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481B1 -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481B1
KR101071481B1 KR1020100030838A KR20100030838A KR101071481B1 KR 101071481 B1 KR101071481 B1 KR 101071481B1 KR 1020100030838 A KR1020100030838 A KR 1020100030838A KR 20100030838 A KR20100030838 A KR 20100030838A KR 101071481 B1 KR101071481 B1 KR 10107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ttached
shoulder
human body
mus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종숙
지정우
Original Assignee
지정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지정우
Priority to KR1020100030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2J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6Trousers
    • A41D1/08Trousers specially adapted for sport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41D2400/322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r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상체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인체균형을 유지하며,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이하 “기능성 의류”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척주 및 배부근육 등(等)의 좌· 우 근골격 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고, 상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 기능을 반영시켜 경추, 흉추, 요추 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된다. 즉, 상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상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바른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상체 골격근이 주동근 역할로 전환시에는 근 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바른자세를 도출하여 상체 옷본을 설계하고, 옷본에 상체 척주 및 배부근육 등(等)의 좌우 근골격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도록 인체의 근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 근골격을 설계하되 인체 근육의 힘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부 직물 근골격의 경우에는 그 형태를 변형시켰다. 직물 근골격은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기존 인체의 길항근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상활동 시, 경추, 흉추, 요추 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가 되며, 또한 작업 및 운동 시 인체근육의 힘과 정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몸의 균형을 조기에 유지시켜줌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주고, 근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Description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Functional wear to straighten and strengthen for upper body}
본 발명은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상체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길항적인 역할이후 상체 골격근에 대한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이하 “기능성 의류”라 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척주 및 배부근육 등(等)의 좌· 우 근골격 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고, 상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 기능을 반영시켜 경추, 흉추, 요추 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된다. 즉, 상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상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바른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 크기만큼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바른자세를 도출하여 3D스캐너로 스캔후 이 제원으로 상체 옷본을 설계하고, 옷본에 상체의 근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 근골격을 설계하되 인체 근육의 힘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부 직물 근골격의 경우에는 그 형태를 변형시켰다. 직물 골격근은 인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기존 상체의 길항근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일상활동 시, 경추, 흉추, 요추 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가 되며, 또한 작업 및 운동 시 상체근육의 힘과 정반대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인체활동에 의한 상체 해당근육의 파워를 증가시켜주고, 몸의 균형을 조기에 잡아줌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준다.
자세 이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및 장애는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바르지 않은 자세(나쁜자세)가 체형으로 고착화됨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재해 질환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쁜자세에서 바른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쁜자세에 따른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나쁜자세의 고착화를 방지하는 일상적인 방법으로는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운동이나 바른자세를 만들어주는 재활의료 보장기 사용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보장기들은 주로 재활의학 이나 정형외과 환자들이 주로 착용하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인들도 척추 측만증이나 자세의 교정 목적으로 개발된 자세 교정벨트 등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나 지나친 압박감과 고정된 틀을 제시하는 것이 제한점이다.
일반인들이 주로 착용하는 체형 보정용 피복류는 대부분 허리나 골반의 위치를 보정하거나 보호하는 거들이나 어깨를 뒤로 젖혀주는 자세 교정 벨트나 복대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의 기술적인 한계는 나쁜 자세가 발생하는 원인과 관련된 인체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각각 반영하지 않고, 어깨 관절의 각도를 원하는 범위로 변화시켜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띠나 조작적인 모양의 탄성재질을 옷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외에도 상체 형태나 자세를 보정하는 브래지어와 상반신 운동을 써포트하는 기능으로 좌우 견갑골의 연동운동과 몸통의 회전 운동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들로도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 및 기능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없어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는데는 상당히 제한적이다.
따라서 일상생활 및 산업별 직장의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는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인 “장력효과”로 바른자세 유지와 근파워 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가 필요하다.
특히,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 및 기능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맞춤식으로 보완하는 “기능성 의류”가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되, 상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가 동일하게 직물로 설계되어 직물 골격근이 인체골격근에 대한 길항근으로 새로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다른 과제는 일상활동 시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바른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상체 근골격을 보정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작업 및 운동 시 움직이는 상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조기에 균형이 유지된 인체의 항상성에 의해 적은 근력으로도 작업 및 운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근 피로도의 감소 및 근육통 예방이 가능한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경· 흉추의 전· 후만 및 인체 향상성 유지를 하게 하는 골격 및 근육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척추 및 견갑대의 근골격 기능을 반영시켜 경· 흉추 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되며, 척추 및 좌 우 근골격의 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도록 하며, 또한 인체 근육의 형태와 힘을 발휘하는 기능을 반영함으로써 자세를 유지하는 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발휘하게 하는 골격 및 근육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작업 및 운동 시 주동근에 대해 “의류내 인체와 동일한 근육”과 길항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근파워를 형성하게하고 근피로도의 감소와 근육통을 예방하기 위한 골격 및 근육의 기능을 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는, 목의 좌우양측에, 옷본상의 목둘레선에서 견관절이 끝나는 부분까지 위치되는 직물견관절 지지대; 인체의 전면(前面)부에, 목둘레선에서 견봉까지의 넓이(폭)로, 목둘레선을 따라 원호(圓弧)형(타원곡선형) 직물을 이루는 직물쇄골지지대; 옷본 상단의 목둘레선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1/3지점(옷본에서 1/3한 지점)까지 위치되는 직사각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흉골부; 인체 전면(前面)에서 상기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시작하여 옷본의 옆구리부를 지나 인체 후면(後面)의 직물척주부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까지의 띠형(띠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하부늑골부; 상기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수직으로 옷본 하단까지 띠형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백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견관절 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되, 인체 견관절을 따라 직사각형의 직물로 설치되는 직물견관절부; 상기 직물쇄골지지대에서 인체의 쇄골을 따라 원호(圓弧)형(“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1
"형태)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쇄골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는, 인체 후면(後面)에서 옷본의 뒤 목둘레선 정중앙에서 옷본의 정중앙 하단까지 위치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척주부; 목의 좌우양측에, 옷본상의 목둘레선에서 견관절이 끝나는 부분까지 위치되는 직물견관절 지지대; 상기 직물견관절 지지대 상단과 직물 하부늑골부의 후면 1/2지점까지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견갑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척주부의 상층부에 위치되되, 상단은 옷본의 뒤 목둘레선 중앙으로 하고, 하단은 직물척주부와 직물하부늑골부가 연결된 부분으로 하여, 수직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경·흉추부; 상기 직물척주부의 하층부에 위치되되, 상기 직물경·흉추부의 밑에서부터 옷본 하단의 중앙까지 위치되는 수직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요·천추부;를 더 포함한다.
옷본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에 의하여 바른자세로 설계된 옷의 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물견관절부는 인체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되, 견관절에서 상완골에 부착되어, 직물근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며, 직물견관절부는 사다리형으로 이루어진다.
직물쇄골부는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쇄골을 지지하는 수단이며, 직물하부늑골부은 제12늑골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는, 일단은 일측 직물 견갑골부에서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옷본의 목둘레선의 중앙 일측에 부착되는 직물견갑거근부;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견갑거근부와 같은 높이의 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단 2/5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상근부;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에 부착되고,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 견관절 지지대상의 직물견관절부의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 늑간근부에 연결되어 있는 직물 늑간근부; 직물 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 지지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승모근부; 직물경·흉추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능형근부;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가 부착된 동일한 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하근부; 직물견갑골부와 직물견관절부에 부착되되,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소원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원근부;를 더 포함한다.
직물극상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수평으로 직물견관절부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극하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상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대원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능형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척주부 상의 흉추상단 및 중앙에서 직물견관절부 중상단 및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직물견갑거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경추 상단에서 좌우측 직물견갑골부 상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승모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옷본 상단의 목둘레선 좌우측 중앙(후두골 방향)으로부터 인체전면(前面)의 직물쇄골부 측면방향, 직물경· 흉추부 상단에서 견봉방향, 직물경· 흉추부 중하단으로부터 직물견갑골부 상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늑간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상하늑골로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직물극상근부, 직물극하근부, 직물대원근부, 직물견갑거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늑간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며, 직물 승모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이다.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는, 일단은 일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옷본의 목둘레선의 중앙 일측에 부착되는 직물견갑거근부;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견갑거근부와 같은 높이의 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단 2/5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상근부; 직물 경·흉추부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능형근부; 직물 척주부에는 직물 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 지지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승모근부;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에 부착되고,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견관절 지지대상의 직물견관절부의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에 연결되어 있는 직물늑간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가 부착된 동일한 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하근부; 직물견갑골부와 직물견관절부에 부착되되,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소원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원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극하근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 상단 3/5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소원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건막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지점 그리고 직물척주부 하단과 직물장골부를 연결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건막; 옷본의 좌우측에 골반이 위치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직사각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극상근부, 직물소원근부, 직물견갑거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늑간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고, 직물승모근부, 직물광배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소원근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중앙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광배근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경·흉추부 하단 및 직물건막 전면(全面)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는, 일단은 일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옷본의 목둘레선의 중앙 일측에 부착되는 직물견갑거근부;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에 부착되고,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견관절지지대상의 직물견관절부의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에 연결되어 있는 직물늑간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지지대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 승모근부; 직물경·흉추부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능형근부;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건막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직물흉골부, 직물쇄골부, 직물하루늑골부, 직물견관절부에 부착되되, 중앙의 직물흉골부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상단의 직물쇄골부에는 직물흉골부에서 좌우측으로 2/3지점까지만 부착하고, 하단의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직물흉골부에서 좌우측으로 1/2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는 직물대흉근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견갑골부 앞의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 상단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는 직물견갑하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한다.
직물견갑하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건갑거근부, 직물늑간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며, 직물대흉근부, 직물승모근부, 직물광배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이다.
직물대흉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 상완골 결절의 위치인 직물견관절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견갑하근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상단 및 중앙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체전면(前面)에서 직물장골능부 및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복직근부에는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백선에 부착하여 인체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과 연결시키고, 인체후면(後面)에서 직물건막 및 직물장골능과 직물하부늑골부에는 각각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인체전면(前面)의 직물복직근부와 연결시키는 직물복횡근부; 인체의 골반 중 치골위치에 직물장골부 및 직물백선부과 직물복횡근부의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복직근부; 직물장골부 및 직물요·천추부와 직물하부늑골부에 부착되되, 직물장골부에는 좌우측 끝단에 부착하고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에서 옷본 허리 방향으로 직물하부늑골부 1/4지점에서 2/4지점까지 부착하고, 부착한 직물하부늑골부 지점에서 직물요·천추부의 중앙지점에 부착하는 직물요방형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복횡근부과 동일한 부위에 사각형 직물을 부착하는 직물내· 외복사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한다.
직물요방형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고, 직물복횡근부, 직물내복사근부, 직물복직근부, 직물외복사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체전면(前面) 직물복횡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와 직물장골능에서 직물복직근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인체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건막 및 직물장골능과 직물하부늑골부에서 직물복직근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복직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복직근부 하단에서 직물하부늑골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직물요방형근부의 신축성 주방향은 직물장골능에서 직물하부늑골부을 향하도록 하고 보조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에서 직물요·천추부 중앙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좌· 우측 직물 근골격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상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근육을 설계하여 인체 해당 골격근과 길항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발휘하게 되어 경추, 흉추, 요추의 만곡을 바르게 유지시켜주고, 인체의 항상성 유지하게 한다. 여기에서 직물근육의 “길항적 기능 및 역할”이란 상체의 골격근에 대한 직물근육의 “상반된 장력”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자동적으로 본래의 바른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는 일상활동 시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바른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상체 근골격을 보정한다.
즉,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어깨선이 3.5° 변화할 때, 경추가 2.1° 바로 세워지며 머리는 0.8cm 몸에 수직되게 뒤로 수평 이동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측정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2
표1의 측정결과를 고려하여 볼 때, 본 발명은 자세가 잘 못되어 야기되는 대표적인 근골계 질환인 일자목인 “거북목 증후군”, “척추 측만증” 등에 대한 예방과 재활치유에 크게 기여 가능하다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왜냐하면 병원에서 시술하는 재활치료방법인 턱을 얼굴과 일자되게 뒤로 눌러주거나, 머리를 몸에 수직되게 뒤로 수평 이동시켜 뒷목의 스트레스를 없애 주는 것 등을 본 발명인 “기능성 의류”가 자동적으로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어깨선 변화(3.5°)는 흉추는 물론 경추 및 요추가 바로 잡아져서 바른자세가 유지된다. 바른자세가 직· 간접적으로 예방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은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3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따르면, 일상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작용에 의해 조기에 유지되는 항상성으로 근파워가 증가되어 필요한 근력보다 적은 힘의 근육을 사용하여 생성되는 젖산 등의 찌거기가 근육내에 적게 쌓이게 함으로써 근피로의 감소는 물론, 근섬유 및 건초의 파열과 Trigger Point(통증 유발점)에 의한 근육통 예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의류의 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극상근부(1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극하근부(12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대원근부(1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능형근부(14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견갑거근부(15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승모근부(16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늑간근부(170)를 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늑간근부(170)를 인체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후면)의 직물골격을 나타낸다.
도 1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소원근부(18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광배근부(19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대흉근부(3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견갑하근부(32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에서의 직물 골격을 나타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외복사근부, 직물 내복사근부, 직물 복횡근부를 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외복사근부, 직물 내복사근부, 직물 복횡근부를 인체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복직근부(36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요방형근부(37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서의 인체전면 직물골격 상세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서의 인체후면 직물골격 상세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4a 와 도 24b는 본 발명에서의 인체전면 직물근육 상세부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본 발명에서의 인체후면 직물근육 상세부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골격은 도 1의 설명도로 인체의 전후면 골격인 도 1 (a), (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유지를 위한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의 (a)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전면골격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적용하는 인체의 전면골격은 견봉, 견관절, 쇄골, 흉골, 하부늑골(7∼10번), 장골 등이 있다.
견봉(acromion)은 견갑골의 한 부분으로 어깨 관절의 돌출부로, 어깨의 가장 높은 부분을 형성하는 부분을 말한다.
견관절부(shoulder joint)는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에 있는 구관절로, 상하좌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다축성이어서 인체 중 가동성이 가장 큰 관절이다. 즉, 견관절은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에 있는 관절로, 앞뒤, 좌우,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쇄골(clavicle, 肩峰)은 가슴 가운데 있는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S자 모양의 긴 뼈로, 상완골과 견갑골을 거쳐 흉골에 연결시켜 견갑대를 이루는 뼈의 하나이다. 그 안쪽 끝은 흉골과 흉쇄관절을 만들고, 바깥쪽 끝은 견갑골의 견봉과 견쇄관절을 만들어 연결한다. 이들 관절은 비교적 잘 움직여 견관절에서 상완골의 운동을 돕는다.
흉골(sternum)은 흉곽의 정중선에 위치한 편평하고 긴 모양의 뼈로 병(柄)·체(體)·검상돌기(劍狀突起)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의 흉골병(胸骨柄)은 다각형이고, 위쪽 가장자리에 세 변(邊)이 있어 각각 절흔(切痕)이 있다. 중앙의 경절흔(頸切痕)은 유리해 있고, 좌우의 쇄골절흔은 쇄골과 관절을 이루고 있다. 외측연(外側緣)에는 4쌍의 늑연골(肋軟骨)이 결합하며, 흉골체(胸骨體)의 아래쪽에 계속되는 흉골 검상돌기와의 결합부에서 제7번 늑연골이 결합한다. 최하위의 검상돌기는 짧고 얇은 연골판으로, 구두주걱 모양이다.
늑골은 가슴등뼈(흉추)와 가슴뼈(흉골)를 결합하여 가슴부위(흉곽)를 이루는 활모양의 뼈로, 좌우 12쌍이 있으며 폐, 심장 등 가슴 부위의 내장 기관들을 보호한다. 상부 늑골(제1번~제10번늑골)은 횡격막 위에 위치되며, 하부 늑골(lower edge of ribs)(제8반~제12번늑골)은 횡격막 아래에 위치된다. 특히 하부 늑골 부위에 신장이 위치해 있다. 여기에서 인체의 전면 하부늑골(front lower edge of ribs)은 “기능성 의류”의 설계를 위해 요구되는 위치와 명칭으로 인체전면(前面) 진성늑골 7번의 늑연골와 가성늑골 8번에서 10번까지의 늑연골을 말한다.
장골(ilium)은 골반 중 가장 크고 위쪽에 위치하여 바깥을 향해 퍼져있어 둔부의 돌출부위를 형성한다. 이 돌출부위의 가장자리를 장골능이라 하며 장골 앞쪽의 매끈하고 오목한 면은 장골와(iliac fossa)라고 한다.
도 1의 (b)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의 후면골격을 나타내며, 본 발명에 적용하는 인체의 후면골격은 척주(경추, 흉추, 요추, 천골), 견갑골, 하부늑골(12번), 장골 등이 있다.
척주(vertebral column)는 머리뼈로부터 골반까지 뻗어있으며 신체의 중심축을 이룬다. 척주는 경추, 흉추, 요추, 천골 등의 척추로 성인의 경우 26개의 뼈로 구성되어 있다. 각 뼈는 추간원판이라고 하는 섬유연골에 의해 분리되어 있고, 인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척주는 머리와 몸통을 지지하며 유연성이 있어 몸을 전후좌우로 구부리거나 방향을 바꾸거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운동이 가능하며, 세부내용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다.
경추(cervical vertebra)는 경부에 위치하는 7개의 등골뼈로 된 척추의 맨 윗부분을 말한다. 경추는 목의 중심축을 이루고 척추들 중 작은 편이나 뼈조직은 척주의 다른 부위보다 치밀하다. 경추는 머리뼈와 가슴등뼈 사이에 있는데, 모양이 대부분 작고 납작하며, 가로로 난 횡돌기에 척추동맥(제7경추 제외), 정맥, 교감신경줄기가 지나가는 구멍이 있다. 제1경추는 환추(atlas)라고 하는데, 추체와 극돌기가 없고 고리 모양을 하고 있으며, 오목한 상관절와(superior articular facet)가 있어 후두골(occipital bone)의 후두과와 관절한다. 즉, 제1경추는 두개골을 받치는 관절면이 있다. 제2경추는 축추(軸椎)라고 하며, 추체에서 위로 솟아오른 치돌기가 있는데, 이것은 목의 회전을 돕는 것으로서 환추의 추체 가운데에서 생긴다. 환추와 축추에서는 회전운동이 많이 일어난다. 제3경추에서 제6경추까지 작고 넓은 추체와 삼각형의 추공이 있으며, 끝이 둘로 갈라진 극돌기가 있다. 제7경추는 융추(隆椎)라고도 하며, 길고 끝이 갈라지지 않은 극돌기가 있으며, 장대하여 목덜미에서 촉진된다.
흉추(thoracic vertebra)는 가슴등뼈를 말하며, 12개의 흉추는 등의 상부에 위치하며, 경추보다 크고 전형적 추골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3번째 흉추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추체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몸무게로 인한 부하를 견딜 수 있게 되어있다. 흉추는 늑골과 관절하기 위해 추체의 후양방에 상하늑골두와(superior and inferior or facet for head of rib)가 있고, 횡돌기(transverse process) 끝부위에는 횡돌늑골와(facet for tubercle of rib)가 있다. 각 늑골두(head of rib)는 인접한 상하관절와와 함께 관절하여 둘이 합쳐 둥글고 오목하다. 제1번, 11번, 12번 늑골두는 각각 제1번, 11번, 12번 흉추와 단독으로 관절한다.
요추(lumbar vertebra)는 허리등뼈를 말하며 위쪽에 위치한 척추보다 더 많은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추체가 크고 강하다. 5개의 요추는 vertebral body나 돌기(process)가 크고 횡돌기공(transverse foramen)이나 늑골두와(demifacet)가 없어 경추와 흉추와는 쉽게 구별이 된다. 요추에서 횡돌기를 늑골돌기(costal process)라고도 하며, 부돌기(accessory process)와 유두돌기(mammillary process)를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천골(sacrum)은 척주의 기저부에 위치한 삼각형의 뼈이다. 천골은 양쪽 골반사이에 끼어있으며 천장관절의 섬유연골에 의해 관절면에서 관골과 결합된다.
견갑골(scapula, 肩胛骨)은 두 팔이 체간에 연결되는 골격의 일부를 이루는 뼈로, 쟁기·방패·귀갑(龜甲)·날개 등과 모양이 비슷한데, 흉곽(胸廓)의 뒷면에 좌우대칭으로 제2번∼제7번늑골에 걸쳐 있으며, 길이 9∼10cm의 넓적한 삼각형 모양이다.
후면 하부늑골(back lower edge of ribs)도 전면 하부늑골과 같은 경우로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를 위해 요구되는 위치와 명칭으로 인체후면(後面)의 12번 늑골인 가성늑골을 말한다.
장골(ilium)은 전술한 도 1의 (a)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제1실시예>
제1실시예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흉부 및 배부 근육을 설계하여 가슴 및 등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흉추를 곧게 세워줌으로써 경추 및 요추를 바로 잡아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이다.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도 1의 인체골격에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은 사람이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작업 또는 운동 시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한 것이다.
또한,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상체의 각 근육을 설계에 반영 시 기능구현에 제한이 되는 견관절 및 쇄골은 근육의 기능구현을 위하여 인체에 없는 “견관절 지지대” 및 “쇄골 지지대”를 직물골격으로 기능성의류에 반영하였다. 또한 인체 “견갑골”의 경우에는 인체의 해당 위치인 견관절에 설계가 불가능하여 인체 견갑골에 부착되는 근육의 기능구현을 위해 인체와는 변형된 직물 견갑골을 설계하였다.
반면, 골격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백선을 흉골에 연결하여 설계함으로써 좌우측의 근골격의 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도록 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옷본(10)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도출한 상체의 바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산출된 제원에 의해 설계된 틀이다.
직물견관절부(20)는 인체 견관절과 동일한 형태로 옷본(10)의 좌우측 상단에 설계하였다. 즉, 직물견관절부(20)는 견갑골과 상완골에 부착되는 직물근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이다.
직물견관절지지대(30)는 쇄골 상부에서부터 견관절 하부까지를 이루는 사다리형의 지지수단이다. 즉, 직물견관절지지대(30)는 직물쇄골부(40) 상단으로부터 직물견관절부(20) 하부까지를 이루는 사다리형의 지지수단이다. 즉, 직물견관절부(20)로는 인체 상완골 두부의 역할이 제한됨으로, 직물견관절지지대(30)에 직물견관절부(20)를 포함하여 목 부위까지 설계함으로써 인체 견갑골로부터 인체 상완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직물쇄골부(40)는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쇄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쇄골에 있는 위치에 위치되며, 견쇄관절이 위치되는 부분으로부터 흉쇄관절이 위치되는 부분까지 이루는 지지수단이다. 직물쇄골부(40)는 직물로 설계가 가능하도록 인체쇄골을 “S”자에서 다소 변형된 “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4
"형태(타원곡선, 원호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직물쇄골부(40)는 어깨를 고정시켜주고, 상완골 두부, 등, 가슴으로부터 인체쇄골에 부착되는 근육들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이 제한된다.
직물쇄골지지대(50)는 목둘레선에서 견봉까지의 넓이로, 목둘레선을 따라 직물흉골부(60)까지 위치되는 직물골격(골격 보조)으로, 직물쇄골부(40)를 포함한다. 직물쇄골부(40)로는 인체쇄골의 역할이 제한됨으로, 직물쇄골지지대(50)에 직물쇄골부(40)를 포함하여 견봉으로부터 옷본(10)의 목 둘레선까지 설계하여 인체쇄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직물흉골부(60)는 흉골병(胸骨柄)에서 흉골검상돌기까지 이루는 흉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의 쇄골, 견관절, 늑골 등(等)으로부터 인체의 흉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과 “기능성 의류”의 착탈의가 가능하도록 직물흉골부(60)는 옷본(10) 상단의 목둘레선 중앙에서 아래로 1/3지점까지 지퍼(Zipper)로 이루어져 있다.
직물하부늑골부(70)에 있어서, 인체전면(前面)의 하부늑골은 흉골체 하단과 연결된 7번에서 10번까지 늑골의 연골부위이며, 인체후면(後面)의 하부늑골은 12번 늑골이다. 이러한 인체의 하부늑골과 인체장골 및 건막 등(等)에 부착된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 하부늑골의 형태로 직물 하부늑골부(70)를 설계하였다. 즉, 직물하부늑골부(70)는, 인체전면(前面)에서 직물흉골부(60) 하단에서 시작하여 옷본(10) 옆구리를 지나 인체후면으로 연결하여 인체후면(後面)의 직물척주부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까지 연결되어진다. 직물하부늑골부(70)는 제12늑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직물흉골부(40)의 흉골검상돌기의 위치로부터 직물경·흉추부(91) 하단까지 연결되어 있다.
직물백선부(80)는 인체의 복벽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직물흉골부(60) 하단(61)에서 수직으로 옷본(10)하단까지 인체백선 형태로 지퍼(Zipper)를 이용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인체의 각 부위는 뼈에 의해 직접적으로 지지되지만 복부는 그렇지 않으며, 인체백선(linea alba)이라는 질긴 결합조직 띠가 인체의 흉골 검상돌기로부터 인체의 치골결합까지 연결되어 복벽에 있는 근육들이 부착되어있다. 따라서 인체의 복벽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직물흉골부(60) 하단(61)에서 수직으로 옷본(10)하단까지 인체백선 형태로 직물백선부(80)을 지퍼(Zipper)로 설계하였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의류의 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직물척주부(90)는 인체의 머리, 견갑골, 늑골 등(等)으로부터 인체척주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척주와 동일한 위치로 옷본(10)의 뒤 목둘레선 정중앙에서 옷본(10)의 정중앙 하단까지 위치된다.
직물경·흉추부(91)는 직물척주부(90)의 상층부로, 상단은 뒤 목둘레선 중앙으로 하고, 하단을 하부늑골부(70)가 시작하는 위치로 하여, 인체의 경·흉추와 동일한 위치로 이루어지며, 인체의 머리, 견갑골, 늑골 등(等)으로부터 인체의 경·흉추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여기서 인체경추부는 경부의 제1번경추에서 제7번경추까지 위치이며, 흉추부는 제7번경추 하부의 제1번흉추부터 제12번흉추까지 위치이다.
직물 요·천추부(92)는 직물척주부(90)의 하층부로 상단은 직물하부늑골부(70)가 시작하는 위치이며, 하단은 옷본(10) 하단중앙 위치로 하여 인체의 요· 천추와 동일한 위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체의 늑골, 장골, 백선 등(等)으로부터 인체의 요·천추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여기서 인체요추부는 제12번흉추 하부의 제1번요추부터 제5번요추까지 위치이다.
직물견갑골부(100)는 직물견관절지지대(30) 상단과 좌우측 직물하부늑골부(70)의 후면 1/2지점에 인체의 견갑골과 변형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인체의 상완골과 경추 및 흉추로부터 인체의 견갑골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직물견갑골부(100)는 흉곽의 뒷면에 좌우대칭 되게 제2번∼제7번 늑골에 걸쳐 위치하여 지지하는 수단으로, 직물골격근이 안전하게 지지가 되도록 직물 하부늑골부(70)에 가까워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하였다. 여기서, 인체 견갑골은 인체의 견갑대 및 상완골을 움직여주고, 등의 근육들이 부착되는 뼈로, 인체 견갑골은 상완골에 만 접합되어있으므로 직물골격 설계 시 기능구현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직물견관절지지대(30) 상단과 직물 하부늑골부(70)의 후면 1/2지점에 연결되도록 직물 견갑골(100)을 설계하여 견갑골 기능상에는 문제가 없도록 하였다.
제1실시예에 의해 기능성 의류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근육으로, 설계목적상 골격근을 피부접촉 근육인 겉근육, 골격 내의 근육인 골격 내재근, 겉근육과 골격 내재근 사이의 근육인 안근육 등의 종류로 구분하되 설계반영에 의미가 없는 골격 내재근은 제외하고, 안근육 및 겉근육 만을 직물골격근으로 “기능성 의류” 설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의 인체 골격계와 연계된 흉부 및 배부근육을 정리하면 표3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5
극상근은 견갑골 후면의 견갑극 위 움푹 패인 곳에 위치한 근육이다.즉, 극상와의 중앙 2/3를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더 큰 결절에 상위로 부착되어 있다.
극하근은 견갑골 후면의 견갑극 아래 움푹 패인 곳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극하근은 견갑골의 척주 바로 아래의 극하근 낭의 중앙면을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더 큰 결절 후면에서 부착되어 있다.
대원근은 견갑골의 외측면 및 상완골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대원근은 후면적으로 견갑골의 측면경계의 하위 1/3과 하위각의 바로 상위를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결절간 홈의 중앙 입구에 부착되어 있다.
능형근은 상부흉추 및 견갑골 내측면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능형근은 마지막 쇄골의 극돌기와 처음 다섯 개의 흉추를 기시점으로 척추아래 견갑골의 중앙경계에 부착되어 있다.
견갑거근은 경추 상위 및 견갑골 내측면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견갑거근은 상위 네가지의 경추의 횡돌기를 기시점으로 견갑극의 기부 바로 위의 견갑골의 중앙경계에 부착되어 있다.
승모근은 등의 위쪽에 있는 큰 삼각형 모양의 근육으로, 두개골 기저부, 흉추, 어깨 까지 뻗어있는 근육이다. 승모근에서 상위의 경우, 두개골의 외후두 융기와 목의 후부 인대를 기시점으로 쇄골의 측면 1/3의 후면에 부착되어 있다. 중위의 경우, 일곱 번째 경부와 상위 세가지의 흉추의 극돌기를 기시점으로 견봉의 중앙경계와 견갑극의 상위경계에 부착되어 있다. 하위의 경우, 네 번째에서 열두번째 흉추의 극돌기를 기시점으로 견갑극의 기부에 있는 삼각형의 공간에 부착되어 있다.
늑간근은 늑골(갈비뼈) 사이 근육으로 인체의 전면 및 후면에도 위치된다. 늑간근은 12개 늑골사이를 기시 및 종지로 한다.
제1실시예의 직물근육들은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4와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6
즉, 흉부과 배부의 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이 필요하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안근육인 직물극상근, 직물극하근부, 직물대원근부, 직물견갑거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늑간근부는 150~170%가 요구되며 겉근육인 직물승모근부는 120~140%가 요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극상근부(1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직물 극상근부(11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극상근부(110)는 인체의 극상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직물견갑거근부(150)와 같은 높이의 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20)에서 상단 2/5지점에 부착한다. 직물극상근부(11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수평으로 직물견관절부(20)를 향하도록 하여 인체 극상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극상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극상근부(11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극상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의 약한 외전과 관절와에 있는 상완골 두부의 안정을 조기에 유지시켜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극하근부(12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직물극하근부(12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극하근부(120)은 인체 극하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직물극상근부(110)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20)에서 직물극상근부(110)과 동일한 지점에 부착한다. 직물 극하근부(12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직물견관절부(20)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극하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극하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극하근부(12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극하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외부회전, 수평외전, 신장, 관절낭에서 상완골 두부의 안정을 조기에 유지시켜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대원근부(130)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직물대원근부(13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원근부(130)는 인체 대원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견갑골부(100)와 직물견관절부(20)에 부착되되,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에는 직물소원근(180)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20)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20) 하단 앞쪽에 부착한다. 직물 대원근부(13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직물견관절부(20)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대원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대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원근부(13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대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굴곡된 자세에서부터 후면적으로 신장된 자세까지 상완관절이 쉽게 신장되며, 옆쪽까지 아래로 외전된 자세로부터 신체의 중심선을 향해 상완관절을 쉽게 내전시켜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능형근부(14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직물능형근부(14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능형근(140)은 인체 능형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경· 흉추부(91)에는 직물 경·흉추부(91)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100)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150) 하단에 이어서 부착한다. 직물능형근부(140)는 1 대 4의 비율로 직물소능형근부(143)와 직물 대능형근부(147)을 분리하되 서로 겹치지 않도록 차례대로 부착한다. 직물능형근부(14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경·흉추부(91)에서 직물견관절부(20)를 향하도록 하여 인체 능형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능형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능형근(140)의 장력으로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능형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인체 대능형근과 소능형근은 함께 작동하여 인체 흉추를 향해 인체 견갑골을 당기며, 상향 회전된 자세로부터 그것들은 인체 견갑골을 하향회전으로 끌어당긴다. 또한 내전을 수반하는 약간의 상승작용 등(等)을 원활하게 해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견갑거근부(15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직물 견갑거근부(15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견갑거근부(150)는 인체 견갑거근의 형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견갑골부(100)의 위쪽과 목둘레선에 부착하되,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에는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옷본(10)의 목둘레선에는 좌우측 중앙에 부착한다. 직물견갑거근(150)의 신축성 방향은 옷본(10) 상에는 없는 인체경추 상단에서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견갑거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견갑거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 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견갑거근부(150)의 장력으로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견갑거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인체 견갑골의 중앙여백을 보다 원활하게 상승시켜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 승모근부(16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직물 승모근부(16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승모근부(160)는 인체의 승모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척주부(90)에는 직물경·흉추부(91)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지지대(30)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10)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승모근부(160)의 신축성 방향은 옷본(10) 상단의 목둘레선 좌우측 중앙(후두골 방향)으로부터 인체전면(前面)의 직물쇄골부(40) 측면방향, 직물경· 흉추부(91)상단에서 견봉방향, 직물경· 흉추부(91) 중하단으로부터 직물견관절지지대(30)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승모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승모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승모근부(16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승모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위에서는 인체 견갑골 상승과 목에서 머리를 신장시키며, 중앙에서는 상체 상승과 상향회전 및 인체 견갑골을 내전시키고, 하위에서는 상체 하강과 내전 및 인체 견갑골을 상향회전 시키는 등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준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늑간근부(170)를 인체의 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늑간근부(170)를 인체의 후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과 도 11은 직물늑간근부(17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늑간근부(170)는 인체 늑간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60),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70)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견관절지지대(30)상의 직물견관절부(20)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직물경·흉추부(91)와 직물하부늑골부(70)에 부착된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170)에 연결시킨다. 여기에서는 인체 늑간근의 기능상에 문제점이 없음을 고려, 옷본(10)의 안정성을 위해 인체쇄골 하단(1번 늑골)에 부착하지 않고 어깨선 위치에 부착하였다. 직물늑간근부(170)의 신축성 방향은 상하늑골로 향하도록 한다. 이는 인체 늑간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늑간근(170)의 장력은 자세와는 무관하나, 인체 늑골사이에서 비스듬히 아래쪽으로 연결된 인체 외늑간근의 경우 들숨과 늑골을 보다 쉽게 올리게 하고, 인체 늑골사이에서 비스듬히 뒤 아래쪽으로 연결된 인체 내늑간근의 경우 부분적 날숨과 늑골을 쉽게 올라오게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에 반영된 직물골격근은 상체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자세의 균형 및 항상성이 유지되고, 근파워가 증가된다. 이는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인체근육에 젖산 및 인산염 등(等)의 분비를 억제시킴으로써 근피로를 감소 시키고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인체골격을 고려하여 제2실시예에 적용되는 직물골격을 판단한 결과, 제1실시예의 직물골격과 동일하나 바른자세를 위한 골격으로 인체의 주춧돌인 인체후면(後面)의 직물장골부(220)과 요추 및 천골을 연결하여 인체의 허리를 강하게 지지해주는 인체후면(後面)에 직물건막부(210)를 도 12에서 보는바와 같이 추가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후면)의 직물골격을 나타낸다. 즉, 도 12는 후술되는 도 17의 기능성 의류의 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에서 직물건막부(210), 직물장골부(220) 등이 추가되었다.
직물건막부(210)는 인체의 건막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인체건막은 인체의 흉추 6번에서 인체의 천골 및 장골능에 이르는 삼각형의 부위이다. 직물건막부(210)는 인체장골 등(等)으로부터 인체 하부늑골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건막과 동일한 형태로 직물경·흉추부(91)와 직물요·천추부(92)의 경계지점 그리고 직물척주부(90) 하단과 직물장골부(220)를 연결하여 설계하였다.
직물장골부(220)은 인체의 장골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수단으로, 인체후면(後面)의 하부늑골(12번)로부터 장골능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의 장골(골반)과 동일한 형태로 옷본(10)의 좌우측에 직물장골부(220)을 설계하였고 인체전면(前面)의 직물장골부(220)과 연결하였다.
추가된 직물골격 외 인체 전후면(前後面)의 옷본(10), 직물견관절부(20), 직물견관절지지대부(30), 직물쇄골부(40), 직물쇄골지지대(50), 직물흉골부(60), 직물하부늑골부(70), 직물백선부(80), 직물척주부(90), 직물경·흉추부(91), 직물요·천추부(92), 직물견갑골부(1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제2실시예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실시예에 적용된 인체 근육 및 골격계로, 도 2 및 도 12의 인체 골격계와 연계된 흉부 및 배부 근육을 정리하면 표5와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7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신근인 대원근과 회전근인 극하근을 신근인 광배근과 회전근인 소원근으로 각각 대체하여 기능성 의류를 설계하였다.
소원근은 견갑골의 외측면 및 상완골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소원근은 견갑골의 측면경계의 상위면과 중앙면에 후부적 위치를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더 큰 결절에서 후부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광배근은 등의 아래쪽 외측면을 돌아 겨드랑이 밑까지 상완골을 향한 근육이다. 즉, 광배근은 가시돌기와 하위 6개의 흉추(T6-12)를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결절간 홈의 중앙쪽에 부착되어 있다.
제2실시예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6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8
직물근육은 제1실시예에서 직물극하근부(120), 직물대원근부(130)가 삭제되었으며, 직물광배근부(190), 직물소원근부(180)가 추가되었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직물 안근육인 직물소원근부(180)는 150 ∼ 170%, 직물 겉근육인 직물광배근부(190)는 120 ∼ 140%의 신장율이 요구되며, 기타 직물근육은 제1실시예의 직물근육과 동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소원근부(18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직물 소원근부(18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소원근부(180)는 인체의 소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에는 직물극하근(120)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20)에는 직물견관절부(20) 상단 3/5지점에 부착한다. 직물소원근(18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직물견관절부(20)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소원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소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소원근부(18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소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외부회전, 수평외전, 신장을 시켜주며 관절낭에서 상완골 두부의 안정을 조기에 유지시켜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광배근부(19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은 직물광배근부(19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광배근부(190)는 인체 광배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척주부(90)에는 직물경·흉추부(91)와 직물요·천추부(92)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건막(210)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20)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20) 하단 앞쪽에 부착한다. 직물광배근(19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경·흉추부(91) 하단 및 직물건막(220) 전면(全面)에서 직물견관절부(20)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광배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광배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광배근부(19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광배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내전, 내부회전(신장), 수평외전을 시켜준다.
추가된 직물근육 외에 직물극상근부(110), 직물능형근부(140), 직물견갑거근부(150), 직물승모근부(160), 직물늑간근부(170)는 제1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기능성 의류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인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며,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인체골격을 고려하여 볼 때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직물골격은 제2실시예의 직물골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직물골격인 옷본(10), 직물견관절부(20), 직물견관절지지대(30), 직물쇄골부(40), 직물쇄골지지대(50), 직물흉골부(60), 직물하부늑골부(70), 직물백선부(80), 직물척주부(90), 직물경·흉추부(91), 직물요·천추부(92), 직물견갑골부(100), 직물건막부(210), 직물장골부(2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에서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인체근육으로, 도 2 및 도 12의 인체 골격계와 연계된 근육을 정리하면 표 7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09
제2실시예의 회전근인 소원근과 외전근인 극상근을, 회전 및 외전근인 견갑하근으로 대체하고 대흉근을 추가하여 제3실시예의 기능성 의류를 설계하였다.
대흉근은 가슴상부에 위치한 두꺼운 근육이다. 대흉근의 쇄골두부의 근육은 쇄골 전면의 중앙1/2인 위치를 기시점으로 하고 흉골두부의 근육은 첫 번째 6개 늑연골의 전면 및 흉골의 인접부분의 위치를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결절간 홈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2인치 또는 3인치 넓이의 평평한 건에 부착되어 있다.
견갑하근은 견갑골 앞면을 덮는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견갑하근은 견갑하와의 전체적인 전면 표면을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더 작은 결절에 부착되어 있다.
제3실시예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직물근육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8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0
직물근육은 직물대흉근부와 직물견갑하근부가 추가 되었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직물 안근육인 직물견갑하근은 150~170%, 직물 겉근육인 직물대흉근은 120~140%의 신장율이 요구되며, 기타 직물근육은 제2실시예의 직물근육과 동일하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대흉근부(3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5은 직물대흉근부(31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흉근(310)은 인체의 대흉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흉골부(60), 직물쇄골부(40), 직물하부늑골부(70), 직물견관절부(20)에 부착되되, 중앙의 직물흉골부(60)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상단의 직물쇄골부(40)에는 직물흉골부(60)에서 좌우측으로 2/3지점까지만 부착한다. 하단의 직물늑골부(70)에는 직물흉골부(60)에서 좌우측으로 1/2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20)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대흉근부(310)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 상완골 결절의 위치인 직물견관절부(20)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대흉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대흉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흉근부(310)의 장력으로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대흉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쇄골두부의 근육은 상완관절의 내부회전, 수평내전, 굴곡, 외전(일단 팔을 90도로 외전하게 되면 쇄골두부의 근육이 더 많은 외전을 지원하게 된다), 내전(팔을 90도 이하로 외전시켜)을 시켜주고 흉골두부의 근육은 상완관절의 내부회전, 수평내전, 신장 그리고 내전을 시켜준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견갑하근부(32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6은 직물견갑하근부(32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견갑하근부(320)는 인체의 견갑하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견갑골부(100)에는 직물견갑골(100) 앞의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20)에는 직물견관절부(20) 상단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한다. 직물견갑하근(32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100)에서 직물견관절부(20) 상단 및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견갑하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견갑하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견갑하근부(32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견갑하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내부회전과 내전, 상완골의 신장과 두부를 관절낭에 안정시켜준다.
따라서 제3실시예의 기능성 의류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인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며,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복벽근육을 설계하여 복벽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요추를 곧게 세워줌으로써 경추 및 흉추를 바로 잡아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인체골격을 고려하여 제4실시예에 적용되는 직물골격을 판단한 결과, 제2실시예의 직물골격과 동일하나 인체전면(後面)의 직물장골부(220)를 도 17에서 보는바와 같이 추가하여 직물복벽근을 안전하게 지지시켜 준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전면)의 골격을 나타낸다. 제4실시예에 의한 골격 및 근육의 기능을 보조하는 기능성 의류에 적용되는 인체(후면)의 골격은 제2실시예의 도 12와 동일하다. 즉, 도 17은 도 12의 기능성 의류의 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직물장골부(220)는 제2실시예에서 인체후면(후면)에 설계된 직물장골부(220)와 동일한 직물골격으로 이와 연결된 인체전면(前面)의 직물장골부(220)이다. 이는 인체전면(前面)에서 인체 하부늑골(7∼10번)로부터 인체전면(前面)의 장골능에 부착되는 인체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인체전면(前面)의 장골(골반)과 동일한 형태로 옷본(10)의 좌우측에 직물장골부(220)를 설계하였다.
추가된 직물골격 외 인체 전후면(前後面)의 옷본(10), 직물견관절부(20), 직물견관절지지대(30), 직물쇄골부(40), 직물쇄골지지대부(50), 직물흉골부(60), 직물하부늑골부(70), 직물백선부(80), 직물척주부(90), 직물경·흉추부(91), 직물요·천추부(92), 직물견갑골부(100), 직물백선(210)은 제2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흉부 및 배부의 근골격계에 의한 기능성 의류인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는 달리, 제4실시예는 복벽 근골격계에 의한 기능성 의류로 제4실시예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근육으로, 도 12 및 도 17의 인체 골격계와 연계된 복벽근육을 정리하면 표9와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1
복횡근은 인체전후면(前後面)에 위치한 근육으로, 서혜인대의 외부 1/3지점과 장골능의 안쪽 가장자리, 하위 6개 늑골들의 연골의 안쪽표면, 요부근막을 기시점으로 하여 복직근 좌우측 백선까지의 복부건막에 부착되어 있다.
내복사근은 인체전후면(前後面)에 위치한 근육으로, 장골능을 기시점으로 하여 하부늑골의 늑연골 및 백선에 부착되어 있다.
외복사근은 인체전후면(前後面)에 위치한 근육으로, 하부늑골의 바깥면을 기시점으로 하여 장골능의 바깥면과 백선에 부착되어 있다.
복직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한 근육으로, 치골능을 기시점으로 하여 5, 6, 7번 하부늑골의 연골과 검상돌기에 부착된다.
요방형근은 인체전면(前面)에 위치한 근육으로, 장골능 후부의 안쪽 가장자리를 기시점으로 하여 12번째 늑골의 하위경계의 약 1/2길이와 상위 네 개의 요추 횡돌기에 부착된다.
제4실시예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 10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2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되, 직물복횡근 및 직물복사근은 겉근육의 탄력과 동일한 범위로 적용한다. 신장율의 경우 직물요방형근은 150~170%, 직물복횡근, 직물내복사근, 직물복직근, 직물외복사근은 120~140%의 신장율을 적용한다.
인체 복벽근육 중 복직근 및 요방형근을 제외한 복횡근, 내복사근, 외복사근은 그 기능이 유사함으로 1개 직물근육으로 통합 및 설계하여 기능성 의류에 반영하였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외복사근부, 직물내복사근부, 직물복횡근부를 인체의 전면(前面)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외복사근부, 직물내복사근부, 직물복횡근부를 인체의 후면(後面)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8과 도 19는 직물외복사근부, 직물내복사근부, 직물복횡근부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복횡근부(330)는 인체의 복횡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전면(前面)의 경우는 직물장골부(220)능 및 직물하부늑골부(70)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복직근부(360)에는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백선부(80)에 부착하여 인체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330)과 연결시키고, 인체후면(後面)의 경우는 직물건막부(210) 및 직물장골부(220)능 과 직물하부늑골부(70)에는 각각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인체전면(前面)의 직물 복직근부(360)와 연결시킨다. 인체전면(前面) 직물복횡근부(33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70)과 직물장골부(220)능에서 직물복직근(360)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횡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키고, 인체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33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건막(210) 및 직물장골부(220)능과 직물하부늑골부(70)에서 직물복직근(360)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횡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복횡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복횡근부(33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복횡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인체의 하부늑골, 요추, 장골에서 백선까지 수평으로 주행하며 복벽을 안쪽으로 당김으로써 압박 강제적인 호기(숨내쉬기)를 시켜준다. 또한 인체 복횡근이 수축하면 복벽이 긴장되고 복강내 장기가 압박되며, 특히 인체의 요부를 앞뒤로 굴곡 시켜주고 요부를 측면굴곡 및 회전시켜 준다.
직물내복사근부(340) 및 직물외복사근부(350)는 인체의 내·외복사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되 전술한 직물복횡근부(330)과 동일하게 직물골격에 부착한다. 이는 인체의 내· 외복사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내복사근부(340) 및 직물외복사근부(35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내· 외복사근은 공히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인체 복횡근과 동일한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복직근부(36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0은 직물복직근부(36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복직근부(360)는 인체의 복직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인체의 골반 중 치골위치를 고려하여 직물장골부(220) 및 직물백선부(80)과 직물복횡근부(330)의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하부늑골부(70)의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복직근부(36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복직근부(360) 하단에서 직물하부늑골부(70)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직근의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복직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복직근부(36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복직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인체 복직근은 복벽에 있는 다른 근육과 함께 복강내 장기를 압박하며, 인체 복횡근(내/외복사근)과 동일하게 인체의 요부를 앞뒤로 굴곡 시켜주고 요부를 측면굴곡 시켜준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에서 직물요방형근부(37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1은 직물요방형근부(370)를 의류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요방형근부(370)는 인체의 요방형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장골부(220) 및 직물요·천추부(92)와 직물하부늑골부(70)에 부착되되, 직물장골부(220)능에는 좌우측 끝단에 부착하고 직물하부늑골부(70)에는 직물경·흉추부(91)와 직물요·천추부(92)의 경계선에서 옷본(10)허리 방향으로 직물하부늑골부(70) 1/4지점에서 2/4지점까지 부착한다. 또한 부착한 직물하부늑골부(70) 지점에서 직물요·천추부(92)의 중앙지점에 부착한다. 직물요방형근부(370)의 신축성 주방향은 직물장골부(220)능에서 직물하부늑골부(70)를 향하도록 하고 보조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70)에서 직물요·천추부(92) 중앙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의 요방형근 이완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의 요방형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요방형근(37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의 요방형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인체의 요방형근이 위치한 쪽의 측면굴곡이 골반과 요추를 조기에 안정시킨다.
따라서 제4실시예의 기능성 의류도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인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며,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흉부, 배부, 복벽의 근육을 설계하여 흉부, 배부, 복벽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척주를 곧게 세워줌으로써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시켜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이다.
제5실시예는 전술한 제1 내지 제4실시예를 통합한 기능성 의류로 여기에 적용된 인체골격에 대한 직물골격은 옷본(10), 직물견관절부(20), 직물견관절지지대(30), 직물쇄골부(40), 직물쇄골지지대부(50), 직물흉골부(60), 직물하부늑골부(70), 직물백선부(80), 직물척주부(90), 직물경·흉추부(91), 직물요·천추부(92), 직물견갑골부(100), 직물건막(210), 직물장골부(220)로 이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4개의 실시예, 즉 제1 내지 제4실시예가 통합된 제5실시예의 인체 근골격계를 정리하면 표11과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3
4개의 실시예, 즉 제1 내지 제4실시예가 통합된 제5실시예의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12와 같다.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4
※ 단, 직물 안근육 중 직물 복횡근, 직물 내복사근, 직물 요방형근의 직물 신장율은 120~140 적용
제5실시예의 기능성 의류, 즉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4개의 실시예의 기능성 의류에 적용된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은, 직물극상근부(110), 직물극하근부(120), 직물대원근부(130), 직물능형근부(140), 직물견갑거근부(150), 직물승모근(160), 직물늑간근부(170), 직물소원근부(180), 직물광배근부(190), 직물대흉근부(310), 직물견갑하근부(320), 직물복횡근부(330), 직물내복사근부(340), 직물외복사근부(350), 직물복직근부(360), 직물요방형근부(370)를 구비하며, 이들은 앞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5실시예는 4개의 실시예(제1 내지 제4실시예)가 통합된 기능성 의류로 4개의 실시예 보다는 더욱 견실하게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인체의 균형을 유지시켜주며,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는 탄성 직물 또는 편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니트와 같은 유사한 탄성직물 또는 편물로도 편물직조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외 기타 편물 등(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 기능성 의류 제작과정 및 직물 근골격계의 역할 / 기능>
여기서는 전술한 직물 골격 및 직물근육의 모양과 이들을 적용한 기능성 의류의 제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서의 인체전면 직물골격 상세부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이하는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직물견관절부(2)는 옷본(1)의 좌우측 상단에 인체의 견관절이 있는 위치에 위치시킨다.
직물견관절지지대(3)는 옷본상의 목 부위에서, 좌우 양측에서 견관절이 끝나는 부분까지 위치시킨다.
직물쇄골지지대(5)는 견봉과 직선을 목둘레선에서 견봉까지의 넓이로, 목둘레선을 따라 위치되며, 직물쇄골부(4)는 직물쇄골지지대(5)에서 쇄골이 위치되는 부분에 호의 형태(“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5
"형태)를 이루는 지지수단을 위치시킨다.
직물흉골부(6)는 옷본(1) 상단의 목둘레선 중앙에서 아래로 1/3지점(옷본에서 1/3한 지점)까지 위치되는 직사각형의 지지수단으로 지퍼(Zipper)로 이루어져 있다.
직물하부늑골부(7)는, 인체전면(前面)에서 직물흉골부(6) 하단에서 시작하여 옷본(1) 옆구리를 지나 인체후면으로 연결하여 인체후면(後面)의 직물척주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까지 연결되어진다. 직물하부늑골부(7)는 직물흉골부(6) 하단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호의 형태(“
Figure 112010021511229-pat00016
"형태)로 이루어진다.
직물백선(8)은 직물흉골(6) 하단에서 수직으로 옷본(1)의 하단까지 이루어진다.
직물장골부(9)는 옷본(10)의 좌우측 하단에 골반이 위치되는 곳에 위치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서의 인체후면 직물골격 상세부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이하는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직물견갑골부(10)는 일단이 직물견관절지지대(도 22의 3) 상단에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좌우측 직물하부늑골(도 22의 7)의 후면 1/2지점에 위치된다. 견갑골부(10)의 중앙부에 견갑골지지대를 더 구비하여 견갑골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는 견관절지지대의 상단과 직물하부늑골부(7-1) 상에 연결된다.
직물척주(11)는 옷본(10)의 뒤 목둘레선 정중앙에서 옷본(10)의 정중앙 하단까지 직사각형의 직물이 위치된다.
직물하부늑골부(7-1)는, 인체전면(前面)에서 직물흉골부(6) 하단에서 시작하여 옷본(1) 옆구리를 지나 인체후면으로 연결하여 인체후면(後面)의 직물척주(11)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까지 연결되어진다. 인체후면에서는 직물척주부(11)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에 직물하부늑골이 연결되어 있음을 도 23을 통해 알 수 있다.
직물건막부(12)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지점 그리고 직물척주부(11) 하단과 직물장골부(9-1)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직물건막부(12)는 삼각형을 이룬다.
직물장골부(9-1)는 옷본(10)의 좌우측 하단에 골반이 위치되는 곳에 위치되며, 인체전면(前面) 직물장골부(도 22의 9)와 연결된다.
도 24a 와 도 24b는 본 발명에서의 인체전면 직물근육 상세부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이하는 도 24a 와 도 2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직물늑간근부(1)는 전면(前面)은 직물흉골부(도 22의 6) 및 직물하부늑골부(도 22의 7)의 전면(全面)과 직물견관절지지대(도 22의 3)상의 직물견관절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1)에 연결시킨다.
직물대흉근부(2)는 직물흉골부(도 22의 6), 직물쇄골부(도 22의 4), 직물하부늑골부(도 22의 7), 직물견관절부(도 22의 2)에 부착되되, 중앙의 직물흉골부(도 22의 6)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상단의 직물쇄골부(도 22의 4)에는 직물흉골부(도 22의 6)에서 좌우측으로 2/3지점까지 만 부착한다. 하단의 직물하부늑골부(도 22의 7)에는 직물흉골부(도 22의 6)에서 좌우측으로 1/2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도 22의 2)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대흉근부(2)의 신축성 방향은 상완골 결절의 위치인 직물견관절로 향하도록 하여 대흉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복직근부(3)는 인체의 골반 중 치골 위치를 고려하여 직물장골부(도 22의 9) 및 직물백선부(도 22의 8)과 직물복횡근부(4)의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 하부늑골부(도 22의 7)의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복직근부(36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복직근부(3) 하단에서 직물하부늑골부(도 22의 7)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직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복횡근부(4)는 인체의 복횡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인체전면(前面)의 경우는 하단과 상단의 직물장골능(도 22의 9) 및 직물하부늑골부(도 22의 7)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복직근부(3)에는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백선(도 22의 8)에 부착하여 후면(後面) 직물복횡근과 연결시킨다. 인체전면(前面) 직물 복횡근부(4)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도 22의 7)와 직물장골능부(도 22의 9) 에서 직물복직근부(3)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횡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키고, 인체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4)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건막부(도 23의 12) 및 직물 장골부(도 23의 9-1)능과 직물하부늑골부(도 23의 7-1)에서 직물복직근(3)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횡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또한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내/외복사근 중 내복사근은 장골능을, 외복사근은 하부늑골의 바깥면을 기시점으로 하여 내복사근은 하부늑골의 늑연골 및 백선에, 외복사근은 장골능의 바깥면과 백선에 부착된다. 따라서 직물내/외복사근부는 인체의 내/외복사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되 전술한 직물복횡근부(4)와 동일하게 직물내/외복사근을 직물골격에 부착한다.
도 25a 내지 도 25d는 본 발명에서의 인체후면 직물근육 상세부분을 설명하기위한 설명도이다. 이하는 도 25a 내지 도 2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직물늑간근부(1-1)은 늑간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후면(後面)은 직물경·흉추부 및 직물하부늑골부(12번)의 전면(全面)을 전면(前面) 직물늑간근부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하면서 전면(前面) 직물늑간근(도 24a의 1)과 연결시킨다.
직물견갑거근부(5)는 인체 견갑거근의 형태 및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 견갑골부에는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옷본의 목둘레선에는 좌우측 중앙에 부착한다. 직물견갑거근부(5)의 신축성 방향은 옷본 상에는 없는 경추 상단에서 좌우측 직물견갑골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견갑거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극상근부(6)은 인체의 극상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견갑거근부(5)와 같은 높이의 지점에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상단 2/5지점에 부착한다. 직물극상근부(6)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수평으로 직물견관절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극상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극하근부(7)는 인체 극하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극상근부(6)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극상근과부(6)와 동일한 지점에 부착한다. 직물극하근(7)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에서 직물견관절부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극하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소원근부(8)는 인체의 소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극하근부(7)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의 상단 3/5지점에 부착한다. 직물소원근부(8)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소원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대원근부(9)는 대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소원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한다. 직물대원근부(9)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대원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견갑하근부(10)는 인체의 견갑하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좌우측 직물 견갑골부에는 직물견갑골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 상단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한다. 직물견갑하근부(1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에서 직물견관절 상단 및 중앙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견갑하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능형근부(11)는 인체의 능형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경·흉추부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5) 하단에 이어서 부착한다. 직물능형근부(11)는 1 대 4의 비율로 소능형근과 대능형근을 분리하되 서로 겹치지 않도록 차례대로 부착한다. 직물 능형근부(11)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척추부의 흉추상단 및 중앙에서 직물견관절부 중상단 및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능형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후면(後面)의 직물복횡근부(4-1)는 인체의 복횡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건막 및 직물장골능과 직물하부늑골(12번)에는 각각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전면(前面) 직물복직근부와 연결시킨다. 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4-1)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건막 및 직물장골능과 직물하부늑골에서 직물복직근부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복횡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요방형근부(12)는 인체의 요방형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장골능에는 좌우측 끝단에 부착하고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직물척주부의 흉추와 요추경계선에서 옷본허리 방향으로 직물하부늑골부 1/4지점에서 2/4지점까지 부착한다. 또한 부착한 직물하부늑골부 지점에서 직물척주부의 요추 중앙지점으로 부착한다. 직물요방형근부(12)의 신축성 주방향은 직물장골능에서 직물하부늑골부를 향하도록 하고 보조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에서 직물척주부의 요추 중앙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요방형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광배근부(13)는 인체 광배근의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척주부에는 흉추 및 요추의 경계선으로부터 흉추 방향으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 건막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 하단 앞쪽에 부착한다. 직물광배근부(13)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척주부의 흉추하단 및 직물건막 전면(全面)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요방형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직물승모근부(14)는 인체의 승모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척주부에는 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지지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쇄골지지대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한다. 직물승모근부(14)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쇄골지지대 목둘레선 좌우측 중앙(후두골 방향)에서 직물쇄골부 측면, 직물척주부의 경추하단 및 흉추상단에서 견봉, 직물척주부의 흉추 중하단에서 직물견갑골 상단을 향하도록 하여 인체 승모근의 힘의 방향과 일치시킨다.
10 : 옷본 20 : 직물견관절부 30 : 직물견관절지지대
40 : 직물쇄골부 50 : 직물쇄골지지대 60 : 직물흉골부
70 : 직물 하부늑골부 80 : 직물백선 90 : 직물척주부
91 : 직물경·흉추부 92 : 직물요·천추부 100 : 직물견갑골부
110 : 직물극상근부 120 : 직물극하근부 130 : 직물대원근부
140 : 직물능형근부 150 : 직물견갑거근부 160 : 직물승모근부
170 : 직물늑간근부 180 : 직물소원근부 190 : 직물광배근부
210 : 직물건막 220 : 직물장골(골반)부 310 : 직물대흉근부
320 : 직물견갑하근부 330 : 직물복횡근부 340 : 직물내복사근부
350 : 직물외복사근부 360 : 직물복직근부 370 : 직물요방형근부

Claims (40)

  1. 목의 좌우양측에, 옷본상의 목둘레선에서 견관절이 끝나는 부분까지 위치되는 직물견관절지지대;
    인체의 전면(前面)부에, 목둘레선에서 견봉까지의 넓이(폭)로, 목둘레선을 따라 원호(圓弧)형 직물을 이루는 직물쇄골지지대;
    옷본 상단의 목둘레선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1/3지점(옷본에서 1/3한 지점)까지 위치되는 직사각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흉골부;
    인체 전면(前面)에서 상기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시작하여 옷본의 옆구리부를 지나 인체 후면(後面)의 직물척주부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까지의 띠형(띠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하부늑골부;
    상기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수직으로 옷본 하단까지 띠형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백선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견관절지지대의 하단부에 설치되되, 인체 견관절을 따라 직사각형의 직물로 설치되는 직물견관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쇄골지지대에서 인체의 쇄골을 따라 원호(圓弧)형(“
    Figure 112011023027820-pat00017
    "형태)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쇄골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4. 인체 후면(後面)부에서 옷본의 뒤 목둘레선 정중앙에서 옷본의 정중앙 하단까지 위치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척주부;
    목의 좌우양측에, 옷본상의 목둘레선에서 견관절이 끝나는 부분까지 위치되는 직물견관절지지대;
    상기 직물견관절지지대 상단과 직물하부늑골부의 후면 1/2지점까지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5. 제4항에 있어서,
    직물하부늑골부는
    인체 전면(前面)에 위치된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시작하여 옷본의 옆구리부를 지나 인체 후면(後面)의 직물척주부의 흉추와 요추경계 지점까지의 띠형(띠형태)의 직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척주부의 상층부에 위치되되, 상단은 옷본의 뒤 목둘레선 중앙으로 하고, 하단은 직물척주부와 직물하부늑골부가 연결된 부분으로 하여, 수직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경·흉추부;
    상기 직물척주부의 하층부에 위치되되, 상기 직물경·흉추부의 밑에서부터 옷본 하단의 중앙까지 위치되는 수직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요·천추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7. 제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옷본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에 의하여 바른자세로 설계된 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견관절부는 인체의 좌우 양측에 하나씩 구비되되, 견갑골에서 상완골에 부착되어, 직물근육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9. 제3항에 있어서,
    직물견관절부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0. 제3항에 있어서,
    직물쇄골부는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쇄골을 지지하는 수단이며,
    직물하부늑골부는 제12늑골을 지지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1. 제3항에 있어서,
    직물흉골부 및 직물백선은 지퍼(Zipper)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2. 제3항에 있어서,
    인체 후면(後面)부에서 옷본의 뒤 목둘레선 정중앙에서 옷본의 정중앙 하단까지 위치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척주부;
    직물견관절지지대 상단과 직물하부늑골부의 후면 1/2지점까지 띠형직물로 이루어진 직물 견갑골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3. 제6항에 있어서,
    인체의 전면(前面)부에, 목둘레선에서 견봉까지의 넓이로, 목둘레선을 따라 원호(圓弧)형 직물을 이루는 직물쇄골지지대;
    옷본 상단의 목둘레선 중앙에서 수직 아래로 1/3지점(옷본에서 1/3한 지점)까지 위치되는 직사각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흉골부;
    상기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수직으로 옷본 하단까지 띠형의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백선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4. 일단은 일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옷본의 목둘레선의 중앙 일측에 부착되는 직물견갑거근부;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견갑거근부와 같은 높이의 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단 2/5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상근부;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에 부착되고,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견관절 지지대상의 직물견관절부의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에 연결되어 있는 직물늑간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 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지지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승모근부;
    직물경·흉추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능형근부;
    를 적어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5. 제14항에 있어서,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가 부착된 동일한 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하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6. 제15항에 있어서,
    직물견갑골부와 직물견관절부에 부착되되,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소원근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원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7. 제16항에 있어서,
    직물극상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수평으로 직물견관절부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극하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상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8. 제16항에 있어서,
    직물대원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19. 제16항에 있어서,
    직물능형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척주부 상의 흉추상단 및 중앙에서 직물견관절부(20) 중상단 및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0. 제16항에 있어서,
    직물견갑거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경추 상단에서 좌우측 직물견갑골부 상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1. 제16항에 있어서,
    직물승모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옷본 상단의 목둘레선 좌우측 중앙(후두골 방향)으로부터 인체전면(前面)의 직물쇄골부 측면방향, 직물경· 흉추부 상단에서 견봉방향, 직물경· 흉추부 중하단으로부터 직물견갑골부 상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2. 제16항에 있어서,
    직물늑간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상하늑골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3. 제16항에 있어서,
    직물극상근부, 직물극하근부, 직물대원근부, 직물견갑거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늑간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4. 제16항에 있어서,
    직물승모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5. 제12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단은 일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옷본의 목둘레선의 중앙 일측에 부착되는 직물견갑거근부;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견갑거근부와 같은 높이의 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단 2/5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상근부;
    직물경·흉추부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능형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지지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승모근부;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에 부착되고,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견관절 지지대상의 직물견관절부의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에 연결되어 있는 직물늑간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6. 제25항에 있어서,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서 상기 직물극상근부가 부착된 동일한 지점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극하근부;
    직물견갑골부와 직물견관절부에 부착되되,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소원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대원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7. 제14항에 있어서,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 극하근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 상단 3/5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소원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건막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8. 제25항에 있어서,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지점 그리고 직물척주부 하단과 직물장골부를 연결하는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건막부;
    옷본의 좌우측에 골반이 위치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직사각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장골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29. 제28항에 있어서,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극하근 하단에 이어서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 상단 3/5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소원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 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건막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0. 제29항에 있어서,
    직물극상근부, 직물소원근부, 직물견갑거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늑간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고,
    직물승모근부, 직물광배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1. 제30항에 있어서,
    직물소원근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에서 직물견관절부 중앙을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광배근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경·흉추부 하단 및 직물건막 전면(全面)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2. 일단은 일측 직물견갑골부에서 상부 1/5지점에 부착하고 다른 일단은 옷본의 목둘레선의 중앙 일측에 부착되는 직물견갑거근부;
    전면(前面)의 중앙은 직물흉골부에 부착되고, 하부는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직물견관절지지대상의 직물견관절부의 선 및 어깨선의 전면(全面)에 부착하되 목둘레선에는 부착하지 않고 후면(後面) 직물늑간근부에 연결되어 있는 직물늑간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견관절지지대부에는 상단인 어깨선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옷본 상단에는 목둘레선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승모근부;
    직물경·흉추부에는 직물경·흉추부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갑골부에는 우측의 직물견갑거근부 하단에 이어서 부착되는 띠형 직물로 이루어진 직물능형근부;
    직물척주부에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으로부터 위로 1/3지점까지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건막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며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인체겨드랑이에 해당하는 직물견관절부 하단 앞쪽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직물흉골부, 직물쇄골부, 직물하부늑골부, 직물견관절부에 부착되되, 중앙의 직물흉골부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상단의 직물쇄골부에는 직물흉골부에서 좌우측으로 2/3지점까지만 부착하고, 하단의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직물흉골부에서 좌우측으로 1/2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는 직물대흉근부;
    좌우측 직물견갑골부에는 직물견갑골부 앞의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좌우측 직물견관절부에는 직물견관절부 상단의 2/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는 직물견갑하근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3. 제32항에 있어서,
    직물견갑하근부, 직물능형근부, 직물건갑거근부, 직물늑간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며,
    직물대흉근부, 직물승모근부, 직물광배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4. 제32항에 있어서,
    직물대흉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 상완골 결절의 위치인 직물견관절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직물견갑하근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상단 및 중앙을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5. 제16항 또는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체전면(前面)에서 직물장골능부 및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직물복직근부에는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백선에 부착하여 인체후면(後面) 직물 복횡근부과 연결시키고,
    인체후면(後面)에서 직물건막 및 직물장골능과 직물하부늑골부에는 각각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인체전면(前面)의 직물복직근부과 연결시키는 직물복횡근부;
    인체의 골반 중 치골위치에 직물장골부 및 직물백선부과 직물복횡근부의 좌우측 전면(全面), 직물하부늑골부의 전면(全面)에 부착되는 직물복직근부;
    직물장골부 및 직물요·천추부와 직물하부늑골부에 부착되되, 직물장골부에는 좌우측 끝단에 부착하고 직물하부늑골부에는 직물경·흉추부와 직물요·천추부의 경계선에서 옷본 허리 방향으로 직물하부늑골부 1/4지점에서 2/4지점까지 부착하고, 부착한 직물하부늑골부 지점에서 직물요·천추부의 중앙지점에 부착하는 직물요방형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복횡근부과 동일한 부위에 사각형 직물을 부착하는 직물내· 외복사근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7. 제36항에 있어서,
    직물요방형근부의 신장율은 150~170%이고,
    직물복횡근부, 직물내복사근부, 직물복직근부, 직물외복사근부의 신장율은 120~1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8. 제37항에 있어서,
    인체전면(前面) 직물복횡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와 직물장골능에서 직물복직근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며,
    인체후면(後面) 직물복횡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건막 및 직물장골능과 직물하부늑골부에서 직물복직근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39. 제38항에 있어서
    직물복직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복직근부 하단에서 직물하부늑골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40. 제39항에 있어서
    직물요방형근부의 신축성 주방향은 직물장골능에서 직물하부늑골부을 향하도록 하고 보조방향은 직물하부늑골부에서 직물요·천추부 중앙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른자세 및 인체 균형을 유지하고, 근파워증가를 위한 기능성 의류.
KR1020100030838A 2010-04-05 2010-04-05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KR10107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838A KR101071481B1 (ko) 2010-04-05 2010-04-05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838A KR101071481B1 (ko) 2010-04-05 2010-04-05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481B1 true KR101071481B1 (ko) 2011-10-10

Family

ID=4503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838A KR101071481B1 (ko) 2010-04-05 2010-04-05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4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84B1 (ko) 2012-06-19 2014-03-04 지정우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403146B1 (ko) 2012-07-02 2014-06-03 지정우 상지(上肢)의 근골격계 상해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557320B1 (ko) * 2014-03-04 2015-10-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측만증 보정 웨어
KR20190020490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대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EP3733008A4 (en) * 2017-12-25 2021-10-27 Shintaikinoukenkyuujo Co.,Ltd. CLOTHING
US11911084B2 (en) 2021-01-12 2024-02-27 Medos International Sarl Method for using scapular tether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384Y1 (ko) 2002-06-05 2002-08-30 이진순 여성용 기능성 속옷
US6892396B2 (en) 2002-05-23 2005-05-17 Mizuno Corporation Undershirt
JP2009293145A (ja)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92396B2 (en) 2002-05-23 2005-05-17 Mizuno Corporation Undershirt
KR200287384Y1 (ko) 2002-06-05 2002-08-30 이진순 여성용 기능성 속옷
JP2009293145A (ja) 2008-06-03 2009-12-17 Deiigamu:Kk 衣料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9684B1 (ko) 2012-06-19 2014-03-04 지정우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403146B1 (ko) 2012-07-02 2014-06-03 지정우 상지(上肢)의 근골격계 상해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557320B1 (ko) * 2014-03-04 2015-10-06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 측만증 보정 웨어
KR20190020490A (ko) * 2017-08-21 2019-03-04 주식회사 대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047060B1 (ko) 2017-08-21 2019-11-20 주식회사 대로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EP3733008A4 (en) * 2017-12-25 2021-10-27 Shintaikinoukenkyuujo Co.,Ltd. CLOTHING
US11659874B2 (en) 2017-12-25 2023-05-30 Shintaikinoukenkyuujo Co., Ltd. Clothing
US11911084B2 (en) 2021-01-12 2024-02-27 Medos International Sarl Method for using scapular teth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481B1 (ko)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WO2010126092A1 (ja) 姿勢改善サポート衣類
EP2797452B1 (en) Shirts and shorts having elastic and non-stretch portions and bands to provide hip and posture support
EP2430930B1 (en) Body-correcting trousers
US10016297B2 (en) Neuromuscular training device and methods of use
JP5797079B2 (ja) メディカル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ェア
JP4444988B2 (ja) 姿勢矯正衣類
US8113911B1 (en) Maternity body support
JPWO2007007433A1 (ja) ウェア
KR101223912B1 (ko)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JP2008274493A (ja) インナーマッスルの活動連鎖促進用ウェア
JP5948072B2 (ja) クライミング用トップス及びクライミング用ボトムス
RU2309709C1 (ru) Модульный 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CN107714254B (zh) 脊椎侧弯矫正衣
KR101369684B1 (ko)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403169B1 (ko)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258751B1 (ko) 기능성 스포츠탑
KR101269179B1 (ko)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RU13021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синхронизации движений в суставах нижних конечностей, таза и позвоночника
JP5778543B2 (ja) メディカルコンディショニングウェア
JP2013049939A (ja) 女性用姿勢矯正下着
CN2684791Y (zh) 三轴多向调节式小儿先天性髋脱位治疗支具
KR102074586B1 (ko) 기능성 스포츠 팬티
CN109288646A (zh) 由骨盆带和按压矫正器具的组合组成的骨盆矫正用具
RU146652U1 (ru) Тренажер бендицкого мироток-орт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