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902B1 -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902B1
KR101070902B1 KR1020040062095A KR20040062095A KR101070902B1 KR 101070902 B1 KR101070902 B1 KR 101070902B1 KR 1020040062095 A KR1020040062095 A KR 1020040062095A KR 20040062095 A KR20040062095 A KR 20040062095A KR 101070902 B1 KR101070902 B1 KR 101070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unit
event occurs
image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222A (ko
Inventor
장정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902B1/ko
Publication of KR20060013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5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72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pass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sonic detecting means, e.g. a microphone operating in the audio frequency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 장치는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집하는 집음부, 수집된 음향에 따라 감시 지역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감시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촬영된 영상 및 수집된 음향을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상황에 대해 보다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다.
감시 장치, 음향, 저장

Description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Monitoring apparatus using audio information and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판단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촬영부 220 : 집음부
230 : 판단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스피커부 260 : 제어부
27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80 : 저장부
290 : 검색부
본 발명은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일반 주택을 비롯하여 백화점, 은행, 공장, 전시장 등의 장소에서 도난을 방지하거나 기계의 작동 상태 및 공정 흐름 등을 손쉽게 점검하기 위한 감시 장치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감시 장치는 관리하고자 하는 감시 지역의 영상을 하나 또는 복수의 영상 촬영 장치로 촬영하고, 이를 중앙 관리실 등에 설치된 모니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상황을 감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영상 촬영 장치가 촬영한 감시 지역의 영상을 저장시켜 두었다가 추후 이벤트 발생 장면에 대한 재확인이 필요할 경우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여 활용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의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촬영부(110)는 카메라와 같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한다.
판단부(120)는 촬영부(110)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특정 영역에 대한 움직임을 검출한다. 촬영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검출된 경우 해당 감시 지역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단부(120)는 촬영부(11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될 때 마다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영상 프레임을 기존에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 구성되는 영상 프레임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두 영상 프레임 간에 차이가 발생하면 판단부(120)는 해당 감시 지역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제어부(140)에 알리게 된다.
제어부(140)는 촬영부(110)로부터 촬영되는 각 감시 지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제어부(140)는 판단부(120)가 특정 감시 지역에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촬영부(110)가 촬영한 해당 감시 지역의 영상을 저장부(160)에 저장시킨다.
이밖에도 제어부(140)는 이벤트 발생 상황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해 외부 보안 업체나 경찰서 등에 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하면 영상 정보에 의존하여 감시 지역을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보안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저장장치에 영상뿐만 아니라 음향 정보도 기록되고 있다. 따라서 영상 정보뿐 만 아니라 음향 정보를 통해서도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상황을 판단하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상황에 보다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음향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상황을 기록하고 관리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 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는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집하는 집음부, 상기 수집된 음향에 따라 상기 감시 지역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시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향을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방법은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향에 따라 상기 감시 지역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시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향을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 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감시 장치는 감시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210),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 정보를 수집하는 집음부(220),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230), 및 이벤트 발생시 해당 감시 지역의 영상 및 음향 정보를 저장시키는 제어부(260)를 포함한다.
촬영부(210)는 카메라와 같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가 감시하고자 하는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한다. 감시 장치는 이러한 촬영부(210)를 하나 이상 구비하여, 복수의 감시 지역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집음부(220)는 마이크로폰과 같은 음향 수집 수단을 구비하여, 각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성이나 소음 등의 음향 정보를 수집한다.
촬영부(210)에 의해 촬영된 감시 지역의 영상 데이터와 집음부(220)에 의해 수집된 감시 지역의 음향 데이터는 판단부(230)로 전송된다.
판단부(230)는 집음부(220)로부터 전송된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지역에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데 집음부(220)로부터 전송된 음향이 특정 임계값 이상의 크기나 주파수를 갖는 경우 판단부(230)는 해당 음향이 발생한 감시 지역에 특정 이벤트가 발생 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단부(230)는 입력되는 음향 데이터로 구성되는 음향 신호의 크기나 주파수를 계산하는 분석부(232) 및 분석부(232)에 의해 계산된 값을 사전에 입력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비교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임계값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위급 상황시 발생하는 비명 소리, 침입자 발생에 따른 소음 또는 기계의 오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등을 감지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써 판단부(230)는 집음부(220)로부터 전송된 음향에 사람의 음성이 포함된 경우, 이를 사전에 입력된 특정 음성와 비교하여 해당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컨데 화재 발생시 공통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불이야'라는 음성을 사전에 판단부(230)에 기억시켜 둘 수 있다. 만약 이와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음성이 집음부(220)로부터 전송된 경우 판단부(230)는 해당 감시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밖에도 사용자는 특정 이벤트 발생시 자주 발음될 수 있는 단어나 문장 등을 판단부(230)에 기억시켜 둠으로써 이와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음성이 입력되는 경우 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판단부(230)는 입력되는 음향을 분석하여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236) 및 음성 인식부(236)에 의해 인식된 음성이 사전에 입력된 음성과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지 비교하는 비교부(23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로는 연속 혹은 떨어진 벡터들을 코드 북과 맵핑시켜 통신하기에 적절한 디지털 시퀀스(digital sequence)로 부호화 하는 VQ(Vector Quantization)기법, 음성단위에 해당하는 패턴들의 통계적인 정보를 확률모델 형태로 저장하고 미지의 입력패턴이 들어오면 각각의 모델에서 이 패턴이 나올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함으로써 이 패턴에 가장 적합한 음성단위를 찾아내는 HMM(Hidden Markov Model)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밖에도 판단부(230)는 전술한 음향의 크기나 주파수 분석 및 음성 인식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판단부(230)는 종래 기술과 같이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60)는 각 감시 지역의 촬영부(2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시킨다. 또한 제어부(260)는 각 감시 지역의 집음부(220)에 의해 수집된 음향을 스피커부(25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240) 및 스피커부(250)를 통해 감시 지역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판단부(230)의 판단 결과 특정 감시 지역에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260)는 해당 감시 지역의 촬영부(210) 및 집음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280)에 저장시킨다. 이경우 제어부(260)는 디스플레이부(240)나 스피커부(250)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을 알릴 수 있다.
이밖에도 감시 장치는 PHS(Personal Handy System)망,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망 또는 전화망 등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2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6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70)를 통해 경찰서, 소방서 등의 관공서나 외부 보안 업체 등에게 이벤트 발생을 자동으로 알릴 수도 있다.
한편 감시 장치는 음향 검색을 수행할 수 있는 검색부(29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컨데 사용자가 특정 이벤트 발생 상황을 재확인 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특정 임계값이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다. 이경우 검색부(290)는 저장부(28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 중 사용자가 입력한 임계값 이상의 크기나 주파수를 갖는 음향 영역을 검색하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음성과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는 단어가 발음된 음향 영역을 검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검색부(290)는 전술한 판단부(230)와 유사한 기능성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검색부(290)에 의해 음향 영역이 검색되면 제어부(260)는 검색된 영역에 해당하는 음향 데이터 및 이와 함께 저장되었던 영상 데이터를 스피커부(250) 및 디스플레이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촬영부(210)에 의해 감시 지역의 영상이 촬영되고, 집음부(220)에 의해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수집된다(S110).
수집된 음향은 판단부(230)에 의해 분석되어 이벤트 발생 여부가 판단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집된 음향은 분석부(232)로 전송되어 음향의 크기나 주파수가 측정된다(S120).
비교부(234)는 측정된 음향의 크기값 또는 주파수값을 사전에 입력된 임계값과 비교한다(S130).
비교 결과 음향의 크기값 또는 주파수값이 임계값 보다 작으면, 이는 일반적인 경우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음향의 크기값 또는 주파수값이 임계값 이상이라면 이를 이벤트 발생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260)는 해당 감시 지역의 촬영부(210) 및 집음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280)에 저장시킨다(S140).
이에 따라 임계값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위급 상황시 발생하는 비명 소리, 침입자 발생에 따른 소음 또는 기계의 오작동에 따라 발생하는 소음 등을 감지하여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260)가 디스플레이부(240)나 스피커(250)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 여부를 알리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감시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최초 촬영부(210)에 의해 감시 지역의 영상이 촬영되고, 집음부(220)에 의해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수집된다(S210).
수집된 음향은 판단부(230)에 의해 분석되어 이벤트 발생 여부가 판단 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집된 음향은 음성 인식부(236)로 전송되어 음성 인식이 수행된다(S220).
비교부(238)는 음성 인식부(236)에 의해 인식된 음성을 사전에 입력된 음성과 비교한다(S230).
비교 결과 음성 인식부(236)에 의해 인식된 음성과 사전에 입력된 음성 간의 유사도가 임계값 미만이면 이는 일반적인 경우로 판단될 수 있다. 그러나 인식된 음성이 사전에 입력된 음성과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경우라면 이를 이벤트 발생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데 사용자는 화재 발생시 공통적으로 발생될 수 있는 '불이야'라는 음성을 사전에 비교부(230)에 기억시켜 둘 수 있다. 만약 이와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갖는 음성이 음성 인식부(236)에 의해 인식되었다면 해당 감시 지역에서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음성 인식 기술로는 연속 혹은 떨어진 벡터들을 코드 북과 맵핑시켜 통신하기에 적절한 디지털 시퀀스(digital sequence)로 부호화 하는 VQ(Vector Quantization)기법, 음성단위에 해당하는 패턴들의 통계적인 정보를 확률모델 형태로 저장하고 미지의 입력패턴이 들어오면 각각의 모델에서 이 패턴이 나올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함으로써 이 패턴에 가장 적합한 음성단위를 찾아내는 HMM(Hidden Markov Model) 기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인식된 음성이 사전에 입력된 음성과 임계값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어 이벤트 발생 상황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60)는 해당 감시 지역의 촬영부(210) 및 집음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향 데이터를 저장부(280)에 저장시킨다(S240).
한편 이벤트 발생시 제어부(260)가 디스플레이부(240)나 스피커(250)부를 통해 알람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이벤트 발생 여부를 알리는 과정이 추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 및 도 5의 과정은 복합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감시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감시 지역의 이벤트 발생 상황에 보다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부;
    상기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집하는 집음부;
    상기 수집된 음향에 따라 상기 감시 지역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시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향을 저장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은 상기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나, 상기 수집된 음향을 통해 인식된 음성과 사전에 입력된 음성 간의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의한 판단인 감시 장치.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발생시 알람 신호를 출력하는 감시 장치.
  4. 감시 지역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감시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음향에 따라 상기 감시 지역에서의 이벤트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감시 지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촬영된 영상 및 상기 수집된 음향을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여부의 판단은 상기 수집된 음향의 주파수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나, 상기 수집된 음향을 통해 인식된 음성과 사전에 입력된 음성 간의 유사도가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지의 여부에 의한 판단인 감시 방법.
  5. 삭제
KR1020040062095A 2004-08-06 2004-08-06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KR1010709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095A KR101070902B1 (ko) 2004-08-06 2004-08-06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095A KR101070902B1 (ko) 2004-08-06 2004-08-06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222A KR20060013222A (ko) 2006-02-09
KR101070902B1 true KR101070902B1 (ko) 2011-10-06

Family

ID=3712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095A KR101070902B1 (ko) 2004-08-06 2004-08-06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9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948B1 (ko) 2022-09-22 2023-01-09 주식회사 엔브이티 과소음 차량 단속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2117B1 (ko) * 2008-04-22 2009-12-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마이크로폰 어레이를 이용한 감시 장치
KR100867225B1 (ko) * 2008-04-28 2008-11-06 주식회사 대영 장비 보호를 위한 도난방지 감시시스템
KR102587499B1 (ko) * 2023-01-25 2023-10-11 에이포시스템주식회사 저장기간을 연장하며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촬영영상 저장장치 및 그 저장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4948B1 (ko) 2022-09-22 2023-01-09 주식회사 엔브이티 과소음 차량 단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222A (ko)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1248B2 (en) Action analysis device, action analysis method, and action analysis program
JP6134825B2 (ja) コンテクストデータを使用して端末によって画像キャプチャの確率を自動的に決定する方法
JP4912184B2 (ja) 映像監視システムおよび映像監視方法
BRPI0621897A2 (pt) sistema de vigiláncia de vìdeo e método com reconhecimento de áudio e vìdeo combinado
KR100999655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10767214A (zh) 语音识别方法及其装置和语音识别系统
JP4622301B2 (ja) 監視システム、および監視カメラ
WO2006052023A1 (en) Sound recognition system and security apparatus having the system
CN111445664A (zh) 基于关键词“救命啊”的呼救报警方法、装置和应用
JP5970232B2 (ja) 避難情報提供装置
KR101321447B1 (ko) 네트워크를 통한 현장 모니터링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1070902B1 (ko) 음향 정보를 이용한 감시 장치 및 방법
CN110211316B (zh) 一种监控预警方法和系统
KR20130097490A (ko) 음향 정보 기반 상황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20524300A (ja) 音声データに基づいてイベント指定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デバイス
KR20060003321A (ko) 보안 감시 시스템의 물체 인식 장치 및 방법
JP2008112402A (ja) 地域監視システム
JP7339755B2 (ja) 異常音監視システム及び異常音監視方法
JP20121182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KR20210133496A (ko) 인공 신경망을 활용한 노인 생활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JPH09298739A (ja) 画像抽出装置
KR20160110790A (ko) 위험인지 가능 영상감시시스템
JP6112913B2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及び方法
US9558650B2 (en) Surveillance method, surveillance apparatus, and marking module
KR100886345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이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영상관제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