.g. phosphatidylinositols one of the hydroxy compounds having nitrogen atoms, e.g. phosphatidylserine,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eur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surge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r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인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 세포내에서 지질다당류 유래 NO 생성을 억제하고, 생체내(In vivo)에서 자이모산 A(zymosan A) 유도 복막염을 저해시킴으로써 항염증 효능이 우수하며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식품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 항염증(anti-inflammation).

Description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의 항염증 효능을 이용하여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염증 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또는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 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및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및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 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Jonathan Cohen, Nature, 420, 885-891, 2002).
염증의 발생 원인으로서는 생체에 다양한 생화학적인 현상이 관여하고 있으며, 특히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발생시키는 효소인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itric oxide synthase; NOS) 및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의 생합성과 관련된 효소들은 염증 반응을 매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L-아르기닌(L-Arginine)으로부터 NO를 생성시키는 효소인 NOS, 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류를 합성하는데 관련된 효소인 시클로옥시게나제(cyclooxygenase; COX)는 염증을 차단하는데 있어서 주된 목표가 되고 있다.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NOS는 몇 가지 종류가 존재하는데 뇌에 존재하는 뇌 일산화질소 합성효소(brain NOS; bNOS), 신경계에 존재하는 신경 일산화질소 합성효소(neuronal NOS; nNOS) 및 혈관계에 존재하는 내피 일산화질소 합성효소(endothelial NOS; eNOS) 등은 체내에 항상 일정수준으로 발현되고 있으며, 이들에 의해 소량 생성되는 NO는 신경전달이나 혈관확장을 유도하는 등 정상적인 신체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반하여,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s)이나 외부 자극물질에 의해 유도되는 iNOS(induced NOS)에 의해 급격히 과량 발생되는 NO는 세포독성이나 각종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만성 염증은 iNOS 활성의 증가와 관련 있다는 연구가 있다(Jon O. Lundberg, et al.,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2008). 또한, COX도 2종류의 이소형태가 존재하는데, COX-1은 세포 내에 항상 존재하여 세포보호작용에 필요한 프로스타글란딘(PGs)을 합성하는 작용을 나타내는 것에 반하여, COX-2는 염증반응시 세포내에서 급격히 증가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O 및 PGs의 정도를 향상시키는 iNOS 및 COX-2를 포함하는 전사 염증 인자는 다양한 경화(sclerosis),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 알쯔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및 결장암(colon cancer)을 포함하는 만성 질환의 병인에 관련한다(Bengt Samuelsson, et al., Pharmacological Reviews, 59, 207-224, 2007).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는 외부로 분비되는 박테리아 톡신(toxin)이며, 세포의 염증반응들을 자극하고, 일산화질소(NO), 사이토카인 (cytokine), 종양괴사인자(TNF-),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및 염증반응을 촉진하는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 조절물질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의 염증조절물질을 분비하게 한다(Chen YC, et al., Biochem. Pharmacol., 61, 1417-1427, 2001). 일산화질소 합성효소는 두 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어 있는데, cNOS는 여러 가지의 세포(예를 들면, 신경세포 및 내피세포)에서 일정하게 존재하고 칼슘에 의존적인 칼모듈린(calmodulin)에 의해서 전사수준이 우선적으로 조절되어 진다. 반면에, 혈관근육세포(smooth muscle cells), 대식세포(macropharge), 간세포(hepatocyte) 및 성상세포(astrocyte)는 염증 사이토카인과 리포폴리사카라이드 등에 반응하여 유도되어진다.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의 활성화는 다양한 염증질환의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많은 양의 일산화질소 형성을 촉진한다. 그러므로 일산화질소 합성효소에 의해 유도되는 일산화질소 생성은 염증의 정도를 나타내며, 염증 진행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된다. 특이한 세포 유전자들의 발현은 COX-2 및 유도성 일산화질소 합성효소뿐만 아니라, 인터루킨-1, 인터루킨-2, 인터루킨-6 및 종양괴사인자 같은 여러 가지의 염증 전사인자들이 포함된다(Csaba Szabo, et al., Nature Reviews Drug Discovery, 6, 662-680. 2007).
최근에 지질 유도 매개체가 여러가지 염증반응(천식, 류마치스 관절염 또는 장염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aleau P., J. Mol. Cell. Cardiol, 1999; 31: 1391-1401; Fuchs B, et al., Clin. Biochem 2005; 38: 925-933; Muralikrishna Adibhatla, R., et al., Free Radic. Biol. Med 2006; 40: 376-87; Triggiani M, et al., Biochim Biophys Acta. 1761(11): 1289-300, 2006; Matsumoto, T., et al., Curr. Med. Chem. 14, 3209-3220, 2007; Shi Y, et al., Atherosclerosis 2007; 191: 54-62).
지금까지 염증성 매개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왔지만 염증반응에 지질 매개체가 관여함은 최근에 이론적으로 정립되게 되었다. 예컨대, 효소 PLA2 에 의해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choline)으로부터 유리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 류코트리엔(leukotriene, LT) 및 리폭신(lipoxin, LX)으로 전환되는데, 이때 프로스타글란딘과 류코트리엔은 강력한 염증성 매개체인 반면에(Serhan CN, et al., Nat Immunol. 6:1191-7, 2005; Farooqui AA, et al., J Neurochem. 101(3): 577-99, 2007; Funk, C. D., Science 294, 1871~5, 2001), 오히려 리폭신은 강한 항염증 성 매개체로 알려지게 되었다(Schwab JM, et al., Curr Opin Pharmacol. 6(4):414-20, 2006; Kuhn H, et al., Prog Lipid Res. 2006 Jul;45(4):334-56. Epub 2006 M). 즉, 염증 과정에서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생성된 아이코사노이드(eicosanoids)는 프로스타글란딘과 류코트리엔으로 전환되는데, 이때 5-리폭시제나제(5-Lipoxygenase)는 류코트리엔과 리폭신의 형성에 중요한 반면에 12/15-리폭시제나제(12/15-lipoxygenase)는 리폭신의 형성에 중요하다(Schwab JM, et al., Curr Opin Pharmacol. 6(4):414-20, 2006; Kuhn H, et al., Prog Lipid Res. 2006 Jul;45(4): 334-56. Epub 2006 M). 또한, PLA2 가수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포화지질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ysoPC)이 염증 반응에서 염증성 또는 항염증성인 것으로 밝혀져 있다(Daleau P., J. Mol. Cell. Cardiol, 1999; 31: 1391-1401; Fuchs B, et al., Clin. Biochem 2005; 38: 925-933; Muralikrishna Adibhatla, R., et al., Free Radic. Biol. Med 2006; 40: 376-87; Shi Y, et al., Atherosclerosis 2007; 191: 54-62; Fuentes L, et al., Circ Res 2002, 91:681-688). 또한, 염증성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작용은 산화질소(nitric oxide, NO) 또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이란 것이 보고되었다(Colles, S. M. et al., Journal of Lipid Research 2000; 41: 1188-1198; Matsubara, M., et al., Atherosclerosis 2005;178:57-66; Takeshita S, et al., J. Atheroscler. Thromb 2000;7:238-246; Silliman CC, et al., J. Leukoc. Biol 2003;73:511-524; Cheon Ho Park, et al., lysophosphatidylcholine exhibits a selective cytotoxicity, accompanied by ROS formation, in RAW 264.7 macrophages, Lipids, in press, 2009).
그러나 다중 불포화지질을 함유하는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polyunsaturated lysoPC)류가 생체내 염증 반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불포화지질을 함유하는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동물체내에 상당량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는데, 예컨대,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linoleoyl lysoPC)와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arachidonoyl lysoPC)이 혈장(plasma)(Okita, M. et al., Int. J. Cancer. 1997, 71, 31-34; Croset, M. et al., Biochem. J. 2000, 345, 61-67; Adachi, J. et al., Kobe. J. Med. Sci. 2006, 52, 127-140)에서 발견되었으며, 특히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상어간(shark liver)내 주요 지질에 속한다(Chen, S., et al., J. Agric. Food. Chem. 2007, 55, 9670-9677). 더욱이, 심장 추출물(heart extract)에는 콜린 산화물이 존재한다. 따라서 불포화지질을 함유하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산화 효소에 의해 대사될 것으로 사료되었는데 최근 연구에서 이를 입증하였다(Huang, L.S. et al., Arch. Biochem. Biophys. 2006, 455, 119-126; Huang, L.S. et al., Lipids 2007, 42, 981-990; Huang, L.S. et al., J. Agric. Food. Chem. 2008, 56, 1224-1232). 즉, 리놀레오일(linoleoyl), 아라키도노일(arachidonoyl) 및 도코헥사에노일(docosahexaenoyl)로 구성된 군(group)을 포함하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들은 망상적혈구(reticulocyte) 15-LOX 또는 백혈구(leukocyte) 12/15-LOX 효소에 의해 산화가 잘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Huang, L.S. et al., Arch. Biochem. Biophys. 2006, 455, 119-126; Huang, L.S. et al., Lipids 2007, 42, 981-990; Huang, L.S. et al., J. Agric. Food. Chem. 2008, 56, 1224-1232). 이와 같이,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는 생체내에서 생물 활성을 지닐 것으로 사료됨에도 불구하고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의 생리활성에 대해 알려진 바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불포화지질 함유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의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한 결과,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가 세포내 및 생체내(In vivo)에서 항염증 효능이 있으며, 특히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다른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에 비해 현저하게 NO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며, 생체내에서 자이모산 A(zymosan A) 유도 복막염을 적은 농도로도 우수하게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항염증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polyunsaturated lysoPC)류 중 하나인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 Docosahexaenoyl lysoPC)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NO 생성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며, 생체내에서 적은 농도로 복막염을 저해시킴으로써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염증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 염증" 신체 국소에 일어나는 상해에 대하여 생체조직의 방어 반응이다. 즉, 각종의 유해한 자극(stressor)에 응답하여 자극에 의한 상해를 제거하여 원래의 상태로 회복하려는 생체방어반응이 염증 반응이다. 염증의 자극에는, 감염 혹은 화학적, 물리적 자극 등이 있다. 염증 반응에 관련된 생체구성인자는 자유라디칼, 단백질, 당질, 지질 등의 저분자나 고분자의 화학물질과, 혈장, 혈구, 혈관 및 결합조직 등이 있다. 염증의 과정은 보통 2가지로 나누며, 급성과 만성 염증으로 나눌 수 있다. 급성염증은 수일이내의 단기적인 반응이며, 혈장성분이나 혈구 등이 미소순환계를 게재하여 이물 제거에 관련한다. 만성염증은 지속시간이 길며, 조직의 증식 등이 보여진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성 질환의 발병을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 및 "개선"은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로 상기 질환의 증세가 호전 또는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투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체"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투여하여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인간, 원숭이, 개, 염소, 돼지 또는 쥐 등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 또는 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이는 개체의 염증성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 Docosahexaenoyl lysoPC)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하기 [화학식 1]로 기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ure 112009027037484-pat00001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천식, 복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및 퇴행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식, 복막염, 장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복막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ysoPC)류의 세포내에서의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지질다당류 유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 적은 농도에서도 명확하게 NO 생성 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다른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와 비교하여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1 참조).
본 발명에서는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생체내(In vivo)에서의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자이모산(Zymosan)에 의해 유도된 생쥐 복강내 염증반응에 대한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 적은 농도에서도 우수한 저해 효과를 나타냈으며, 다른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와 비교하여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본 발명에서는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항염증 효능이 자체 효능임을 알아보기 위해, 대사산물인 도코사헥사에논산(docosahexaenoic acid) 및 17-HPDHA 리소포스파티딜콜린(17(S)-hydroperoxy-4,7,10,13,15,19-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의 자이모산 유도 복강내 염증반응에 대한 저해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저해 효과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내어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자체가 강력한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참조). 이는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 기존에 염증 억제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도코사헥사에논산에 비해 현저히 높은 염증 저해 효능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세포내에서 세포내에서 지질다당류(LPS) 유래 산화질소(NO) 생성을 억제하고, 생체내(In vivo)에서 자이모산 A(zymosan A) 유도 복막염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므로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 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 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및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0.0001 ~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조성물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0.001 ~ 50 중량%의 함량으로 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쥐,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정맥, 복강,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염증성 질환에 걸린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세포내에서 낮은 농도로 염증을 억제하고, 세포독성이 거의 없으며, 생체내에서 적은 농도로 염증을 저해시킴으로써 염증성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염증성 질환은 천식, 복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및 퇴행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고, 천식, 복막염, 장염 및 류마티스 관절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복막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투여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나타내는 유효성분을 1종 이상 함유할 수 있다. 투여를 위해서는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이용 제형, 산제, 정제, 캡슐제, 환, 과립 또는 주사액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 분야의 적정한 방법으로 또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8th, 1990)에 개시되어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각 질환에 따라 또는 성분에 따라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투여 방법에 따라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하거나 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율 및 질환의 중증도 등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일 투여량은 0.0001 ~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 100 mg/kg의 양을 일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용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 (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및,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또는 케라틴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해초 엑기스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갈조 엑기스, 홍조 엑기스 또는 녹조 엑기스이 바람직하고, 이들의 해초 엑기스로부터 정제된 칼라기난, 아르긴산, 아르긴산나트륨 또는 아르긴산칼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또는 정제수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또는 식물 유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 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또는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또는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또는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또는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또는 지용성 고분자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또는 락트산염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또는 콜레스테롤에스테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또는 덱스트린 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또는 고분자 실리콘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또는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또는 양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 (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또는 수소첨가대두인지질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삼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또는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또는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또는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 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
속염 ;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 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 -(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또는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또는 운데시렌산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또는 엘리소르빈산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또는 인산일수소나트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 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0.01 ~ 5% 중량 백분율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1 ~ 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는 용액, 유화물 또는 점성형 혼합물의 형상을 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유액, 크림, 화장수, 팩, 파운데이션, 로션, 미용액 또는 모발화장료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린저의 제형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제조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제조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세포내 항염증 효과 조사
<1-1>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의 세포내 항염증 효과 조사
대식세포(macrophage)는 염증반응과 생체방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식세포를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로 활성화시키면,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의 유도를 통해 많은 양의 산화질소(nitric oxide, NO)를 생성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RAW 264.7 세포내에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매개체 NO의 생성에 대한 불포화 지방산 함유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lysoPC)류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5×104/well)를 각각의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인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linoleoyl lysophosphatidylcholine),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arachidonoyl lysophosphatidylcholine) 및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디아실 포스파티딜콜린(diacyl phosphatidylcholine)(Avanti Polar Lipids, Alabaster, AL, USA)과 포 스포리파제(phospholipase A2, PLA2)(Sigma-Aldrich Corp, St. Louis, MO, USA)를 함께 처리하여 제조(Croset, M. et al., Biochem. J. 2000, 345, 61-67; Adachi, J. et al., Kobe. J. Med. Sci. 2006, 52, 127-140; Chen, S. et al., J. Agric. Food. Chem. 2007, 55, 9670-9677; Huang, L.S. et al., Arch. Biochem. Biophys. 2006, 455, 119-126; Huang, L.S. et al., Lipids 2007, 42, 981-990)](0 ~ 60 uM)와 37℃에서 2시간 동안 사전 배양한 후, LPS(1 ㎍/ml)를 넣고 동일 조건 하에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한 세포 여액에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1% sulfanilamide, 0.1% N-(1-nphtyl) 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in 2.5% H3PO4]을 넣고 상온에서 15 분간 반응시킨 후에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상기 과정에서 생성된 NO의 양을 측정하였다(Green LC, et al., Anal Biochem. 1982 Oct;126(1):131-8).
그 결과,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60 uM에서 LPS 유도 NO 형성을 일부 저해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20% 이상의 저해도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경우 12 uM이상의 저농도에서도 뚜렷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때 50% 보호 용량(EC50) 값은 18.2 ± 2.1 uM으로 산출되었다. 반면에,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는 60 uM에 이르기까지 유의적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1B).
<1-2>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의 세포독성 조사
본 발명자들은 세 가지 다중불포화 리소파티딜콜린의 세포독성을 MTT 분석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페니실린(penicillin)(100 U/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100 U/ml)와 열에 의해 비활성된 FBS(heat-inactivated FBS)(10% v/v) 함유 DMEM 배지에서 37℃와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세포(6 내지 13 패시지(passage))를 회수한 후에 96 웰 플레이트(96-well plate)(5×104/well)에서 분취 배양하였다. 각 다중불포화 리소포스파티딜콜린(0 ~ 60 uM)를 넣은 후 2시간 동안 정치한 다음, LPS(1 ㎍/ml) 존재 하에 상기 조건에서 20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사율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법에 의거 570 nm에서의 흡광도를 690 nm에서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Lin WW. et al., Br. J. Pharmacol 1998; 125: 1601-1609; Mosmann, T., J. Immunol. Methods 1983; 65:55-63).
그 결과,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이 유의적으로 나타내는 반면에,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또는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경우 유의적인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도 1A).
따라서,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NO 생성 저해 효과는 세포독성에 따른 결과로도 추론될 수가 있겠으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에 의한 NO 생성 저해 효과는 세포독성과는 무관한 농도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NO 생성에 대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선택적 저해 효과로 볼 수 있다.
<실험예 2>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생체내(In vivo) 항염증 효과 조사
<2-1>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의 자이모산 A(zymosan A) 유도 혈장 유출 저해 효과 조사
5-리폭시제나제(5-Lipoxygenase, 5-LOX)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으로부터 염증 매개체인 류코트리엔(leukotriene)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함으로써 5-LOX의 저해를 통해 염증 반응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자이모산(zymosan) 유도 복막염(peritonitis)은 5-LOX에 의해 생성되는 류코트리엔(leukotriene)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oTS, et al., J Pharmacol Exp Ther. 1994 Jun; 269(3):917-25; Doherty N S, et al., Prostaglandins. 1985 Nov;30(5):769-89).
이에, 본 발명자들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자이모산 유도 복막염에 대한 저해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생쥐에 자이모산 A(saccharomyces cerevisiae)(Sigma-Aldrich Corp, St. Louis, MO, USA)를 투여하여 복강내 염증을 유발시킨 후, 각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를 투여하여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SPF 조건하에 사육된 생쥐(6주령, 수컷)을 반입 12시간 후 약학 대학내 동물 보존실에서 12시간 명암 사이클 조건 하에 유지한 후에, 복강내 염증반응 실 험을 실시하였다. 우선, 각 생쥐 5 ~ 10마리로 구성된 각 군 생쥐의 꼬리 정맥에 시험군으로 각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 10 ~ 500 ㎍/kg 용량으로 주사하고, 대조군으로 생리식염수를 50 ~ 100 ul 용량으로 주사하였다. 이어서 30분 후에 0.5% 에반스 블루 다이(Evans Blue dye) 용액(0.2 ml)으로 꼬리정맥 주사한 다음, 복강내로 생리식염수에 녹인 자이모산 A(1 mg/ml) 용액 100 ul를 투여하였다. 상기 투여 30분 후에 경미한 마취[에테르(ether) 또는 플루오란(fluorane)]하에 경부절단한 후, 복강내로 ice-cold PBS를 4 ml 투여한 다음, 복강액을 플라스틱 주사기로 회수하여 원심분리하였다(3,000 rpm, 10분). 상기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청액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620 nm에서 에반스 블루(Evans blue)의 삼출(exudation) 정도를 측정함으로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였다(Arita M, et al., Proc Natl Acad Sci U S A. 2005 May 24;102(21):7671-6; Takenaka M, et al., Biol Pharm Bull. 2005 Jul;28(7):1291-3).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15 ㎍/kg에서 유의성 있는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효과는 500 ㎍/kg 양의 범위에 이르기까지 농도 의존형으로 자이모산 유도 혈장 유입을 감소시켰다(도 2). 한편,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정맥 주사한 30분 후에 자이모산(5 ㎕/30분)을 복강내로 투입시,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50 ㎍/kg)는 혈장 유입을 일부 저하시켰으나 이러한 저해현상은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양을 150 ㎍/kg로 증가시켜도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에,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농도 500 ㎍/kg에 이르기까지 별다른 저해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도 3).
따라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다른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에 비해 자이모산 A에 의해 유도된 혈장 유입을 저해하는 효과에서 훨씬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2> 리소포스파티딜콜린류의 자이모산 A 유도 혈장 유출 저해 효과의 경시별 조사
본 발명자들은 각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항염증 효과(자이모산 A 유도 혈장 유입의 저해)를 경시별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50 ㎍/kg)를 생쥐의 꼬리 정맥에 투여시 15분에서 120 분에 이르기까지 경시별로 투여시간을 달리해 투여(자이모산 A 투여 10 분전, 30 분전, 60 분전 및 120 분전에 각각 투여)한 후, 자이모산 A(100 mg/kg)를 복강 투여한 다음,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투여한 후에 복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10분전 투여에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저해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으나, 30분 또는 60분 전 투여에서는 현저한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120분 전 투여에서 저해 효과가 약간 증가하였다(도 4).
<2-3> 도코사헥사에논산 떠는 산화 유도체의 자이모산 A 유도 혈장 유출 저해 효과 조사
상기 실시예 <2-1>에서 장시간 간격(120분 전 투여) 과정에서 다른 기전이 추가적으로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장시간 간격에서는 적어도 두가지 자이모산 A 유도 혈장 유입의 단시간 효과 기전과 장기간 효과 기전이 함께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장기효과가 대사를 통한 대사물의 효과인지 알아보기 위해,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 도코사헥사에논산(docosahexaenoic acid) 및 17-HPDHA 리소포스파티딜콜린(17(S)-hydroperoxy-4,7,10,13,15,19-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을 각각 이용하여 복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 정도를 관찰하였다. 도코사헥사에논산 및 17-HPDHA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과의 관계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09027037484-pat00002
구체적으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50 ㎍/kg), 도코사헥사에논산(docosahexaenoic acid)(50 ㎍/kg) 및 17-HPDHA 리소포스파티딜콜린(17(S)-hydroperoxy-4,7,10,13,15,19-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20 uM)을 함유한 붕사 완충액(borax buffer)(50 mM, pH 9.0)에 대두 리폭시제나아제(soybean LOX-1)(200 units/ml)를 넣고서 25℃에서 30 분간 반응시킨 후에 C18 컬럼(2×1 cm)를 통과시키고 메탄올로 용출시킴으로 제조(Huang LS, et al., J Agric Food Chem. 2008 Sep 10;56(17):7808-14)](50 ㎍/kg)를 자이모산 A 투여(100 ㎎/kg)의 투여 30분 전에 각각 투여한 후에 30분 후 복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코사헥사에논산은 혈장 유입에서 유의적인 저해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과산화물은 일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도 5).
따라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혈장 유입의 저해 효과는 자체 효과일 가능성이 큰 것임을 알 수 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조예를 예시한다.
<제조예 1> 약학적 제제의 제조
<1-1> 산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20 ㎎
유당 20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하였다.
<1-2> 정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0 ㎎
옥수수전분 100 ㎎
유 당 100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1-3> 캡슐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0 ㎎
결정성 셀룰로오스 3 ㎎
락토오스 14.8 ㎎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0.2 ㎎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후, 통상의 캡슐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하였다.
<1-4> 액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20 ㎎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1-6> 주사제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0 ㎍/㎖
묽은 염산 BP pH 7.6로 될 때까지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최대 1 ㎖
적당한 용적의 주이용 염화나트륨 BP 중에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용해시키고, 생성된 용액의 pH를 묽은 염산 BP를 이용하여 pH 7.6로 조절하고, 주이용 염화나트륨 BP를 이용하여 용적을 조절하고 충분히 혼합하였다. 용액을 투명 유리로 된 5 ㎖ 타입 I 앰플 중에 충전시키고, 유리를 용해시킴으로써 공기의 상부 격자하에 봉입시키고, 120℃에서 15 분 이상 오토클래이브시켜 살균하여 주사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식품들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2-1> 밀가루 식품의 제조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0.5 ~ 5.0 중량부를 밀가루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빵, 케이크, 쿠키, 크래커 및 면류를 제조하여 건강 증진용 식품을 제조하였다.
<2-2>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5 ~ 10 중량부를 우유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하였다.
<2-3>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공지의 방법으로 알파화시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검정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농축하고, 분무, 열풍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었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종실류 및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건조분말을 다음의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곡물류(현미 30 중량부, 율무 15 중량부, 보리 20 중량부),
종실류(들깨 7 중량부, 검정콩 8 중량부, 검정깨 7 중량부),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3 중량부),
영지(0.5 중량부),
지황(0.5 중량부)
<2-4> 건강보조식품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조예 3> : 건강음료의 제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00 ㎎
구연산 100 ㎎
올리고당 100 ㎎
매실농축액 2 ㎎
타우린 100 ㎎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5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1 ℓ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 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 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제조예 4> : 화장품의 제조
<4-1> 유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1에 기재된 조성으로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1 내지 9의 원료를 혼합한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였다.
2) 10의 원료를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투입하였다.
3) 11 내지 13의 원료의 혼합물을 65∼70℃로 가열하여 완전히 용해시켰다.
4) 상기 단계 3)을 거치면서, 상기 2)의 혼합물을 서서히 첨가하여 8,000 rpm에서 2∼3분간 유화시켰다.
5) 14의 원료를 소량의 물에 용해시킨 후 상기 단계 4)의 혼합물에 첨가하고 2분간 더 유화시켰다.
6) 15 내지 17의 원료를 각각 평량한 후 상기 단계 5)의 혼합물에 넣고 30초간 더 유화시켰다.
7) 상기 단계 6)의 혼합물을 유화 후 탈기과정을 거쳐 25∼35℃로 냉각시킴으로써 유화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유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유화제형 1 유화제형 2 유화제형 3
1 스테아린 산 0.3 0.3 0.3
2 스테알리 알콜 0.2 0.2 0.2
3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1.2 1.2 1.2
4 밀납 0.4 0.4 0.4
5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모노라우린산 에스테르
2.2 2.2 2.2
6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7 파라옥시안식향산 프로필 0.05 0.05 0.05
8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5 5 5
9 트리글리세라이드 2 2 2
10 사이클로메티콘 3 3 3
11 증류수 ~ 100 ~ 100 ~ 100
12 농글리세린 5 5 5
13 트리에탄올아민 0.15 0.15 0.15
14 폴리아크릴산 중합체 0.12 0.12 0.12
15 색소 0.0001 0.0001 0.0001
16 0.10 0.10 0.10
17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0.0001 1 10
<4-2>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 제조
표 2에 기재된 조성으로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을 제조하였다. 제조 방법은 하기와 같다.
1) 2 내지 6의 원료를 1의 원료(정제수)에 넣고 아직믹서를 이용하여 용해시켰다.
2) 8 내지 11의 원료를 7의 원료(알코올)에 넣고 완전용해시켰다.
3) 상기 단계 2)의 혼합물을 상기 단계 1)의 혼합물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가용화시켰다.
가용화 제형 1, 2, 3의 조성
조성 가용화 제형 1 가용화 제형 2 가용화 제형 3
1 정제수 ~ 100 ~ 100 ~ 100
2 농글리세린 3 3 3
3 1,3-부틸렌글리콜 2 2 2
4 EDTA-2Na 0.01 0.01 0.01
5 색소 0.0001 0.0002 0.0002
6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0.1 5 5
7 알코올(95%) 8 8 8
8 파라옥시안식향산 메틸 0.1 0.1 0.1
9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디트에스테르
0.3 0.3 0.3
10 0.15 0.15 0.15
11 사이클로메티콘 - - 0.2
상기한 바와 같이,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염증성 질환 치료제 개발, 염증성 질환 개선용 건강식품 개발, 및 항염증용 화장품 개발 등에 이 용할 수 있다.
도 1은 다중불포화 리소폴리파티딜콜린류의 세포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다양한 농도의 다중불포화 리소폴리파티딜콜린(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및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와 함께 반응시킨 후 LPS에 의해 유도된 염증반응에서 세포 생존율 (A)과 NO 생성 정도 (B)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 :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및 ▲ :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상기 각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평균치 ±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LPS 처리군에 대한 *P<0.05; **P<0.01).
도 2는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에 따른 생체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에 자이모산 A를 투여하여 복강내 염증을 유발시킨 후,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투여한 다음,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투여한 후에 복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plasma leakage)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실험군은 10마리로 구성되며, 실험 결과는 평균치 ±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자이모산 A만 처리된 양성대조군에 대한 *P<0.05; **P<0.01; ***P<0.001;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에 대한 ###P<0.001).
도 3은 리놀레오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및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농도에 따른 생체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에 자이모산 A를 투여하여 복강내 염증을 유발시킨 후, 리소포스파티딜콜린 (A) 및 아라키도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B)을 각각 투여한 다음,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투여한 후에 복 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plasma leakage)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실험군은 10마리로 구성되며, 실험 결과는 평균치 ±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자이모산 A만 처리된 양성대조군에 대한 *P<0.05; **P<0.01; ***P<0.001;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에 대한 ###P<0.001).
도 4는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의 투여 시간별 생체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에 자이모산 A를 투여하여 복강내 염증을 유발시킨 후, 상기 자이모산 투여로부터 다양한 시간간격으로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투여한 다음,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투여한 후에 복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plasma leakage)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실험군은 10마리로 구성되며, 실험 결과는 평균치 ±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자이모산 A만 처리된 양성대조군에 대한 *P<0.05; **P<0.01; ***P<0.001;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에 대한 ###P<0.001).
도 5는 도코사헥사에논산(docosahexaenoic acid) 및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과산화물의 생체내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생쥐에 자이모산 A를 투여하여 복강내 염증을 유발시킨 후,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 (1), 도코사헥사에논산 (2), 및 17-HPDHA 리소포스파티딜콜린 (3)를 각각 투여한 다음, 에반스 블루(Evans blue)를 투여한 후에 복강액 내에서의 혈장 유입(plasma leakage) 정도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각 실험군은 10마리로 구성되며, 실험 결과는 평균치 ± 표준 편차로 표시하였다(자이모산 A만 처리된 양성대조군에 대한 *P<0.05; **P<0.01; ***P<0.001;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음성대조군에 대한 ###P<0.001).

Claims (10)

  1.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choline, Docosahexaenoyl lysoPC)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복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또는 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27037484-pat00003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식, 복막염, 위염, 장염, 관절염, 신장염, 간염 또는 퇴행성 질환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식품.
  8. 삭제
  9.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피부 외용제.
  10.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90039141A 2009-05-06 2009-05-06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071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41A KR101071852B1 (ko) 2009-05-06 2009-05-06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JP2009234979A JP2010260843A (ja) 2009-05-06 2009-10-09 ドコサヘキサエノイルリゾホスファチジルアミ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抗炎症組成物
US12/581,026 US20100286093A1 (en) 2009-05-06 2009-10-16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ntaining docosahexaenoyl lysophosphatidylamine as an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41A KR101071852B1 (ko) 2009-05-06 2009-05-06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0368A KR20100120368A (ko) 2010-11-16
KR101071852B1 true KR101071852B1 (ko) 2011-10-11

Family

ID=4306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141A KR101071852B1 (ko) 2009-05-06 2009-05-06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86093A1 (ko)
JP (1) JP2010260843A (ko)
KR (1) KR1010718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483B1 (ko) * 2011-06-23 2013-10-07 주식회사 아리바이오 항생제 및 라이소포스파티딜콜린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 또는 세균성 감염 질환 치료용 조성물
CN115531399A (zh) * 2022-09-15 2022-12-30 首都医科大学 溶血磷脂酰胆碱在治疗阿尔茨海默病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4679A1 (en) 2006-05-09 2007-11-15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Method for analyzing the activity of lipoxygenase using a water-soluble substrat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0937A1 (en) * 2003-10-22 2005-06-16 Enzymotec Ltd. Lipids containing omega-3 and omega-6 fatty ac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4679A1 (en) 2006-05-09 2007-11-15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Method for analyzing the activity of lipoxygenase using a water-soluble substrat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Agric.Food Chem. Vol.56:7808-7814(2008)
Lipids, Vol.42:981-990(20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86093A1 (en) 2010-11-11
KR20100120368A (ko) 2010-11-16
JP2010260843A (ja)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2833B1 (ko) 항염증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015702B1 (ko) 해조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피부자극 개선 및 완화용조성물
KR100902326B1 (ko)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63547B1 (ko) 녹차씨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71852B1 (ko) 도코사헥사에노일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776755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려움증 억제 및 완화용 조성물
KR20230120619A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17113B1 (ko) 태지유사지질복합체와 연근, 생마 및 야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및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090055243A (ko)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개선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81108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리소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0865071B1 (ko) 삼백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조성물
JP5222131B2 (ja) キャノロールまたはそのプロドラッグ(pd)を含む抗炎症剤および癌予防剤ならびにこれらを含む医薬、化粧品および食品
KR20090095039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5261A (ko) 소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의 개선 및치료용 조성물
KR20070044198A (ko) 푸마르산 및 푸마르산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대사증후군 치료제
KR101831876B1 (ko) 이소세코타나파솔라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1968A (ko) 파에오닥틸룸 트리코르누툼(Phaeodactylum tricornutum)의 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예방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13030B1 (ko) 항균활성을 갖는 작두콩 추출물의 정제방법
KR101229438B1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오메가-3 계열 리소포스파티딜콜린 수산화물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023053B1 (ko) 붉은 멍게 튜닉 지방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면역기능 증강용 조성물
KR20210123548A (ko)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면홍조 개선용 조성물
JP2010037245A (ja) 代謝活性化に好適な組成物
KR100622286B1 (ko) 5-하이드록시트립토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조성물
KR101887140B1 (ko) 열에 의한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