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4796A -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04796A
KR20210004796A KR1020197024850A KR20197024850A KR20210004796A KR 20210004796 A KR20210004796 A KR 20210004796A KR 1020197024850 A KR1020197024850 A KR 1020197024850A KR 20197024850 A KR20197024850 A KR 20197024850A KR 20210004796 A KR20210004796 A KR 20210004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ment
posture
wearer
certain embodiments
st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이치. 류 스티븐
Original Assignee
아이에프지큐어 홀딩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6/024,881 external-priority patent/US11020262B2/en
Priority claimed from US16/125,402 external-priority patent/US10478327B2/en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프지큐어 홀딩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아이에프지큐어 홀딩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10004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7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A41B9/06Undershirts; Chemis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15Sports garments other than provided for in groups A41D13/0007 - A41D13/088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512Neck or shoulders area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12Surgeons' or patients' gowns or dresses
    • A41D13/1236Patients' garments
    • A41D13/1245Patients' garments for the upper part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6Back straightening devices with shoulder braces to force back the shoulder to obtain a correct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8Shaping the contour of the body or adjusting the fig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자기 수용적 자세 회복 및 재 균형을 지원하는 착용 가능 의복 디바이스, 설계 및 제조 방법. 착용 가능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치료 자세 교정으로 일상 착용을 위해 독립형일 수 있거나 외부 의류에 안감으로 통합될 수 있다. 착용 가능 디바이스는 통기성, 일상 착용을 위해 편안함을 유지하고 기능, 운동 범위 및 미적 매력을 개선한다. 착용 기술 의류 디바이스 및 제조 방법.

Description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미적 매력, 편안함 및 치료 기능의 유지를 위해 임의의 의복에 꿰메어 붙여지거나 통합되도록 구성된 착용 가능 기술의 의복 디바이스 (설계 및 제조 방법)이다. 본 발명은 자세 교정, 근육 재균형(muscle re-balance), 직업 상해 위험 예방 및 운동 성능, 재활 증진 공간에서 착용 가능한 의복 디바이스, 설계, 기능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 수용적 자세 재균형(proprioceptive posture rebalance), 올바른 구부정한 자세(slouching), 운동 향상을 지원하고 강화하며 자세 정렬, 기능 및 미적 매력을 유지하는 착용 가능 기술 의복 디바이스, 설계, 기능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세 교정 셔츠가 존재하여 수년 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주 목표는 신체의 관절 및 근육을 더 나은 정렬 및 자세(척추가 약간 S-형인 것이 최적 표준임)에 있도록 자극하는 것이다. 올바른 자세를 갖는 것의 중요성은 해당 분야의 건강 전문가와 비전문가들 사이에서 잘 알려져 있고 일반적인 개념이다. 역동적인 활동 중에 좋지 않은 자세는 비효율적인 생체 역학과 신체 움직임을 초래하므로, 좋은 자세는 규칙적인 건강(등, 어깨, 목 통증 등)을 유지하고 운동 성능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실제로, 움직임의 운동 사슬 동안의 어느 시점에서든 붕괴(disruption)는 하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상체의 좋지 않은 자세는 전형적으로 '앞으로 말린 어깨', '흉부 척추의 전방 만곡' 및/또는 '흉부 척추의 좌측/우측 경사'로 분류된다. 또한, 좋지 않은 자세에 의해 발생하는 비효율적인 신체 움직임은 근육의 운동 범위와 힘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복적인 상해를 유발할 수 있다.
등, 목 및 다른 통증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위한 전형적인 회복 방법은 척추 지압 또는 물리 치료를 받거나 정형 외과 의사의 감정을 구하는 것을 포함한다. 좋지 않은 자세를 교정하는 이러한 의료적 절차는 주사, 약물 치료, 재활 및 가능한 외과 교정을 포함한다. 많은 사람들이 광범위하고 값 비싼 척추 지압 치료(단기 또는 장기 치료)의 시간이나 비용을 감당할 수 없으므로, 다음과 같은 것을 제공하려는 시도로 개인의 자세를 교정하고 유지할 적당한 가격의 방법과 시스템의 필요성이 시장에서 존재한다:
a) 올바른 기능적 해부학 구조;
b) 개선된 근육 효율;
c) 개선된 통증 완화 및 사용자에게 미치는 최소한의 통증; 및
d) 좋은 습관을 만들어서 개인이 처음에 좋지 않은 자세와 관련된 고통이 생기기 않게 하는 것.
자세 및 운동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 역학적 요인을 개선하기 위해 착용 가능한 의복을 사용하는 첫 번째 시도는 장기간 무중력 상태의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1970년대 소비에트 우주 프로그램 내에서 시작되었다. 아델리 슈트(Adeli suit)로 알려진 이러한 디바이스는 뇌 손상 또는 척수 손상을 유발하는 신경학적 질환으로 인해 자세 장애가 있는 소아 환자를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그 설계는 상대적으로 단순한 것으로, 특히 길항 근육 쌍의 목표 위치까지 일차 관절 사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나, 근육 활동의 운동 사슬의 붕괴로 인해 신체가 균형을 잃을 수 있는 다른 많은 방법 및 정도가 여전히 존재한다.
균형 및 자세의 개념에 실질적으로 헌신된 근육은 때때로 중력 및 반중력 근육이라고 지칭되고; 이들 근육은 안정적인 지지대 내에서 중력 중심(center-of-gravity)(COG)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직립 유기체에 제공하는 도구이다. 수직 선이 중력 중심으로부터 이러한 지지대를 통해 바로 아래로 뒤따라 내려갈 때 똑바른 균형이 이루어진다. 불균형은 신체의 전체 근골격계 내에서 정렬에 영향을 미치는 보상적 이상(compensatory abnormality)을 야기할 것이다. 최적화된 자세 정렬은 신체에 대항하는 끊임 없는 하향 중력에 대항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근골격계 구조의 직립하는 힘과 중력의 하향하는 힘이 균형을 이룰 때, 근육은 최소한의 작업량으로, 즉 피크 효율로 기능할 수 있다.
똑바른 신체가 더 양호한 자세를 유지할 때, 더 적은 양의 스트레스 및 긴장이 근육, 인대 및 뼈에 가해지며, 이로 인해 이들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장기적으로는 골 밀도 및 근육 질량을 증가시킨다. 중력의 힘에 대항하여, 소위 반 중력 근육이 똑바른 균형 잡힌 자세를 유지하도록 도와준다. 하체의 경우, 이들 근육은 다시 말해 솔레우스 근육, 다리의 신근, 대둔근, 대퇴사두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체 및 등 근육의 경우, 이들 근육은 승모근, 능형근, 및 소원근 및 겹간하근과 같은 어깨 주위의 여러 개의 작은 그룹을 포함한다. 또한, 자궁 후두 근육 그룹은 머리를 똑바로 세운 위치로 유지하여 머리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들 근육 그룹은 자기 수용 과정에서 동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피부 표면의 자기 수용기(proprioceptor)는 발의 압력에 관한 중요 정보를 신경계를 통해 반 중력 근육으로 보내준다. 지속적으로 작동하는 중력과 결합된 이들 근육의 임의의 약화는 자세 안정성을 나쁘게 하며, 이는 근육 기능에 영향을 미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결국 관절의 퇴화 및 발의 구조적 붕괴와 같은 기형으로 이어진다. 자세 정렬은 특히 역동적인 자세 동안 근육의 정상적인 길이-장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이며, 신체 부위가 움직임 전후에 스스로 정렬되는 용이성을 결정한다. 이러한 정렬에 어떠한 방해라도 드리워지면 신체의 운동 사슬이 균형을 벗어나, 사람에게 많은 상해를 입게 할 수 있다. 중력이 근육과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우리의 한계를 이해하는 것은 치료 프로그램의 기초를 형성해야 한다.
하나의 치료 옵션으로서, 자세 교정의 급증하는 필요성을 채우기 위해 자세 셔츠(posture shirt) 및 거들이 만들어 졌다. 자세 셔츠 및 거들은 전형적으로 자연적인 해부학적 움직임을 모방하지 않는 수직 스트랩(vertical strap)을 포함한다. 이러한 수직 스트랩은 그릇된 접근법을 취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데, 즉 스트랩은 자연스러운 자세 정렬을 달성하는 자기 수용적 교정에 초점을 맞추지 않는 대신 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힘은 착용자의 어깨를 뒤로 밀어 외관상 더 나은 자세일 수 있는 비정상적인 정렬을 만들지만, 실제로는 단기적 또는 장기적인 성공을 많이 달성하지 못한다. 흉부 척추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세 정렬은 후방 근육 그룹(즉, 승모근, 능형근, 광배근) 및 전방 근육 그룹(전방거근 등)이 둘 다 동일한 양의 힘을 발휘하고, 그리하여 신체가 균형을 이루게 될 때 달성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공간에서 만들어진 의복은 이러한 자연적인 (자기 수용적인) 균형을 목표로 했으나; 이러한 의복은 위에 나열된 것을 비롯하여, 몇 가지 제한으로 인해 이러한 목표를 완전히 달성할 수 없었다.
이 아이디어에 추가하여, 이들 회사가 사용하는 수직 스트랩은 엉덩이의 밑에서 끝나는데, 이는 어깨를 자연적인 해부학적 움직임을 모방하지 않는 부적절하고 부자연스러운 위치로 뒤로 억지로 밀어 넣는 부자연스럽게 당겨지게 하는 데 기여한다. 이에 해당하는 그림은 누군가가 사람의 셔츠의 아래를 뒤에서 잡아 아래 쪽으로 잡아 당기고 이를 사람의 둔근 밑으로 집어 넣는 것일 것이며; 이것은 분명히 사람의 어깨를 강제로 뒤로 젖혀 자세를 똑바르게 해주지만 이것은 또한 자세를 부정확한 형태로 정렬시킬 것이며 극히 불편한 것으로 판명될 것이다. 예를 들어, 이런 종류의 한 셔츠는 각각의 어깨 앞쪽에 부착된 탄성 스트랩이 달린 면 몸체로 만들어졌고, 척추와 평행하게 등 위로 이어져서 바닥 이음매(seam)에 연결되어 있다. 이 같은 셔츠는 해부학적으로 부정확했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극히 단단해서 (라이크라 스판덱스(Lycra Spandex) 재료로 제작됨), 통기성이 없고 편하지 않았다. 요구되는 구성 방법은 또한 이들 셔츠를 전신형으로 만들어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덥고 땀이 날 수 있다.
라이크라 스판덱스 재료는 사용자로부터의 매우 조이는 착용을 필요로 할뿐만 아니라, 고객이 의복을 자신에게 단 한 겹만 착용하려는 경향이 없기 때문에 보기 흉하고 유행에 맞지 않는다. 자세 교정 의복의 보기 흉한 인공 재료 층을 가리기 위해 라이크라 스판덱스 위에 추가 층을 착용시킴으로써, 추가적인 층의 조임과 함께 통기성 문제가 혼합된다. 이러한 조합으로 인해, 전형적으로 개인은 라이크라 스판덱스로 만든 자세 셔츠의 착용을 중단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자세 정렬에서 좋은 습관을 구축하는 과정을 파괴한다. 이러한 모든 문제가 복합되어 각 요인이 추가적인 부정적 특징을 추가하기 때문에 환자의 착용 및 규정 준수를 방해하게 된다.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하나의 치료 방법에는 신체의 자기 수용적 감각이 연루된다. 유기체는 자신의 신체적 사지가 어떻게 움직이는 지에 대해 마음의 가장 좋은 추측을 나타내는 일종의 정신적 아바타인, 공간에서 자기 신체의 방위의 내부 모델을 유지하는 자기 수용을 이용한다. 일차 운동 피질이 근육에게 발사하라는 신호를 할 때, 동반 방출(corollary discharge)이라고도 알려진 원심성 신호(efference signal)를 방출한다. 이러한 두 번째 신호는 전술한 운동 움직임에 의해 필연적으로 자극될 때 감각 피질 네트워크의 후속 발사를 억제하는 것으로 가정되어 왔다. 치료적으로 적용되는 자기 수용은 구심적인 자기 수용적 이동성 제어 입력(afferent proprioceptive mobility-controlling input)을 강화하고 이어서 정규화함으로써 설명될 수 있다.
수직 스트랩을 사용하는 대신에, 자기 수용적 교정 기술의 한 형태는 견갑골을 척추 쪽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해부학적으로 교정되는 수평 운동으로 능형근 및 상부 승모근을 수축시키는 수평 스트랩을 이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스러운 자세 교정은 신체적으로 (해부학적으로 올바른 수단을 통해)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한 다음 자세가 교정된 이후 자세에 수동적으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이것은 수평 스트랩이 착용자에게 가하는 자연적인 장력으로 인해 달성되는데, 이것은 수직 스트랩의 힘이 지속적으로 어깨 위와 엉덩이 영역 아래로 당겨지지 않고 착용자가 올바른 형태의 자세에 있기를 원하게 만든다.
추가 시스템은 US4202327, US4957103, US5158531, US5451200, US5599286, US571867, US610287, US621392, US644009, US6676617, US6936021, US7134969, US715324, US739555, US766212, US787138, US8047893, US8083693, US8308670, US851661, US855684, US879521, US879521, US8887315, US8905956, US8910317, US893223, US900986, US916785, US916816, US9226534, US9439459, US9445932, US945691, US950428, US988370, US993123, US20040107479, US20050197607, US20060000478A1, US20090062704, US20100192274A1, US20120078149, US20120174282, US20130047313, US20130053744, US20130090521, US20130103079, US20140058307, US20140100501, US20140221893, 및 US20150040286A1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참조 문헌 중 어느 것도 착용자의 자세를 효율적으로 교정하는 자기 수용적인 설계를 제공하지 않는다. 어깨 이동성을 가능하게 하는 해부학적으로 올바른 움직임을 이용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고, 통기성이 있고 미적으로 만족스러워 환자 순응도를 고취시키며, 착용하기에 덥고 불편할 정도로 너무 조이지 않는 보다 편안하고 자기 수용적인 직물(woven fabric)의 자세 재균형 의복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 디바이스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수용적 자세 재균형 설계, 디바이스, 기능 및 그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편안하고, 멋스러우며 자기 수용적 직물 착용 가능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다른 의복에 통합될 수 있는 보다 편안하고 자기 수용적 직물 자세 재균형 의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어깨 직각화(shoulder squaring)를 가능하게 하는 해부학적으로 올바른 움직임을 사용하여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고, 구부정한 자세를 없애주고, 어깨와 목의 이동성을 증가시키고, 통기성이 있고 미적으로 만족스러워 착용자의 순응도를 고취시키고, 착용하기에 덥고 불편할 정도로 너무 조이지 않으며, 어떤 의복에도 통합될 수 있는 직물 자세 재균형 의복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사용하여 보다 편안하고 자기 수용적 착용 가능 기술 설계 및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올바른 해부학적 자세 교정을 위해 수직 장력보다는 수평 장력을 사용하고 어떤 의복에도 통합될 수 있어, 통기성, 미적 매력을 위한 더 많은 의복의 선택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 순응도 부족의 우려를 해결하며, 일상 생활의 활동(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시 인간 생체 역학 및 신체 운동학의 더 나은 똑바른 자세 및 기능, 그리고 목, 어깨 및 척추 부상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더 나은 삶의 질을 달성하는 착용 가능 기술 의복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착용 가능 기술의 의복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의복 디바이스는: 메시 몸체; 및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variable tension poly-elastic strap)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이음매(seam)를 갖는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을 포함하며, 여기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견갑골을 올바른 자세 정렬로 자연스럽게 잡아 당겨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통기성이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가변 크기(들)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다양한 크기(들)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가변 크기(들)를 갖고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다양한 크기(들)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착용자의 크기 및 자세에 기초하여 다양한 두께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착용자의 신체의 적어도 상부 몸통을 덮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착용자의 신체의 전체 몸통을 덮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등, 가슴, 몸통의 측면, 팔, 어깨 및/또는 그 부분을 덮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기술 설계 및 기능 디바이스는 가슴, 목, 등, 어깨, 팔, 엉덩이 및 하체 및/또는 그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등, 목, 어깨, 팔, 및 하체 및/또는 그 일부를 덮는 개방된 의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가슴 부분이 개방되어 있거나 가슴의 중앙 부분이 없는 개방된 의복으로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 착용 가능 기술은 언더셔츠, 언더 웨어 및 아웃 웨어 의류에 사용되는 의류에 이르기까지, 모든 성별 착용, 상체 및 하체 착용, 상체 및 하체 의류 범위를 비롯한 모든 의복으로부터 선택된 다양한 의류 옷 형태를 위한 독립형 의복으로서 또는 내부 안감으로서 설계되고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 길이 및 폭에서 수직으로 분할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복수의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78 % 폴리에스테르 및 22 % 나일론-탄성(nylon-elastic)인 재료로 제조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70 % 폴리에스테르 및 30 % 나일론 탄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90% 폴리에스테르 및 10% 나일론 탄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스트랩 재료는 폴리에스테르, 나일론-탄성, 다른 합성 또는 비 합성, 또는 유기 재료의 변형체를 포함하는 가변 직물의 조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의복 디바이스의 후면 부분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의복 디바이스의 상부 후면 부분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견갑골의 우세 각도(superior angle)로부터 견갑골 척추의 위 또는 아래까지 또는 견갑골의 열세 각도(inferior angle)의 위 또는 아래까지 위 또는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디바이스 내에 제공되어 사용 중에 스트랩이 주로 견갑골 회전근, 능형근, 상부 승모근, 중간 승모근, 전거근, 광배근 및/또는 착용자의 삼각근을 따라 연장되도록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 시, 스트랩은 착용자의 상부 등, 어깨 및/또는 팔의 뒤쪽 둘레에 배치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시, 스트랩은 착용자의 척추의 T-6 척추 뼈 위 또는 아래의 몇 개의 척추 뼈에서 끝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폴리-탄성 스트랩의 폭은 신체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약 1/2 인치 내지 약 6 인치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적어도 두 개의 이음매를 포함하고, 적어도 두 개의 이음매는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을 따라 균등하게 이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적어도 네 개의 이음매를 포함하고, 적어도 네 개의 이음매는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을 따라 균등하게 이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두 개 초과 또는 두 개 미만의 이음매 또는 다수의 이음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이음매가 없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셔츠 또는 외부 의복(outer garment)과 같은 보조 의복(secondary garment)에 부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통합 교차점(integration intersection)(들)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셔츠 또는 임의의 외부 의복과 같은 보조 의복에 부착하기 위한 복수의 통합 교차점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의 메시 몸체는 나일론, 스판덱스, 면, 폴리에스테르, 시폰, 데님, 레이스, 가죽, 양모, 또는 이들의 합성, 비합성, 유기, 비유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착용자의 자세는 의복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체적으로 및 자기 수용적으로 실질적으로 개선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착용자의 자세는 의복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신체적으로 및 자기 수용적으로 교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교차점을 통해 보조 의복 디바이스 또는 외부 의복과 편리하게 통합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교차점은: 목 칼라(neck collar)를 따라, 목덜미 지점, 겨드랑이를 따라 상부, 중간 부분 주위, 외부 의복의 밑부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위치에 위치된다. 이것은 외부 셔츠의 이음매를 따라 통합될 수 있거나, 통합 지점 중 단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안감을 따라 위치해 있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통합된 교차점은 셔츠의 칼라를 따라, 착용자의 겨드랑이 밑, 셔츠의 중앙부의 측면을 따라, 셔츠의 내부 이음매 및 이들의 조합을 따라 놓여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주로 수평, 주로 수직, 주로 대각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식으로 배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것: 가슴 바로 위 또는 아래에서 멈추는 단축된 길이, 허리 위 또는 아래에서 멈추는 연장된 길이, 및 배꼽/중간부분 길이 위 또는 아래의 중간 길이의 가변 길이를 가지며, 매칭하는 길이 또는 외부 의복의 길이 미만의 길이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이상적인 자세에 못 미쳐 고통 받는 또는 다음과 같은: 굽은 어깨, 구부정한 자세, 견갑골 이상, 잘 구부러지는 후만증, 전경두부(forward head), 척추 전만, 척추 측만, 경추 손상으로 인한 둥근 어깨, 회전근 개 파열, 어깨 병리학, 견봉쇄골 관절 분리, 관절염, 후두 신경통, 자궁 경부 병리, 오버헤드 스포츠 부상, 및 일반적인 후방 근육 약화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관련 병폐를 겪는 착용자에게 자세 지지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이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AC 관절, 관절염, AC 분리, 상부 등 근육 경련 및 하부 척추 경련을 비롯한, 자궁 경부 척추 병리, 회전근개, 어깨 병리로 인한 굽은 어깨로 고통 받는 착용자에게 자세 지지를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직접적인 물리 치료의 형태를 통해 그리고 자기 수용적 피드백을 통해 간접적으로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폴리-탄성 스트랩에 통합된 케이싱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폴리-탄성 스트랩을 봉입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의복 디바이스가 연결되거나 꿰메어 붙여지는 보조 의복의 직물로 만들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어깨를 뒤쪽으로 잡아 당겨(후퇴시켜), 견갑골을 적절한 해부학적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좌측 및 우측 견갑골 사이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좌측 및 우측 견갑골 사이의 좁아지는 거리는 적어도 약 3 mm 이고, 특정 실시예에서, 견갑골 근육이 더 많이 이완되며, 특정 실시예에서, 똑바른 자세 태도를 보다 잘 지탱하도록 기립자(erector) 척추 근육이 더 많이 활동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소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시 몸체의 소매는 적어도 착용자의 적어도 삼각근 아래로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소매를 포함하고, 여기서 메시 몸체의 소매는 긴 소매 또는 짧은 소매 셔츠에 맞도록 연장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스트랩 안감 의복 디바이스는 소매가 없거나 가변 길이의 소매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임의의 기존의 옷 품목에 꿰메어 붙여지거나 부착되도록 구성되거나, 생산 파이프 라인에서 미리 꿰메어 붙여지거나, 또는 독립형으로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항균성 물질, 습기 흡수 물질, 화학 원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착용자가 서 있을 때, 앉아 있을 때 또는 올바른 자세 정렬을 한 채로 임의의 ADL에 있을 때 의복 디바이스의 모든 장력을 완화 시키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가변적인 후방 잡아 당김 또는 끌어 당김을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착용자에게 전체 범위의 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움직임의 제한은 최소화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보조 의복 안에 꿰메어 붙이도록 구성되고, 대응하는 상이한 길이의 폴리-탄성 스트랩 및/또는 메시 몸체를 매개로 하여 상이한 범위의 의복 디바이스의 크기 별로 구체적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교차점을 통해 보조 의복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착용자가 어깨 근육 재균형, 어깨 재활, 어깨 회복, 어깨 훈련, 견갑골 재균형 및/또는 근육 긴장 재균형을 도와 준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근골격계 재정렬을 교정하고, 그 다음으로는 운동 범위를 개선하며 착용자의 혈액 순환을 높여준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의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 및 통기성 메시는 운동 성능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운동 성능은 개선된 자세, 및 근육 이완 및 활성화 재균형으로 인해 착용자의 움직임이 보다 효율적으로 되기 때문에 개선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형태에 맞게 만들어지며 착용자의 신체에 적합하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성능, 자세 및 회복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혁신적인 내부 안감 의복 설계 및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이러한 의복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이 방법은: 메시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메시 몸체에 스티칭되는 케이싱이 있거나 케이싱 없이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음매가 있는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을 탄성 스트랩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근골격계 프레임의 일부를 올바른 자세 정렬 상태로 잡아 당김으로 자연스럽게 시소 장력(see saw tension)에 의해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하나 이상의 수직 이음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여성용 디바이스의 경우,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다수의 이음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남성용 디바이스의 경우,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다수의 이음매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다소의 이음매가 제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음매는 균일하게 이격되어, 균일하게 이격된 수직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음매가 없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충분한 장력 또는 강성을 제공하는 유사한 재료로 대체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착용자의 전방 운동 범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메시 몸체에 통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착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장력 스트랩 없는 독립형 의복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의 길이는 각각의 의복 크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탄성 스트랩은 착용자의 견갑골의 중간 지점 주위에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 스트랩의 구성에 통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티칭 방법의 유형은: 블라인드, 이중 블라인드, 플랫록, 오버록, 단접(welded), 활성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근력의 편향을 통해 착용자의 자세에 수동적 및 능동적으로 동시에 영향을 주는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이 방법은: 충분한 장력 또는 강성을 제공하는 메시 몸체를 제공하는 단계 - 메시 몸체는 나일론, 스판덱스, 폴리에스테르, 또는 위의 재료와 다른 재료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제조됨 -; 메시 몸체에 통합된 탄성 스트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탄성 스트랩은 착용자의 적어도 하나의 초점 사이에서 가변 장력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독립형 의복 디바이스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상 착용을 위해 그리고 사용자의 자세를 개선시키는 근육 균형의 훈련 및 재훈련을 위해 부수적으로 만들어진 외부 의복의 안감으로서 자세 회복 일상 착용 의복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내부 안감과 외부 의류가 결합된 설계, 기능 및 제조 방법은 의식하지 않고 일상 착용 시 자세 훈련 또는 재균형을 위한 혁신적이고 획기적인 착용 가능 기술을 제공한다. 의복 디바이스는: 주로 나일론 및 스판덱스로 만들어진 메시 의복; 및 착용자에게서 장력을 목표로 하고 분산시키기 위해 가변적인 간격의 수직 이음매가 있는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의복은 가슴 바로 위 또는 아래에서 멈추는 단축된 길이를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메시 스트랩 디바이스는 외부 의류의 길이와 매칭하도록 만들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은 착용자를 지탱해준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은 견갑골을 올바른 자세 정렬로 자연스럽게 잡아 당겨줌으로써 착용자의 자세를 지탱해준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은 점진적으로 조정되어 설정된 간격으로 착용자의 자세를 개선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착용자의 자세 교정은 자기 수용적으로 교정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어깨를 척추에 더 가까이 후방으로 더 많이 잡아 당겨, 견갑골을 적절한 해부학적 위치에 놓이게 함으로써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운동 성능을 개선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화학 물질, 항균성 물질, 습기 방지 흡수 물질의 조합을 포함하고 자외선(ultra-violet)(UV)으로부터 보호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장력 스트랩은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 정렬로 서 있고 전방으로 구부정한 자세를 중단할 때 의복의 모든 장력을 완화시키도록 설계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착용자에게 전체 범위의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임의의 의복 안에 꿰메어 붙일 수 있고, 폴리-탄성 스트랩을 통해 각각의 의복 크기 마다 구체적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호흡의 용이성 및 보다 편안한 착용감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착용자가 근육 장력 재균형에 도움을 준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착용자가 어깨 근육 재균형, 어깨 재활, 어깨 회복 및/또는 어깨 훈련에 도움을 준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착용자가 견갑골을 재균형화하는 것을 보조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의 소매는 착용자의 이두박근 아래로 연장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디바이스는 착용자의 혈액 순환을 증가시키고 건강 및 일반적인 신체적 및 정신적 안녕을 증진시키는 착용자의 자세의 효율을 개선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착용 가능 기술 의복 디바이스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며, 이 방법은: 나일론 및 스판덱스와 같은 재료의 조합으로 만들어진 내부 안감 메시 의복을 제공하는 단계; 케이싱이 있거나 케이싱 없이, 수직 이음매가 있거나 없는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을 메시 의복에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여기서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은 착용자를 목표로 착용자에게서의 장력을 분산시킨다. 의복 디바이스는 외부 의류를 따라 위치해 있을 수 있거나 또는 일상 착용을 위해 외부 의류와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탄성 스트랩은 각각의 의복 크기에 대해 구체적으로 등급이 매겨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탄성 스트랩은 견갑골의 상위 및 하위 경계 또는 주위 중간 지점의 주위에 구성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 의복은 입었을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설계된 하부 층(under-layer) 또는 내측으로 향하는 표면을 갖고 있다. 메시 몸체는 착용자의 상체를 둘러싸야 하며 이에 따라 가슴 및 어깨 주위를 감쌈으로써, 어깨 캡슐 전반에 걸쳐 힘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작은 확산력을 더해주는 내부 표면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나일론과 스판덱스의 조합, 또는 다양한 재료의 조합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나일론의 약 25 % 내지 90 % 및 스판덱스의 약 10 % 내지 약 40 %, 및 재료의 다양한 백분율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72 % 나일론 및 28 % 스판덱스로 만들어지고 가슴 대흉근과 T-8 척추 뼈 바로 아래에서 멈추는 짧고 느슨한 구성으로 설계된 강한 힘의 메시로 구성된 의복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 공간에서 다른 꽉 끼는 자세 의복이 그러한 것처럼, 의복 디바이스는 어깨, 목 또는 척추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략 70 % 나일론 및 대략 30 % 스판덱스로 만들어지고 대흉근과 T-8 척추 뼈 바로 아래에서 멈추는 짧고 느슨한 구성으로 설계된 강한 힘의 메시로 구성된 의복 디바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메시에도 불구하고, 이 공간에서 다른 꽉 끼는 자세 의복이 그러한 것처럼, 의복 디바이스는 어깨의 움직임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도면 및 동반된 상세한 설명을 고려하여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의복 디바이스의 정면도 및 케이싱 내부의 탄성 스트랩의 확대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의복의 탄성 스트랩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생체 의학적으로 맞추어진 기준점에 대해 인간 골격 모델 위에 겹쳐놓은 의복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다수 유형의 의복에 꿰메어 붙여진 의복 디바이스의 전방 및 반투명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명 내민 어깨 복합체(protracted shoulder girdle)라고 알려진 둥근 어깨와 비교되는 상대적으로 견갑골이 당겨진 양호한 자세의 두 부분 다이어그램이다.
도 6a 및 도 6b는 등 및 어깨 근골격계 구조의 후방 해부학적 구조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어깨 또는 착용자를 잡아 당기는 의복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8은 자기 수용 및 의복 디바이스의 목표로 하는 효과와 관련된 신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도 9는 탄성 스트랩과 함께 도시되고 탄성 스트랩을 봉입하는 케이싱 재료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탄성 스트랩, 케이싱 및 수직 이음매를 도시한다.
본 발명은 라이크라 스판덱스 및 다른 수축 재료로 만들어진 현재 이용 가능한 의복의 제한을 감안하는 착용 가능한 의복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PPR 자세, 성능, 회복 및 IFG(I Feel Good)라고 특정되는 이것은 다음과 같은 그 제목에서 모두 네 개의 이름이 같은 항목을 감안하는 디바이스이다: (1) 착용자의 자세를 자기 수용적으로 교정하는 것; (2) 더 나은 자세 및 해부학적 형태를 통해 보다 많은 운동에 의해 생성된 힘으로 착용자에게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하는 것; (3) 좋지 않은 자세 습관의 교정을 통해 더 나은 회복을 가능하게 하는 것; (4) 착용자가 활력 있는 근육 재균형 및 목과 어깨의 완화된 근육 긴장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것. 의복은 그의 유연한 성질, 다시 말해 의복 부속 디바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이전의 자세 의복보다 낮게 개선하는 것으로, 즉, 의복은 착용 가능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 시 기존의 어떤 의복에도 편리하게 꿰메어 붙일 수 있고 또는 미리 포장되어 있어서 생산 라인에서 갓 나온 다른 제조된 의류에 통합될 수 있다. 이것은 처음 도입 이래로 공간 문제로 골치를 앓는 미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자세 의복의 문제를 단독으로 해결할 뿐만 아니라(의복 디바이스가 거의 눈에 띄지 않고 어떠한 일반적인 의복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깨 굽음, 웅크림, 제한 및 비통기성의 문제를 전체 범위의 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해결한다.
의복 디바이스는 남녀공용이고 크기 설정 인자(sizing factor)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그래서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는 방식에서도 융통성이 있다. 다시 말해서, 의복 디바이스는 목 개방부 영역 또는 겨드랑이 근처와 같은 다양한 통합된 교차점에서, 선택된 의복의 내부에 꿰메어 붙여짐으로써 각 착용자 마다 맞춤 제작된다. 둥근 어깨를 교정하기 위해, 탄성 스트랩은 "어깨 뼈(shoulder blade)"라고도 알려진 각 견갑골의 중간 지점을 연결하는 것에 대응하는 의복 영역을 가로 질러 수평으로 꿰메어 붙여진다. 따라서, 환자 또는 평상복 착용자는 더 이상 특정한 매칭 크기 및 지나치게 복잡한 자세 교정 의류를 찾는 일을 하지 않고; 이들은 어떠한 의류 디바이스라도 자신이 선택한 의류에 간단하게 꿰메어 붙일 수 있다.
임의의 의복을 위한 사용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점에서의 유연한 제조 특성 이외에, 의복 디바이스는 신체의 해부학적 근육계에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양의 장력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 수용적 방식을 통해 자세 교정의 주요 기능을 달성한다. 의복 디바이스는 견갑골 회전근, 척추 근육, 광배근, 능배근, 승모근, 후삼각근(Posterial Deltoids), 소원근(Teres Minor), 견갑하근(Subscapularis) 및 대원근(Teres Major)의 근육 그룹을 반영하고 증강시켜, 다른 것들 중에서도 올바른 자세 정렬을 위해 착용자를 견갑골 내전으로 향하게 자연스럽게 보조하는 잡아 당기는 힘을 생성한다.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 정렬 상태에 있으면, 의복 디바이스는 의복의 모든 장력을 자동으로 완화하고 먼저 착용자에게 올바른 자세를 제공하는 잡아 당기는 힘을 먼저 중단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의 근육 기억을 달성하면, 착용자는 디바이스를 거의 의식하지 못할 것이다. 주요 목표는 어깨뼈들을 함께 더 가깝게, 극상 돌기(spinous process)에 더 가깝게 가져오고, 그래서 머리를 더 많이 후방 위치로 가져와 해부학적으로 척추 위에 정렬하며, 목과 어깨 근육의 긴장을 줄인다.
의복 디바이스의 가변 탄성 스트립은 견갑골 회전근과 척추 근육 그룹의 해부학적 운동을 모방한다. 이것이 강한 구심성 신호를 자기 수용 시스템에 적용하여, 시스템을 훈련시킨다. 이것은 평행한 탄성 스트랩을 근육계에서 긴장의 완화와 긴장의 행사 사이에서 순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의복 디바이스의 추가적인 장점은 다음을 포함한다:
"성능 개선" - 이것은 견갑골을 당겨줌으로써, 의복이 리프트 전체에 걸쳐 착용자의 형태를 개선함으로써 웨이트 리프팅 훈련법 및 경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견갑골이 수축되면 더 안정적인 기초가 만들어지고, 약한 어깨 근육 그룹과 대조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가슴 근육 그룹이 구성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사용자는 운동의 주 작용근(primary mover)으로서 더 강한 근육을 구성하기 때문에, 훈련의 진행이 더 빨라지고 경쟁의 성과가 개선될 것이다.
"시소 효과(seasaw effect) - 하나의 치료 옵션으로서, 자기 수용 요법의 급증하는 필요성을 채우기 위해 자세 셔츠가 만들어 졌다. 자세 셔츠는 전형적으로 탄성 스트랩 및 특정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통해 골격과 근육 둘 다를 올바른 정렬의 똑바른 신체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는 특수 스티칭을 포함한다. 흉부 척추에서의 자연스러운 자세 정렬은 후방 근육 그룹(즉, 승모근, 능형근, 광배근) 및 전방 근육 그룹(전방거근 등)이 둘 다 동일한 양의 힘을 발휘하고, 그리하여 신체가 균형을 이루게 될 때 달성된다.
임의의 의복을 위한 사용에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점에서의 유연한 특성 이외에, 의복 디바이스는 신체의 해부학적 근육계에서 평행한 양의 장력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자기 수용적 방식을 통해 자세 교정의 주요 기능을 달성한다. 의복 디바이스는 견갑골 및 척추 근육 그룹을 반영하고 재균형을 이루게 하여 올바른 자세 정렬을 위해 착용자를 견갑골 내전으로 향하게 자연스럽게 보조하고 유지하는 (수축이라고도 알려짐) 적절한 근육 그룹의 활성화 및 이완을 생성한다. 환자가 올바른 자세 정렬 상태에 있으면, 의복 디바이스는 의복의 모든 장력을 자동으로 완화하고 먼저 착용자에게 올바른 자세를 제공하는 잡아 당기는 힘을 중단한다. 따라서, 착용자가 올바른 자세의 근육 기억을 달성하면, 착용자는 디바이스를 거의 의식하지 못할 것이다.
"부착 지점" 또는 통합된 교차점 - 주 부착 지점(통합 교차점)은 칼라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선택되는데, 왜냐하면 두 의복 사이의 이러한 접촉 지점이 가장 안정적이고 위치 이동(shifting)을 겪을 가능성이 가장 낮기 때문이다. 부착 지점의 해부학적 위치는 목의 뒤쪽으로, 의학 용어에서는 달리 "목덜미(nuchal)" 지점이라고 지칭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잠재적 부착 지점은 어깨, 목, 가능한 겨드랑이 및 가능한 앞쪽 가슴의 상부 이음매를 둘러싸는 영역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착용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내부 의복 통합 지점은 외부 의복의 이음매를 따라 하나 내지 다양한 지점인 것으로 선택적일 수 있다.
자세 및 자기 수용 치료 - 의복 디바이스는 어깨 및 척추 주위의 근육에 대해 개선된 결과를 제공한다. 어깨, 또는 상안와 관절(glenohumeral joint)은 팔에 넓은 범위의 운동을 제공하지만, 이 관절은 본질적인 안정성이 거의 없으며, 소켓(socket) 내의 공모양 뼈(ball)보다 접시모양 뼈(dish) 위의 공모양 뼈를 닮았다. 어깨의 대부분의 안정성은 관절을 둘러싸는 인대와 근육에 의해 제공된다. 적절한 근육 활성화와 이완은 견갑골과 어깨 관절의 위치를 유지하는 데 필요하다. 근육의 자기 수용적 수용체, 힘줄, 인대 및 피부의 수용체로부터의 피드백 정보에 기초하여 상안와 관절 위치에 대한 조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자기 수용은 상호 작용하는 구성 요소가 많은 복잡한 엔티티이다. 뇌는 원심성 복사(efference copy)를 사용하여 활동적인 움직임을 시작하고 검증한다. 이러한 검증은 근육과 피부의 다양한 감각 수용체에 의해 뇌로 다시 보내지는 근골격계 운동에 관한 정보를 필요로 한다. 현재의 신념은 근육과 평행한 운동 인코더(movement encoder)인 근방추(muscle spindle)가 피부 수용체로부터 중요한 기여를 하는 지배적인 자기 수용체라는 것이다. 근방추 내 섬유는 활성적인 운동 중에 근육 수축을 단축시켜, 가능하면 근방추 감도를 유지시킨다.
* 견갑골 회전근 및 척추 근육 재훈련 치료 - 견갑골 회전근 및 척추 근육은 ADL 및 스포츠 수행 시 자세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어깨 뼈의 능형근 및 승모근 근육 또한 어깨 뼈의 수축을 담당한다. 이들 근육 그룹은 견갑골을 수축시켜 척추 쪽으로 끌어 당겨 어깨 전체를 후방으로 끌어 당긴다. 바람직하지 않은 자세를 가진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립적인 해부학적 및 적절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위에서 언급한 근육 그룹을 적절히 수축시키지 않거나 재균형을 이루지 않는다. 의복 디바이스는 견갑골 회전근 및 척추 그룹의 운동과 수축을 모방하는 두 가지 주요 유형의 직물로 이루어진다.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은 의복 디바이스의 후방 중앙에 장착된다.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은 능형근, 상부 및 중간 승모근을 정확하게 덮어 씌운다. 사용자가 셔츠를 입었을 때, 탄성 스트랩은 약간 늘어난다(또는 확장된다). 탄성체가 늘어남으로 인해, 끌어 당기는 힘이 척추 쪽으로 생기고, 견갑골 회전근 및 척추 근육 그룹의 수축 및 이완을 함께 반영하여 더 나은 자세와 어깨 뼈 정렬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근육계로 완벽한 자세를 유지한다면,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은 거의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자신의 어깨를 앞으로 "말리는"것을 용납함에 따라,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은 더 큰 장력을 가한다.
* 의복 디바이스 메시 몸체(또는 유사한 직물)는 상부 팔, 어깨 및 상부 등을 캡슐화한다. 이것은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이 견갑골의 중간 지점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스트랩의 장력 및 힘은 앞과 뒤 어깨 영역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불편한 압력 지점을 확산시키고 동시에 어깨의 앞과 뒤에서부터 "잡아 당김"으로써 수축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수축 방법은 다른 제품과는 상이하다. 참가자는 상부 어깨 또는 가슴에서부터 등 아래로 이어져 엉덩이에서 종결하는 의복 안에 꿰메어 붙인 수직 스트랩을 사용한다. 이들 스트랩의 힘은 스트랩의 상부 삽입 지점(뉴로밴드(NeuroBand)라고 부름)에 가해진다. 이러한 유형의 셔츠가 가진 문제점은 전신이 꽉 조여져야 되고, 만일 착용자가 의복에 정확히 맞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의복 디바이스의 이점은 의복 디바이스가 해부학적 구조를 반영하는 확산된 수평 장력을 가하고 의복의 몸체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느슨해지거나 조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 양태에서,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디바이스를 제공하며, 의복 디바이스는:
메시 몸체; 및
견갑골을 올바른 자세 정렬 상태로 잡아 당김으로써 착용자의 자세를 교정하도록 구성된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의복의 메시 몸체는 몸통, 구체적으로는 등 및/또는 가슴 및/또는 몸통 측면 또는 그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 셔츠(예컨대, 티셔츠)로서 구성될 수 있다. 메시 몸체는 또한 아암 및/또는 어깨, 또는 그 일부를 덮도록 구성된다. 임의로, 의복은 임의로 본질적으로 중앙 가슴 부분이 없는, 개방된 셔츠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의복은 등, 어깨 및/또는 팔, 또는 그 일부를 덮는 상부가 조여진 옷감의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메시 몸체는 다양한 형태의 의복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메시 몸체는 독립형 의복이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 보여진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 의복을 생산할 때는 외부 의복에 꿰메어 붙일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소매를 포함한다. 다양한 소매 길이가 고려된다. 예를 들어, 소매의 길이는 적어도 착용자의 삼각근 아래로 연장될 수 있다. 메시 몸체의 소매는 긴 소매 또는 짧은 소매 셔츠에 맞게 연장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소매가 없다.
메시 몸체는 가변 길이 및 외부 의복의 다양한 적용범위를 제공할 수 있다. 길이는: 가슴 바로 위 또는 아래에서 멈추는 단축된 길이, 견갑골의 열세 각도 바로 위 또는 아래에서 멈추는 단축된 길이, 허리 아래 또는 그 부근에서 멈추는 연장된 길이 및 아래쪽 등/배꼽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멈추는 매체 길이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외부 의복 안에 메시 몸체를 통합하는 것은 외부 의복의 뒤쪽의 내부 안감으로서 존재할 수 있는 것이지 외부 의복의 앞쪽에 존재하지 않는 것일 수 있거나, 또는 전체 외부 의복의 내부 안감으로서 존재할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메시 몸체는 편안하고 슬림한 신체 착용성을 갖도록 구성된다. 메시는 매우 얇아서 가장 얇은 보조 의류 또는 외부 의류에서 조차 보이지 않는다. 의복 디바이스의 얇은 특성은 또한 어떤 스타일의 셔츠에도 적응될 수 있게 한다.
유리하게는, 의복의 몸체는 메시와 같은 통기성 직물로 구성되어, 편안함과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한다. 다양한 임의적인 정도의 질감 및 직물이 제공되면 그리고 선택한 활동, 신체 습관, 해부학 구조에 기초하여 요구되는 힘 및 장력에 따라, 메시는 자세 정렬을 더욱 가능하게 하거나 부드럽고 유연 해지는 다양한 장력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유형의 직물 재료가 고려되고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의복에서 의복 몸체로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시 몸체는 나일론, 스판덱스, 면, 폴리에스테르, 시폰, 데님, 레이스, 가죽, 양모,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나일론과 스판덱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약 50 % 내지 약 90 %의 나일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일론의 약 60 % 내지 약 90 %, 또는 약 60 % 내지 약 80 %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약 15 % 내지 약 40 %의 스판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 15 % 내지 약 35 %, 또는 약 20 % 내지 약 30 %의 스판덱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시는 약 70 % 나일론 및 약 30 % 스판덱스로 만들어진다.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메시 몸체는 약 72 % 나일론 및 약 28 % 스판덱스로 만들어지고, 다른 합성 또는 비 합성 재료와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각 조합은 메시 몸체에 일정한 탄성을 제공한다.
의복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통합된 교차점(예를 들어, 이음매)을 통해 내부 의복 디바이스의 탄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특정 탄성을 또한 갖는, 보조 의복 또는 외부 의류와 편리하게 통합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가 보조 의복 또는 외부 의복에 부착되면, 디바이스는 쉽게 입을 수 있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부착된 보조 의복을 동시에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의복 디바이스는 내부 의복 디바이스의 주요한 자세 교정 특징인 메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 착용 가능 기술을 포함한다. 스트랩은 두 방향 또는 네 방향 신축성과 같은 신축성 있는 직물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78% 폴리에스테르 및 22% 나일론 탄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70% 폴리에스테르 및 30% 나일론 탄성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스판덱스 또는 다른 재료가 조합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탄성의 추가적인 변형이 고려된다.
스트랩의 장력을 조절 및 분산하기 위해, 스트랩은 다수의 수직 이음매에 의해 또는 이음매가 없이 분할될 수 있다. 또한, 수직적 및/또는 수평적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음매가 메시 몸체에 스트랩을 부착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음매의 수는 착용자의 성별, 크기 및/또는 요구되는 자세 교정 정도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스트랩은 두 개 또는 네 개의 수직 이음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수직 이음매는 스트랩 내에 복수의 세그먼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스트랩은 세 개 이상, 네 개 이상, 다섯 개 이상 또는 여섯 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주로 수평, 주로 수직, 주로 대각선,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방식으로 배향된다.
의복을 따라 놓이는 스트랩의 배향, 위치 및/또는 크기는 자세 교정에 영향을 주는 데 있어서 본질적인 중요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상부 등에 부착되며, 임의로는 착용자의 신체의 어깨 및/또는 팔에도 부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어깨 뼈가 당겨질 수 있게 하고 전체 어깨에 걸쳐 힘 분배를 용이하게 한다. 또한, 스트랩은 종종 현재 자세 교정 의복과 연관된 불편한 장력 지점을 없앨 수 있다. 탄성 스트랩을 갖는 의복 디바이스는 견갑골 및 척추 근육 그룹의 수축 및 이완을 또한 모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의복 디바이스의 뒤쪽 부분에 장착되어 제공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목의 견갑골 또는 목의 기부의 후방 우세 각도로부터 의복 디바이스의 중앙 후방을 향해 아래로 배치되고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목 바로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착용자의 상부 등을 따라 배치되어, 전체 어깨 뼈를 덮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스트랩은 착용자의 어깨 뼈 및 극상 돌기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착용자의 어깨 뼈 및 팔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스트랩은 착용자의 척추의 T-4-8 척추 뼈 위 또는 아래에서 종결될 수 있다. 임의로, 스트랩은 착용자의 척추의 바로 아래 근처, 또는 바로 위 근처 또는 T-7 척추 뼈 근처에서 종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트랩은 착용자의 척추의 C7-T6 척추 뼈 위에서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T4 바로 위 및 T-10 척추 뼈 아래에서 끝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가변 장력 폴리-탄성 스트랩은 착용자의 크기 및/또는 요구된 자세 교정의 정도에 기초하여 다양한 폭을 갖는다. 폴리-탄성 스트랩의 폭은 약 1 내지 약 8 인치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폴리-탄성 스트랩의 평균 폭은 약 4 인치이지만, 착용자의 어깨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다양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의복 디바이스는 극상 돌기 쪽으로 수직 및/또는 수평 견갑골 당김에 영향을 미치며 및/또는 좌측과 우측 견갑골 사이의 거리를 좁아지게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의복 디바이스는 좌측과 우측 견갑골 사이의 거리를 좁히는 것을 성공적으로 제공한다. 경험적으로 측정된 바와 같이, 견갑골 레니(Scapula Lennie) 시험을 이용하여, 의복 디바이스는 평균적으로 약 11 mm(약 5 mm 내지 약 25 mm 범위)의 좌측과 우측 견갑골 사이의 거리를 좁혀준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디바이스는 좌측과 우측 견갑골 사이의 거리를 적어도 약 5 mm 이상 좁히는 결과를 가져온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이것은 의복 디바이스(100)의 정면도이다. 이것은 여러 가지 상이한 직물로 구성될 수 있고 적당히 묵직한 압축 품질을 갖는 강한 힘의 메시(105)로 만들어지며, 하나 이상의 부착 지점(120)을 통해 의복 안에 꿰메어 붙여지는 '내부 구조물' 안감 디바이스를 생성한다. 의복은 짧은 소매 및 긴 소매 의복 모두에서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에서 내부 구조물로 작용한다. 의복 디바이스의 현재 실시예에서, 의복 디바이스는 삼각근 바로 아래 및 이두근 중간 레벨에서 멈추는 팔 이음부(125)를 갖는다. 의복의 앞쪽 및 뒤쪽 어깨는 잡아 당겨 몸에 맞추기 용이하며 착용자에게 압축을 제공한다. 의복 디바이스의 현재 실시예가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되지만, 의복 디바이스는 다양한 길이 소매 외부 의복에 맞게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는 가변 장력 폴리 탄성 스트랩(110)이 도시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은 4 인치의 두께를 갖는다. 또한 수직 이음매 라인(115)이 도시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여성용 의복 디바이스를 위한 두 개의 수직 이음 줄 및 남성용 의복 디바이스를 위한 네 개의 이음 줄이 있다(이음매를 수직 줄로 도시한 도 10 참조). 요소(130)는 특정 실시예에서 스트랩을 봉입하는 폴리-장력 피복 케이싱이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스트랩 케이싱과 디바이스의 통합(200)이 도시된다.
연결 지점(검은 색 원)(205), 스티칭, 블라인드 또는 단접부(welded)(점선)(210), 우세 메시(215), 외부 케이싱(220), 내부 케이싱(225), 탄성 스트랩(230) 및 열세 메시(235)가 도시된다.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스트랩(230)은 그의 대향하는 수직 에지에서 외부 케이싱(220) 및 내부 케이싱(225)에 의해 봉입된다. 탄성 스트랩(230)의 수평 대향 에지가 우세 메시(215) 및 열세 메시(235)에 스티칭되는 실시예를 추가로 도시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이것은 의복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이것은 등쪽에 연결되므로, 디바이스의 전면 부분은 의복의 후면과 동일한 소매 길이를 가진 동일한 강한 힘의 메시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의복의 뒷부분과 동일한 부착 지점을 가지며, 이것은 뒷부분처럼 - 이러한 현재의 실시예에서 (착용자의 해부학적 구조에 따라 임의의 T-척추 뼈 아래 또는 위에 있을 수 있는) T-8 척추 뼈 바로 아래에서 멈추는 - 단축된 길이로 구성된다. 의복 안에 수평으로 꿰메어 붙여지고, 각 견갑골이 연결되도록 팔 이음매 직물에 부착되는 4 인치 폭의 폴리 탄성 스트랩이 있다. 이러한 폴리 탄성 스트랩은 스트랩의 장력을 조절 및 분산하는 네 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수직 이음매 줄로 추가로 분활되며, 이에 따라 어깨가 중립 위치에 있을 때 착용자에게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폴리 탄성 스트랩은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는 케이싱에 의해 피복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케이싱은 의복 디바이스가 부착되는 보조 의복과 동일한 직물로 만들어진다.
또한, 스트랩 길이는 디바이스가 꿰메어 붙여지는 각각의 의복 크기에 따라 구체적으로 등급이 매겨져서 (크기 조정되어), 각각의 직물 조각에 맞춤 제작 해결책을 제공하고 조절된 어깨 당김에 의해 착용자에게 편안한 방법을 제공한다. 폴리 탄성 스트랩은 착용자가 신체를 사용하여 이러한 당김과 주로 연관된 근육을 반영하고 증강시켜 올바른 자세 정렬을 달성하는 자연스러운 견갑골 당김에 도움을 준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전체 길이의 메시 몸체 의복이 생체의학적으로 맞추어진 기준 지점(300)에 대해 인간 골격 모델에 겹쳐 놓은 것으로 도시된다. 부착 지점 또는 통합 교차점은 칼라의 후방 테두리를 따라 선택되는데, 왜냐하면 두 의복 사이의 이러한 접촉 지점이 가장 안정적이고 위치 이동을 겪을 가능성이 가장 낮기 때문이다. 부착 지점의 해부학적 위치는 목의 뒤쪽으로, 의학 용어에서는 달리 "목덜미(nuchal)" 지점이라고 지칭한다. 디바이스는 목덜미 부착 지점(305) 또는 겨드랑 부착 지점(310)을 통해 임의의 전통적인 의복에 꿰메어 붙일 수 있고 본질적으로 평상복 관찰자에게 눈에 띄지 않을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모든 상부 의복에 쉽게 꿰메어 붙일 수 있도록 단축된 가슴 길이 구성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복 디바이스는 대흉근 바로 아래에서 종결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것은 더 긴 길이 및 세 개의 가능한 대안적인 종결 지점(315, 320, 325)을 갖는 것으로 도시된다. 셔츠 길이와 유사하게, 소매 길이(330, 335, 340)가 또한 착용자의 선호 또는 의도된 오버레이용 의복으로 조정될 수 있다. 탄성 스트랩(345)은 주로 도면에서 4 인치 폭으로 도시된 치수로 도시되지만, 이 폭은 탄성 재료 이외에도,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인장 강도의 정도 및 결과적인 힘을 변경하기 위해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탄성 스트랩의 길이는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며, 착용자의 가변 가능한 크기를 수용하기 위해서만 변경되어야 한다. 사용자 지정 탄성 스트랩 길이가 쉽게 제조될 수 있지만,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변형될 것으로 생각된다.
의복이 견갑골을 당겨줌으로써, 의복은 리프트 전체에 걸쳐 착용자의 형태를 개선함으로써 웨이트 리프팅 훈련법 및 경쟁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견갑골이 수축되면 더 안정적인 기초가 만들어지고, 약한 어깨 근육 그룹과 대조적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가슴 근육 그룹이 구성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사용자는 운동의 주 작용근으로서 더 강한 근육을 구성하기 때문에, 훈련의 진행이 더 빨라지고 경쟁의 성과가 개선될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의복 디바이스가 미리 조립된 상태에 꿰메어 붙이거나 제조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유형의 의복(보조/외부 의복)이 도시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내부 의복 디바이스는 외부 의복의 네크라인 근처 및/또는 외부 의복의 밑단 근처에서 외부 의복에 부착된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내부 의복 디바이스는 외부 의복의 네크라인 아래 0.25 내지 0.75 인치 및/또는 외부 의복의 밑단 위 0.25 내지 0.75 인치에서 외부 의복에 부착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외부 의복은 v-네크라인, 크루 네크라인(crew neckline) 또는 폴로 칼라(polo collar)를 가질 수 있고, 긴 소매, 짧은 소매 또는 소매가 없을 수 있다. 다른 구성이 또한 가능하다.
역동적 자기 수용적 근육 교정
도 5를 참조하면, 일명 내민 어깨 복합체라고 알려진 둥근 어깨와 비교되는 양호한 자세의 다이어그램이 도시된다. 도시된 요소는 중간 선(0), 내민 어깨(1), 당긴 어깨(2), 보정 머리 자세(굽은 자세(stooping) 또는 기울어진 자세(tilting)), 만성 전방 머리 자세, 자세 왜곡, 전방 머리 캐리지(anterior head carriage)(3), 올바른 머리 자세(4), 중간 선 앞에 있는 팔(5), 중간 선 뒤에 있는 팔(6), 더 많이 개방되고 호흡이 향상된 가슴(7)이다.
도 6a는 승모근 및 능형근 및 주변 골격 해부학적 구조를 도시한다. 도 6b는 상안와 관절로도 알려진 어깨가 최대 180 도의 굽힘을 갖는 인체에서 가장 유연하고 이동 가능한 접합부이며; 이처럼 몇 가지 일반적인 오작동이 발생하기 쉽다. 얕은 관절와강(glenoid cavity)은 최대 범위의 움직임을 허용하면서도 손상에 매우 취약하므로, 주변 상안와 인대 및 근육은 탈구를 방지할 정도로 강화되어야 한다.
도 7a 및 도 7b는 착용자의 자세에 미치는 작용 메커니즘 및 역동적 영향(700)을 도시한다. 의복 디바이스는 견갑골 회전근 및 척추 기립자의 운동, 이완 및 수축을 모방하는 유형의 직물로 이루어진다.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705)은 의복 디바이스의 후방의 중앙 상부에 장착된다.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705 및 710)은 견갑골 회전근을 정확하게 덮어 씌운다. 사용자가 셔츠를 입었을 때, 탄성 스트랩은 약간 늘어난다(또는 확장된다). 탄성체가 늘어남으로 인해, 끌어 당기는 힘이 척추 쪽으로 생기고, 견갑골 및 척추 근육의 재균형을 반영한다. 사용자가 자신의 근육계로 완벽한 자세를 유지한다면,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710)은 거의 압력을 가하지 않는다. 사용자가 자신의 어깨를 앞으로 "말리는"것(715)을 용납함에 따라,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은 더 큰 장력을 가한다(720).
메시(또는 유사한 직물)(725)는 상부 팔, 어깨 및 상부 등을 캡슐화한다. 이것은 수직으로 분할된 탄성 스트랩이 견갑골의 중간 지점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스트랩의 장력 및 힘은 앞과 뒤 어깨 영역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불편한 압력 지점을 확산시키고 동시에 어깨의 앞과 뒤에서부터 "잡아 당김"으로써 수축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당김 방법은 다른 제품과는 상이하다. 참가자는 상부 어깨 또는 가슴에서부터 등 아래로 이어져 엉덩이에서 종결하는 의복 안에 꿰메어 붙인 수직 스트랩을 사용한다. 이들 스트랩의 힘은 스트랩의 상부 삽입 지점(뉴로밴드라고 부름)에 가해진다. 이러한 유형의 셔츠가 가진 문제점은 전신이 꽉 조여져야 되고, 만일 착용자가 의복에 정확히 맞지 않으면 효과가 없다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부 의복 디바이스는 상부 등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내부 의복(PPR 또는 IFG) 디바이스는 능형근 및 상부 승모근의 길이를 덮고 착용자의 척추의 T-8 척추 뼈의 근처 또는 그 위에서 끝난다. PPR 또는 IFG의 이점은 이것이 해부학적 구조를 반영하는 확산된 수평 장력을 가하고 의복의 몸체가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느슨해지거나 조여질 수 있다는 것이다.
어깨 관절이 수행할 수 있는 완전한 움직임의 아크는 "시소" 움직임의 아크와 유사하다. 의학 용어는 이것을 견갑상완 리듬(scapulohumeral rhythm)이라고 지칭하며 이는 두 개의 보완적이고 중복하는 단계라고 생각될 수 있다. 초기에는 위팔 뼈가 첫 25 내지 50 % 굽힘에 대해 뒤쪽 방향으로 당겨진 다음 견갑골이 당겨진다.
도 8은 자기 수용 및 의복 디바이스의 목표로 하는 효과와 관련된 신호 프로세스의 흐름도이다. 흐름도는 코롤리 방전 모델(corollary discharge model)을 기초로 하며 자기 수용 치료 예측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9는 탄성 스트랩(910)과 함께 도시되고 탄성 스트랩(910)을 봉입하는 케이싱 재료(920 및 930)의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폴리-탄성 스트랩(1010), 케이싱(1020) 및 수직 이음매(1030)를 도시한다. 도 10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격되어 있는 수직 이음매(1030)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몇몇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그 장점 및 목적은 쉽게 이해될 수 있다. 위의 설명으로부터 나오는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관련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제한으로 서가 아닌 단지 예로서 주어진 것이다.

Claims (20)

  1.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으로서,
    의복 몸체; 및
    상기 의복 몸체의 상부 후방 영역을 가로 질러 수평으로 연장되는 탄성 스트랩(elastic strap)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스트랩은,
    상기 의복 몸체의 제1 부착 부분에 부착된 좌측 단부; 및 상기 의복 몸체의 제2 부착 부분에 부착된 우측 단부를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몸체에 부착되고 상기 탄성 스트랩을 둘러싸는 스트랩 케이싱을 더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케이싱은 내부 케이싱 및 외부 케이싱을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음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음매에 의해 정의된 복수의 수직 세그먼트를 더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몸체의 상기 제1 부착 부분은 착용자의 좌측 견갑골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의복 몸체상의 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의복 몸체의 상기 제2 부착 부분은 착용자의 우측 견갑골의 중간 지점에 대응하는 상기 의복 몸체상의 한 지점에 위치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몸체의 상기 제1 부착 부분은 상기 의복 몸체상의 좌측 팔 이음매를 따라 위치하고, 상기 의복 몸체의 상기 제2 부착 부분은 상기 의복 몸체상의 우측 팔 이음매를 따라 위치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랩의 폭은 상기 의복을 가로질러 원하는 양의 장력을 가하도록 가변 가능한,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랩은 상기 의복이 착용될 때 상기 의복 몸체의 상기 상부 후방 부분을 가로질러 수평 장력을 제공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 몸체는 메시 재료를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10.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시스템으로서
    외부 의복; 및
    상기 외부 의복의 내측에 부착된 내부 의복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의복은 상기 내부 의복의 상부 후방 영역에 부착되고 그 상부 후방 영역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연장하는 탄성 스트랩을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랩은 상기 시스템이 착용될 때 상기 내부 의복을 가로질러 수평 장력을 제공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스트랩은 복수의 수직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의복은 제1 탄성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의복은 제2 탄성을 포함하는,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은 상기 제2 탄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세를 교정하기 위한 의복 시스템.
  15. 제10항의 상기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내부 의복 및 상기 외부 의복을 함께 꿰메어 붙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1 탄성을 갖는 상기 내부 의복을 제공하는 단계 및 제2 탄성을 갖는 상기 외부 의복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탄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탄성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꿰메어 붙이는 단계는 상기 내부 의복을 상기 외부 의복의 하나 이상의 이음매를 따라 상기 외부 의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꿰메어 붙이는 단계는 상기 외부 의복의 네크라인 근처의 제1 부착 부분 및 상기 외부 의복의 밑단 근처의 제2 부착 부분에서 상기 내부 의복을 상기 외부 의복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 부분은 상기 외부 의복의 상기 네크라인 아래 0.25 내지 0.75 인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2 부착 부분은 상기 외부 의복의 하부 밑단 위 0.25 내지 0.75 인치에 위치하는, 의복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20197024850A 2018-05-17 2019-03-25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047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72932P 2018-05-17 2018-05-17
US62/672,932 2018-05-17
US16/024,881 US11020262B2 (en) 2018-02-22 2018-07-01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
US16/024,881 2018-07-01
US201816051155A 2018-07-31 2018-07-31
US16/051,155 2018-07-31
US16/125,402 US10478327B2 (en) 2018-02-22 2018-09-07 Postural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
US16/125,402 2018-09-07
US16/362,548 2019-03-22
US16/362,548 US20190350737A1 (en) 2018-02-22 2019-03-22 Postural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of same
PCT/US2019/023942 WO2019221820A1 (en) 2018-05-17 2019-03-25 Postural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s and methods for manufacture of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796A true KR20210004796A (ko) 2021-01-13

Family

ID=68540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4850A KR20210004796A (ko) 2018-05-17 2019-03-25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1521350A (ko)
KR (1) KR20210004796A (ko)
CN (1) CN111163658A (ko)
WO (1) WO20192218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40818A (zh) * 2021-04-29 2021-08-10 广东元一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模拟和显示假人模型服装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0640A (ja) * 2005-05-20 2006-11-30 Keio Gijuku 姿勢矯正衣料
US20100050313A1 (en) * 2008-08-26 2010-03-04 Shackelford Jr John P Posture improving device
WO2013102168A1 (en) * 2011-12-30 2013-07-04 Opedix, Llc Shirts and shorts having elastic and non-stretch portions and bands to provide hip and posture support
KR101554878B1 (ko) * 2013-10-24 2015-09-25 양시훈 자세 교정용 가능성 의복
KR101723920B1 (ko) * 2015-11-12 2017-04-06 (주)두드림크리에이티브 어깨 및 상체 자세 교정이 가능한 압박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163658A (zh) 2020-05-15
WO2019221820A1 (en) 2019-11-21
JP2021521350A (ja)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46709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DK2856895T3 (en) Garment and method for sensory-motor stimulation
US9119707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20140196190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US20130211302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US20190297959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US10478327B2 (en) Postural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
US11452317B2 (en) Posture correction bra
US11020262B2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
KR20210004796A (ko) 자세 회복 의복 디바이스 시스템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297957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ppr) bra
WO2019191500A9 (en) Kinematic bra for posture recovery and thoracic mobility
WO2019221764A1 (en) Posture, performance, recovery garment device system
AU2015264849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EP2967964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WO2014145046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