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550B1 - Mooring gear for floating quay wall - Google Patents
Mooring gear for floating quay wal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70550B1 KR101070550B1 KR1020090094333A KR20090094333A KR101070550B1 KR 101070550 B1 KR101070550 B1 KR 101070550B1 KR 1020090094333 A KR1020090094333 A KR 1020090094333A KR 20090094333 A KR20090094333 A KR 20090094333A KR 101070550 B1 KR101070550 B1 KR 1010705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ating
- quay
- land
- movable member
- wal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8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021/003—Mooring or anchor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50—Anchoring arrangements or methods for special vessels, e.g. for floating drilling platforms or dredgers
- B63B2021/505—Methods for installation or mooring of floating offshore platforms on s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항만의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는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는 상기 부유안벽의 양 측면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유안벽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시 회전수단에 의해 부유안벽의 전면으로 회전되어 육상안벽과 접촉되는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대응되도록 부유안벽의 양 측면 후방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해저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계류파일과, 상기 부유안벽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부유안벽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수단 및 승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A mooring apparatus for a mobile floating quay that performs unloading of a ship docked at a shore quay of a port. The movable floating mooring device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side of the floating quay, the movable member is rotated to the front of the floating quay by the rotating means when the floating quay is moved to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ship and in contact with the land quay, A fixed member provided on both side rear sides of the floating wall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able member, a mooring pile installed on the sea floor by lifting means to fix and release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ed member, When moved to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sensor membe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wall and the control unit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emb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ans and the lifting means.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의하면,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시 부우안벽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하여, 고정시에는 파랑의 의한 부유안벽의 횡방향 변위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고, 해제시에는 다른 선박의 하역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어 그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loating floating mooring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uoyant wall can be fixed and released at the time of unloading of the ship docked on the land quay, and when fixed, it secures a stable fixing force against the transverse displacement of the floating wall by the blue. When released, it can be moved to the unloading place of other ships can be increased its utilization.
이동식, 부유안벽, 고정, 이동 Movable, Floating, Fixed, Mov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항만의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육상안벽과 연결되는 부유안벽의 횡방향 변위를 제어할 수 있고, 부유안벽이 육상안벽에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apparatus for a mobile floating quay, and in particular, to control the transverse displacement of the floating quay that is connected to the land quay so as to perform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vessel docked to the land quay of the harbor, the floating quay is the land qua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oring device for a mobile floating quay that can be moved to the unloading position of another ship while connected to the ship.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을 이용한 해운은 타 운송수단에 비해 수송량이 많고 수송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며, 우리나라와 같은 반도국가에서는 해외교역시 많은 부분을 해운에 의지하고 있다.In general, shipping by container ship has advantages in that it has a large amount of transportation and low transportation cost compared to other means of transportation. In the peninsula countries such as Korea, many countries rely on shipping.
특히, 근래의 해운업계에서는 선박의 대형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물류비의 감소를 통한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그에 따른 항만의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의 확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the recent shipping industry is pursuing the enlargement of ships, which is to secure the economics by reducing the logistics costs by increasing the volume of ships, which is required to expand the port mooring and unloading facilities accordingly. to be.
대부분의 항만은 직선식 육상 안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육상안벽에만 편중된 각종 크레인의 배치구조로 인하여, 컨테이너 선적 또는 하역 및 나아가 선박 건조와 제반 작업을 선박의 편 축으로 치우쳐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Most of the ports are composed of straight land quay, and due to the arrangement of various cranes centered only on such land quay, the container loading or unloading, and further, the construction of ships and all other operations are inclined to be performed by the side of the ship.
근래에는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육상안벽에 대응하여 해상에서 각종 크레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부유안벽이 개시되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floating hulls have been disclosed that can perform various crane operations at sea in response to onshore hulls.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부유안벽은 선박의 하역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육상안벽에 고정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부유안벽의 이동이 불가능하여 그 사용성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floating quay according to the prior art adopts a structure fixed to the land quay in order to carry out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of the vesse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ating quay cannot be moved and thus its usability is much restricted.
즉, 항만으로 도착하는 다수의 선박은 먼저 도착한 선박의 하역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해상에서 기다려야 했으므로 선박의 하역 및 체류시간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since a plurality of ships arriving at the port had to wait at sea until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first arrived ships,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loading and residence time of the ship is increased.
또한, 선박의 하역작업시 해당 선박의 개수와 대응되는 부유안벽이 투입되어야하므로 하역시설비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unloading facility costs increase because the floating barri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rresponding vessels should be input during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vessel.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항만의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으로 이동되어 선박의 하역작업을 수행하도록 육상안벽과 연결되는 부유안벽의 횡방향 변위를 제어함은 물론 외부 파랑에 의한 선박의 동요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ove to the ship docked on the land quay of the port transverse of the floating quay that is connected to the land quay to perform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ship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loating floating mooring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directional displacement as well as reducing ship fluctuations caused by external wav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유안벽이 육상 안벽에 연결된 상태에서 다른 선박이 접안된 육상안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oring apparatus for a mobile floating barrier that allows another vessel to be moved to the docked onshore quay while the floating quay is connected to the onshore quay.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식 부유안벽에 있어서,In the floating floating quay for carrying out the loading and unloading work of the ship docked on the land quay,
상기 부유안벽의 양 측면 전방측에 구비되고, 상기 부유안벽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시 회전수단에 의해 부유안벽의 전면으로 회전되어 육상안벽과 접촉되는 가동부재;Movable member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ide of the floating wall, the floating member is rotated to the front of the floating wall by the rotating means when the floating wall is moved to the cargo loading position;
상기 가동부재와 대응되도록 부유안벽의 양 측면 후방측에 구비되는 고정부재;Fixing members provided on both side rear side of the floating wall so as to correspond to the movable member;
상기 가동부재와 고정부재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해저에 승강수단에 의해 승 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계류파일;A mooring pile which is installed on the sea floor by lifting and lowering means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ed member;
상기 부유안벽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부유안벽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재; 및A sensor membe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quay when the floating quay moves to the unloading position of the ship; And
상기 센서부재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수단 및 승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otating means and the elevating means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member.
또한, 상기 가동부재 및 고정부재는 원형체로 형성되되, 상기 가동부재는 다양한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a circular body, the movable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to have a diameter of various sizes.
또한, 상기 가동부재 및 고정부재의 중앙부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에는 계류파일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the mooring pi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tting coupling.
또한, 상기 가동부재 및 고정부재에 형성된 고정공의 입구측에는 안내경사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let side of the fixing hole formed in the movable member and the fix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inclined surface formed.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부유안벽의 내에 설치된 구동원에 구비되는 구동기어; 및In addition,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drive gear provided in the drive source installed in the floating quay; And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되도록 부유안벽 내에 구비되고 가동부재와 연결암을 매개로 연결되는 피동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en gear is provided in the floating wall so as to interlock with the drive gear is connected to the movable member via a connecting arm.
또한, 상기 센서부재는 발신부와 수신부를 갖는 거리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nsor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stance sensor having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또한, 상기 육상안벽에는 가동부재를 매개로 접촉된 부유안벽을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이 더 구비되되,In addition, the land quay further includes a conveying means for conveying the floating quay in contact with the movable member to the other land quay,
상기 이송수단은 가동부재의 육상안벽 접촉면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부재;The conveying means is provided on the land surface contact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magnet member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상기 육상안벽 내에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스크류; 및A conveying screw rotatably provided in parallel with a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land quay; And
상기 이송스크류에 자석부재와 접합되도록 대응되게 구비되고 이송스크류의 회전시 부유안벽을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ransfer member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ransfer screw to be joined to the magnet member, and configured to transfer the floating quay wall to the other land quay wall when the transfer screw is rotated.
또한, 상기 이송스크류와 인접되는 육상안벽에는 부유안벽이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송되면, 이송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이송스크류의 정지신호를 전송하는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and quay adjacent to the conveying screw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provided with a posi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onveying member to transmit the stop signal of the conveying screw to the control unit when the floating quay is transferred to the other land quay.
또한, 상기 자석부재는 제어부에 의해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gnet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n electromagnet for generating a magnetic force by the control unit.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의하면,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시 부우안벽을 고정 및 해제 가능하게 구성하여, 고정시에는 파랑의 의한 부유안벽의 횡방향 변위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고, 해제시에는 다른 선박의 하역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어 그 활용성이 증대되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floating floating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t wall is configured to be fixed and released at the time of unloading of the vessel docked to the onshore quay, and when fixed, stable anchoring force is prevented against the transverse displacement of the floating quay by blue waves. It can be secured, and when released, it can be moved to the unloading place of other ships to provide a useful effect of increasing its utility.
또한, 선박의 하역시 육상안벽과 부유안벽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의 양측 통로를 가동부재에 의해 차단하여 파랑에 의한 선박의 동요를 최소화함으로써, 선박의 안정적인 하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ssel is unloaded by blocking the both side passages of the eyepiece space formed between the land and floating quay by the movable member to minimize the shaking of the vessel by the blue,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table unloading operation of the vessel.
또한, 가동부재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접안공간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선박의 하역작업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size of the movable member to adjust the width of the eyepiece space, it may be possible to unload the vessel having a variety of sizes.
또한, 육상안벽과 부유안벽을 연결하는 교량을 가동부재 위에 배치함으로써 육상안벽으로부터 장비 및 인력이 통과하는 교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bridge connecting the land and floating quay on the movable member,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bridge through which the equipment and manpower pass from the onshore quay.
또한, 육상안벽에 연결된 부유안벽을 운반수단에 의해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부유안벽의 육상안벽 간 이송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이송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선박의 하역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loating quay connected to the land quay can be transported to the other onshore quay by a conveying means, so that the floating quay between the onshore quay can be more easily transported, and the transport time can be shortened, so that the unloading operation of the ship can be carried out quickly. Can be don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각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a mobile floating quay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eac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구비된 계류파일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식 부유안벽이 운반수단에 의해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showing a mobile floating barrier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oring pile provided in the mobile floating barrier mooring device shown in Figure 1, Figure 3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mobile floating barrier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6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mobile floating barrier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lan view showing a mobile floating wall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bile floating wall shown in FIG. .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안벽(100)에 회전수단(1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 게 구비되는 가동부재(110)와, 부유안벽(10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고정부재(130)와, 가동부재(110)와 고정부재(130)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되는 계류파일(140)과, 부유안벽(100)이 육상안벽(10)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회전수단(120)과 계류파일(140)의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부재(150)와, 센서부재(150)의 작동신호를 수신하여 회전수단(120) 및 승강수단(14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60)를 포함한다.Mobile mooring device for a floating quay wa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1 and 3, the
부유안벽(100)은 직사각형의 구조를 가지며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유안벽(100)에는 이동 및 해상위치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추진기(102)가 구비되어 있다. 추진기(102)는 부유안벽(100)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이때, 추진기(102)는 360°회전 가능한 애지머싱 스러스터로 이루어지며, 부유안벽(100)의 저면 각 모서리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추진기(102)를 구성하는 애지머싱 스러스터는 자동조정시스템(DSP)과 연동되어 가동된다.The
또한, 부유안벽(100)의 양 측면 가장자리에는 육지에 형성된 육상안벽(10)에 연결되는 교량(104)이 구비되어 있다. 교량(104)은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육상안벽(10)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In addition, both side edges of the
이러한, 교량(104)은 부유안벽(100)이 육상안벽(10)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된 후 부유안벽(100)에서 육지 방향으로 회전되어 육상안벽(10)과 연결된다. 이때, 교량(104)은 가동부재(110)에 의해 지지된다.The
즉,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가동부재(110)가 제어 부(16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되는 회전수단(120)에 의해 부유안벽(100)의 양 측면에서 전면으로 회전되어 육상안벽(10)과 접촉되고, 교량(104)은 육지 방향으로 회전되어 가동부재(110) 위에 배치되도록 육상안벽(10)과 연결된다.That is, when the
또한, 교량(104)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육상안벽(10)에 구비되어 부유안벽(100)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가동부재(110)는 부유안벽(100)이 육상안벽(10)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육상안벽(10)과 접촉되도록 회전되는 것으로,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형체로 형성되어 부유안벽(100)의 양 측면 전방측에 회전수단(120)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The
여기서 가동부재(110)는 다양한 크기의 지름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으로 다양한 크기의 선박이 접안될 수 있다. 즉, 가동부재(110)의 지름 크기에 따라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의 폭이 조절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선박의 접안이 가능하다.Here, the
또한, 가동부재(110)의 중앙부에는 파랑에 의한 부유안벽(100)의 이동을 고정하도록 계류파일(140)이 끼움 결합되는 고정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공(112)의 입구측에는 안내경사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경사면(114)은 계류파일(140)이 고정공(112) 내로 원활하게 끼움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In addition, a
회전수단(120)은 부유안벽(100)의 내에 설치된 구동원(122)에 구비되는 구동기어(124)와, 구동기어(124)와 연동되도록 부유안벽(100) 내에 구비되고 가동부 재(110)와 연결암(128)을 매개로 연결되는 피동기어(126)로 구성된다. 이때, 구동원(122)은 구동모터로 이루어져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rotating
즉, 회전수단(120)은 제어부(160)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원(122)에 의해 구동기어(124)가 회전됨과 동시에 피동기어(126)가 연동되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피동기어(126)와 연결암(128)을 매개로 연결된 가동부재(110)가 육상안벽(10)과 접촉되도록 부유안벽(100)의 전면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된 것이다.That is, the rotation means 120 is rotated by the
이러한 회전수단(120)에 의해 가동부재(110)가 육상안벽(10)과 접촉되도록 회전되어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으로 파랑의 유입을 차단하여 선박의 동요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는 가동부재(110)가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의 양측 통로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가능하다.The
또한, 회전수단(120)은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구조 대신에 체인 및 스프로킷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otation means 120 may be configured as a chain and a sprocket instead of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by the gear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고정부재(130)는 일정한 지름을 갖는 원형체로 형성되어 부유안벽(100)의 양 측면 후방측에 고정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고정부재(130)의 중앙부에는 파랑에 의한 부유안벽(100)의 이동을 고정하도록 계류파일(140)이 끼움 결합되는 고정공(132)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공(132)의 입구측에는 안내경사면(134)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경사면(134)은 계류파일(140)이 고정공(132) 내로 원활하게 끼움되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fixing
계류파일(140)은 가동부재(110)와 고정부재(130)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해저에 가동부재(110) 및 고정부재(130)와 대응되게 배치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때, 계류파일(140)의 승강을 지지하기 위해 해저에 파일기초(142)가 설치된다. The
즉, 계류파일(140)은 파일기초(142)에 형성된 승강공(144)에 설치되어 승강수단에 의해 가동부재(110) 및 고정부재(130)를 고정 및 해제하도록 승강된다.That is, the
여기서 승강수단(146)의 구성은, 예를 들어 계류파일(140)의 표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래크(146A)와, 파일기초(142) 내에 래크(146A)와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피니언(146B)과, 피니언(146B)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승강수단(146)의 구성 및 작용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 the configuration of the lifting means 146 is, for example, the
또한, 구동모터는 제어부(16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구동모터와 제어부(160)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본 실시예에서 그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is connected to the
또한, 파일기초(142)는 해저 바닥면을 이루는 지반에 소정의 깊이만큼 인입되어 설치되는 항타파일 또는 석션파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파일기초(142)은 도면상에 석션파일로 이루어진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센서부재(150)는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된 경우에 부유안벽(10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서 육상안벽(10) 및 부유안벽(100)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이때, 센서부재(150)는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센서부재(150)는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된 부유안벽(100)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발신부(152)와 수신부(154)를 갖도록 구성되며, 발신부(152)는 육상안벽(10)에 구비되고 수신부(154)는 발신부(152)와 대응되도록 부유안벽(100)에 구비된다. 이때, 센서부재(150)는 발신부(152)와 수신부(154)를 갖는 초음파센서, 적외선센서, 거리감지센서, 근접센서 등과 같은 거리감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발신부(152)와 수신부(154)는 그 위치가 바뀌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이러한 센서부재(150)는 발신부(152)와 수신부(154) 간의 통신을 통해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The
이외에도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위성항법시스템(GPS)을 적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atellite navigation system (GPS) may be applied so that the floating
즉, 위성항법시스템(GPS)에 선박의 하역위치에 대한 위도와 경도를 입력하고 자동조정시스템(DSP)과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자동 이동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In other words, by entering the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ship's unloading position in the GPS, and interlocked with the automatic adjustment system (DSP) may be implemented so that the floating
제어부(160)는 센서부재(150)의 신호를 수신하여 회전수단(120) 및 승강수단(146)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부유안벽(100)에 회전수단(120) 및 승강수단(146)의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다.The
이러한 제어부(160)는 센서부재(15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가동부재(110)가 회전되어 육상안벽(10)과 접촉되도록 회전수단(120)의 작동을 제어하 고, 계류파일(140)이 상승되어 가동부재(110) 및 고정부재(130)의 각 고정공(112,132)에 끼움 결합되되도록 승강수단(146)의 작동을 제어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now be describ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만의 육상안벽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작업을 위하여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위치되는 부유안벽(100)이 추진기(102)에 의해 육상안벽(10)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면, 센서부재(150)는 발신부(152)와 수신부(154) 간의 통신을 통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된 부유안벽(100)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 the floating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센서부재(150)로부터 부유안벽(100)의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회전수단(120) 및 승강수단(146)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수단(120)은 구동원(122)에 의해 구동기어(124)가 회전됨과 동시에 피동기어(126)가 회전하게 되고, 피동기어(126)와 연결암(128)을 매개로 연결된 가동부재(110)가 육상안벽(10)과 접촉되도록 부유안벽(100)의 전면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가동부재(110)는 육상안벽(10)과 접촉되도록 회전되어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의 양측 통로를 차단하게 됨으로써 접안공간(106)에 대한 파랑의 유입을 차단하여 선박의 동요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floating
또한, 승강수단(146)은 해저의 설치된 파일기초(142)의 승강공(144)에서 계류파일(140)을 상승시켜서 가동부재(110) 및 고정부재(130)의 고정공(112,132)에 끼움 결합하게 된다. 가동부재(110) 및 고정부재(130)가 계류파일(140)에 의해 고 정되면, 부유안벽(100)은 육상안벽(10)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위치에서 고정되어 파랑에 의한 횡방향 변위로부터 안정적인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fting means 146 raises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에서 횡방향 변위가 제어되도록 고정되면, 교량(104)을 육지 방향으로 회전시켜 육상안벽(10)과 연결하게 된다. 이때, 교량(104)은 가동부재(110) 위에 배치되도록 육상안벽(10)과 연결되므로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floa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는, 항만의 육상안벽(10)에 접안된 선박의 하역시 부유안벽(100)을 해저에서 승강되는 계류파일(140)에 의해 고정시켜 파랑의 의한 부유안벽(100)의 횡방향 변위에 대해 안정적인 고정력을 확보하고, 계류파일(140)에 해제시에는 부유안벽(100)을 다른 선박의 하역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The mooring apparatus for a mobile floating quay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fixed by a
또한, 선박이 접안된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의 양측 통로를 가동부재(110)에 의해 차단하여 파랑에 의한 선박의 동요를 최소화함으로써, 선박의 하역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by blocking the passages on both sides of the eyepiece space 106 formed between the
또한, 가동부재(110)의 크기를 다양하게 형성하여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 사이에 형성된 접안공간(106)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를 갖는 선박의 하역작업이 가능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by varying the size of the
또한, 육상안벽(10)과 부유안벽(100)을 연결하는 교량(104)을 가동부재(110) 위에 배치함으로써 육상안벽(10)으로부터 장비 및 인력이 통과하는 교량(104)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by arranging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상안벽(10)에 가동부재(110)를 매개로 접촉된 부유안벽(100)을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170)이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floating mo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floating
이송수단(170)은 가동부재(110)에 구비되어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부재(172)와, 육상안벽(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송스크류(174)와, 이송스크류(174)에 자석부재(172)와 접합되도록 구비되어 이송스크류(174)의 회전시 부유안벽(100)을 다른쪽 육상안벽(10)으로 이송하는 이송부재(176)로 구성된다.The transfer means 170 is provided on the
자석부재(172)는 육상안벽(10)과의 접촉면에 자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때, 자석부재(17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자력을 발생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The
이송스크류(174)는 육상안벽(10) 내에 길이방향과 평행을 이루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이송스크류(174)의 어느 일측에는 이송스크류(174)에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The
또한, 이송스크류(174)와 인접되는 육상안벽(10)에는 부유안벽(100)이 다른쪽 육상안벽(10)으로 이송되면, 이송부재(176)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60)에 이송스크류(174)의 정지신호를 발생하는 위치감지센서(178)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178)는 부유안벽(100)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송되도록 선박이 접안되는 각 육상안벽(10)의 해당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when the floating
이송부재(176)는 자석부재(172)와 접합되도록 이송스크류(174)의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이송부재(176)는 자석부재(172)의 자력발생시 가동부재(110)와 접합된 후 이송스크류(174)의 회전에 따라 부유안벽(100)을 다른쪽 육상안벽(10)으로 이송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안벽(100)이 항만의 육상안벽(10)에 접안되는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고 가동부재(110)가 회전되어 육상안벽(10)과 접촉된 상태에서, 자석부재(172)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자력을 발생시켜 이송부재(176)와 접합하게 된다. 이때, 부유안벽(100)은 가동부재(110)의 자석부재(172)를 매개로 이송부재(176)와 일체화되도록 연결되며, 제어부(160)에 제어에 따라 계류파일(140)에 의한 부유안벽(100)의 고정은 수행되지 않는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floating floating moor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8, the floating
부유안벽(100)이 이송부재(176)와 일체화되도록 연결되면, 이송스크류(174)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회전되어 이송부재(176)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때, 부유안벽(100)은 이송부재(176)에 의해 다른쪽 육상안벽(10)으로 서서히 이송된다.When the floating
부유안벽(100)이 이송부재(176)로 이송되어 다른쪽 육상안벽(10)에 도착되면, 위치감지센서(178)는 이송부재(176)를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게 된다.When the floating
제어부(160)는 위치감지센서(178)로부터 이송부재의 감지신호가 전송되면, 이송스크류(174)의 회전을 정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유안벽(100)은 다른쪽 육상 안벽(10)으로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The
한편, 다른쪽 육상안벽(10)으로 이송된 부유안벽(100)은 제어부(160)의 신호에 따라 이송부재(176)와의 접합상태가 분리됨과 동시에 가동부재(110)가 부유안벽(100)의 양 측면 전방측으로 회전되어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위치된다. 이후 해당 육상안벽(10)으로 선박이 접안되면, 선박의 하역위치로 이동되어 육상안벽(10)과 연결되도록 고정된 후 선박의 하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floating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는 육상안벽(10)에 연결된 부유안벽(100)을 이송수단(170)에 의해 다른쪽 육상안벽(10)으로 이송함으로써 부유안벽(100)의 육상안벽(10) 간 이송이 보다 용이할 수 있고, 이송시간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육상안벽(10) 사이에서 부유안벽(100)을 용이하게 이송하여 선박의 하역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The mooring apparatus for a mobile float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transfer the floating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y way of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Anyone can make a variety of varia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1 is a plan view showing a floating floating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에 구비된 계류파일을 나타낸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oring pile provided in the mobile floating mooring apparatus shown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Figure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floating floating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 내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평면도,4 to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loating floating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부유안벽용 계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7 is a plan view showing a floating floating moo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이동식 부유안벽이 운반수단에 의해 다른쪽 육상안벽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8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vable floating quay wall shown in FIG. 7 is moved to the other land quay by the transport means.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0: 부유안벽 110: 가동부재 100: floating wall 110: movable member
112: 고정공 120: 회전수단112: fixing hole 120: rotation means
130: 고정부재 132: 고정공130: fixing member 132: fixing hole
140: 계류파일 146: 승강수단140: mooring file 146: lifting means
150: 센서부재 160: 제어부150: sensor member 160: control unit
170: 이송수단 172: 자석부재170: transfer means 172: magnet member
174: 이송스크류 176: 이송부재174: transfer screw 176: transfer member
178: 위치감지센서178: position sensor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4333A KR101070550B1 (en) | 2009-10-05 | 2009-10-05 | Mooring gear for floating quay wa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4333A KR101070550B1 (en) | 2009-10-05 | 2009-10-05 | Mooring gear for floating quay wal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7070A KR20110037070A (en) | 2011-04-13 |
KR101070550B1 true KR101070550B1 (en) | 2011-10-05 |
Family
ID=440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4333A KR101070550B1 (en) | 2009-10-05 | 2009-10-05 | Mooring gear for floating quay wal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7055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617B1 (en) | 2012-06-28 | 2014-02-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pread mooring method for marine structures and device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00254U (en) | 2016-07-15 | 2018-01-2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Tsunami protection quay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26122A (en) | 1999-02-04 | 2000-08-15 | Nkk Corp | Container terminal |
JP2005076372A (en) | 2003-09-02 | 2005-03-24 | Shipbuilding Research Centre Of Japan | Berth system |
KR100650337B1 (en) | 2005-08-03 | 2006-11-29 | 한국해양연구원 | Floating type quay wall for operation at both side of ship |
KR100662048B1 (en) | 2005-08-03 | 2006-12-28 | 한국해양연구원 | Floating type quay wall for operation at both side of ship |
-
2009
- 2009-10-05 KR KR1020090094333A patent/KR10107055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26122A (en) | 1999-02-04 | 2000-08-15 | Nkk Corp | Container terminal |
JP2005076372A (en) | 2003-09-02 | 2005-03-24 | Shipbuilding Research Centre Of Japan | Berth system |
KR100650337B1 (en) | 2005-08-03 | 2006-11-29 | 한국해양연구원 | Floating type quay wall for operation at both side of ship |
KR100662048B1 (en) | 2005-08-03 | 2006-12-28 | 한국해양연구원 | Floating type quay wall for operation at both side of ship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617B1 (en) | 2012-06-28 | 2014-02-04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Spread mooring method for marine structures and device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7070A (en) | 2011-04-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464213B (en) | Mooring system for a vessel, and a buoy and a quay wall comprising such a mooring system | |
KR20110035357A (en) | Docking system of ship | |
KR101070550B1 (en) | Mooring gear for floating quay wall | |
KR20230025227A (en) | A group of ships for cleaning of sea surface | |
JP6252330B2 (en) | Underwater elevator | |
KR102012110B1 (en) | Submarine vehicle, method for picking up a load from the seabed and a method for setting down a load on the seabed | |
KR20110074414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vessel docking | |
KR20150019523A (en) | Load and unload system of container and container lift appartus thereof | |
KR20210051841A (en) | Unmanned towing apparatus | |
KR20100123443A (en) | Floating harbor and cargo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192602B1 (en) | Container transport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190058088A (en) | Storage and off-loading apparatus for container | |
KR20110081662A (en) | Container handling system and method | |
KR101192600B1 (en) | Container auto handling system and method | |
KR100750223B1 (en) | Floating type quay wall | |
US20030215310A1 (en) | Catamaran transfer vessel | |
KR101192601B1 (en) | Container loading apparatus and method | |
KR20140107033A (en) | Apparatus to move Azimuth Thruster | |
KR20120060380A (en) | Crane with independetly-operable counter weight | |
KR20110029919A (en) | Dual boom structure, dual boom crane and vessel with the crane | |
KR20100031833A (en) | Mobile harbor | |
KR20100123452A (en) | A module of prefabricated harbor and loading/unloading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118677B1 (en) |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of container using mobile harbor structure, and loading and unloading method of container using mobile harbor structure | |
JP2020023286A (en) |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 |
JP2006103614A (en) | Moor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