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019B1 -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019B1
KR101070019B1 KR1020030061898A KR20030061898A KR101070019B1 KR 101070019 B1 KR101070019 B1 KR 101070019B1 KR 1020030061898 A KR1020030061898 A KR 1020030061898A KR 20030061898 A KR20030061898 A KR 20030061898A KR 101070019 B1 KR101070019 B1 KR 10107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steel sheet
steel plate
electromagnet
ze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4087A (ko
Inventor
최기락
박형원
홍성근
정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61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0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24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C21D9/564Tension control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25Supports; Baskets; Containers;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연 연속 소둔라인의 내부 보이지 않는 부분에서 강판 절단시, 이 강판 절단을 감지하여 이 단절된 강판을 지지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장력의 영점조정을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한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연속 소둔라인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 각각의 전후방, 하부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석으로 강판과의 접촉을 검출하여 지지하는 강판지지 장치부(100); 상기 복수의 롤중의 구동롤(3)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롤(3)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기(5);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로부터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 신호가 입력되면, 이후 상기 장력검출기(5)로부터의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인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여 기준 장력 이하이면 라인을 정지시키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강판 지지 제어부(200); 및 영점조정시, 상기 구동롤의 좌우 및 하부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한 검출된 강판과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장력검출기(5)의 전방 및 후방롤의 저속 후진 및 전진을 제어하고, 하부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검출시, 상기 장력검출기(5)의 영점조정값을 출력하는 장력영점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30061898
소둔 가열로, 단절 강판, 장력검출기, 강판지지 장치부, 지지 제어부, 영점 제어부

Description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AN APPARATUS FOR CONTROLING THE SUPPORT OF STEEL PLATE AND THE ZERO POINT THE TENSION IN CONTINUOUS ANNEALING LINE}
도 1은 종래 연속 소둔로의 작업속도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a, 2b는 종래 연속 소둔로에서의 강판단절 발생 및 강판단절 지지방법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소둔라인내 단절강판의지지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구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지지 장치부의 전원부 및 스위칭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지지 제어부(200)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영점 제어부(300)의 제어흐름도이다.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단절 및 장력영점 조정을 위한 강판지지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소둔 가열로 2 : 소둔로의 각 섹션
4 :강판 4-1 : 단절 강판
5 : 장력검출기 8 : 속도제어기
100 : 강판지지 장치부 104 : 좌측 마크네트
108 : 좌측 마크네트 강판감지 센서 107 : 절연판
200 : 강판 지지 제어부 300 : 장력영점 제어부
본 발명은 냉연 연속소둔 라인의 가열로 내부에서 단절된 강판의 지지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냉연 연속 소둔라인의 보이지 않는 내부에서 강판 절단시, 이 강판 절단을 감지하여 이 단절된 강판을 지지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장력의 영점조정을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강판의 단절구간의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고, 단절 강판의 복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간코일은 열연코일을 상온에서 냉간압연한 제품으로, 이러한 냉간코일의 표면은 미려하나 냉간압연시 발생한 냉간코일(이하, "강판"이라 함) 내부의 높은 잔류 응력으로 인하여 경도가 매우 높고 또한 연성이 나쁘기 때문에 용도에 맞는 형상을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있는데, 이러한 강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속 소둔로 공정은 냉각 압연된 강판을 가열과 냉각을 반복 실시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재질의 강판을 만들기 위해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공정이다.
도 1은 종래 연속 소둔로의 작업속도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한 연속소둔로(1)는 크게 가열대, 냉각대 섹션(2)으로 구분되는데, 자세히는 예열대(PHS:PREE HEATING SECTION), 가열대(HS1,HS2)(여기서, HS : HEATING SECTION), 균열대(SS), 서냉대(SCS:SLOW COOLING SECTION), 급냉대(RCS:RE COOLING SECTION), 과 시효대(OAS1-OAS3)(여기서, OAS:OVER AGING SECTION), 냉각대(FCS:FINAL COOLING SECTION) 및 수냉대(WCS)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강판(4)이 소둔로의 내부에 설치된 상,하 200여개의 롤을 상하 높이 대략 20m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강판의 두께, 폭 및 재질에 따라 속도 및 온도를 맞추어 연속적으로 열처리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도 1에서 TM은 장력 검출기(TENSION METER)이다.
또한, 종래에는 소둔로를 진행하는 강판의 속도와 장력의 상관 관계에 있어서 상위프로세스(10)에서 강판의 재질, 두께, 폭 및 열처리 온도에 따라 주행속도를 결정하면 설정 장력의 데이터가 유지되도록 장력제어기(6)의 피드백값에 따라 속도제어기(8)에 구동롤(3)의 속도를 입력하고 이때, 속도 제어기는 속도검출기(9)의 피드백값에 기초해서 구동모타(7)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냉연 또는 도금 로에 설치되어 장력검출기(5)는 로 내외부를 주행하는 강판이 로내에서 사행하지 않토록 이송시키기 위해서 강판에 적당한 장력제어가 필수적이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각 섹션(SECTION)(2) 별로 장력검출기가 설치되어 있고, 각 섹션(2)의 장력검출기(5)를 기준으로, 전단 그룹의 구동롤들의 속도는 해당 섹션 장력검출기의 장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속도를 제어하고, 해당 섹션 장력검출기의 후단 그룹 구동롤들의 속도는 후단 장력검출기의 장력 데이터를 기준으로 속도를 제어한다.
도 2a, 2b는 종래 연속 소둔로에서의 강판단절 발생 및 강판단절 지지방법 설명도이다.
도 2a, 2b를 참조하면, 소둔로(1) 내부에서 고속으로 진행되는 강판(4)이 용접불량, 열처리 온도 불량, 쏠림 등 여러 가지 요인으로 강판의 단절이 발생했을 경우,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절강판을 소둔로 하부에 설치된 접지검출센서(11)로 단절을 감지하고 라인을 정지시키고 있다.
그런데, 강판의 단절된 부분을 지지하는 아무런 기능이 없어 강판 단절부(4-1)는 단절된 상태에서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강판의 자중에 의해 계속해서 하부 바닥에 불규칙적으로 쌓이게 되고, 이에 따라 강판이 소둔로(1) 내부에 많이 쌓이면 복구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직접 로 내부에 들어가서 수작업으로 해야 하는데, 소둔로(1)는 열처리 설비이기 때문에 고열 및 가스 취급개소로 불량부를 제거하고 정상적인 작업을 하는데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국내 특허공개공보 2001-64017호에서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를 제시한바 있는데, 이에 대해서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는 연속 소둔로 작업중 연속작업 코일이 설비이상에 의하여 로내에서 단절되었을 때 단절된 코일의 미단부가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로서, 이는 가열로 외부에서 단절된 강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열로 외각에 설치된 단절 강판지지 장치(12)로 단절강판을 지지하고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에서는 단순히 소둔로(1) 외곽에서만 단절코일을 지지하므로, 보이지 않는 가열로 내부에서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국내 출원번호 1998-17732호의 파단 검출제어장치에서는 강판의 단절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정지시켜 파단구간을 축소시키는 장치로, 이 또한 가열로 내부에서 단절된 강판(4-1)이 자중에 의해 흘러내려 하부에 쌓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한편, 장력검출기의 영점조정을 실시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로 내부 구동롤(3)에 걸쳐져 있는 강판(4)을 제거 해야함으로, 라인의 정지시켜 소둔로(1) 온도를 상온의 온도까지 하락시킨 후 소둔로(FURNACE) 벙(BUNGS)을 오픈하여 로내의 HN개스를 대기로 치환한 후 강판을 짤라 제거하고 구동롤(3) 에 강판(4)이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장력검출기 영점 조정을 실시해야 함으로 과다한 시간이 소요(약 24시간)되고 강판의 제거 과정중 개스질식 및 추락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냉연 연속 소둔라인의 보이지 않는 내부에서 강판 절단시, 이 강판 절단을 감지하여 이 단절된 강판을 지지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장력의 영점조정을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강판의 단절구간의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고, 단절 강판의 복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는
장력의 영점조정값, 장력검출값 및 속도검출값에 기초하는 상위 프로세서에 의해서 제어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소둔라인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 각각의 전후방 및 상기 복수의 롤중 구동롤의 하부에 전자석을 소정간격 이격시켜 각각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석중 적어도 하나와 강판과의 접촉을 검출하고, 전원 입력시 전자석의 전자력으로 강판을 지지하는 강판지지 장치부;
상기 복수의 롤중의 구동롤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롤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기;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로부터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 신호가 입력되면 강판의 단절로 판단하고, 이후 상기 장력검출기로부터의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인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다가, 상기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이면 라인을 정지시키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의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강판 지지 제어부; 및
영점조정시, 상기 구동롤의 좌우 및 하부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에 의한 검출되는 상기 구동롤의 좌우측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장력검출기의 전방 및 후방롤의 저속 후진 및 전진을 제어하면서,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에 의해 상기 하부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검출시, 상기 장력검출기의 영점조정값을 상기 상위 프로세서에 출력하는 장력영점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참조된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요소들 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소둔라인내 단절강판의지지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는 장력의 영점조정값, 장력검출값 및 속도검출값에 기초하는 상위 프로세서(1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로서, 이는 강판지지 장치부(100), 강판 지지 제어부(200) 및 영점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는 상기 연속 소둔라인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 각각의 전후방 및 상기 복수의 롤중 구동롤의 하부에 전자석을 소정간격 이격시켜 각각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석중 적어도 하나와 강판과의 접촉을 검출하고, 전원 입력시 전자석의 전자력으로 강판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자석이란 입력전원을 공급하면 이 입력전원에 상응하는 전자력에 의해 강판을 붙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는 상기 복수의 롤중의 구동롤(3)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롤(3)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기(5)와,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로부터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 신호가 입력되면 강판의 단절로 판단하고, 이후 상기 장력검출기(5)로부터의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인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다가, 상기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이면 라인을 정지시키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장력영점 제어부(300)는 영점조정시, 상기 구동롤의 좌우 및 하부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한 검출되는 상기 구동롤의 좌우측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장력검출기(5)의 전방 및 후방롤의 저속 후진 및 전진을 제어하면서,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해 상기 하부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검출시, 상기 장력검출기(5)의 영점조정값을 상기 상위 프로세서(10)에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구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지지 장치부의 전원부 및 스위칭부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소둔로의 바닥면 상의 절연판(10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롤중 구동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전자석(106)와, 상기 절연판(10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각 롤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설치된 좌우측 전자석(104,105)과, 상기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좌측 전자석(104)에 연결되어, 전기적으 로 접지에 해당되는 강판과 상기 좌측 전자석(104)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좌측접촉 감지센서(108)와, 상기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우측 전자석(105)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지에 해당되는 강판과 상기 우측 전자석(105)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우측접촉 감지센서(109)와, 상기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하부 전자석(106)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지에 해당되는 강판과 상기 하부 전자석(106)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하부접촉 감지센서(110)와,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 또는 장력영점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해당 전자석로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207-304)를 포함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상기 절연판(107)은 소둔로(1) 내부에서 소둔로의 바닥에 고정되어, 좌측,우측 및 하부 마그네트(104,105,106)를 전자석과 구동롤간의 전기적인 절연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및 하부접촉 감지센서(108,109.110)는 통상의 릴레이로서, 전자석에 전원라인 한선이 연결되고, 대지 또는 구동롤에 다른 한쪽 전원이 연결되어, 강판이 단절되어 전자석에 접촉되면 강판, 전자석, 릴레이, 대지(구동롤), 강판의 순으로 폐회로 루프가 형성되어 상기 릴레이가 동작되고, 이때,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을 의미하는 상기 릴레이의 접점신호를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위칭부는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해당 전자석로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207-209)와, 상기 장력영점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해당 전자석로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302-304)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지지 제어부(200)의 제어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영점 제어부(300)의 제어흐름도이며,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단절 및 장력영점 조정을 위한 강판지지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는 장력의 영점조정값, 장력검출값 및 속도검출값에 기초하는 상위 프로세서(1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의 지지를 제어하고, 또한 장력영점을 제어하는데, 이에 대해서 하기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강판지지 장치부(100)는 상기 연속 소둔라인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 각각의 전후방 및 상기 복수의 롤중 구동롤의 하부에 설치된 전자석을 포함하는데, 상기 복수의 전자석중 적어도 하나와 강판과의 접촉을 검출하여 강판 지지 제어부(200)로 접촉신호를 출력한다(S61-S63).
즉, 연속 소둔라인의 정상운전중에 강판의 단절이 발생되면, 강판의 장력은 제로가 되어 자중에 의해 강판은 하부로 추락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도 상기 연속 소둔라인은 계속 가동되는데, 이때의 단절 강판은 구동롤(3) 주위에 설치된 전자석(104,105,106)에 접촉되고, 절연판으로 절연되어 설치된 전자석은 강판과의 접촉에 의해서 접지되어, 전원부와 전자석에 연결된 접촉 감지센소(108,109,110), 즉 릴레이(RY1,RY2,RY3)가 동작하여 코일 단절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장력검출기(5)는 상기 복수의 롤중의 구동롤(3)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롤(3)의 장력을 검출하여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로 장력검출값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는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로부터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 신호가 입력되면 강판의 단절로 판단하고, 이후 상기 장력검출기(5)로부터의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인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다가, 상기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이면(S64) 라인을 정지시키고(S65),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S66,S67).
즉, 좌측접촉 감지센서(108), 또는 우측접촉 감지센서(109), 하부접촉 감지센서(110)에 의한 접촉신호가 입력되면, 이때,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는 강판 이 단절되어 강판의 자중보다 적은 장력검출기의 설정 장력보다 30%보다 낮게 되면 라인 정지를 출력한다.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에서의 기준 장력은 사전에 설정된 정상 장력보다 대략 30% 낮게 설정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장력검출기의 기준 장력은 하기와 같이 구해질 수 있다.
먼저, 강판의 중량(L(m))은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3033241437-pat00001

여기서, L(kg)은 중량, t는 두께 (mm), w는 폭(mm), R은 철의 비중(7.85 상수), L은 롤의 양측으로의 강판길이이다.
예를 들어, 작업소재의 사이즈가 "1.0 t* 1000w"일 경우, 장력 설정치는 통상 900kg이고, "1.0 t* 1000 w" 사이즈의 강판 작업시 상부롤(한쪽 높이20m * 2)에 걸리는 강판의 무게는 314kg(=1.0 X 1000 X 7.85 X 40) ÷1000)가 되는데, 이와같이 설정장력이 900kg일 경우에 구동롤에 걸리는 강판의 자중은 314kg이므로, 단절 강판상부와 하부롤을 통과 할때는 강판의 자중은 314kg 범위 내에서 장력이 변동되므로 설정 장력의 30%(204)이하 일 때 강판의 단절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스위칭부의 스위치(207,208,209)를 온으로 제어하여 상기 구동롤의 좌측, 우측, 하부 전자석(104,105,106)에 전원을 공급하여 이 전자석의 전자력으로 상기 단절된 강판이 흘러 내리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면, 해당 전자석의 전자력에 의해서, 상기 단절된 강판이 전자력에 달라붙게 되어 단절된 강판이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도 3 내지 도 5,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연속 소둔라인의 장력에 대한 영점조정 제어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력영점 제어부(300)는 영점조정시, 상기 구동롤의 좌우 및 하부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는데, 즉, 장력검출기의 영점 조정에 있어서, 상기 장력검출기의 영점 조정을 시작하면, 상기 장력영점 제어부(300)는 스위칭부의 스위치(302,303,304)를 온시켜 상기 구동롤(3) 주위에 설치된 전자석(104,105,106)에 전원을 인가하여 이 전자석의 전자력으로 강판을 부착할 준비를 한다(S71).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복수의 전자석중 적어도 하나와 강판과의 접촉을 검출하여 장력영점 제어부(300)로 접촉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장력영점 제어부(300)는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한 검출되는 상기 구동롤의 좌우측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장력검출기(5)의 전방 및 후방롤의 저속 후진 및 전진을 제어하는데, 즉, 상기 구동롤에서 강판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장력검출기의 전방롤 저속 후진을 명령하고(S72) 상기 장력검출기(5)의 구동롤(3)의 좌측에 감겨 있는 강판은 구동롤에서 분리되고, 이때, 좌측접촉 감지센서가 강판접촉이 감지하면(S73) 전방롤 구동을 정지시킨다(S74). 또한, 구동롤(3)의 우측에 감겨 있는 강판을 구동롤에서 분리하기 위해, 상기 장력검출기의 후방롤을 저속 전진을 명령하고(S75), 우측접촉 감지센서에 의해 강판접촉이 감지되면(S76) 후방롤 구동을 정지한다(S77).
다음으로,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해 상기 하부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검출시(S78), 상기 장력검출기(5)의 영점조정값을 상기 상위 프로세서(10)에 출력하여 장력영점 조정을 제어한다(S79). 즉, 상기와 같이 전방롤을 후진하고 후방롤을 전진해도 강판의 루프가 부족해서 하측접촉 감지센서에 의한 강판접촉이 감지되지 않으면 전술한 과정과 같이 다시 한번 후방롤 저속 전진하고, 하측접촉 감지센서에 의해 강판접촉이 감지되면 상기 장력검출기의 자동 영점조정값을 상위 프로세스로 출력하여, 이 상위 프로세서에서는 장력검출기를 영점조정 한다.
다른 한편, 도 8a,8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단절 및 장력영점 조정을 위한 강판지지 예시도로서,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둔로 내부에서 강판의 단절이 발 생되면 단절된 강판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고, 도 8b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둔로 내부에 설치된 장력검출기의 영점 조정시에 강판을 짤라내지 않고 전발롤을 후진하고 후방롤을 전진하여 루프를 발생시키고 전자석으로 구동롤과 강판을 보다 확실하게 분리시켜 영점 조정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냉연 연속소둔 라인의 가열로 내부에서 단절된 강판의 지지 제어장치에서, 냉연 연속 소둔라인의 보이지 않는 내부에서 강판 절단시, 이 강판 절단을 감지하여 이 단절된 강판을 지지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장력의 영점조정을 용이하게 제어하도록 함으로서, 강판의 단절구간의 범위를 축소시킬 수 있고, 단절 강판의 복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른 효과는 생산라인이 장기간 정지되어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강판의 단절 복구 작업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 재해를 예방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본 발명에 대한 상술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부터 그 구성의 다양한 변경 및 개조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장력의 영점조정값, 장력검출값 및 속도검출값에 기초하는 상위 프로세서(10)에 의해서 제어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속 소둔라인의 하부에 설치된 복수의 롤 각각의 전후방 및 상기 복수의 롤중 구동롤의 하부에 전자석을 소정간격 이격시켜 각각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전자석중 적어도 하나와 강판과의 접촉을 검출하고, 전원 입력시 전자석의 전자력으로 강판을 지지하는 강판지지 장치부(100);
    상기 복수의 롤중의 구동롤(3)을 하부에서 지지하면서 상기 구동롤(3)의 장력을 검출하는 장력검출기(5);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로부터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 신호가 입력되면 강판의 단절로 판단하고, 이후 상기 장력검출기(5)로부터의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인지를 반복적으로 판단하다가, 상기 장력검출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장력 이하이면 라인을 정지시키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의 복수의 전자석으로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강판 지지 제어부(200); 및
    영점조정시, 상기 구동롤의 좌우 및 하부 전자석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한 검출되는 상기 구동롤의 좌우측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상태에 따라, 상기 장력검출기(5)의 전방 및 후방롤의 저속 후진 및 전진을 제어하면서,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에 의해 상기 하부 전자석과 강판과의 접촉검 출시, 상기 장력검출기(5)의 영점조정값을 상기 상위 프로세서(10)에 출력하는 장력영점 제어부(300)
    를 포함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지지 장치부(100)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소둔로의 바닥면 상의 절연판(10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복수의 롤중 구동롤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전자석(106);
    상기 절연판(10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각 롤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설치된 좌우측 전자석(104,105);
    상기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좌측 전자석(104)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지에 해당되는 강판과 상기 좌측 전자석(104)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좌측접촉 감지센서(108);
    상기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우측 전자석(105)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지에 해당되는 강판과 상기 우측 전자석(105)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우측접촉 감지센서(109);
    상기 전원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하부 전자석(106)에 연결되어, 전기적으로 접지에 해당되는 강판과 상기 하부 전자석(106)과의 접촉을 검출하는 하부접촉 감지센서(110); 및
    상기 강판 지지 제어부(200) 또는 장력영점 제어부(300)의 제어에 따라 스위칭온되어,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해당 전자석으로 공급하는 복수의 스위치(207-304)를 포함하는 스위칭부
    를 포함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지지 제어부(200)에서의 기준 장력은
    사전에 설정된 정상 장력보다 30% 낮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 제어 장치.
KR1020030061898A 2003-09-04 2003-09-04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KR101070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98A KR101070019B1 (ko) 2003-09-04 2003-09-04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898A KR101070019B1 (ko) 2003-09-04 2003-09-04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87A KR20050024087A (ko) 2005-03-10
KR101070019B1 true KR101070019B1 (ko) 2011-10-04

Family

ID=3723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898A KR101070019B1 (ko) 2003-09-04 2003-09-04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0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76352B (zh) * 2011-05-12 2014-08-27 上海宝信软件股份有限公司 连退炉停机后带钢回送控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087A (ko)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86149B2 (ja) 鋳造圧延によりストリップ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EP0031013A1 (en) Steel strip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KR101070019B1 (ko) 연속 소둔라인 내부의 단절강판 지지 제어 및 장력영점제어 장치
EP3238844B1 (en) Continuous casting rolling method
CN101528373A (zh) 热轧装置
JPH11169903A (ja) 熱間圧延設備列及び熱延鋼帯の圧延方法
US5415381A (en) Steel bar and billet heating system located upstream of shears for further processing
KR100758242B1 (ko) 연속 소둔로 내부의 스트립 파단 검출방법 및 장치
KR101220561B1 (ko) 불량재 처리 장치
CN218115538U (zh) 钢坯头部动态加热装置及钢坯加热设备
KR100479999B1 (ko) 소둔로내 단절코일 지지장치
JPH08132168A (ja) 鍛造素材の加熱装置
US5772719A (en) System for detecting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a burner during the annealing process of a glass sheet
KR100563261B1 (ko) 변형된 열연강편 슬래브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1411847B1 (ko) 연원료 이송장치
JP6065489B2 (ja) 鋳片搬送設備、及び鋳片搬送方法
JP2000003779A (ja) 誘導加熱装置
KR100321037B1 (ko) 열간압연대기재 온도편차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014069236A (ja) 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JP2000273534A (ja) 堅型誘導加熱炉におけるスラブ支持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431794B1 (ko) 냉각상의 이동 그리드 제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59067B1 (ko) 소재 가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재 가열 시스템
JP5114745B2 (ja) 熱間圧延設備における鋼材の搬送制御装置及び方法
KR20120061430A (ko) 소둔롤 교체 장치
JPH0832931B2 (ja) 竪形連続熱処理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