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1027B1 - 도어 안전기구 - Google Patents

도어 안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1027B1
KR101071027B1 KR1020100016456A KR20100016456A KR101071027B1 KR 101071027 B1 KR101071027 B1 KR 101071027B1 KR 1020100016456 A KR1020100016456 A KR 1020100016456A KR 20100016456 A KR20100016456 A KR 20100016456A KR 101071027 B1 KR101071027 B1 KR 10107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haft
hole
button slider
li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6471A (ko
Inventor
신태식
Original Assignee
신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태식 filed Critical 신태식
Priority to KR1020100016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0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9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045Hinges for the movable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8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with sliding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안쪽에 설치되어 주거인이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해 도어를 열더라도 도어가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하여 혹시 모를 외부인의 위협으로부터 주거인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수단인 도어 안전수단의 구조를 개선하여 도어가 완전히 닫히고 난 뒤에 도어 안전기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도어가 일정각도로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안전기구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주거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 도어 안전기구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도어 안전기구{SAFETY DOOR DEVICE}
본 발명은 도어 안전기구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가 일정각도로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안전기구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 도어 안전기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도어 안전기구는 통상 현관문 안쪽에 설치되어 주거인이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해 현관문을 열더라도 현관문이 일정각도 이상으로는 열리지 않도록 하여 혹시 모를 외부인의 위협으로부터 주거인을 보호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기구를 말한다.
상기한 도어 안전기구로 대표되는 장비로는 도어 체인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도어 체인은 도어에 고정되는 도어고정대와, 도어프레임에 고정되는 도어프레임 고정대로 나뉘어져 구성하고, 상기 도어고정대에는 체인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체인의 타단에는 걸고리를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걸고리는 상기 도어프레임 고정대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을 통과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멍 아래에 상기 구멍 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장공에 걸려지도록 하여 체인이 가지는 길이 이상으로는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어 안전기구는 현관문을 일정각도 이상으로 열린 상태로 걸림 고정시키는 방식으로서, 만일 선행기술과 같은 구조로 도어 안전기구를 제작할 경우에는 외부인이 일정각도 열려진 도어와 도어프레임 사이 틈으로 손을 집어넣은 다음, 걸고리를 구멍쪽으로 밀어올려 걸고리를 도어프레임 고정대에서 손 쉽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됨으로서 외부에서 도어 안전기구를 해제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가 완전히 닫히고 난 뒤에 도어 안전기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일정각도로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안전기구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한 도어 안전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어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구멍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구멍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삽입구멍(22)이 함몰 형성된 고정대와, 상기 고정대의 구멍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외경에는 수직걸림홈이 형성되고, 그 둘레면에는 테두리홈이 형성된 샤프트와, 상기 고정대의 삽입구멍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 관통 형성된 버튼슬라이더와, 상기 버튼슬라이더의 구멍 내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테두리홈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슬라이더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테두리홈에서 이탈하며 샤프트의 상, 하 이동을 구속 및 해지시키는 테두리 걸림턱과, 상기 버튼슬라이더의 구멍 내주면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버튼슬라이더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의 수직걸림홈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버튼슬라이더가 눌러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 걸림턱과, 상기 고정대 구멍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과, 도어에 끝단이 고정 설치되는 링크부재 및 상기 링크부재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링크부재를 상기 고정대에 결합 및 결합 해지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기구는 도어가 완전히 닫히고 난 뒤에 도어 안전기구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도어가 일정각도로 열려진 상태에서 외부인이 인위적으로 안전기구를 조작하여 도어를 열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안전하게 주거인을 보호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구현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도어 안전기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안전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서 도어의 개방으로 인해 샤프트가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기구의 동작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기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도어 안전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 안전기구(100)는 고정대(10)와, 걸고리(44)가 구비된 상태에서 서로 힌지(42)로 연결 구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대(10)는 도어프레임(300)에 볼트로 체결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고정대(10)에는 수직으로 구멍(1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구멍(12)에는 링크부재(40)를 고정대(10)에 연결 고정시키는 샤프트(14)가 상, 하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샤프트(14)의 외경에는 길이방향으로 수직걸림홈(16)이 형성되고, 또한 그 외경 둘레면에는 테두리홈(18)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에는 후술하는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턱(30)과 체결구(46)의 수직걸림턱(50)이 각각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되고, 상기 샤프트(14)의 테두리홈(18)에는 버튼슬라이더(24)의 테두리걸림턱(28)이 선택적으로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대(10)의 구멍(12)에는 스프링(20)이 내설되며, 상기 스프링(20)은 상기 샤프트(14)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버튼슬라이더(24)의 테두리걸림턱(28)이 샤프트(14)의 테두리홈(18)에서 이탈하고 나면 상기 샤프트(14)를 탄력적으로 승강 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고정대(10)의 전방에는 삽입구멍(22)이 상기 고정대(10)의 구멍(12)과 수평으로 교차한 상태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22)에는 버튼슬라이더(24)가 전, 후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상기 버튼슬라이더(24)는 샤프트(14)의 상, 하 이동을 구속 및 구속을 해지시키는 수단이다.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중앙에는 샤프트(14)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26)이 형성되는 데, 이때 상기 구멍(26)은 아래쪽은 원형 형상을 가지되, 그 위쪽은 장공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구멍(26)의 내주면 일측에 반원 형태의 테두리걸림턱(28)이 돌출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테두리걸림턱(28)은 샤프트(14)의 외경 둘레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홈(18)에 선택적으로 걸려지며 상기 샤프트(14)의 상, 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또한 상기 구멍(26)의 내주면 타측에는 수직걸림턱(3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걸림턱(30)은 도 4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개방에 따른 사프트의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14)의 외경에 접촉되며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도 5에서와 같이 도어(200)의 닫힘동작으로 샤프트(14)가 초기상태로 돌아오면 상기 샤프트(14)의 외경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걸리홈(16)이 위치하면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으로 상기 수직걸림홈(16)에 끼워지며 버튼슬라이더(24)가 눌려질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샤프트(14)의 테두리홈(18)에 끼워져 있는 테두리걸림턱(28)은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에 따라 테두리홈(18)에서 이탈하게 됨으로서 샤프트(14)의 구속을 해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샤프트(14)의 구속이 해지되면 스프링(20)의 텐션력으로 샤프트(14)는 위로 승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샤프트(14)에 끼워져 있는 링크부재(40)의 체결구(46)는 고정대(10)에서 분리됨으로서 도어 안전기구(100)를 구성하는 링크부재(40)를 고정대(10)에서 분리시켜 도어(200)를 열 수 있게 된다.
즉, 도어(200)가 열려져 있는 상태에서는 샤프트(14)가 회전함에 따라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턱(30)은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에 위치하지 못함으로서 버튼슬라이더(24)를 눌러줄 수 없으나, 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샤프트(14)가 처음상태로 복귀하며 수직걸림홈(16)이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홈(30)에 정확히 위치하게 됨으로서 버튼슬라이더(24)를 눌렀을 때, 수직걸림턱(30)이 수직걸림홈(16)에 끼워지게 됨으로서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을 방해하지 않아 샤프트(14)의 구속을 해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 즉 도어(200)가 완전히 닫혀진 상태에서만 샤프트(14)의 구속이 해지될 수 있음으로서 간혹 외부인이 도어(200)와 도어(200)프레임 사이 틈으로 손을 집어넣더라도 도어 안전기구(100)를 동작시킬 수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슬라이더(24)가 끼워지는 고정대(10)의 삽입구멍(22)에는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32)이 더 포함되어 설치된다.
상기 링크부재(40)는 일정 구간마다 힌지(42)를 결합시켜 상기 힌지(42)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링크부재(40)가 접혀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상기 링크부재(40)의 끝단은 도어(200)에 고정 설치토록 하고, 상기 링크부재(40)의 선단에는 중앙으로 구멍(48)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체결구(46)가 결합 구성된다.
상기 체결구(46)는 전술한 고정대(10)의 삽입구(34)에 끼워진 상태에서 중앙에 형성된 구멍(48)으로 샤프트(14)가 끼워지도록 하여 링크부재(40)를 고정대(10)에 연결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구(46)의 구멍(48) 내주면에는 상기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에 걸려지는 수직걸림턱(50)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수직걸림턱(50)을 통해 도어(200)의 열림 동작으로 링크부재(40)가 힌지(42)를 중심으로 해서 펼쳐지면 체결구(46)와 샤프트(14)는 함께 회전 동작하며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이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턱(30)에서 벗어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링크부재(40)들의 외면에는 자석부재(43)를 설치하여 상기 링크부재(40)들이 힌지(42)를 중심으로 접혀지면 상기 자석부재(43)들이 서로 흡착하며 링크부재(40)들이 쉽게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도어 안전기구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 안전기구(100)인 고정대(10)는 도어프레임(300)에 고정 설치하고, 링크부재(40)의 끝단은 도어(200)에 부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링크부재(40)의 체결구(46)를 고정대(10)의 삽입구(34)에 삽입시킨 다음, 상기 체결구(46)의 구멍(48)으로 고정대(10)의 샤프트(14)를 관통시켜 링크부재(40)를 고정대(10)에 연결 고정시키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외부인을 확인하기 위해 주거인이 도어(200)를 열어주게 되면 상기 도어(200)에 선단이 고정되어 있는 링크부재는 힌지를 중심으로 해서 펼쳐지며 도어(200)의 열림을 구속하지 않게 되며, 링크부재(40)들이 완전히 펼쳐지고 나면 더 이상 도어(200)가 열리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때 체결구(46)의 구멍(48)에 형성되어 있는 수직걸림턱(50)이 샤프트(14)의 수직걸림턱(50)에 끼워진 상태로 조립됨에 따라 도어(200)의 열림 동작에 따라 상기 체결구(46)와 샤프트(14)는 함께 회전 동작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이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턱(30)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편, 주거인이 일정각도 열려 있는 도어(200)와 도어프레임(300) 사이 틈으로 외부인을 확인한 뒤, 도어(200)를 완전히 열어주고자 할 때에는 먼저, 도어(200)를 다시 닫은 상태에서 샤프트(14)가 승강 동작하도록 하여 샤프트(14)를 링크부재(40)의 체결구(46)에서 빼내 링크부재(40)를 고정대(10)에서 분리시키도록 한다.
즉, 도어(200)를 닫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샤프트(14)가 회전한 상태임에 따라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턱(50)은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에 위치하지 못하고 샤프트(14)의 외경에 접촉됨에 따라 버튼슬라이더(24)의 테두리걸림턱(28)이 샤프트(14)의 테두리홈(18)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버튼슬라이더(24)를 눌러줄 수 없는 바, 도 5에서와 같이 도어(200)를 닫아 샤프트(14)가 처음상태로 돌아오면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이 버튼슬라이더(24)의 수직걸림홈(16)에 정확히 위치시켜 버튼슬라이더(24)를 눌렀을 때, 수직걸림턱(30)이 수직걸림홈(16)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서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으로 테두리걸림턱(28)이 샤프트(14)의 테두리홈(18)에서 이탈하도록 함으로서 샤프트(14)의 구속을 해지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샤프트(14)의 구속이 해지되면 스프링(20)의 텐션력에 의해 샤프트(14)는 자동으로 위로 승강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방식은 앞서 구성설명란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외부인이 도어(200)와 도어 프레임 사이 틈새로 손을 집어넣더라도 도어(200) 안전기구(100)를 조작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으로 샤프트(14)의 구속이 해지됨과 동시에 샤프트(14)는 도 6과 도 7에서와 같이 스프링(20)의 텐션력으로 위로 승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링크부재(40)의 체결구(46)는 상기 샤프트(14)에서 분리됨에 따라 링크부재(40)와 고정대(10)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200)를 완전히 열어 줄 수 있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대 14: 샤프트
16: 수직걸림홈 18: 테두리홈
20: 스프링 22: 삽입구멍
24: 버튼슬라이더 28: 테두리걸림턱
30: 수직걸림턱 40: 링크부재
46: 체결구 48: 구멍
50: 수직걸림턱

Claims (1)

  1. 도어프레임(300)에 고정 설치되며 중앙으로는 구멍(12)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고 그 전면에는 상기 구멍(12)과 수평으로 교차하는 삽입구멍(22)이 함몰 형성된 고정대(10)와;
    상기 고정대(10)의 구멍(12)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며 외경에는 수직걸림홈(16)이 형성되고, 그 둘레면에는 테두리홈(18)이 형성된 샤프트(14)와;
    상기 고정대(10)의 삽입구멍(22)에 끼워지며 중앙에는 상기 샤프트(14)가 통과하기 위한 구멍(26)이 관통 형성된 버튼슬라이더(24)와;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구멍(26) 내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14)의 테두리홈(18)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테두리홈(18)에서 이탈하며 샤프트(14)의 상, 하 이동을 구속 및 해지시키는 테두리 걸림턱(28)과;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구멍(26) 내주면 타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버튼슬라이더(24)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샤프트(14)의 수직걸림홈(16)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며 상기 버튼슬라이더(24)가 눌러질 수 있도록 하는 수직 걸림턱(30)과;
    상기 고정대(10) 구멍(12)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14)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스프링(20)과;
    도어(200)에 끝단이 고정 설치되는 링크부재(40) 및 ;
    상기 링크부재(40)의 선단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14)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링크부재(40)를 상기 고정대(10)에 결합 및 결합 해지시키는 체결구(46)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200) 안전기구.
KR1020100016456A 2010-02-22 2010-02-22 도어 안전기구 KR10107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56A KR101071027B1 (ko) 2010-02-22 2010-02-22 도어 안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456A KR101071027B1 (ko) 2010-02-22 2010-02-22 도어 안전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471A KR20110096471A (ko) 2011-08-30
KR101071027B1 true KR101071027B1 (ko) 2011-10-06

Family

ID=44931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456A KR101071027B1 (ko) 2010-02-22 2010-02-22 도어 안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0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471A (ko) 2011-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6565B1 (ko) 차량의 도어래치장치
US20160108646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vehicle door having outside handle from opening
KR101514272B1 (ko) 단창에 적용되는 방범창
JP2014103845A5 (ja) バスダクトプラグインホール保護構造
KR20170002401U (ko) 배전반 함체 도어 고정장치
KR101071027B1 (ko) 도어 안전기구
KR101134382B1 (ko)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용 도어 열림 방지 장치
JP2015172270A (ja) ロック防止装置
US9568032B2 (en) Wedge clamp for securing safety guards around industrial equipment
JP5454941B2 (ja) ラッチ装置および建具
KR20130113111A (ko) 도어용 잠금장치
US10557532B2 (en) Movable latch housing apparatus
JP6259345B2 (ja) ロック装置および建具
EP3130730A1 (en) Safety catch release mechanism
JP2007224687A (ja) マンホール用鉄蓋の施錠装置
JP2011159401A (ja) 安全保持具
KR20130062679A (ko) 스페어타이어 캐리어
JP4176661B2 (ja) 自動販売機の補助ロック装置
KR200180777Y1 (ko) 회전식 가이드 스토퍼
JP6577340B2 (ja) ロック機能付きドアガード
KR200484451Y1 (ko) 방화문 자동폐쇄장치
JP6745960B2 (ja) ロック機能付きドアガード
JP2003336276A (ja) マンホール用収納式タラップ
KR101087124B1 (ko) 자동닫힘형 도어
KR102041472B1 (ko) 해양플랜트용 갱웨이 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