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145B1 -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 Google Patents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145B1
KR101070145B1 KR1020090127704A KR20090127704A KR101070145B1 KR 101070145 B1 KR101070145 B1 KR 101070145B1 KR 1020090127704 A KR1020090127704 A KR 1020090127704A KR 20090127704 A KR20090127704 A KR 20090127704A KR 101070145 B1 KR101070145 B1 KR 101070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amination
sheet
resistanc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200A (ko
Inventor
이상홍
김진영
전홍의
Original Assignee
이상홍
전홍의
김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홍, 전홍의, 김진영 filed Critical 이상홍
Priority to KR102009012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1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cool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5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32B37/153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manufactured and immediately laminated before reaching its stable state, e.g. in which a layer is extruded and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at least one layer is extruded and immediately laminated while in semi-molten s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0Inorgan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2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12Pressure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수막시트는 물과 직접 접속하는 상층으로서 내오존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가진 A층과; 바닥이 되는 하층으로 가교 발포하므로서 비중이 가벼워지고 외부의 충격 및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에 적응 능력을 가진 C층과; 상기 A층과 C층의 중간재로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높여주며 상기 A층과 C층의 접합성을 높여주는 B층으로 구성되어 3개층(3 Lay)의 시트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A층과 B층의 합지방식은 길이 방향의 인장율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로 뽑으면서 합지시키는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이고, 합지된 A·B층과 상기 C층의 합지방식은 폭 방향의 인장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평 티 다이(T-Die) 방식으로 만들어진 상기 C층을 하부에 두고 그 위에 상기 A·B층이 열이 가해진 수평합지롤러에 의해 합지되는 방식으로 제조된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폭의 인장 및 신장이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내오존성과 내수성과 내후성이 좋고, 내염수성 및 내알카리성에 우수하며, 시트와 시트 간의 열접착성이 뛰어나 접합부분에서 누수되는 하자가 발생하지 않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친환경 시트로, 인공호수, 정원연못, 골프장, 수로, 양어장, 옥상녹화등의 차수 및 쓰레기 매립장의 오폐수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친환경 소재이다.
차수막, 차수막시트, 다층필름, 에틸렌계 수지, 내오존성, 내수성, 내후성, EVA, LLDPE, 티 다이 성형, 인플레이션 성형

Description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Waterproofing Membrane Sheet using Multilayer Films}
본 발명은 방수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오존성과 내수성과 내후성이 있는 맨 바깥층과 중간제로서 접합성이 좋은 중간층과 외부의 충격 및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에 적응능력이 우수한 바닥층으로 구성되는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에 관한 것으로, A와 B층을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 접합하여 길이 방향의 인장 및 신장력을 향상시켰으며, 접합된 AB층과 C층의 합지는 C층을 티 다이(T-Die) 방식으로 성형하고 수평합지롤러로 접합하여 폭 방향의 인장 및 신장율을 향상시킨 차수막시트에 관한 것이다.
인공호수, 정원연못, 골프장, 수로, 양어장, 옥상녹화에 방수 및 쓰레기 매립장의 오폐수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기존의 차수막시트는 1개층으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또는 에틸렌계 수지로 단일층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미생물이나 햇빛 등에 썩어서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고, 다층필름을 사용하여도 재질 문제로 내오존성, 내수성, 내후성이 문제가 되거나, 다층필름의 필름끼리의 접합이 문제되어 서로 떨어지거나 서로 일부가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장강도나 인열강도가 약하여 다층필름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다층필름의 재질의 선택이나 각층의 구성재료의 정확한 선택이 중요하다.
차수막을 위한 시트 방수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시트 상호간의 조인트 부분에 대해 수밀성 확보하기 위해 어떤 접착방식을 선택하는가가 중요하다.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접합 부분의 폭, 접착제의 효과 등에 주의해야 하며, 방수시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접착제의 내구성으로 인해 접착부위에서 방수성능 결함이 발생할 확률이 높다. 그러나, 시트 상호간의 조인트 또는 특수부분을 열풍융착기를 사용하여 열풍으로 녹여 시트를 연결하는 시공방법의 경우, 접착강도가 비접착부위 보다 강하고 내구성도 우수한 장점이 있다. 특히, PE, PP, EVA와 같은 열가소성 합성수지계 방수시트의 경우 열융착이 가능하지만, 가교 고무계 방수시트와 같은 열경화성 합성수지는 불가능하여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방식만이 가능하다. 또한, HDPE, EVA와 같이 열융착이 가능한 방수시트의 경우, 성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터널공사와 같은 대형 토목공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경질의 재질이어서 건축물 부속물이나 굴곡면, 코너부위, 벽체 등의 마감처리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가황 고무와 같은 연질의 방수시트는 재료 특성상 열융착이 불가능하여 접착제로 붙여서 방수층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내후성, 내약품성, 하지침투성 등 방수시트로서 요구되는 많은 성질을 만족하는 반면, 접착제에 용제가 사용되는 경우는 작업자의 안전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고 시트간의 접착이 불완전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시트방수법의 결점을 상호 보완하여 최근에 열융착이 가능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계 방수시트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에 해당되는 제품에는 미국 유니로얄사의 TPRTM(미국특허3,758,643호) 제품, 일본 미쓰이석유화학의 밀라스토마TM(미국특허 4,785,045호)와 같이 폴리올레핀 수지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의 배합물을 페록사이드계 가교제를 이용하여 부분 가교시킨 제품이나, 미국 몬산토사의 산토프렌TM(미국특허 4,311,628호), 한국의 호남석유화학의 로트머(국내특허 0199282호, 미국특허(6143828호)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과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와의 배합물을 페놀계 수지가교제를 이용하여 완전 가교시킨 제품이 있다. 상기의 엘라스토머 제품들의 성형성을 부여하는 성분은 폴리올레핀수지이며, 주로 폴리프로필렌수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엘라스토머는 폴리프로필렌과 고무의 함량비를 조절하여 원하는 경도의 제품을 얻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연질(경도가 Shore A 90 이하)의 엘라스토머를 얻기 위해서 폴리프로필렌의 함량이 40% 이내가 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0% 미만으로 유지하여야 한다. 이러한 연질의 엘라스토머는 기계적물성 및 탄성복원력이 우수하고 일반 성형기를 이용하여 사출, 압출, 블로우 성형이 가능하여 열경화성 고무류를 대체하기에 적합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연질의 엘라스토머는 특성상 열가소성 수지의 함량이 제약을 받기 때문에 충분한 융착 강도를 얻기 어렵고, 구조물의 코너 또는 마무리 부분 등의 수 작업에 의한 열융착이 되는 국소부위에서는 열융착 불량이 발생하기 쉬워 방수 효과가 나빠질 염려가 있다. 또한, 시트의 융착강도는 융착온도에 따라 달라지며 시공현장에서의 외부온도와 융착온도 조건의 영향을 받기 쉽다는 문제점도 있다. 이때, 융착온도가 낮으면 융착강도의 편차가 커서 누수의 원인이 되고, 반대로 융착온도를 높이면 시트의 표면이 타서 융착강도가 오히려 저하된다. 따라서, 보다 낮은 면압과 넓은 온도 범위에서 큰 융착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방수시트가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수막시트는 A층과 B층의 결합을 상하로 뽑으면서 결합하는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 Way) 방식으로 접합하여 길이 방향의 인장 및 신장이 강하며, 접합된 A·B층과 C층의 결합은 C층을 티 다이(T-Die) 방식으로 성형하고 수평합지롤러로 접합하여 폭 방향의 인장 및 신장율이 강한 제품과, 내염수성 및 내알카리성에 우수하며, 시트와 시트 간의 열접착성이 뛰어나 접합부분에서 누수되는 하자가 발생하지 않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친환경적 차수막시트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인공호수, 정원연못, 골프장, 수로, 양어장, 옥상녹화의 방수 및 쓰레기 매립장의 오폐수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막시트에 있어서, 상기 차수막시트는 물과 직접 접속하는 상층으로서 내오존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가진 A층과; 바닥이 되는 하층으로 가교 발포하므로서 비중이 가벼워지고 외부의 충격 및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에 적응 능력을 가진 C층과; 상기 A층과 C층의 중간재로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높여주며 상기 A층과 C층의 접합성을 높여주는 B층으로 구성되어 3개층(3 Lay)의 시트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A층과 B층의 합지방식은 길이 방향의 인장율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로 뽑으면서 합지시키는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이고, 합지된 A·B층과 상기 C층의 합지방식은 폭 방향의 인장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평 티 다이(T-Die) 방식으로 만들어진 상기 C층을 하부에 두고 그 위에 상기 A·B층이 열이 가해진 수평합지롤러에 의해 합지되는 방식이다.
상기 A층의 원료 구성비는 메탈로센 엘리트(Metallocene Elite) 20~40 중량%와, EVA(Ethylene Vinyl Acetat) 40~70 중량%와 AO(Anti Oxidant) 0.5~1 중량%와, UV(Ultraviolet)차단제 1~5 중량%와, 카본(Carbon) 10~20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B층의 원료 구성비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95~100 중량%와, AO 0.5~1.0 중량%와 UV(Ultraviolet)차단제 1~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C층은 EVA(Ethylene Vinyl Acetat) 혹은 PE(Polyethylene) 100 중량%이거나, EVA(Ethylene Vinyl Acetat) 혹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98.0 ~ 99.8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Acrylonitrile Co-Polymer) 0.2 ~2.0 중량%로 구성되는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폭의 인장 및 신장이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내오존성과 내수성과 내후성이 좋고, 내염수성 및 내알카리성에 우수하며, 시트와 시트 간의 열접착성이 뛰어나 접합부분에서 누수되는 하자가 발생하지 않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친환경 시트로, 인공호수, 정원연못, 골프장, 수로, 양어장, 옥상녹화등의 차수 및 쓰레기 매립장의 오폐수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친환경 소재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에 대하여 첨부 도면의 실시예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의 AB층 성형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의 C층 성형 및 AB층 과 C층의 합지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차수막시트(1)는 물과 직접 접속하는 상층으로서 내오존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가진 A층(11)과; 바닥이 되는 하층으로 가교 발포하므로서 비중이 가벼워지고 외부의 충격 및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에 적응 능력을 가진 C층(13)과; 상기 A층(11)과 C층(13)의 중간재로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높여주며 상기 A층(11)과 C층(13)의 접합성을 높여주는 B층(12)으로 구성되어 3개층(3 Lay)의 시트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A층(11)의 원료 구성비는 메탈로센 엘리트(Metallocene Elite) 20~40 중량%와, EVA(Ethylene Vinyl Acetat) 40~70 중량%와 AO(Anti Oxidant) 0.5~1 중량%와, UV(Ultraviolet)차단제 1~5 중량%와, 카본(Carbon) 10~20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B층(12)의 원료 구성비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95~100 중량%와, AO 0.5~1.0 중량%와 UV(Ultraviolet)차단제 1~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C층(13)은 EVA(Ethylene Vinyl Acetat) 혹은 PE(Polyethylene) 100 중량%이거나, EVA(Ethylene Vinyl Acetat) 혹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98.0 ~ 99.8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Acrylonitrile Co-Polymer) 0.2 ~2.0 중량%로 구성되는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이다.
상기 A층(11)에 자외선 차단, 난연성(불연성), 유해물질 흡수방지 및 내마모성을 부가하기 위해 친환경 무기질 도막제로 표면 코팅(15)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면 코팅제로는 BASF에서 제품화된 Barralastic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Barralastic은 2가지 재료로 되어 있으므로 잘 혼합하여 필름 위에 일정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A층(11)은 외부환경 즉 내오존성, 내수성, 내후성이 탁월한 친환경 소재이며, 상기 B층(12)은 상기 A층(11)과 상기 C층(13)에 중간재로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높여주며 A층(11)과 상기 C층(13)의 접합성능을 극대화시카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C층(13)은 가교 발포시 비중이 가벼워지며 외부의 충격 및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에 적응 능력이 우수하며, 내염수성과 내알카리성에 우수하며,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친환경 시트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층(11)과 B층(12)의 합지방식은 길이 방향의 인장율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로 뽑으면서 합지시키는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이고, 합지된 A·B층(14)과 상기 C층(13)의 합지방식은 폭 방향의 인장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평 티 다이(T-Die) 방식으로 성형된 상기 C층(13)을 하부에 두고 그 위에 상기 A·B층(14)이 열이 가해진 수평합지롤러에 의해 합지되는 방식이다.
인플레이션 다이(Inflation Die)는 규격대비 1.5~3.5 : 1 이상으로 생산하는 특징을 가지며,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으로 제조한 AB층을 수평 티 다이(T-Die) 방식 제조한 C층을 합지하여 ABC층의 3LAY로 다층필름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으로 제조되는 AB층은 제품이 흐르는 방향(MD, Machine Direction)과 제품이 흐르는 방향의 수직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의 인장강도 비율은 MD 쪽이 TD 쪽 대비 60 : 40으로 제조되며, 수평 티 다이(T-Die) 방식으로 제조되는 C층은 제품이 흐르는 방향(MD, Machine Direction)과 제품이 흐르는 방향의 수직방향(TD, Transverse Direction)의 인장강도 비율은 MD 쪽이 TD 쪽 대비 55 : 45으로 제조되는데 이를 크로스(Cross)로 합지 생산하면 MD와 TD 물성을 한가지 생산방식과 대비하여 월등히 화학적 물성이 극대화하는 특징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은 상기 A층(11)의 원료와 상기 B층(12)의 원료를 각각의 호퍼(Hopper)(31a, 31b)에 투입하고, 상기 호퍼(Hopper)(31a, 31b)에 투입된 각각의 원료를 각각의 호퍼피더(Hopper Feeder)(32a, 32b)를 이용하여 각각의 압출기(Extruder)(33a, 33b)로 공급한다.
상기 압출기(Extruder)(33a, 33b)에서 원료를 상기 압출기(Extruder)(33a, 33b)에 설치된 밴드히터(Band Heater)(331a, 331b)로 가열하여 수지가공 온도인 170~200℃로 상승시키며, 상기 압출기(Extruder)(33a, 33b) 내의 스크류(Screw)(332a, 332b)로 가열된 원료를 전진시키면서 압력을 가하여 상향식 인플 레이션(Inflation 2Way) 성형기(34)로 공급하고 공기도입관(342)을 통해 원통 형상의 수지 원료 내로 공기를 불어 넣어, 상승하면서 외측에는 A층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B층이 인플레이션에 의해 제 1 연신 가공되고 상기 A층과 B층이 합지되며, 인플레이션 다이(Inflation Die)는 규격대비 1.5~3.5 : 1 이상으로 생산하는 특징을 가진다.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성형기(34)로 성형 가공할 때 인플레이션 다이헤드(341)에서 인플레이션된 튜브상 필름은 안내판(343)을 경유하여 1차 연신된 후 핀치롤러(Pinch Roller)(344)로 들어가며, 상기 안내판(343)은 다수개의 안내롤러(3431) 구성되어 이들 안내롤러(3431)는 각 안내롤러(3431)의 직경 보다 크지 않은 인접한 안내롤러 사이의 갭을 제공하도록 적절한 피치 폭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 때문에, 이들 안내롤러(3431)와 접촉하면서 진행하는 A층 필름이나 B층 필름은 진행중에 인접한 안내롤러(3431) 사이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 그 결과, 필름 표면의 주름의 발생을 억제함과 동시에 필름층의 두께 등을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
연신된 AB층(14) 필름은 상기 핀치롤러(Pinch Roller)(344)를 통과시켜 디플레이션시킨 다음, 연신롤러(345)을 통과하면서 2차 연신 가공하고, 냉각롤러(346)을 이용하여 바로 냉각시킨 후 2개로 귄취롤러(348)로 분리 권취하여 제품으로 만든다.
이와 같이 A층과 B층이 상향으로 뽑으면서 결합되므로 길이 방향의 인장 및 신장이 강해진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접합된 상기 A·B층(14)과 상기 C층(13) 합지방식은 상기 C층의 원료를 호퍼(Hopper)(41)에 투입하고, 상기 호퍼(Hopper)(41)에 투입된 원료를 호퍼피더(Hopper Feeder)(42)를 이용하여 압출기(Extruder)(43)로 공급하며, 상기 압출기(Extruder)(43)에서 원료를 상기 압출기(Extruder)(43)에 설치된 밴드히터(Band Heater)(431)로 가열하여 수지가공 온도인 180~220℃로 상승시키고, 상기 압출기(Extruder)(43) 내의 스크류(Screw)(432)로 가열된 원료를 전진시키면서 압력을 가하여 티 다이(T-DIE) 수평성형기(44)로 공급하고, 상기 티 다이(T-DIE) 수평성형기(44)에서 성형되어 나온 상기 C층(13)에 상기 A·B층(14)을 1차 수평합지롤러(45)의 압력과 열로 합지하고, 1차 합지 후 미세한 부분을 더 안정된 합지를 위하여 600~800℃로 전기 코로나장치(46) 열처리로 2차로 열합지하며, 3차 냉각롤러(47)에서 냉각시킨 후 권취롤러(49)로 권취하는 3겹층 A,B,C를 합지시키는 제조 방식이며, 상기 1차 수평합지롤러(45)는 150~220℃로 가열하고 상기 1차 수평합지롤러(45)의 압력은 2~15kg/㎠로 가하여 열압축 합지하는 구조이다.
일상적인 필름 합지 방법은 히터에 의한 열융착, 접착제로 합지 및 시트 성형에 의한 합지 방법인데 당 발명은 열에의한 합지 및 추가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표면층에 코로나처리를 하여 합지에 대한 한층 더 안정성을 추구하였다.
코로나처리는 약 25,000V의 전압을 필름에 가하여 필름 표면층에 미세한 엠보싱을 주어 각기 다른 수지층이 더욱 더 합지가 잘되로록 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길이, 폭의 인장 및 신장이 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며, 내오존성과 내수성과 내후성이 좋고, 내염수성 및 내알카리성에 우수하며, 시트와 시트 간의 열접착성이 뛰어나 접합부분에서 누수되는 하자가 발생하지 않고,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친환경 시트로, 인공호수, 정원연못, 골프장, 수로, 양어장, 옥상녹화등의 차수 및 쓰레기 매립장의 오폐수 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는 친환경 소재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의 AB층 성형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의 C층 성형 및 AB층 과 C층의 합지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의 부호설명>
1 : 차수막 시트 11 : A층
12 : B층 13 : C층
14 : AB층 15 : 표면 코팅
31 : 호퍼(Hopper) 32a, 32b : 호퍼피더(Hopper Feeder)
33a, 33b : 압출기(Extruder) 331a, 331b : 밴드히터(Band Heater)
332a, 332b : 스크류(Screw) 34 :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성형기
341 : 인플레이션 다이헤드(Inflation Die head) 342 : 공기도입관
343 : 안내판 3431 : 안내롤러
344 : 핀치롤러(Pinch Roller) 345 : 연신롤러
346 : 냉각롤러 347 : 가이드롤러
348 : 권취롤러 41 : 호퍼(Hopper)
42 : 호퍼피더(Hopper Feeder) 43 : 압출기(Extruder)
431 : 밴드히터(Band Heater) 432 : 스크류(Screw)
44 : 티 다이(T-DIE) 수평성형기 45 : 1차 수평합지롤러
46 : 전기 코로나장치 47 : 3차 냉각롤러
48 : 가이드롤러 49 : 권취롤러

Claims (3)

  1. 인공호수, 정원연못, 골프장, 수로, 양어장, 옥상녹화의 방수 및 쓰레기 매립장의 오폐수 방지를 위하여 사용하는 차수막시트(1)에 있어서,
    상기 차수막시트(1)는 물과 직접 접속하는 상층으로서 내오존성, 내수성 및 내후성을 가진 A층(11)과;
    바닥이 되는 하층으로 가교 발포하므로서 비중이 가벼워지고 외부의 충격 및 온도에 따른 수축, 팽창에 적응 능력을 가진 C층(13)과;
    상기 A층(11)과 C층(13)의 중간재로서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높여주며 상기 A층(11)과 C층(13)의 접합성을 높여주는 B층(12)으로 구성되어 3개층(3 Lay)의 시트층으로 형성되며,
    상기 A층(11)과 B층(12)의 합지방식은 길이 방향의 인장율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로 뽑으면서 합지시키는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이고,
    합지된 A·B층(14)과 상기 C층(13)의 합지방식은 폭 방향의 인장 및 신장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평 티 다이(T-Die) 방식으로 성형된 상기 C층(13)을 하부에 두고 그 위에 상기 A·B층(14)이 열이 가해진 수평합지롤러에 의해 합지되는 방식이며,
    상기 A층(11)의 원료 구성비는 메탈로센 엘리트(Metallocene Elite) 20~40 중량%와, EVA(Ethylene Vinyl Acetat) 40~70 중량%와 AO(Anti Oxidant) 0.5~1 중량%와, UV(Ultraviolet)차단제 1~5 중량%와, 카본(Carbon) 10~20 중량%로 구성되고,
    상기 B층(12)의 원료 구성비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95~100 중량%와, AO 0.5~1.0 중량%와 UV(Ultraviolet)차단제 1~5 중량%로 구성되며,
    상기 C층(13)은 EVA(Ethylene Vinyl Acetat) 혹은 PE(Polyethylene) 100 중량%이거나, EVA(Ethylene Vinyl Acetat) 혹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98.0 ~ 99.8 중량%와 아크릴로니트릴 코폴리머(Acrylonitrile Co-Polymer) 0.2 ~2.0 중량%로 구성되는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방식은 상기 A층(11)의 원료와 상기 B층(12)의 원료를 각각의 호퍼(Hopper)(31a, 31b)에 투입하고, 상기 호퍼(Hopper)(31a, 31b)에 투입된 각각의 원료를 각각의 호퍼피더(Hopper Feeder)(32a, 32b)를 이용하여 각각의 압출기(Extruder)(33a, 33b)로 공급하며, 상기 압출기(Extruder)(33a, 33b)에서 원료를 상기 압출기(Extruder)(33a, 33b)에 설치된 밴드히터(Band Heater)(331a, 331b)로 가열하여 수지가공 온도인 170 ~200℃로 상승시키고, 상기 압출기(Extruder)(33a, 33b) 내의 스크류(Screw)(332a, 332b)로 가열된 원료를 전진시키면서 압력을 가하여 상향식 인플레이션(Inflation 2Way) 성형기(34)로 공급하고 공기도입관을 통해 원통 형상의 수지 원료 내로 공기를 불어 넣어, 상승하면서 외측에는 A층(11)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B층(12)이 형성되어, 상기 A층(11)과 B층(12)이 합지되는 방식이며,
    합지된 상기 A·B층(14)과 상기 C층(13)의 합지방식은 상기 C층(13)의 원료를 호퍼(Hopper)(41)에 투입하고, 상기 호퍼(Hopper)(41)에 투입된 원료를 호퍼피더(Hopper Feeder)(42)를 이용하여 압출기(Extruder)(43)로 공급하며, 상기 압출기(Extruder)(43)에서 원료를 상기 압출기(Extruder)(43)에 설치된 밴드히터(Band Heater)(431)로 가열하여 수지가공 온도인 180~220℃로 상승시키고, 상기 압출기(Extruder)(43) 내의 스크류(Screw)(432)로 가열된 원료를 전진시키면서 압력을 가하여 티 다이(T-DIE) 수평성형기(44)로 공급하고, 상기 티 다이(T-DIE) 수평성형기(44)에서 성형되어 나온 상기 C층(13)에 상기 A·B층(14)을 1차 수평합지롤러(45)의 압력으로 합지하고, 1차 합지 후 미세한 부분을 더 안정된 합지를 위하여 600~800℃로 전기 코로나장치(46) 열처리로 2차로 열합지하며, 3차 냉각롤러(47)에서 냉각시켜는 제조 방식이며, 상기 1차 수평합지롤러(45)는 150~220℃로 가열하고 상기 1차 수평합지롤러(45)의 압력은 2~15kg/㎠로 가하여 열압축 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층(11)에 자외선 차단, 난연성(불연성), 유해물질 흡수방지 및 내마모 성을 부가하기 위해 친환경 무기질 도막제로 표면 코팅(15)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KR1020090127704A 2009-12-21 2009-12-21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KR101070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704A KR101070145B1 (ko) 2009-12-21 2009-12-21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704A KR101070145B1 (ko) 2009-12-21 2009-12-21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00A KR20110071200A (ko) 2011-06-29
KR101070145B1 true KR101070145B1 (ko) 2011-10-07

Family

ID=4440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704A KR101070145B1 (ko) 2009-12-21 2009-12-21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1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946B1 (ko) * 2015-11-26 2016-09-28 (주)재인비엔피 콘크리트 수조용 벽체패널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517B1 (ko) 2008-12-17 2009-06-25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접착성 적층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27318B1 (ko) 2009-07-28 2009-11-18 김진영 터널 방수용 친환경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517B1 (ko) 2008-12-17 2009-06-25 주식회사 삼송마그마 접착성 적층필름을 포함하는 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927318B1 (ko) 2009-07-28 2009-11-18 김진영 터널 방수용 친환경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방수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200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1964B2 (en) Roofing membrane
US8105965B2 (en) Roofing underlayment material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US8726611B2 (en) Method of installing a roofing membrane
KR101463721B1 (ko) 방수성과 방근성 및 접착성을 갖춘 다층 복합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20160124897A (ko) 다층 유연성 튜브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476878A (zh) 一种柔韧自粘型热塑性聚烯烃防水卷材及制备方法
US8859102B2 (en) Barrier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EP3873736A1 (en) Foamed sheet comprising tpe and the products resulting therefrom and the process of making the same
EP1243716B1 (en) A membrane, in particular a waterproofing membrane, and a method of producing a membrane, in particular a waterproofing membrane
KR101114961B1 (ko) 다층필름 제조방법
KR101070145B1 (ko) 다층필름을 이용한 차수막시트
KR101518676B1 (ko)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US20020155274A1 (en) Polyolefin film/foam/film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ES2232104T3 (es) Un estratificado elastico empalmable con propiedades de caucho.
CN111152531B (zh) 一种tpo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1397973B1 (ko) 친환경 고압 호스 원단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고압 호스
KR101772485B1 (ko) 방수시트용 무방향 다층무연신필름
TWI670173B (zh) 多層構造及其形成方法
CN107379702A (zh) 一种阻燃防水卷材
KR20160101505A (ko)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자착식 일체형 복합 방수시트
KR101161325B1 (ko) 재활용 폴리에틸렌계 수지를 사용한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터널방수공법
KR101193870B1 (ko) 방오 성능이 우수한 지붕재 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CN205272734U (zh) 一种自粘防水卷材
KR102590223B1 (ko) 수밀성 보강 파이프관
KR20130039523A (ko) 지중매설관 연결용 전기발포융착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