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7060B1 -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7060B1
KR102047060B1 KR1020170105525A KR20170105525A KR102047060B1 KR 102047060 B1 KR102047060 B1 KR 102047060B1 KR 1020170105525 A KR1020170105525 A KR 1020170105525A KR 20170105525 A KR20170105525 A KR 20170105525A KR 102047060 B1 KR102047060 B1 KR 102047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st
stretch
fabric
shoulders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0490A (ko
Inventor
이광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로
Priority to KR1020170105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7060B1/ko
Publication of KR20190020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0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7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7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6Shoulder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등이 굽은 어깨 및 가슴이 펴지도록 양팔 및 복부부분을 이루는 신축성원단과 상기 신축성원단의 신축력보다 15 내지 30% 고강도 신축력을 가지는 고강도신축성원단으로 이루어진 신축섬유조각들이 구비되되, 상기 신축섬유조각들은, 정면부분에 양어깨끝단에서 하방향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슴밑 부분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되, 양어깨끝단의 가로 넓이에 비해 가슴밑 하단 가로넓이가 1.5 내지 2배 넓이를 가지도록 폭이 넓어지도록 하며 섬유의 직조구조가 하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양어깨부와, 하가슴 가로부분을 수평으로 동일 넓이를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섬유의 직조구조가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하가슴가로부로 이루어지고, 배면부분에 양어깨 끝단에서 하가슴가로부분까지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양어깨 끝단에서는 중심측 하방향 사선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며, 하가슴부분 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중심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메인신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의 기능성의류는 일상활동동안 항상 착용하고 있으므로 직물신축성이등이 굽은 근육에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Functional cloths for podture correction}
본 발명은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대인의 자세 불안정으로 인한 등이 굽은 어깨 및 상지의 골격 형태에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을 가지도록 섬유조각들의 신축성 정도 및 방향성을 달리하도록 하여 균형된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에 관한 것이다.
자세 이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질환 및 장애는 최근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바르지 않은 자세(나쁜자세)가 체형으로 고착화됨으로 인한 근골격계 질환은 산업재해 질환 중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나쁜자세에서 바른자세로 교정될 수 있도록 하고, 나쁜자세에 따른 통증이나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나쁜자세의 고착화를 방지하는 일상적인 방법으로는 근육의 피로를 풀어주는 스트레칭 운동을 하거나 바른자세를 만들어주는 재활의료 보장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보장기로써, 자세(재활)의학 이나 정형외과 환자들이 착용하는 것이 주로 사용된다 척추 측만증이나 자세의 교정 목적으로 개발된 자세 교정벨트 등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어, 일반인들도 이를 사용하나, 지나친 압박감과 고정된 틀을 제시하는 것이 제한점이다.
일반인들이 주로 착용하는 체형 보정용 피복류는 대부분 허리나 골반의 위치를 보정하거나 보호하는 거들이나 자세 교정 벨트 등이다. 이러한 제품들의 기술적인 한계는 나쁜 자세가 발생하는 원인과 관련된 인체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각각 반영하지 않고,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기 위해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띠나 조작적인 모양의 탄성재질을 옷에 부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당한 불편감을 느낄뿐 아니라 외관상 표시가 나 일상생활을 하는데 많은 지장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전 운동의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으나 이들로도 인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 및 기능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가 없어 나쁜 고착된 자세를 바로잡는 데는 상당히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개번호 : 10-2012-0133715호)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대한민국공개특허(공개번호 : 10-2014-0026516호) "스포츠 의류 제품"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등이 굽은 어깨의 골격기능과 관련된 근육기능을 반영하되, 정상적인 방향(굽은 등의 반대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등이 바로 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일상활동에서 항시 착용 가능하도록 하여 직물의 신축성 방향에 대한 근육의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등이 굽은 어깨 및 가슴이 펴지도록 양팔 및 복부부분을 이루는 신축성원단과 상기 신축성원단의 신축력보다 15 내지 30% 고강도 신축력을 가지는 고강도신축성원단으로 이루어진 신축섬유조각들이 구비되되,상기 신축섬유조각들은, 정면부분에 양어깨끝단에서 하방향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슴밑 부분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되, 양어깨끝단의 가로 넓이에 비해 가슴밑 하단 가로넓이가 1.5 내지 2배 넓이를 가지도록 폭이 넓어지며 섬유의 직조구조가 하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양어깨부와, 하가슴 가로부분을 수평으로 동일 넓이를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섬유의 직조구조가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하가슴가로부로 이루어지고, 배면부분에 양어깨 끝단에서 하가슴가로부분까지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양어깨 끝단에서는 중심측 하방향 사선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며, 하가슴부분 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중심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메인신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리고, 바람직 하기로는, 양팔 및 복부부분을 이루는 상기 신축성원단의 혼용률은 비신축사로 이루어지는 메인원사(%) : 신축사(%)가 87~ 95 : 13 ~ 5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섬유조각을 이루는 원단의 혼용률은 비신축사로 이루어지는 메인원사(%) : 신축사(%)의 비율이 80 ~90 : 20 ~ 10의 비율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욱 바람직 하기로는 목과 가슴일부를 이루는 목가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목가슴부는 신축사가 함유되지 않은 비신축사인 면 또는 폴리에스터사의 환편직 원단으로 더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정면의 양어깨부를 이루는 면적(%) : 배면의 메인신축부를 이루는 면적(%)비율은 10 ~30 : 70 ~ 90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는 일상활동동안 항상 착용하고 있으므로 직물신축성이 등이 굽은 근육에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균형된 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의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의류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의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기능성 의류(100)는 정면과 배면이 각각 다른 신축성을 가지는 여러가지 섬유 조각들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핵심이다. 즉, 등이 굽은 어깨를 바른 자세의 형태로 펴지도록 각 섬유조각들의 신축성과 신축방향성을 고려하여 형태를 제작하여 전체적으로 하나의 의류를 형성하도록 한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생활에 있어서 많은 현대인들은 장시간 컴퓨터 작업 등으로 인하여 자신도 모르게 등이 굽은 형태를 이루고 있고, 이러한 비정상적인 형태로 인하여 근육통, 혈액순환 저하 등을 일으키므로 바른 자세를 교정하기 위해서는 등이 굽은 형태의 반대방향으로 장력을 가해 굽은 등을 펼치도록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류는 입체적인 형상이므로, 각 부위마다 가해지는 장력의 방향 및 세기가 달라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신체 부위에 따라 섬유조각의 형태 및 신축력이 달라야 한다. 또한, 과도한 신축력에 의한 장력은 착용자에게 불편함 내지 어색함을 느끼게 하므로 자연스러운 느낌을 주되, 장시간 착용으로 인한 서서히 원 상태로의 회복을 도울 수 잇도록 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는 바른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의류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어깨 및 등의 상부가 뒷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척추의 중앙부분으로 힘이 쏠리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어깨가 펴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다양한 반복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 정면 및 배면에서의 구조 및 신축성이 결정되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정면과 배면을 이루는 각 부위중 필요한 부위에 일반적인 신축성원단보다 고강도 신축성을 가지는 고강도신축성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섬유조각들을 별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신축섬유조각들의 신축성 및 형태를 달리하고 있으며, 이하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정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점선은 바느질의 형태를 나타내며, 신체 각 부위에 따라 다섯부분으로 나누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목,상가슴부(110), 양어깨부(120), 하가슴가로부(130), 양팔부(140) 및 메인부(1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 상가슴부(110)는, 목의 움직임을 위하여 비교적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상가슴부위 역시 특별히 굽은 부위가 아니므로 특별한 장력에 의한 신축성이 불필요한 부분이다. 다만 이 부위에는 다른 부위보다 땀 등이 많이 발생하는 부위이므로 상대적으로 통풍성이 원활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원단은 신축성을 가지는 스판덱스가 들어가지 않고 기존의 제직방식인 환,편직 직조에 의한 원단자체의 신축성만 가지도록 하고, 흡한속건기능을 가지도록 면 또는 폴리에스테르사 등을 이용한 메쉬조직으로 된 원단을 사용하면 족할 것이다.
다음, 양어깨부(120)와 하가슴가로부(130)을 설명하기에 앞서, 양팔부(140) 및 메인부(150)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양팔부(140) 및 메인부(150)은 일반적으로 활동성이 있는 신축성 상의를 제작시 사용되는 원단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의 기술을 적용한 원단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신축성 원단으로 제작된 상의는 적당한 밀착성으로 인하여 활동성이 편안한 신축성을 주는것으로 통상 메인원단을 이루는 비신축성 원사에 신축성을 가지는 신축사를 적절히 혼합하여 환편 또는 편직으로 직조되는 것으로 신축사의 함량이 높을 수록 높은 신축력을 가져 밀착성이 향상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메인원사로는 폴리에스터사,면사, 나일론사 등 일반적인 원사로 가능하며, 신축사로는 폴리우레탄사를 주로 이용하며, 혼용률은 비신축사로 이루어지는 메인원사(%) : 신축사(%)는 87~ 95 : 13 ~ 5의 정도를 가지도록 한다. 이러한 신축성원단은 범용적인 원단을 사용하는것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메인원사는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비신축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이하의 양어깨부(120) 및 하가슴가로부(130)은 상술한 고강도신축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신축섬유조각들로 이루어지며, 먼저 양어깨부(120)을 설명하기로 한다. 양어깨부(120)는 고신축성을 가지도록 하고, 신축성의 방향이 하향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양어깨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는 형태를 취하도록 한다. 신축성의 정도는 메인원단과 신축사의 혼용률을 조정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며, 형태 및 크기 역시 고려되어야 한다. 먼저 신축성의 정도는 상술한 양팔부(140) 및 메인부(150)을 이루는 일반적인 신축성원단에 비하여 보다 높은 신축성을 가져야 하며 약 15 내지 30% 정도의 고강도 신축성이 향상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해 혼용률은 메인원사(%) : 신축사(%)는 80 ~85 : 20 ~ 15의 정도로 하면 족함을 알 수 있었다. 신축사의 혼용률이 15% 미만을 경우 충분한 신축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20%이상의 혼용률이 되었을 경우에는 전방면의 하방향으로 신축되려는 장력이 크기 때문에 충분한 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리고, 형태는 양어깨 양측에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최상부에서 하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신축성의 방향이 하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어깨부(140) 전체가 이루는 면적은 후술하는 배면의 메인신축부(100a) 면적대비 20 내지 40%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족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 하가슴가로부(130)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가슴가로부(130)는 신축성의 정도는 양어깨부(120)와 동일하게 이루어 지도록 함으로써 제작의 편리성을 도모
하였다, 다만 형태는 가로 방향으로 동일한 형태의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중앙부분으로 신축성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적당함을 알 수 있엇다.
상기 도1의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면에서는 실선의 화살표에서 나타나는 방향으로 신축의 방향이 결정된다. 이러한 정면에서의 신축방향은 전방부분으로 등이 굽은 형태의 방향이나, 후술하는 배면의 바른자세 유지의 신축성의 방향을 보완함으로써 전체적인 바른자세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정면에서의 이러한 신축성 부분이 없이 배면에서만 뒷방향과 척추 중심방향으로 신축성을 가할 시 착용자의 불편함을 야기시켰고,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비틀어 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충분한 바른자세 유지에 도달 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이, 배면의 신축방향과 반대되되, 가해지는 신축장력이 적게 정면에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의류 전체의 일정한 뒷방향 척추중심방향으로 일정한 장력에 의한 기능성 의류의 목적을 달성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 배면을 설명하기로 한다. 배면에서의 구조를 도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양팔부(140) 및 메인부(150)은 정면에서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면목가슴부(110a)는 정면의 목가슴부(110)와 조금 다르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양어깨를 이루는 끝단에서 중앙 하방향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부위는 등이 굽는 골격근계와 상관업는 부위이므로 정면 목가슴부(110)와 동일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면 족할 것이다.
다음은 배면에 형성되는 신축섬유조각으로 구성되는 메인신축부(100a)를 설명하기로 한다. 메인신축부(100a)는 바른자세를 유지할 수있도록 양어깨 윗부분이 뒷방향으로 젖혀지고 가슴부분이 펼쳐지도록 척추중앙 방향으로 힘이 쏠리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넓은 면적의 고신축성원단으로 이루어 지도록 하며, 이러한 고 신축성원단은 정면에서 나타난 양어깨부(120) 및 하가슴가로부(130)와 동일한 재질의 원단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고신축성원단이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형태는 도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어깨에서 하가슴가로부분까지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른자세 유지를 위한 장력이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즉, 착용후 고신축성 원단의 원상회복력에 의해 축소 압박이 가해질 경우 넓은 면적의 부분이 보다 많은 압박 신축이 이루어지므로 실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양어깨에서는 비스듬한 사선 하방향으로 장력이 가해지고, 양어깨 하단의 하가슴 부분에서는 척추 중앙부분으로 압박 신축이 가해짐에 따라 어깨와 가슴이 펼쳐지도록 한다.
이하는 바른자세를 유지토록 하는 본 발명의 기능성 의류의 전체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정면을 이루는 양어깨부(120) 및 하가슴가로부(130) 및 배면의 메인신축부(100a)의 신축성의 정도는 15 내지 30% 정도 일반 신축성 원단보다 고강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이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를 착용하였을 경우, 몸 사이즈에 의해 굵은 실선을 이루는 형태로 약 5 내지 15% 정도의 팽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경우, 다시 수축할려는 장력이 발생되며, 수축 장력은 팽창장력보다 크게 작용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장력의 방향이 바른 자세를 유지 할 수 있도록 정면과 배면에서와 같은 형태에 의해 유질 될 수 있게된다. 양어깨 부분의 경우 배면에서 메인신축부(100a)가 뒷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정면의 양어깨부(120)의 당기는 힘보다 크므로 정면 및 배면에서의 당김에 의해 뒷방향으로 안정된 일정한 힘을 유지 할 수 있으며, 정면의 하가슴가로부(140) 및 메인신축부(100a)의 척추중앙부분으로 당기는 장력에 의해 가슴이 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바른자세를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100 : 기능성 의류 100a : 메인신축부
110 : 목가슴부 110a: 배면 목가슴부
120 : 양어깨부 130 : 하가슴가로부
140 : 양팔부 150 : 메인부

Claims (4)

  1. 등이 굽은 어깨 및 가슴이 펴지도록 양팔 및 복부부분을 이루는 신축성원단과 상기 신축성원단의 신축력보다 15 내지 30% 고강도 신축력을 가지는 고강도신축성원단으로 이루어진 신축섬유조각들이 구비되되,
    상기 신축섬유조각들은,
    정면부분에 양어깨끝단에서 하방향으로 띠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슴밑 부분에 이르는 길이를 가지되, 양어깨끝단의 가로 넓이에 비해 가슴밑 하단 가로넓이가 1.5 내지 2배 넓이를 가지도록 폭이 넓어지도록 하며 섬유의 직조구조가 하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양어깨부와, 하가슴 가로부분을 수평으로 동일 넓이를 가지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며 섬유의 직조구조가 외측에서 내측 중심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하가슴가로부로 이루어지고,
    배면부분에 양어깨 끝단에서 하가슴가로부분까지 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양어깨 끝단에서는 중심측 하방향 사선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며, 하가슴부분 에서는 외측에서 내측중심방향으로 신축력을 가지는 메인신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2. 제 1항에 있어서,
    양팔 및 복부부분을 이루는 상기 신축성원단의 혼용률은 비신축사로 이루어지는 메인원단(%) : 신축사(%)가 87~ 95 : 13 ~ 5로 이루어지고,
    상기 신축섬유조각을 이루는 원단의 혼용률은 비신축사로 이루어지는 메인원단(%) : 신축사(%)의 비율이 80 ~85 : 20 ~ 15의 비율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목과 가슴일부를 이루는 목가슴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목가슴부는 신축사가 함유되지 않은 비신축사인 면 또는 폴리에스터사의 환편직 원단으로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의 양어깨부를 이루는 면적(%) : 배면의 메인신축부를 이루는 면적(%)비율은 10 ~30 : 70 ~ 9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0170105525A 2017-08-21 2017-08-21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KR102047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25A KR102047060B1 (ko) 2017-08-21 2017-08-21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525A KR102047060B1 (ko) 2017-08-21 2017-08-21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90A KR20190020490A (ko) 2019-03-04
KR102047060B1 true KR102047060B1 (ko) 2019-11-20

Family

ID=6575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525A KR102047060B1 (ko) 2017-08-21 2017-08-21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70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670U (ja) 2005-08-11 2005-11-10 株式会社ルシアン バスト補整機能を備えた成型編みインナー
JP2007138335A (ja) * 2005-11-18 2007-06-07 Descente Ltd 姿勢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ウェア
JP2010042097A (ja) 2008-08-11 2010-02-25 Sea Shell:Kk 姿勢改善衣類
KR101071481B1 (ko) 2010-04-05 2011-10-10 지정우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1050261U1 (de) 2011-05-26 2012-08-27 X-Technology Swiss Gmbh Sportbekleidungsstück
KR101269179B1 (ko) 2011-05-31 2013-05-29 지정우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670U (ja) 2005-08-11 2005-11-10 株式会社ルシアン バスト補整機能を備えた成型編みインナー
JP2007138335A (ja) * 2005-11-18 2007-06-07 Descente Ltd 姿勢をコントロールするためのウェア
JP2010042097A (ja) 2008-08-11 2010-02-25 Sea Shell:Kk 姿勢改善衣類
KR101071481B1 (ko) 2010-04-05 2011-10-10 지정우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0490A (ko) 201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0930B1 (en) Body-correcting trousers
JP7164433B2 (ja) 妊婦用腰腹部支持ベルト及び衣服
US11457673B2 (en)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thoracic mobility
US20180318142A1 (en) Lower body support and compression garment
JP5747643B2 (ja) 補整機能を有する衣類
WO2020075354A1 (ja) 動作補助作業着
CN100466924C (zh) 带裆部的矫正衣
US11452317B2 (en) Posture correction bra
CN101331982A (zh) 由伸缩性针织物制成的衣服
AU2017367452A1 (en) Core supporter and wear provided with same
KR102047060B1 (ko) 자세교정용 기능성 의류
US20210346188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US20200399822A1 (en) Compression garment enhanced with hemp fibers
JP2007009345A (ja) 体型補整機能を具備する下着類
CN115670040A (zh) 服装
CN208864597U (zh) 一种预防及矫正o型腿一次织造成型针织裤
JP7379101B2 (ja) カップ付衣類
US20190297957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KR20210004796A (ko)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CN111432673A (zh) 用于姿势恢复和胸部移动性的运动胸罩
KR102381107B1 (ko) 자세 교정용 의류
CN211353952U (zh) 分段式弹力袜
JP2006161207A (ja) 衣料
CN108478316A (zh) 预防及矫正o型腿一次织造成型针织裤
WO2020154539A1 (en) Wearable tens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