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8751B1 - 기능성 스포츠탑 - Google Patents

기능성 스포츠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8751B1
KR101258751B1 KR1020110031746A KR20110031746A KR101258751B1 KR 101258751 B1 KR101258751 B1 KR 101258751B1 KR 1020110031746 A KR1020110031746 A KR 1020110031746A KR 20110031746 A KR20110031746 A KR 20110031746A KR 101258751 B1 KR101258751 B1 KR 101258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attached
shoulder
muscle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7300A (ko
Inventor
천종숙
지정우
Original Assignee
지정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정우,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지정우
Publication of KR20120097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7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8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8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600/0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A41D2600/10Uses of gar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sport activ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남녀의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상체 골격근과 길항적인 역할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길항적인 역할이후 상체 골격근에 대한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스포츠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척주 및 배부근육 등(等)의 좌· 우 근골격 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고, 상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 기능을 반영시켜 척주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되는, 즉, 상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상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바른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크기 만큼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스포츠 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 전면(前面)에서 목둘레선의 중앙으로 부터 명치 대응부위까지에 위치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흉골부; 옷본 전면에서 유방의 밑의 명치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되되,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명치 대응부위에서 상기 직물흉골부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옆선(겨드랑이부분)과 연결되는 전면 직물하부늑골부; 옷본의 전면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직물견관절부, 전면직물 하부늑골부를 제외한 어깨 및 가슴 부분에 위치되는 직물쇄골부; 옷본의 후면(後面)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하부늑골 부위 전까지 어깨 및 등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는 후면직물 상부늑골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10) 목들레선의 중앙 상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의 중앙에 장착되는 직물흉추부; 띠모양을 이루며 옷본 후면(後面)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일측은 옷본의 일측 옆선에서 전면 직물하부늑골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의 다른 일측 옆선에서 다른 전면 직물하부늑골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직물흉추부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의 목둘레선에서 직물흉추부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의 2/5지점(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스포츠탑{Functional sports top}
본 발명은 남녀의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상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길항적인 역할이후 상체 골격근에 대한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스포츠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척주 및 배부근육 등(等)의 좌· 우 근골격 기능이 독립적으로 발휘되고, 상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 기능을 반영시켜 척주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되는, 즉, 상체 골격근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근육인 길항근을 설계함으로써 상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상반된 장력”인 길항작용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바른자세로 되돌아오게 하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크기 만큼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스포츠 탑”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경우, 운동에 따른 유방의 흔들림에 대한 운동의 역학적인 제 요소가 고려되어 운동하는 동안 유방부위를 효과적으로 고정시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야한다. 일반인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포츠탑”은 주로 여성용으로 스포츠브라와 유사한 형태와 기능을 가지고 있어 유방의 흔들림 방지가 주된 목적이다.
여성들이 일반브래지어를 착용하고 장시간 운동을 할 경우 유방 무게로 인한 가슴 통증을 느끼게 되며, 누적되면 어깨, 허리 통증까지 유발하게 된다. 최근 발표된 스포츠과학 연구들은 운동 시 여성의 유방 부위가 받게 되는 충격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운동 동작에서도 가슴 흔들림과 유방의 움직임을 잡을 수 있는 기능적 가슴 보호 의류가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영국 란제리업체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산학연구를 통해 운동의 강도에 따른 가슴의 흔들림 정도와 유방 크기를 모듈화하여 충격 흡수 기능을 제공하는 인체공학적 입체 재단법을 개발하여 기능성이 높은 고부가가치 상품을 추구하는 스포츠 언더웨어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또한 일본 와코루도 스포츠언더웨어를 전문으로 하는 사업을 본격화하여 세계시장 장악을 시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바른자세를 잡아주는 체형 보정용 피복류나 근육의 떨림을 방지하여 운동 시 근육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기능을 부가한 스포츠웨어들은 인체 골격과 근육의 기능을 각각 반영하지 못하고 인체의 일부분을 압박하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 기술들은 인체의 골격근의 독립적 기능과 골격근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바른자세를 유지시켜 주고, 근파워를 증가시켜주기 어렵다.
따라서, 남녀 공히 사용가능한 기능성의류로써, 여성유방의 흔들림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남녀의 자세를 바로 잡아주고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줄 수 있으므로 스포츠는 물론이고 특수목적 등으로 사용되는 기능성의류의 설계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기능성 스포츠탑을 본 발명은 제안한다.
이를위해, 본 발명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바른자세를 도출하여 3D 스캐너로 스캔 후 이 제원을 기능성 스포츠탑의 옷본으로 설계하고, 옷본에 상체의 근골격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 근골격을 설계하되 인체 근육의 힘 방향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일부 직물 근골격의 경우에는 그 형태를 변형시켰다.
본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기존 상체의 길항근과는 독립적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직물골격근은 상체골격근에 대한 길항작용을 하여 일상활동 시는 물론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척주의 만곡이 자동적으로 바르게 유지가 되며, 또한 길항작용에 의해서 상체근육 힘의 방향과 정반대로 작용함으로써 인체활동에 의한 상체 해당근육의 파워를 증가시켜 주고, 몸의 균형을 조기에 잡아줌으로써 인체의 항상성을 유지시켜 준다.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과는 다른 유방이라는 신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운동에 따른 유방의 흔들림에 대한 운동의 역학적인 제 요소가 고려되어 운동하는 동안 유방부위를 효과적으로 고정시켜 운동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도록 유방조직의 상해를 방지함으로써 유방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게 하여야한다.
유방은 지지하는 근육이 없이 지방조직과 유선조직으로 되어 있고, 유방을 다소 지지해주는 쿠퍼인대(cooper's ligament)가 있으나 견신력이 없다고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쿠퍼인대는 경단백질인 엘라스틴(elastin)으로 근육에 있는 인대와는 달리 가느다란 선유조직의 형태로 되어있기 때문에 가벼운 운동에도 쉽게 손상을 입고 한번 손상이 되면 회복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동 시 유방을 직접적으로 보호해주는 직물유방컵과 직물쿠퍼인대를 설계하였고, 유방을 간접적으로 보호해주는 상기 설계한 유방주변의 직물흉부근육 등에 의하여 유방이 받게 되는 충격의 강도와 유방의 크기에 따라 유방을 효율적으로 안정되게 지지가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 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되, 상체의 골격과 근육의 형태가 동일하게 직물로 설계되어 직물 골격근이 인체 골격근에 대한 길항근으로 새로운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기능성 스포츠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일상활동 시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 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바른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가능하게 상체 근골격을 보정하는 기능성 스포츠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움직이는 상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함으로써 조기에 균형 유지 및 근 파워의 증가로 적은 근력으로도 작업 및 운동이 가능하며, 이로 인한 근 피로도의 감소 및 근육통 예방이 가능한 기능성 스포츠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여성의 경우 어떠한 활동을 하든간에 유방의 흔들림을 안정되게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상기 설계된 직물 근골격과 직물 유방컵 및 직물 쿠퍼인대 설계를 구비하여 유방이 받게 되는 충격의 강도와 유방의 크기에 따라 유방을 효율적이고 안정되게 지지해주는 기능성 스포츠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 전면(前面)에서 목둘레선의 중앙으로 부터 명치 대응부위까지에 위치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흉골부; 옷본 전면에서 유방의 밑의 명치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되되,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명치 대응부위에서 상기 직물흉골부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옆선(겨드랑이부분)과 연결되는 전면 직물하부늑골부; 옷본의 전면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직물견관절부, 전면직물 하부늑골부를 제외한 어깨 및 가슴 부분에 위치되는 직물쇄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의 후면(後面)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하부늑골 부위 전까지 어깨 및 등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는 후면직물 상부늑골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10) 목들레선의 중앙 상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의 중앙에 장착되는 직물흉추부; 띠모양을 이루며 옷본 후면(後面)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일측은 옷본의 일측 옆선에서 전면 직물하부늑골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의 다른 일측 옆선에서 다른 전면 직물하부늑골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직물흉추부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의 목둘레선에서 직물흉추부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의 2/5지점(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상기 직물근육은, 일측은 옷본에서 직물견관절부와 인체의 제3~8번 늑골에 대응하는 직물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흉골부 전체면과 직물쇄골부의 중앙면(직물쇄골부(30)상의 1/2지점에서 직물흉골부(40)상단까지)에 부착하는 직물유방컵부; 직물유방컵부내에서 일측은 직물유방컵부 받침대 상단 중앙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쇄골부의 중앙(직물흉골부(40) 상단에서 직물쇄골부(30)상의 1/3지점까지)에 부착하는 직물쿠퍼인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유방컵부의 외측에서 상위 9개 늑골 대응부위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1/2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전거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일측은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흉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옷본의 목둘레선을 따라 직물흉골부의 측면 및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대흉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중앙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대원근부;사다리꼴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1/4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1/5지점에서 2/5지점 면에 부착되는 직물극하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상단 2/8지점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 견관절 상단 2/5지점에서 3/5지점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원근부; 사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갑골 상단에서 4/7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능형근부; 오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 2/5지점에서 하단까지의 면과 직물흉추부 하단에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전체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유방컵부의 외측에서 상위 9개 늑골 대응부위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1/2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전거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일측은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흉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옷본의 목둘레선을 따라 직물흉골부의 측면 및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대흉근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 상단의 1/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되는 직물견갑하근부; 사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갑골 상단에서 4/7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능형근부;오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 2/5지점에서 하단까지의 면과 직물흉추부 하단에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전체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물대흉근부는 일측은 직물쇄골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20)에 부착되는 제1방향 부착부; 및 일측은 직물흉골부 전체면과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중앙에서 하단으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제2방향 부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따르면, 척주, 흉골, 견갑대, 늑골 등의 골격기능과 관련 근육기능을 반영하여 좌· 우측 직물 근골격의 기능을 독립적으로 수행하도록 하고, 상체근육의 형태와 동일하게 직물근육을 설계하여 인체 해당근육과 길항근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직물근육이 길항적인 역할을 발휘하게 되어 척주의 만곡을 바르게 유지시켜주고, 인체의 항상성 유지하게 한다. 여기에서 직물근육의 “길항적 기능 및 역할”이란 상체의 골격근에 대한 직물근육의 “상반된 장력”으로 인간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자동적으로 본래의 바른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능성의류는 일상활동과 산업별 작업 및 운동 시 인간공학 평가도구에 의해 설계된 직물 근육이 길항적인 작용으로 나쁜자세를 제어시키고, 바른자세로 돌아오도록 함으로써 “거북목 증후군” 등과 같은 각종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표1과 같이 가능하게 한다.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1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은 상체 골격근의 운동방향에 대한 길항작용으로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크기 만큼 골격근의 파워를 증가시켜 준다.
추가적으로 나쁜자세로 인한 중력의 편중은 상체의 각종 관절에 부하가 심하게 작용되어 근육, 인대, 연골, 뼈, 신경(중추 및 자율) 등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신체의 혈액순환에도 방해가 된다. 따라서 바른자세를 유지시켜주는 기능성 스포츠탑은 자세 불균형에 대한 치료하는 것 외에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모든 관절을 교정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키가 커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성장기에 있는 연령층은 성장을 촉진시켜준다.
셋째, 만성소화불량, 허약체질의 경우처럼 정밀검사를 해봐도 특별한 효과가 없는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다.
넷째, 신경계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신지대사가 잘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통해 식욕, 정력, 활력 등을 되찾게 해준다.
다섯째, 관절이 닿거나 비정상적으로 자라게 되는 퇴행성 변이를 예방하고 인체의 유연성을 극대화하여 갑작스럽게 상해를 입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여섯째, 모든 세포의 생명력, 치유력, 재생능력, 성장력 등을 향상시켜 이상적인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곱째, 건강미가 흐르는 아름다운 몸매를 만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의 전면부에서 직물골격(골격 보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스포츠탑”의 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유방컵부(1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쿠퍼인대부(1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전거근부(1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소흉근근부(1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대흉근부(1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대원근부(1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극하근부(1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소원근부(1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능형근부(1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광배근부(1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견갑하근부(2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이하의 실시예들에서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적용되는 인체골격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적용되는 인체의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로, 도 1의 (a)는 인체의 전면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1의 (b)는 인체의 후면 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적용되는 인체의 전면골격은 견관절, 쇄골, 흉골, 하부늑골(7∼10번) 등이 있다.
견관절(shoulder joint)은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에 있는 구관절로, 상하좌우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다축성이어서 인체 중 가동성이 가장 큰 관절이다. 즉, 견관절은 견갑골과 상완골 사이에 있는 관절로, 앞뒤, 좌우, 위아래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쇄골(clavicle, 肩峰)은 가슴 가운데 있는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S자 모양의 긴 뼈로, 상완골과 견갑골을 거쳐 흉골에 연결시켜 견갑대를 이루는 뼈의 하나이다. 그 안쪽 끝은 흉골과 흉쇄관절을 만들고, 바깥쪽 끝은 견갑골의 견봉과 견쇄관절을 만들어 연결한다. 이들 관절은 비교적 잘 움직여 견관절에서 상완골의 운동을 돕는다.
흉골(sternum)은 흉곽의 정중선에 위치한 편평하고 긴 모양의 뼈로 병(柄)·체(體)·검상돌기(劍狀突起)의 세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상부의 흉골병(胸骨柄)은 다각형이고, 위쪽 가장자리에 세 변(邊)이 있어 각각 절흔(切痕)이 있다. 중앙의 경절흔(頸切痕)은 유리해 있고, 좌우의 쇄골절흔은 쇄골과 관절을 이루고 있다. 외측연(外側緣)에는 4쌍의 늑연골(肋軟骨)이 결합하며, 흉골체(胸骨體)의 아래쪽에 계속되는 흉골 검상돌기와의 결합부에서 제7늑연골이 결합한다. 최하위의 검상돌기는 짧고 얇은 연골판으로, 구두주걱 모양이다.
늑골은 가슴등뼈(흉추)와 가슴뼈(흉골)를 결합하여 가슴부위(흉곽)를 이루는 활모양의 뼈로, 좌우 12쌍이 있으며 폐, 심장 등 가슴 부위의 내장 기관들을 보호한다. 상부 늑골(제1~10늑골)은 횡격막 위에 위치되며, 하부 늑골(lower edge of ribs)(제8~12늑골)은 횡격막 아래에 위치된다. 특히 하부 늑골 부위에 신장이 위치해있다. 여기에서 인체의 전면 하부늑골(front lower edge of ribs)은 “기능성 스포츠탑”의 설계를 위해 요구되는 위치와 명칭으로 인체전면(前面) 진성늑골 7번의 늑연골와 가성늑골 8번에서 10까지의 늑연골을 말한다.
도 1의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적용되는 인체의 후면골격은 흉추, 견갑골, 상부늑골(1번), 하부늑골(12번) 등이 있다.
흉추(thoracic vertebra)는 가슴등뼈를 말하며, 12개의 흉추는 등의 상부에 위치하며, 경추보다 크고 전형적 추골의 형태를 갖추고 있다. 3번째 흉추부터 아래로 내려가면서 추체의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몸무게로 인한 부하를 견딜 수 있게 되어있다. 흉추는 늑골과 관절하기 위해 추체의 후양방에 상하늑골두와(superior and inferior or facet for head of rib)가 있고, 횡돌기(transverse process) 끝부위에는 횡돌늑골와(facet for tubercle of rib)가 있다. 각 늑골두(head of rib)는 인접한 상하관절와와 함께 관절하여 둘이 합쳐 둥글고 오목하다. 제1번, 11번, 12번 늑골두는 각각 제1번, 11번, 12번 흉추와 단독으로 관절한다.
견갑골(scapula, 肩胛骨)은 두 팔이 체간에 연결되는 골격의 일부를 이루는 뼈로, 쟁기·방패·귀갑(龜甲)·날개 등과 모양이 비슷한데, 흉곽(胸廓)의 뒷면에 좌우대칭으로 제2번 ∼ 제7번 늑골에 걸쳐 있으며, 길이 9∼10cm의 넓적한 삼각형 모양이다.
후면(後面) 상부 및 하부늑골(back upper & lower edge of ribs)도 전면(前面) 상부 및 하부늑골과 같은 경우로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를 위해 요구되는 위치와 명칭으로 인체후면(後面)의 1번 늑골인 진성늑골과 12번 늑골인 가성늑골을 말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은 자세를 바로 잡아주는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흉부 및 배부의 근골격과 여성의 경우는 유방을 추가로 설계하여 인체의 흉부 및 배부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바른자세를 유지시켜 인체의 균형을 잡아주며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의 크기만큼 근파워를 증가시켜주고, 유방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는 “기능성 스포츠탑”이다.
실시예들에 적용되는 도 1의 인체골격에 대한 실시예 1에 해당하는 직물골격은 사람이 바른자세를 유지하고, 일상생활과 산업현장에서 작업 또는 운동 시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근육의 기시와 종지를 고려하여 “기능성 스포츠탑”에 반영한 것이다.
또한 동적인 근육수축이 가능한 상체의 각 근육을 설계에 반영 시 인체 “견갑골”의 경우에는 인체의 해당 위치인 견관절에 설계가 불가능하여 인체 견갑골에 부착되는 근육의 기능구현을 위해 인체와는 변형된 직물견갑골(70)을 후면직물 상부늑골(60) 및 후면직물 하부늑골(90)에 설계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의 전면부에서 직물골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옷본(10)은 인간공학 평가도구(RULA, REBA, OWAS 등)로 도출한 상체의 바른자세를 3D 스캐너로 스캔하여 산출된 제원에 의해 설계된 틀이다.
직물견관절부(20)는 인체 견관절은 인체의 견갑골과 상완골이 접합된 관절로써 인체 견관절과 동일한 형태로 직물 견관절부(20)를 옷본(10)의 좌우측 상단에 설계하였다. 직물견관절부(20)는 견관절 대응 부위를 감싸는 띠형태로 이루어진다. 직물 견관절부(20)는 어깨를 안정시켜주고, 인체 흉골 및 견갑골로부터 인체 상완골 등(等)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직물쇄골부(30)는 인체의 흉골과 견갑골을 잇는 쇄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의 쇄골과 동일한 형태로 직물쇄골부(30)를 옷본(10)의 상단 전면(全面)에 설계하였다. 직물쇄골부(30)는 직물로 설계가 가능하도록 인체쇄골을 “S”자에서 다소 변형된 "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2
" 형태(타원곡선, 원호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직물쇄골부(30)는 어깨를 고정시켜주고, 인체 상완골 두부, 흉부로부터 인체쇄골 등(等)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직물쇄골부(30)는 옷본(10)의 전면(前面)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10)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직물견관절부(20),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을 제외한 어깨 및 가슴 부분에 위치된다.
직물흉골부(40)는 인체의 흉골병(胸骨柄)에서 흉골검상돌기(명치)까지 이루는 흉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의 흉골과 동일한 형태로 직물흉골부(40)를 인체전면(前面) 옷본(10)의 중앙상단에서 하단까지 설계하였다. 직물흉골부(40)는 상체 좌우측 중심을 잡아주고, 인체의 흉골로부터 쇄골, 견관절, 늑골 등(等)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직물흉골부(40)는 옷본(10) 전면(前面)의 목둘레선의 중앙으로 부터 명치 대응부위까지에 위치하는 띠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옷본(10) 전면(前面)의 목둘레선의 중앙에 장착되며, 다른 일측은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의 일측과 연결된다.
전면 직물하부늑골부(50)는 인체의 흉골체 하단과 연결된 7번에서 10번까지 늑골의 연골부위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전면(前面)의 하부늑골과 동일한 형태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를 옷본(10) 하단전면(全面)에 설계하였다.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는 여성의 경우 유방을 견고하게 받쳐주고, 인체전면(前面)의 하부늑골로부터 상완골 및 쇄골 등(等)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전면 직물하부늑골부(50)는 유방의 밑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명치 대응부위에서 직물흉골부(40)와 연결되어, 유방의 밑면을 따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10) 옆선(겨드랑이부분)에서 후면 직물하부늑골부(90)과 연결된다.
도 3은 도 2의 "기능성 스포츠탑"의 후면부에서 직물골격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후면직물 상부늑골부(60)는 인체의 흉추 2번과 연결된 진성늑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후면(後面)의 2번늑골과 동일한 형태로 후면직물 상부늑골부(60)를 옷본(10) 상단전면(全面)에 설계하였다. 인체후면(後面)의 2번늑골상에 부착되어 있는 늑간근 및 장늑근은 스포츠탑에서 그 기능이 미미함으로 설계에서 배제하였다. 반면 인체 견관절 부위에 설계가 불가능한 직물견갑골부(70)를 인체후면(後面)의 2번늑골과 12번늑골에 설계함으로써 인체 견갑골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후면직물 상부늑골부(60)는 옷본(10)의 후면(後面)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10)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직물견관절부(20),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을 제외한 등의 상단 부분에 위치된다.
직물견갑골부(70)는 인체의 견갑골 기능상에 문제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직물흉추부(80)로부터 좌우측으로 후면직물 상부늑골부(60)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의 2/5지점에 인체의 견갑골과 변형된 형태 설계하였다. 이로써 인체의 상완골과 흉추로부터 인체의 견갑골 등(等)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직물견갑골부(70)는 직물흉추부(80)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10)의 목둘레선에서 직물흉추부(80)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의 2/5지점(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된다.
직물흉추부(80)는 인체의 1번흉추를 제외한 11개의 흉추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의 흉추와 동일한 형태로 직물흉추부(80)를 인체후면(후면) 옷본(10)의 중앙 상단에서 하단까지 설계하였다. 직물흉추부(80)부는 상체 좌우측 중심을 잡아주고, 인체의 흉추로부터 견갑골 및 늑골 등(等)에 부착되는 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기능구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직물흉추부(80)는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10) 목들레선의 중앙 상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의 중앙에 장착된다.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는 인체의 흉추 12번과 연결된 가성늑골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인체후면(後面)의 12번늑골과 동일한 형태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를 옷본(10) 하단전면(全面)에 설계하였다. 인체후면(後面)의 12번늑골상에 부착되어 있는 늑간근 및 장늑근은 스포츠탑에서 그 기능이 미미함으로 설계에서 배제하였다. 상기 기술한 직물견갑골부(70) 기능구현을 위한 설계외에 인체 활동의 편리성을 위하여 인체후면(後面)의 12번늑골과는 다소 변경된 형태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를 설계하였다.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는 띠모양을 이루며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일측은 옷본(10)의 일측 옆선의 전면 직물하부늑골부(50)의 일단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10)의 다른 일측 옆선의 다른 전면 직물하부늑골부(50)의 일단과 연결된다.
실시예 1에 의해 "기능성 스포츠탑"에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인체근육으로, 설계목적상 골격근을 피부접촉 근육인 겉근육, 골격 내의 근육인 골격 내재근, 겉근육과 골격 내재근 사이의 근육인 안근육 등의 종류로 구분하되 설계반영에 의미가 없는 골격 내재근은 제외하고, 안근육 및 겉근육 만을 직물근육으로 “기능성 스포츠탑” 설계에 반영하고자 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의 인체 골격계와 연계된 흉부 및 배부근육을 정리하면 표2와 같다.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3
성인여성의 유방은 유선조직들이 유두방향으로 늘어서있고, 그 주위 사이사이에 지방조직이 퍼져 있다. 이러한 유방은 앞가슴의 제2번에서 제6~8번 늑골까지와 흉골의 외측면에서 겨드랑이의 전방까지 위치한다. 즉, 유방은 흉벽 위에 있는 대흉근과 소흉근이라는 근육위에 부착되어 있다.
쿠퍼인대(cooper's ligament)는 여성유방에 있는 얇은 선유조직(섬유조직)으로 가슴근막을 기시점으로 하여 피부에 부착되어 가슴전체를 감싸면서 가슴형태를 지지해준다. 여성에 있어서 유방의 크기와 무게는 지방의 양에 따라 결정되지만 이러한 유방에는 무게를 지탱할 근육은 전혀없고, 쿠퍼인대(cooper's ligament)만이 가슴형태를 지지해주는 유일한 수단이다.
전거근은 흉부의 외측에 위치한 넓고 굽어진 근육이다. 즉 전거근은 상부 늑골 외측면을 기시점으로 좁은 띠 모양으로 액와의 내측면을 따라 주행하여 견갑골 등쪽면에 부착되어 있다.
소흉근은 얇고 납작한 근육으로 대흉근의 심부에 위치한다. 즉, 소흉근은 상부늑골 흉골면을 기시점으로 외측 위쪽으로 견갑골 오훼돌기에 부착되어 있다.
대흉근은 가슴상부에 위치한 두꺼운 근육이다. 즉, 대흉근의 쇄골두부의 근육은 쇄골 전면의 중앙1/2인 위치를 기시점으로 하고 흉골두부의 근육은 첫 번째 6개 늑연골의 전면 및 흉골의 인접부분의 위치를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결절간 홈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2인치 또는 3인치 넓이의 평평한 건에 부착되어 있다.
대원근은 견갑골의 외측면 및 상완골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대원근은 후면적으로 견갑골의 측면경계의 하위 1/3과 하위각의 바로 상위를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결절간 홈의 중앙 입구에 부착되어 있다.
극하근은 견갑골 후면의 견갑극 아래 움푹 패인 곳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극하근은 견갑골의 척주 바로 아래의 극하근 낭의 중앙면을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더 큰 결절 후면에서 부착되어 있다.
소원근은 견갑골의 외측면 및 상완골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소원근은 견갑골의 측면경계의 상위면과 중앙면에 후부적 위치를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더 큰 결절에서 후부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능형근은 상부흉추 및 견갑골 내측면에 위치한 근육이다. 즉, 능형근은 마지막 쇄골의 극돌기와 처음 다섯 개의 흉추를 기시점으로 척추아래 견갑골의 중앙경계에 부착되어 있다.
광배근은 등의 아래쪽 외측면을 돌아 겨드랑이 밑까지 상완골을 향한 근육이다. 즉, 광배근은 가시돌기와 하위 6개의 흉추(T6-12)를 기시점으로 상완골의 결절간 홈의 중앙쪽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1의 직물근육들은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직물근육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3과 같다.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4
즉, 흉부 및 배부근육이 굴곡 및 신전 후 제자리로 자연스럽게 돌아올 수 있을 정도의 탄력이 필요하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신장율의 경우 안근육인 직물유방컵(여성), 직물쿠퍼인대(여성), 직물전거근, 직물소흉근, 직물대원근은 150~170%가 요구되며 겉근육인 직물대흉근, 직물극하근, 직물소원근, 직물능형근, 직물광배근은 120~140%가 요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유방컵부(1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직물유방컵부(101)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유방컵부(101)는 인체의 유방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견관절부(20)와 인체의 제3~8번 늑골에 해당하는 직물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흉골부(40) 전면(全面)과 직물쇄골부(30)의 중앙면(직물쇄골부(30)상의 1/2지점에서 직물흉골부(40)상단까지)에 부착한다.
직물유방컵부(101)의 탄력방향은 유방의 흔들림을 제어하기 위하여 인체 대흉근의 힘의 방향(11시)과 개략 대칭되는 방향(1~2시)으로 지향시킴으로써 직물소흉근부(103) 및 직물대흉근부(105)과 함께 유방을 받쳐주게 되어 인체의 유방을 위쪽 가운데로 모아주고 가슴을 잡아줌으로써 쿠퍼인대(cooper's ligament)를 안정되게 보호하여 준다. 또한 직물유방컵부(101) 하단받침대를 부드럽고 견고한 망상형으로 설계함으로써 피부염 등의 질환도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쿠퍼인대부(102)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는 직물쿠퍼인대부(102)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쿠퍼인대부(102)는 인체의 유방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유방컵부(101)내에서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유방컵부(101) 받침대 상단전면(全面)의 70%를 차지하는 중앙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쇄골부(30)의 중앙(직물흉골부(40) 상단에서 직물쇄골부(30)상의 1/3지점까지)에 부착한다.
직물쿠퍼인대부(102)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 쿠퍼인대가 손상되었을 때 유방이 늘어지는 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쿠퍼인대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하여 유방이 둥근 모양으로 유지되도록 유방을 받쳐주어 인체의 유방을 위쪽 가운데로 모아주고 가슴을 잡아줌으로써 직물유방컵부(101) 기능과 유사하게 인체의 쿠퍼인대(cooper's ligament) 를 안정되게 보호하여 준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전거근부(103)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직물전거근부(103)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전거근부(103)는 인체의 전거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인체 전면 가슴의 측면에 있는 상위 9개 늑골의 표면인 직물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인체 후면의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전거근부(103)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 늑골의 표면에서 직물견갑골(70)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전거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전거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전거근부(103)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전거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견갑골을 앞쪽으로 당기고, 아래쪽으로 당겨줌으로써 직물대흉근부(105)와 함께 야구 시 주동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주고, 농구, 축구, 푸쉬업 등의 운동 시도 주동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소흉근부(104)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7은 직물소흉근부(104)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소흉근부(104)은 인체 소흉근의 기능에 대한 길항근의 역할은 물론, 인체유방의 흔들림을 제어시키기 위하여 인체의 소흉근 보다 다소크고 위치는 종지부위는 동일하나 기시부위는 소흉근 힘의 방향과 동일한 제10번 늑골 부위에 부착한다. 즉,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흉골부(40)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견관절부(20) 상단에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소흉근부(104)의 신축성 방향은 전면직물 하부늑골(50)에서 직물견관절부(20)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소흉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소흉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소흉근부(104)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소흉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견갑골을 앞쪽으로 당기고 아래쪽으로 당기거나 늑골을 들어 올리는 푸쉬업, 의자에서 손을 이용하여 일어서는 동작 등을 유연성 있게 해준다. 또한 직물유방컵부(101)와 직물쿠퍼인대부(102), 직물대흉근부(105)와 더불어 인체유방의 흔들림을 제어하고 안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대흉근부(105)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직물대흉근부(105)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흉근부(105)는 인체의 대흉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인체 상완골 결절과 유사한 위치인 직물견관절부(20)에 직물쇄골부(30), 직물흉골부(40),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이 2개 방향으로 나뉘어 부착되되, 첫째 방향의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쇄골부(30)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견관절부(20)에 부착한다. 두 번째 방향의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흉골부(40) 전면(全面)과 직물흉골부(40)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견관절부(20) 중앙에서 하단으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대흉근부(105)의 신축성 방향은 인체 상완골 결절의 위치인 직물견관절부(20)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대흉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대흉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흉근부(105)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대흉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쇄골두부의 근육은 상완관절의 내부회전, 수평내전, 굴곡, 외전, 내전을 시켜주고 흉골두부의 근육은 상완관절의 내부회전, 수평내전, 신장 그리고 내전을 시켜 야구, 테니스, 핸드볼, 골프, 배구 등의 운동 시 주동근의 파워가 증가한다. 또한 직물유방컵부(101)와 직물쿠퍼인대부(102), 직물소흉근부(104)와 더불어 인체유방의 흔들림을 제어하고 안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대원근부(106)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직물대원근부(106)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대원근부(106)는 인체의 대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견갑골부(70)의 중앙, 즉, 직물견갑골부(70)의 상단으로부터 2/5지점에서, 직물견갑골부(70)의 하단으로부터 2/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된다.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개략적으로, 직물견관절부(20) 상단으로부터 4/5지점에서, 상단으로부터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대원근부(106)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70) 중앙에서 직물견관절(20) 하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대원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대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대원근부(106)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대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을 신전, 내전, 내측으로 회전시켜 광배근의 조력근으로 턱걸이, 로프 클라이밍, 수영, 등산 및 노를 젓는 등의 운동 시 주동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극하근부(107)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0는 직물극하근부(107)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극하근부(107)은 인체의 극하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1/4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견관절부(20) 상단 1/5지점에서 2/5지점 면에 부착한다.
직물극하근부(107)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직물견관절부(20) 상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극하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극하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극하근부(107)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극하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을 외측으로 회전 시켜줌으로써 야구, 핸드볼, 배구, 골프, 턱걸이, 로프 클라이밍, 평행바 등의 운동 시 주동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소원근부(108)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직물소원근부(108)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소원근부(108)은 인체의 소원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견갑골부(70)상단 2/8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 견관절(1) 상단 2/5지점에서 3/5지점 면에 부착한다.
직물소원근부(108)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70) 중상단에서 직물견관절부(20) 중앙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소원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소원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소원근부(108)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소원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팔을 외측으로 회전 시켜줌으로써 야구, 핸드볼, 배구, 골프, 턱걸이, 로프 클라이밍, 평행바 등의 운동 시 주동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것과 같이 직물극하근부(107)과 매우 유사하게 기능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능형근부(109)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직물능형근부(109)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능형근부(109)는 인체의 능형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흉추부(80)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견갑골(70) 상단에서 4/7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능형근부(109)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흉추부(80) 상단 및 중앙에서 직물견갑골부(70) 상단 및 중앙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능형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능형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능형근부(109)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능형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견갑골을 올리고 내전시켜 턱걸이, 수평바 등의 운동 시 주동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광배근부(110)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직물광배근부(110)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광배근부(110)은 인체의 광배근 형태와 위치를 기능성 스포츠탑에 맞게 반영하여, 일측은 기시부위로 직물흉추부(80) 상단 2/5지점에서 하단까지의 면과 직물흉추부(80) 하단에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 상의 개략 전면(全面)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종지부위로 직물견관절부(20) 상단 4/5지점에서 개략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한다.
직물광배근부(110)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 흉추(8) 중앙 및 하단과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에서 직물견관절부(20) 하단으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광배근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광배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광배근부(110)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돌아오게 하며, 인체 광배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내전, 내부회전(신장), 수평외전을 시켜준다.
따라서 직물광배근부(110)은 턱걸이, 로프 클라이밍, 수영, 등산 및 노를 젓는 등의 운동 시 인체 광배근의 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는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나, 직물골격근부는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며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전면(前面)의 골격근은 옷본(10)상에 ①직물유방컵부(여성)(101) ②직물쿠퍼인대부(여성)(102)직물전거근부(103)③직물소흉근부(104)④직물대흉근부(105) 순이나, 직물 쿠퍼인대는 직물유방컵 내에 설계하여한다. 인체후면(後面)의 골격근은 옷본(10)상에 ①직물전거근부(102)②직물대원근부(106)③직물극하근부(107)④직물소원근부(108)⑤직물능형근부(109)⑥직물광배근부(110) 순으로 설계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고자 한 것이 아니며,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면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필요시는 반소매 또는 소매를 포함하여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반영된 직물근육은 상체의 해당근육에 대한 길항적인 역할로 조기에 인체의 균형 및 항상성이 유지된다. 이는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고, 상반된 장력에 의한 가속도 크기만큼 근파워를 증가시킨다. 또한 인체근육에 젖산 및 인산염 등(等)의 분비를 억제시킴으로써 근피로를 감소시키고 근육통 예방을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켜 주며 상체의 흉부 및 배부근육에 대한 근파워를 증가시켜주고, 여성의 경우 유방을 안정되게 지지하여 주는 “기능성 스포츠탑”이다.
전술(前述)한 실시예 2에 적용되는 인체골격을 고려하여 실시예 2에 적용되는 직물골격을 판단한 결과, 실시예 1의 직물골격과 동일하다.
인체 전후면(前後面)의 옷본(10), 직물견관절부(20), 직물쇄골부(30), 직물흉골부(40), 전면직물 하부늑골부(50), 후면직물 상부늑골부(60), 직물견갑골부(70), 직물흉추부(80),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의 기능성 스포츠탑에 적용되는 인체근육과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실시예 2에 적용된 인체 근육 및 골격계로, 도 2 및 도 3의 인체 골격계와 연계된 흉부 및 배부근육을 정리하면 표4와 같다.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5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의 근육 중 극하근, 소원근, 대원근을 견갑하근과 대체하여 기능성 스포츠탑을 설계하였다.
견갑하근은 견갑골 앞면을 덮는 삼각형 모양의 근육이다. 견갑하근은 견갑하와의 전체적인 전면 표면을 기시점으로 하여 상완골의 더 작은 결절에 부착되어 있다.
실시예 2의 상기 인체근육에 대한 직물근육과 사람이 어떤 활동을 하던 간에 움직임에 제한이 없어야하는 근육직물에 요구되는 능력을 정리하면 표5와 같다.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6
직물근육은 실시예 1에서 직물대원근, 직물극하근, 직물소원근이 삭제되었으며, 직물견갑하근이 추가되었다.
탄력의 경우 안근육은 겉근육이 갖는 탄력이상을 초과하지 않아야하고, 직물 겉근육인 직물견갑하근은 120 ∼ 140%의 신장율이 요구되며, 기타 직물근육은 설계예 1의 직물근육과 동일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기능성 스포츠탑에서 직물견갑하근부(201)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4는 직물견갑하근부(201)를 스포츠탑에 설계한 도면이다.
직물견갑하근부(201)는 인체의 견갑하근 형태와 위치를 반영하여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20) 상단의 1/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한다. 직물 견갑하근(201)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70)에서 직물견관절부(20)로 향하도록 하여 인체 견갑하근부의 이완방향(직물장력 : 반대방향)과 일치시킨다. 이는 인체 견갑하근과 길항적인 역할을 하게함으로써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하던 간에 직물견갑하근부(201)의 장력은 본래의 자세로 되돌아오게 하며, 인체 견갑하근이 주동근 역할을 할 경우 상완관절의 내부회전과 내전, 상완골의 신장과 두부를 관절낭에 안정시켜줌으로써 로프 클라이밍이나 랫 풀즈 등의 운동 시 근파워를 증가시켜준다.
직물견갑하근부(201)외 직물유방컵부(여성)(101), 직물쿠퍼인대부(여성)(102), 직물전거근부(103), 직물소흉근부(104), 직물대흉근부(105), 직물능형근부(109), 직물광배근부(110)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기술된 직물 골격부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순서 없이 설계가 가능하며, 직물골격근부를 안근육으로부터 겉근육 순으로 설계하면 그 순서는 다음과 같다.
인체전면(前面) 골격근의 설계는 “실시예 1”과 동일하나, 인체후면(後面)의 골격근은 옷본(10)상에 ①직물전거근부(102) ②직물견갑하근부(201) ③직물능형근부(109) ④직물광배근부(110) 순으로 설계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이로써 한정하고자 한 것이 아니며, 기능상에 문제가 없다면 순서가 바뀔 수도 있으며, 기능의 극대화를 위하여 필요시는 반소매 또는 소매를 포함하여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2”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인체를 바른자세로 유지시키며 근육의 파워를 증가시키고, 근피로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기능성 스포츠 탑”은 탄성 직물(일부는 기타 탄성물질) 또는 편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한 제작이 가능하다.
10 : 옷본 20 : 직물견관절부 30 : 직물쇄골부
40 : 직물흉골부 50 :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60 :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70 : 직물견갑골부 80 : 직물흉추부 90 :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101 : 직물유방컵부(여성) 102 : 직물쿠퍼인대부(여성) 103 : 직물전거근부
104 : 직물소흉근부 105 : 직물대흉근부 106 : 직물대원근부
107 : 직물극하근부 108 : 직물소원근부 109 : 직물능형근부
110 : 직물광배근부 201 : 직물견갑하근부

Claims (32)

  1.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 전면(前面)에서 목둘레선의 중앙으로 부터 명치 대응부위까지에 위치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흉골부;
    옷본 전면에서 유방의 밑의 명치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되되,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명치 대응부위에서 상기 직물흉골부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옆선(겨드랑이부분)과 연결되는 전면 직물하부늑골부;
    옷본의 전면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의 목둘레선으로 부터 직물견관절부, 전면직물 하부늑골부를 제외한 어깨 및 가슴 부분에 위치되는 직물쇄골부;를 포함하며,
    상기 직물근육은,
    일측은 옷본에서 직물견관절부와 인체의 제3~8번 늑골에 대응하는 직물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흉골부 전체면과 직물쇄골부의 중앙면(직물쇄골부(30)상의 1/2지점에서 직물흉골부(40)상단까지)에 부착하는 직물유방컵부;
    직물유방컵부내에서 일측은 직물유방컵부 받침대 상단 중앙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쇄골부의 중앙(직물흉골부(40) 상단에서 직물쇄골부(30)상의 1/3지점까지)에 부착하는 직물쿠퍼인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의 후면(後面) 상단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되, 옷본에서 목둘레선으로 부터 하부늑골 부위 전까지 어깨 및 등의 상단 부분에 위치되는 후면직물 상부늑골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10) 목둘레선의 중앙 상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90)의 중앙에 장착되는 직물흉추부;
    띠모양을 이루며 옷본 후면(後面)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 위치되되, 일측은 옷본의 일측 옆선에서 전면 직물하부늑골부의 일단과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의 다른 일측 옆선에서 다른 전면 직물하부늑골부의 일단과 연결되는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직물흉추부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의 목둘레선에서 직물흉추부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후면직물 하부늑골부의 2/5지점(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유방컵부의 외측에서 상위 9개 늑골 대응부위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1/2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전거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일측은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흉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옷본의 목둘레선을 따라 직물흉골부의 측면 및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대흉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중앙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대원근부;
    사다리꼴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1/4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1/5지점에서 2/5지점 면에 부착되는 직물극하근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상단 2/8지점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 견관절 상단 2/5지점에서 3/5지점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원근부;
    사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갑골 상단에서 4/7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능형근부;
    오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 2/5지점에서 하단까지의 면과 직물흉추부 하단에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전체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유방컵부의 외측에서 상위 9개 늑골 대응부위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직물견갑골부(70) 상단에서 1/2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전거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일측은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흉근부;
    직물유방컵부를 덮도록 이루어지되,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옷본의 목둘레선을 따라 직물흉골부의 측면 및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대흉근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 상단의 1/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되는 직물견갑하근부;
    사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갑골 상단에서 4/7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능형근부;
    오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 2/5지점에서 하단까지의 면과 직물흉추부 하단에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전체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6.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유방의 외측에서 상위 9개 늑골 대응부위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1/2지점에 부착되는 직물전거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7.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 전면에서 유방의 밑의 명치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되되,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명치 대응부위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옆선(겨드랑이부분)과 연결되는 전면 직물하부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유방을 덮도록 이루어지되, 일측은 옷본 전면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흉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8.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 전면(前面)에서 목둘레선의 중앙으로 부터 명치 대응부위까지에 위치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흉골부;
    옷본 전면에서 유방의 밑의 명치를 중심으로 좌우에 위치되되,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명치 대응부위에서 상기 직물흉골부와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옆선(겨드랑이부분)과 연결되는 전면 직물하부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옷본 전면에서 유방 부분을 덮도록 이루어지되, 직물견관절부 상단에서 옷본의 목둘레선을 따라 직물흉골부의 측면 및 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단에 부착되는 직물대흉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9.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에서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의 목둘레선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서, 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중앙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대원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0.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에서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의 목둘레선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서, 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사다리꼴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1/4지점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1/5지점에서 2/5지점 면에 부착되는 직물극하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1.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에서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의 목둘레선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서, 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견갑골부 상단 2/8지점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 견관절 상단 2/5지점에서 3/5지점 면에 부착되는 직물소원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2.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 목둘레선의 중앙 상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에서 양쪽 12번늑골 사이의 중앙의 대응 부위에 장착되는 직물흉추부;
    옷본에서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의 목둘레선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서, 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사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에서 1/2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갑골 상단에서 4/7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능형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3.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 목둘레선의 중앙 상단에 부착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에서 양쪽 12번늑골 사이의 중앙의 대응 부위에 장착되는 직물흉추부;
    옷본에서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의 목둘레선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서, 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오각형을 이루며, 일측은 직물흉추부 상단 2/5지점에서 하단까지의 면과 직물흉추부 하단에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 상의 전체면에 부착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상단 4/5지점에서 5/5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직물광배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4. 상체 가슴부위까지의 골격 및 근육들에 대응되는 직물골격 및 직물근육을 옷본에 구비한 기능성 스포츠탑에 있어서,
    상기 직물골격은,
    옷본에서 견관절 부위에 위치되되, 견관절을 감싸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는 직물견관절부;
    옷본에서 견갑골 대응부에 위치되며, 띠모양을 이루며, 일측은 옷본 후면의 목둘레선에서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연결되며, 다른 일측은, 옷본 후면의 12번늑골의 대응 부위에서, 옆선으로부터 2/5 되는 지점에 연결되는 직물견갑골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직물근육은,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3/5지점까지 부착하고 직물견관절부 상단의 1/5지점에서 3/5지점까지 부착되는 직물견갑하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5.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대흉근부는
    일측은 직물쇄골부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20)에 부착되는 제1방향 부착부; 및
    일측은 직물흉골부 전체면과 직물흉골부 하단에서 전면직물 하부늑골부상의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견관절부 중앙에서 하단으로 3/4지점까지의 면에 부착되는 제2방향 부착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6. 제1항에 있어서,
    직물쇄골부는 "
    Figure 112011025041895-pat00007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7. 제2항에 있어서,
    후면직물 상부늑골부는 인체후면(後面)의 2번늑골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8. 제2항에 있어서,
    후면직물 하부늑골부는 인체후면(後面)의 12번늑골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19. 제2항에 있어서,
    직물유방컵부의 탄력방향은 인체 대흉근의 힘의 방향(11시)과 대칭되는 방향(1~2시)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0. 제2항에 있어서,
    직물유방컵부의 하단받침대는 부드럽고 견고한 망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1.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전거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 늑골의 표면에서 직물견갑골 상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2.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소흉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전면직물 하부늑골에서 직물견관절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3.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대흉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관절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4. 제4항 또는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대원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 중앙에서 직물견관절 하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5. 제4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극하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 상단에서 직물견관절부 상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6. 제4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소원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 중상단에서 직물견관절부 중앙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7.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능형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흉추부 상단 및 중앙에서 직물견갑골부 상단 및 중앙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8. 제4항 또는 제5항 또는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광배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 흉추 중앙 및 하단과 후면직물 하부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 하단으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29. 제5항 또는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 견갑하근부의 신축성 방향은 직물견갑골부에서 직물견관절부로 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30.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근육은,
    일측은 옷본에서 직물견관절부와 인체의 제3~8번 늑골에 대응하는 직물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흉골부 전체면과 직물쇄골부의 중앙면(직물쇄골부(30)상의 1/2지점에서 직물흉골부(40)상단까지)에 부착하는 직물유방컵부;
    직물유방컵부내에서 일측은 직물유방컵부 받침대 상단 중앙면에 부착하고, 다른 일측은 직물쇄골부의 중앙(직물흉골부(40) 상단에서 직물쇄골부(30)상의 1/3지점까지)에 부착하는 직물쿠퍼인대부;
    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31.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14항 또는 제16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탑은 탄성 직물 또는 편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스포츠 탑은 무봉제 편직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스포츠탑.
KR1020110031746A 2011-02-24 2011-04-06 기능성 스포츠탑 KR1012587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16233 2011-02-24
KR1020110016233 2011-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300A KR20120097300A (ko) 2012-09-03
KR101258751B1 true KR101258751B1 (ko) 2013-05-07

Family

ID=4710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746A KR101258751B1 (ko) 2011-02-24 2011-04-06 기능성 스포츠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8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543A (ko) 2015-10-05 2017-04-13 임주현 스포츠탑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710B1 (ko) * 2022-01-21 2022-06-16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굿즈 머슬핏 남성의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703A (ja) 2002-04-22 2003-11-06 Duchess:Kk 人体骨格に有機的に対応する女性用衣料、及びこれに用いる人体骨格に有機的に対応する面状芯体
JP2006104613A (ja) 2004-10-05 2006-04-20 Mizuno Corp スポーツ用衣類
JP2008127692A (ja) 2006-11-17 2008-06-05 Fancl Corp ブラジャ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703A (ja) 2002-04-22 2003-11-06 Duchess:Kk 人体骨格に有機的に対応する女性用衣料、及びこれに用いる人体骨格に有機的に対応する面状芯体
JP2006104613A (ja) 2004-10-05 2006-04-20 Mizuno Corp スポーツ用衣類
JP2008127692A (ja) 2006-11-17 2008-06-05 Fancl Corp ブラジャ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543A (ko) 2015-10-05 2017-04-13 임주현 스포츠탑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7300A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0930B1 (en) Body-correcting trousers
US20190246709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US9119707B2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DK2856895T3 (en) Garment and method for sensory-motor stimulation
US20140196190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s and Methods
JP5264296B2 (ja) 衣料
JP5515395B2 (ja) 姿勢改善サポート衣類
US20130211302A1 (en) Sensory Motor Stimulation Garment and Method
CN102470040A (zh) 姿态改善服装
US20210235786A1 (en) Garment
KR101223912B1 (ko) 하체의 균형된 자세와 근파워를 증가시겨주는 기능성 의류
KR101071481B1 (ko) 상체의 바른자세 유지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 주는 기능성 의류
KR101099468B1 (ko) 기능성 의류 제품
KR101258751B1 (ko) 기능성 스포츠탑
JP2003313702A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2019173256A (ja) 姿勢回復治療用ブラジャー
KR101403169B1 (ko) 하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KR101369684B1 (ko) 상체의 근골격계 상해 예방 및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의류
RU169076U1 (ru) Корректор осанки
JP5080672B1 (ja) 女性用姿勢矯正下着
KR101269179B1 (ko) 어깨 및 상지의 균형된 자세 유지와 근파워를 증가시켜주는 기능성 의류
CN2533826Y (zh) 多功能组合太空健美矫姿服
JP2022523278A (ja) 姿勢回復及び胸郭可動性のための運動学的ブラジャー
CN111163658A (zh) 姿势恢复服装装置系统
JP2018071009A (ja) 被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