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697B1 - 접착 방식의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 Google Patents
접착 방식의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0697B1 KR101070697B1 KR1020100128142A KR20100128142A KR101070697B1 KR 101070697 B1 KR101070697 B1 KR 101070697B1 KR 1020100128142 A KR1020100128142 A KR 1020100128142A KR 20100128142 A KR20100128142 A KR 20100128142A KR 101070697 B1 KR101070697 B1 KR 1010706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astomosis ring
- fixing
- anastomosis
- layer
-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17/115—Staplers for performing anastomosis in a single operation
- A61B17/1155—Circular stapler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pl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performing anastomosis; Buttons for anastomosis
- A61B2017/1135—End-to-side connections, e.g. T- or Y-conne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링 세트는 제1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1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는 제1 고정층을 가지는 제1 문합링; 그리고 제2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는 제2 고정층을 가지는 제2 문합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관상기관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의 체결에 의해 문합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문합링 세트 및 문합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 방식으로 관상기관의 일단에 문합링을 고정할 수 있는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문합링에 관한 것이다.
혈관이나 장과 같은 관상기관은 단부들을 봉합하는 방법을 통해 서로 접속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정교한 봉합기술의 습득은 장기간의 수련기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 중 하나가 문합링을 이용한 문합방법이다. 예를 들어, 문합링을 혈관에 끼워 혈관의 단부에 고정하고, 문합링과 문합링을 서로 체결하는 방법을 통해 혈관을 문합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문합링은 암수관계에 있으며,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체결되어야 하며, 이러한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혈액의 원활하고 안전한 흐름이 이루어지고 수술의 성공이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관상기관을 용이하게 문합할 수 있는 문합링 세트 및 문합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상기관의 단부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는 문합링 세트 및 문합링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문합링 세트는 제1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1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는 제1 고정층을 가지는 제1 문합링; 그리고 제2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2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는 제2 고정층을 가지는 제2 문합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관상기관은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의 체결에 의해 문합한다.
상기 제1 고정층은 복수의 고정돌기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층은 복수의 고정홈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고정층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의료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층은 상기 제1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은 서로 대향되는 일면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제1 및 제2 고정층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고정면;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고정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제1 및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1 및 제2 고정면으로부터 각각 함몰되는 제1 및 제2 함몰부들을 더 가지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함몰부는 상기 제1 고정층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제2 돌출부 및 상기 제2 함몰부는 상기 제2 고정층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되며,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제2 함몰부와 체결되고,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1 함몰부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은 60˚ 회전대칭을 만족하는 동일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은 PLGA 및 PCL을 포함하는 생체흡수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문합링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문합링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문합링 세트는 푸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관상기관의 형상을 보정하는 삽입부재; 그리고 상기 삽입부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1 고정층에 고정시키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상기관의 일단에 고정설치되는 문합링은 상기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이 관통하는 개구와 상기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이 고정되는 고정층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관상기관을 용이하게 문합할 수 있으며, 문합링을 관상기관의 단부에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링들이 설치된 문합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이 제1 클램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 문합링이 제2 클램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에 혈관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에 혈관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이 제1 클램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 문합링이 제2 클램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에 혈관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에 혈관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d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혈관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기재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리피판술에 의한 재건술이나 절단된 혈관의 문합, 그리고 대장/소장 문합, 심장 질환, 그밖의 관상기관의 문합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미세수술에 응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제1','제2'의 표현은 대상물을 서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대상물 자체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한정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합링이 설치된 문합기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합기구는 클램프(12,22), 전방로드(14,24), 후방로드(16,26), 그리고 지지체(30)를 포함한다. 제1 전방로드(14) 및 제1 후방로드(16)는 제1 클램프(12)의 후방에 연결되며, 제1 클램프(12)는 제1 전방로드(14) 및 제1 후방로드(16)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또는 직선이동(제2 클램프(22)를 향해)한다. 마찬가지로, 제2 전방로드(24) 및 제2 후방로드(26)는 제2 클램프(22)의 후방에 연결되며, 제2 클램프(22)는 제2 전방로드(24) 및 제2 후방로드(26)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 또는 직선이동(제1 클램프(12)를 향해)한다. 제1 후방로드(16) 및 제2 후방로드(26)는 지지체(30) 상에서 회전 또는 직선이동한다.
제1 클램프(12) 및 제2 클램프(22)는 각각 제1 문합링(40) 및 제2 문합링(40')을 고정하며, 문합하고자 하는 혈관의 양단은 제1 문합링(40) 및 제2 문합링(40')에 각각 고정된다. 결론적으로, 제1 문합링(40) 및 제2 문합링(40')은 제1 클램프(12)와 제2 클램프(22)의 회전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제1 클램프(12)와 제2 클램프(22)의 직선이동에 의해 서로 근접하여 상호체결된다. 혈관의 양단부는 제1 문합링(40)과 제2 문합링(40')의 상호체결에 의해 문합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제시하는 제1 문합링(40)에 관한 설명은 제2 문합링(40')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문합링(40)은 중앙에 형성된 제1 개구(48)를 가지며, 앞서 설명한 혈관의 일단은 제1 개구(48)를 통해 제1 문합링(40)을 관통한다. 또한, 제1 문합링(40)은 제1 몸체(41) 및 제1 몸체(41)의 양측에 형성된 제1 절개면들(43), 그리고 제1 절개면들(43)로부터 각각 돌출된 제1 삽입부들(43a)을 구비한다. 제1 절개면들(43)은 대체로 서로 나란한 평면 형상이며, 제1 문합링(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제1 삽입부들(43a)은 제1 절개면들(43)로부터 각각 돌출형성된 아크(arc) 형상이다.
한편, 종래의 문합링은 폴리에틸렌 계통 재질의 문합링과 스테인레스 스틸(SUS) 계통 또는 티타늄(Ti) 계통 재질의 핀을 사용하였으나, 이 경우, 문합이 완료된 이후에도 신체 내에 영구적으로 남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혈관 문합 후 혈관 내피 간의 완벽한 자가접합과 혈관 내피세포의 완전한 회복은 단지 2-3주 내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제1 문합링(40)은 생분해성 재질(biodegradable)로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PLGA(bioabsorbable poly(L-lactide-co-glycolide)) 또는 PCL(polycaprolactin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PLGA의 경우 흡수시간은 젖산(lactic acid)과 글리콜산(glycolic acid)의 혼합비율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제1 문합링(40)은 일면에 위치하는 제1 고정면(42) 및 제1 고정면(42) 상에 제공된 제1 고정층(44)을 가진다. 제1 고정층(44)은 제1 개구(48)의 둘레에 형성되며, 제1 몸체(41) 보다 작은 반경을 가지는 링 형상이다. 다만, 제1 고정층(44)이 연속적인 링 형상을 가지는 본 실시예와 달리, 제1 고정층(44)을 부분적으로 형성하여 단절된 링 형상일 수 있다.
제1 고정층(44)은 제1 개구(48)를 통해 제1 문합링(40)을 관통한 관상기관의 일단을 고정한다. 혈관은 크게 내층(Intima), 중간층(Media) 및 외층(Adventitia)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 혈관을 문합할 경우, 반드시 내층은 내층끼리 접합되어야 하므로, 혈관을 외번시켜서 연결하여야 한다. 따라서, 혈관의 일단을 제1 개구(48)를 통해 제1 문합링(40)에 관통시킨 후 혈관을 외번시키며, 이 상태에서 혈관의 외층을 제1 고정층(44)에 고정시켜 혈관의 외번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층(44)은 혈관의 외층을 다양한 형태로 고정할 수 있다. 먼저, 제1 고정층(44)은 복수의 미세돌기들(또는 고정돌기들)을 가지며, 미세돌기들을 이용하여 혈관의 외층을 고정할 수 있다. 게코(Gecko)는 도마뱀의 일종으로, 게코의 발가락에는 수많은 미세한 털이 나 있으며, 이는 나노입자 크기(직경이 약 200-400 나노미터)의 털로서, 게코는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을 이용하여 벽면이나 유리 또는 천정에 쉽게 달라붙을 수 있다. 이렇게 미세한 나노구조의 물질은 주변의 물질과 전기적 또는 분자간의 인력으로 살짝 들러 붙는데 그 힘은 일반적인 화학물질이 이루는 이온결합보다는 훨씬 약한 수준이다. 이것을 '반데르발스 힘'이라고 한다. 그러나, 하나하나의 힘은 비록 약하지만, 게코의 발에는 수십억개의 미세한 조직이 있어 그 반데르발스 흡인력을 합치면 자신의 몸의 몇배나 되는 무게를 지탱할 정도의 강력한 인력이 생긴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결을 이루고 있어 힘을 특히 잘받는 방향이 존재하며, 이를 이용하면 손쉽게 떼고 붙일 수 있으면서도 강한 접착력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게코는 공기 중에서 자신의 몸무게를 천장 등에 매달 수 있을 만큼 뛰어난 접착력을 가지면서 포스트잇TM처럼 쉽게 떨어져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혈관을 외번시킨 후, 혈관의 외층을 제1 고정층(44)에 형성된 복수의 미세돌기들에 접착하여 혈관의 일단을 제1 문합링(4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미세돌기들은 미세홈들(또는 고정홈들)로 대체될 수 있으며, 순간적인 압력을 통해(후술하는 푸셔를 이용할 수 있다) 혈관의 외층을 일시적으로 미세홈들에 삽입시킴으로써 혈관의 외층이 미세홈들을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밖에도, 제1 고정층(44)은 끝단이 예리하면서도 울퉁불퉁한 요철을 가질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순간적인 압력을 통해 혈관의 외층이 요철을 통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제1 고정층(44)은 의료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가지며, 접착층을 이용하여 혈관의 외층을 고정할 수 있다. 의료용 접착제는 의료용구의 포장으로부터 외과용 접착 및 지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에 적용되며, 대표적으로 반창고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의료용 접착제는 생체 내에서 사용될 경우, 접착제가 체액과 혈액 중으로 흘러 들어가 생체와 직접 관여하므로, 독성과 위해성이 없어야 하며, 보다 엄밀한 생체적합성과 생분해성 소재가 필요하다. 또한, 온화한 조건 하에서 순간적으로 접착이 종결될 수 있는 용이성, 생체조직을 강하게 결합시키되 생체의 자기수복성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멸균 가능한 소재를 선정해야 한다.
의료용 접착제의 예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와 피브린 글루를 들 수 있다. 이 중 피브린 글루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에 상처가 생기면 절단 주변이 모세혈관으로부터 혈액성분과 함께 피브리노겐이 유출하여 피브린을 형성함으로써 상처 주위를 교착시킨다. 이와 같은 피브린의 조직 교착작용을 인공적으로 이용한 것이 피브린 글루이다. 피브린 글루는 접착이 빠르고, 열이나 압력이 불필요하며 접착부위의 수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등의 물리적 장점 이외에 혈소판과 응고장해가 없고, 조직적합성이 우수하며, 적절한 흡수성을 지니는 등의 생물학적 장점을 지닌다. 한편, 앞서 예로 든 것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의료용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혈관을 외번시킨 후, 혈관의 외층을 제1 고정층(44)에 형성된 접착층에 접착하여 혈관의 일단을 제1 문합링(4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문합링(40)은 제1 고정면(42)으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제1 돌출부들(46) 및 제1 고정면(42)으로부터 함몰된 함몰부들(47)을 더 포함하며, 제1 돌출부들(46) 및 제1 함몰부들(47)은 제1 고정층(44)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배치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들(46) 및 제1 함몰부들(47)은 제1 문합링(40)의 중심을 기준으로 등각(예를 들어, 30˚)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들(46) 및 제1 함몰부들(47)은 제1 문합링(40)의 중심을 기준으로 60˚회전대칭을 만족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삽입부들(43a)을 통해 제1 문합링(40)을 제1 클램프(12)에 고정하는 한, 제1 클램프(12)에 고정된 제1 문합링(40)은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시술자는 정확한 방향을 확인할 필요 없이 제1 삽입부들(43a)을 통해 제1 문합링(40)을 제1 클램프(12)에 고정하여 문합을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제1 문합링(40)의 중심을 지나도록 제1 절개면(43a)과 나란한 기준선(R)을 그으면, 기준선(R)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이 암수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클램프(12)에 고정된 제1 문합링(40)과 제2 클램프(22)에 고정된 제2 문합링(40')은 암수관계에 가지며, 제1 및 제2 클램프(12,22)에 의해 제1 및 제2 문합링(40,40')이 상호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제1 및 제2 문합링(40,40')을 이용하여 문합을 시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제1 문합링이 제1 클램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제2 문합링이 제2 클램프에 고정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12)는 제1-1 및 제1-2 가이드바(122,126)와 제1-1 및 제1-2 지지바(124,128)를 구비하며, 제1-1 가이드바(122)와 제1-1 지지바(124) 사이에는 제1-1 삽입홈(123)이 형성되고, 제1-2 가이드바(126)와 제1-2 지지바(128) 사이에는 제1-2 삽입홈(127)이 형성된다. 제1 문합링(40)은 제1-1 및 제1-2 가이드바(122,126)가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절개면들(43)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삽입부들(43a)이 제1-1 및 제1-2 삽입홈(123,127)에 삽입되어 제1 클램프(12) 상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클램프(22)는 제2-1 및 제2-2 가이드바(222,226)와 제2-1 및 제2-2 지지바(224,228)를 구비하며, 제2-1 가이드바(222)와 제2-1 지지바(224) 사이에는 제2-1 삽입홈(223)이 형성되고, 제2-2 가이드바(226)와 제2-2 지지바(228) 사이에는 제2-2 삽입홈(227)이 형성된다. 제2 문합링(40')은 제2-1 및 제2-2 가이드바(222,226)가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절개면들(43)을 따라 이동하면서 양측에 형성된 두 개의 제2 삽입부들(43a)이 제2-1 및 제2-2 삽입홈(223,227)에 삽입되어 제2 클램프(22) 상에 고정된다.
이때, 제1 및 제2 문합링(40,40')이 동일한 형상임에도 불구하고, 제1 및 제2 문합링(40,40')은 중심을 기준으로 60˚회전대칭을 만족할 뿐만 아니라, 제1 절개면(43a)과 나란한 기준선(R)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이 암수관계를 가지므로, 제1 클램프(12)에 고정된 제1 문합링(40)과 제2 클램프(22)에 고정된 제2 문합링(40')은 암수관계를 만족한다.
이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클램프(12) 및 제2 클램프(22)의 회전에 의해 제1 문합링(40) 및 제2 문합링(40')은 서로 마주보는 대기위치로 전환되며, 제1 클램프(12) 및 제2 클램프(22)의 직선이동에 의해 제1 문합링(40) 및 제2 문합링(40')은 서로 근접하여 상호체결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도 2에 도시한 제1 문합링에 혈관을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을 통해 혈관의 외층을 제1 문합링(40)의 제1 고정층(44)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d를 참고하여 혈관을 제1 문합링(40)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B)을 문합링(40)에 삽입한 후, 혈관(B)의 양단을 포셉을 이용하여 벌려준다. 이후,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술자는 로드(264)를 이용하여 고정판(262)의 전단에 설치된 삽입부재(280)를 열려있는 혈관(B)의 일측에 삽입하고 혈관(B)의 형상을 삽입부재(28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보정한다. 삽입부재(280)는 원뿔 형상이며, 가압부재(270)와 접촉하는 일면은 혈관(B)의 직경과 대체로 일치한다. 삽입부재(280)가 삽입되면 혈관(B)은 삽입부재(280)의 부피에 의해 삽입부재(280)의 단면과 같이 원형으로 보정된다. 이는 혈관(B) 일측의 열려진 형상이 원형을 이루도록 하여 혈관(B)의 일단이 문합링(40)의 제1 고정층(44)에 균일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삽입부재(280)의 형상은 제1 고정층(44)의 형상에 따라 결정된다.
이후,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270)의 가압면(272)을 이용하여 혈관(B)의 일단을 제1 고정층(44)에 대하여 가압하며, 혈관(B)의 일단은 제1 고정층(44)에 고정된다. 삽입부재(280)가 열려있는 혈관(B)의 일측에 삽입되면, 혈관(B)의 일단은 삽입부재(280)의 후단에 설치된 가압부재(270)의 가압면(272)과 접촉하며, 가압면(272)을 제1 고정층(44)에 대하여 가압하여 혈관(B)의 일단을 제1 고정층(44)에 고정한다. 도 6d는 혈관(B)이 제1 고정층(44)에 의해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제1 고정층(44)을 이용하여 혈관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 중 질긴 외층을 이용하여 혈관을 고정하므로 혈관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정핀을 사용하는 문합링 구조를 단순화함으로써, 제작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도 1에 도시한 제1 및 제2 문합링을 이용하여 혈관을 문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문합하고자 하는 제1 혈관(B) 및 제2 혈관(B')을 제1 및 제2 문합링(40,40')에 각각 고정할 수 있으며, 도 7a는 제1 혈관(B) 및 제2 혈관(B')이 제1 및 제2 문합링(40,40')에 각각 고정된 모습을 나타낸다. 이후,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문합링(40,40')을 체결하여 제1 및 제2 혈관(B,B')을 문합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혈관(B,B')은 내층끼리 접합된 상태에서 문합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다른 실시예를 통해 혈관의 외층을 제1 문합링(40)의 제1 고정층(44)에 고정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혈관을 문합링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혈관을 외번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혈관(B) 내에 헤드(312)를 삽입한다. 이때, 확장부재(322)는 헤드(312)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확장해제위치')를 유지하며, 헤드(312)는 몸체(330)의 전단부에 접한 상태('가압해제위치')를 유지한다.
이후,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버튼(348)을 눌러 확장축(342)을 전방을 향해 이동시키면, 확장축(342)의 전단부에 고정된 지지바(344,346)는 확장축(342)과 함께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때, 확장부재(322)가 헤드(312)의 개구(314)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며, 확장부재(322)의 내측면이 개구(314) 상에 위치하는 일면과 접한 상태에서 일면에 의해 확장부재(322)의 인출이 가이드 되므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장부재(322)는 외측을 향해 벌어진다('확장위치'). 이로 인해, 확장부재(322)는 혈관(B)의 내벽면을 가압하며, 혈관(B)은 확장부재(322)에 의해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미끄럼방지돌기(326)는 혈관(B)의 내벽면과 접하며, 혈관(B)이 확장부재(322)의 외측면을 따라 미끄러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버튼(348)이 이동하여 돌기(318a)에 접하면 확장부재(322)는 최대로 벌어진 상태('최대확장위치')를 유지하며, 혈관(B)도 최대로 확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돌기(318a)는 가압버튼(348)의 이동을 제한한다.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버튼(348)이 계속하여 전방을 향해 이동하면, 돌기(318a)로 인해 가압축(318)이 가압버튼(348)에 구속되므로, 가압축(318)은 가압버튼(348)과 함께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가압축(318)이 이동할 경우, 가압축(318)의 전단부에 결합된 헤드(312)도 함께 이동하며, 헤드(312) 상에 끼워진 혈관(B)도 최대로 확장된 상태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혈관(B)을 확장한 상태에서 제1 문합링(40)의 제1 고정층(44)에 혈관의 외층을 접착할 때 유용하다. 즉, 혈관(B)이 확장된 상태에서 제1 고정층(44)을 향해 혈관을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혈관(B)의 외층을 제1 고정층(44)에 쉽게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가압버튼(348)의 동작에 의해 혈관(B)을 확장함과 동시에, 혈관(B)을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문합링(4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하나의 동작을 통해 2가지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제1 문합링(40) 상에 혈관(B)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혈관(B)의 외번시 혈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동작을 단순화함으로써 문합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으로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2,22 : 클램프 14,24 : 전방로드
16,26 : 후방로드 30 : 지지체
40,40' : 문합링 41 : 몸체
42 : 고정면 43 : 절개면
43a : 삽입부 44 : 고정층
46 : 돌출부 48 : 개구
122,126 : 가이드바 123,127 : 삽입홈
124,128 : 지지바
16,26 : 후방로드 30 : 지지체
40,40' : 문합링 41 : 몸체
42 : 고정면 43 : 절개면
43a : 삽입부 44 : 고정층
46 : 돌출부 48 : 개구
122,126 : 가이드바 123,127 : 삽입홈
124,128 : 지지바
Claims (13)
- 제1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1 개구를 가지는 제1 문합링;
제2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제2 개구를 가지며, 상기 제1 문합링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관상기관을 체결하는 제2 문합링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문합링은,
상기 제2 문합링과 대향되는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1 고정면;
상기 제1 고정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의 외층이 접착고정되는 제1 고정층; 및
상기 제1 고정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체결부재들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문합링은,
상기 제1 문합링과 대향되는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제2 고정면;
상기 제2 고정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제2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의 외층이 접착고정되는 제2 고정층; 및
상기 제2 고정층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복수의 고정돌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복수의 고정홈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의료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상기 제1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재는 상기 제1 고정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돌출부들과 상기 제1 고정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1 함몰부들을 가지며,
상기 제2 체결부재는 상기 제2 고정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 돌출부들과 상기 제2 고정면으로부터 함몰되는 제2 함몰부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은 60˚ 회전대칭을 만족하는 동일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문합링은 PLGA 및 PCL을 포함하는 생체흡수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문합링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2 문합링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합링 세트는 푸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푸셔는,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1 관상기관의 형상을 보정하는 삽입부재; 및
상기 삽입부재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을 가압하여 상기 제1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을 상기 제1 고정층에 고정시키는 가압면을 구비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세트. - 관상기관의 일단이 관통하는 개구를 가지는 문합링에 있어서,
상기 문합링은,
일면에 위치하며, 상기 개구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고정면;
상기 고정면 상에 형성되며, 상기 관상기관의 상기 일단의 외층이 접착되는 고정층; 및
상기 고정층의 외측에 배치되는 체결부재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복수의 고정돌기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복수의 고정홈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층은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또는 피브린 글루를 포함하는 의료용 접착제로 이루어진 접착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합링.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142A KR101070697B1 (ko) | 2010-12-15 | 2010-12-15 | 접착 방식의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28142A KR101070697B1 (ko) | 2010-12-15 | 2010-12-15 | 접착 방식의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70697B1 true KR101070697B1 (ko) | 2011-10-07 |
Family
ID=45032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28142A KR101070697B1 (ko) | 2010-12-15 | 2010-12-15 | 접착 방식의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0697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7126B1 (ko) * | 2016-01-22 | 2017-06-14 | 주식회사 덴티스 | 혈관 클램프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
KR101747131B1 (ko) * | 2016-01-22 | 2017-06-14 | 주식회사 덴티스 | 후크 클램프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
CN113081122A (zh) * | 2021-05-18 | 2021-07-09 | 南京康友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血管吻合装置 |
CN117481727A (zh) * | 2023-12-29 | 2024-02-02 | 泓欣科创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 血管吻合组件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23592A (en) * | 1983-04-25 | 1985-06-18 | Rollin K. Daniel P.S.C. | Anastomotic coupling means capable of end-to-end and end-to-side anastomosis |
US20060212050A1 (en) * | 2005-03-15 | 2006-09-21 | D Agostino William L | Anastomosis composite gasket |
KR100876516B1 (ko) | 2007-08-29 | 2008-12-31 | 대구 손 |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
-
2010
- 2010-12-15 KR KR1020100128142A patent/KR10107069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523592A (en) * | 1983-04-25 | 1985-06-18 | Rollin K. Daniel P.S.C. | Anastomotic coupling means capable of end-to-end and end-to-side anastomosis |
US20060212050A1 (en) * | 2005-03-15 | 2006-09-21 | D Agostino William L | Anastomosis composite gasket |
KR100876516B1 (ko) | 2007-08-29 | 2008-12-31 | 대구 손 | 흡수성 혈관문합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7126B1 (ko) * | 2016-01-22 | 2017-06-14 | 주식회사 덴티스 | 혈관 클램프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
KR101747131B1 (ko) * | 2016-01-22 | 2017-06-14 | 주식회사 덴티스 | 후크 클램프 구조를 갖는 혈관 문합 장치 |
CN113081122A (zh) * | 2021-05-18 | 2021-07-09 | 南京康友医疗科技有限公司 | 一种血管吻合装置 |
CN117481727A (zh) * | 2023-12-29 | 2024-02-02 | 泓欣科创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 血管吻合组件 |
CN117481727B (zh) * | 2023-12-29 | 2024-04-02 | 泓欣科创生物科技(北京)有限公司 | 血管吻合组件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3351B2 (ja) | 少なくとも1種類の薬物を備える組織厚さコンペンセータ | |
RU2650206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имеющий улучшенную видимость | |
RU2641069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й множество лекарственных препаратов | |
RU2638273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стоящий из множества материалов | |
JP5626738B2 (ja) | 組織縫合装置、移送用装置及びシステム、キット及びそのための方法 | |
RU2648844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й множество капсул | |
ES2813429T3 (es) | Película de refuerzo con acción hemostática para un aparato de grapado quirúrgico | |
RU2637167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й контролируемое высвобождение и расширение | |
JP5807970B2 (ja) | 組織縫合装置、移送装置及びシステム、キット及びそのための方法 | |
JP6356665B2 (ja) | 血管閉鎖デバイスおよび方法 | |
RU2649960C2 (ru) | Сшивающий ткань инструмент, имеющий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в который введен гидрофильный агент | |
JP2018110929A (ja) | 分解性ポリマーゾーンへのバットレスの取り付け | |
US20240325010A1 (en) | Arteriotomy closure apparatus with slotted shoe for advantageous pressure distribution | |
US20200253607A1 (en) | Vascular coupling device | |
US10433826B2 (en) | Closure apparatus with flexible sealable member and flexible support member | |
JP2011183180A (ja) | 押し付け吻合のデバイスおよび方法 | |
JP2006334412A (ja) | バックスパンが拡大可能なステープル | |
KR101070697B1 (ko) | 접착 방식의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세트 및 아이소모픽 일체형 문합링 | |
RU2629239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й упругие элементы | |
EP2083712B1 (en) | Device for joining vessels in anastomosis | |
RU2629056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содержащий каналы | |
WO2020196857A1 (ja) | 癒合促進デバイス | |
JP7475068B2 (ja) | 調節可能な血管閉鎖デバイス | |
RU2641853C2 (ru) | Компенсатор толщины ткани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 |
CN209529230U (zh) | 勾线针组件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