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9427B1 - 커넥터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9427B1
KR101069427B1 KR1020090092994A KR20090092994A KR101069427B1 KR 101069427 B1 KR101069427 B1 KR 101069427B1 KR 1020090092994 A KR1020090092994 A KR 1020090092994A KR 20090092994 A KR20090092994 A KR 20090092994A KR 101069427 B1 KR101069427 B1 KR 101069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measuring
measurement
connection los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5332A (ko
Inventor
허상휴
김철영
Original Assignee
포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미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942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9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94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1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with a light emitter and a light receiver being disposed at the same side of a fibre or waveguide end-face, e.g. reflectometers
    • G01M11/3109Reflectometers detecting the back-scattered light in the time-domain, e.g. OTDR
    • G01M11/3154Details of the opto-mechanical connection, e.g. connector or repe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30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 G01M11/35Testing of optical devices, constituted by fibre optics or optical waveguides in which light is transversely coupled into or out of the fibre or waveguide, e.g. using integrating sphe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커넥터 제작 공정 중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 양품 유무 검사와 더불어 커넥터 정렬키와 일치시키게 될 페룰의 저 접속손실 방향을 찾아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커넥터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는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고정페룰이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페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측정용페룰과, 상기 측정용페룰과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광의 접속손실을 측정하는 접속손실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페룰의 회전에 따른 광의 접속손실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회전시키는 페룰회전구동부와, 상기 측정용페룰과 고정페룰이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고정페룰측으로 진퇴시키는 스테이지구동부 및 상기 측정용페룰에 상기 접속손실 측정부에 측정된 접속손실이 적은 방향을 표시하는 마킹부를 구비한다.
광섬유 커넥터, 접속손실

Description

커넥터 마킹장치 {Connector mark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넥터 마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광커넥터 제작 공정 중 조립이 이루어지기 전에 양품 유무 검사와 더불어 커넥터 정렬키와 일치시키게 될 페룰의 저 접속손실 방향을 찾아 이를 표시할 수 있는 커넥터 마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의 기본 구조는 정밀페룰에서 광섬유를 삽입, 고정하고 광섬유 단면을 페룰과 함께 연마한 후, 매우 정밀하게 가공된 슬리브내에 두 광섬유의 단면을 페룰을 통해 정확히 정렬시켜 광신호를 전달한다. 두개의 동일한 광섬유 사이에 이상적인 접속형태는 광도파 매체의 완전한 연속성을 보장하여 광신호의 손실이 없는 완전한 전달을 의미한다.
만약, 광커넥터의 접속구조를 이루는 각구성품(예로서, 페룰, 슬리브, 광섬유 등)이 기하학적으로 완벽하게 제작 조립될 수 있다면 광커넥터의 접속손실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접속은 여러가지 불완전한 접속요인으로 말미암아 접속부위에서 광신호의 손실이 야기시킨다.
이러한 광섬유 접속에서 접속손실을 야기시키는 요인을 크게 두가지로 분류 하면 2차 비정렬요인(Extrinsic Misalignment)과 고유 비정렬요인(Intrinsic Misalignment)으로 나눌수 있다. 그런데 고유 비정렬요인을 줄이기는 매우 힘들다. 그러므로 우수한 접속손실 특성을 갖는 광커넥터를 개발, 생산하기 위해서는 2차 비정렬용인을 최대한 줄이려는 방향으로 집중되고 있다.
상기 2차 비정렬요인으로 그 첫째는 두 광섬유 양끝단 사이의 간격 비정렬요인(Gap Misalnment), 둘째는 두 광섬유의 상대적 축어긋남 비정렬요인(Lateral Misaligment), 셋째는 두 광섬유의 구부러짐 비정렬요인(Angular Misalignment)으로 구분되는데, 단일모드 광섬유 접속시 접속손실은 상기 3가지 비정렬요인중 축어긋남 비정렬요인에 가장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즉, 일정한 수준 이상의 특성을 유지하는 광커넥터의 개발 및 생산은 상호 트레이드 오프(Trade-off)로 나타나는 축 어긋남요인을 중심으로한 2차 비정렬요인 간의 적절한 제어로 가능할 것이다.
광커넥터의 접속 손실의 향상을 위해 무한정 구성품의 정밀도만 높인다면 제품의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게 되어 상용화에 어려움이 많아질 것이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으로 구성품들을 이용하여 우수한 접속손실을 나타낼 수 있는 조립기술 및 장치 개발에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특히 SC형 광커넥터의 경우 슬리브내에서 페룰과 함께 접속되는 광섬유의 중심을 임의의 조립형태로 두지 않고 이를 적절히 회전조정(Adjustment)함으로써,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음을 밝혀 내었다.
따라서 회전조정을 통해 저 접속손실 방향을 표시해 둘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광커넥터 제작 공정 중 조립 공정이 일어지기 전에 양품 유무 검사와 더불어 커넥터 정렬키와 일치시키게 될 페룰의 저 접속손실 방향을찾을 수 있는 커넥터 마킹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는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고정페룰이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페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측정용페룰과, 상기 측정용페룰과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광의 접속손실을 측정하는 접속손실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페룰의 회전에 따른 광의 접속손실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회전시키는 페룰회전구동부와, 상기 측정용페룰과 고정페룰이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고정페룰측으로 진퇴시키는 스테이지구동부 및 상기 측정용페룰에 상기 접속손실 측정부에 측정된 접속손실이 적은 방향을 표시하는 마킹부를 구비한다.
상기 측정용페룰은 광섬유를 지지하는 페룰부재와, 페룰부재의 단부에 상기 페룰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재와, 상기 확장부재의 후단에 상기 확장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단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페룰회전구동부는 상기 측정용페룰의 확장부재와 단차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페룰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페룰체결홈에 삽입된 측정용페룰의 광섬유와 광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달부가 마련되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치와,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테이지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삽입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정용페룰을 지지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스크류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마킹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에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측정용페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측정용페룰에 접속손실이 적은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는 페룰의 저 접속손실 방향을 용이하게 확인 및 표시할 수 있어 접속에 따른 효율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10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은 커넥터 마킹장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일부분을 발췌하여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이며, 도 3은 고정부(110)와 측정용페룰(130)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커넥터 마킹장치(100)는 광섬유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접속손실이 작아지는 접속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정부(110)와, 광원부(120), 측정용페룰(130), 접속손실 측정부(140), 페룰회전구동부(150), 스테이지구동부(160) 및 마킹부(170)를 포함한다.
고정부(110)는 베이스판(10)의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용하우징(111)과, 고정용하우징(111)의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페룰(113)을 포함한다.
고정용하우징(111)은 베이스판(10)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114)에 지지되어 있으며, 전단부에는 상기 고정페룰(113)을 향해 인입된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페룰(113)에는 광섬유가 지지되어 있다.
광원부(120)는 상기 고정페룰(113)과 광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광섬유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측정용페룰(130)과 고정부(110) 사이에서의 광의 전달에 따른 접속손실을 측정하기 위한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광원부(120)는 파장이 1310nm인 레이저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측정용페룰(130)과 고정페룰(113) 사이의 광의 접속손실량을 용이하 게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파장의 광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용페룰(130)은 고정페룰(113)의 광섬유와 연결되는 광섬유가 내장되어 있는 페룰부재(131)와, 페룰부재(131)의 단부에 형성된 확장부재(132)와, 확장부재(132)의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재(133)를 포함하며, 상기 페룰부재(131)가 삽입홈(112)을 통해 고정용하우징(111)의 내부로 삽입되어 고정페룰(113)과 접하게 된다.
확장부재(132)는 페룰부재(131)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단차부재(133)는 확장부재(132)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페룰부재(131)의 단부로부터 확장부재(132)와 단차부재(133)가 단차진 상태로 연장되며, 이는 후술하는 회전체(151)의 페룰체결홈(152)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접속손실 측정부(140)는 상기 광원부(120)로부터 조사된 레이저 광원이 고정페룰(113)과 측정용페룰(13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의 접속손실량을 측정하는 것으로, 전달된 광을 수신하는 포토다이오드(141)와, 수신된 광량을 통해 접속손실을 계산하는 연산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용페룰(130)의 페룰부재(131)를 삽입홈(112)을 통해 고정용하우징(111)에 삽입하여 고정페룰(113)과 측정용페룰(130)을 연결하였을 때, 각각의 페룰에 지지되어 있는 광섬유들이 광의 전달이 용이하도록 연결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연마상태를 비롯한 여러 이유로 접속부분에서 접속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접속손실은 고정페룰(113)에 대한 측정용페룰(130)의 접속방향에 따 라 달라지므로, 고정된 고정페룰(113)에 대하여 측정용페룰(130)을 회전시키면서 접속방향을 달리하면 접속손실량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페룰회전구동부(150)를 통해 측정용페룰(130)을 회전시켜 측정용페룰(130)과 고정페룰(113)의 접속방향을 변화시킴과 동시에 각각의 접속위치에 따른 접속손실량을 측정하여 접속손실이 최소가 되는 접속방향을 찾는다.
페룰회전구동부(150)는 상술한 것처럼 고정페룰(113)에 대하여 측정용페룰(130)의 접속방향을 회전을 통해 변화시키기 위한 것인데, 측정용페룰(1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페룰체결홈(152)이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151)가 회전브라켓(1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회전브라켓(154)은 후술하는 이동플레이트(162)에 고정되어 이동플레이트(162)와 함께 진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151)에는 페룰체결홈(152)에 체결된 측정용페룰(130)과 광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전달부(153)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전달부(153)로부터 연장되는 광섬유가 상기 포토다이오드(141)와 연결되어 광을 전달하게 된다.
회전체(151)의 일측 단부에는 외주면을 원주방향을 따라 감싸는 기어치(155)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치(155)는 구동기어(156)와 치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기어(156)는 회전모터(157)에 장착되어 회전모터(157)의 구동에 의해 회전체(151)를 회전시키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157)가 구동하여 회전체(151)가 회전이 이루어지면서 각각의 접속방향에 따른 접속손실의 차이를 접속손실 측정부(140)에서 측정한다.
스테이지구동부(160)는 측정용페룰(130)을 고정페룰(113)과 결합 또는 분리시키도록 진퇴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테이지구동부(160)는 베이스판(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61)과, 가이드레일(161)에 지지되는 이동플레이트(162)와, 베이스판(10)에 설치된 이동모터(163)와, 이동모터(163)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스크류(164)와, 이동플레이트(162)에 고정되고 회전스크류(164)와 나사결합되는 체결브라켓(165)을 포함한다.
가이드레일(161)은 측정용페룰(130)이 삽입홈(112)으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방향 즉, 삽입홈(112)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한쌍이 연장되어 있으며, 더브테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동플레이트(162)는 상기 회전체(151)를 지지하기 위한 회전브라켓(154)이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레일(161)을 따라 진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161)에 결합되어 있다.
이동모터(163)는 베이스판(10)에 설치되어 회전스크류(164)를 정역회전 구동하며, 회전스크류(164)는 가이드레일(161)의 사이에서 가이드레일(161)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체결브라켓(165)은 이동플레이트(16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고 회전스크류(164)와 나사결합됨으로써 회전스크류(16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체결브라켓(165)에 의해 이동플레이트(162)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이동플레이트(162)의 진퇴에 의해 측정용페룰(130)이 고정용하우징(111)의 삽입홈(112)에 삽입되어 고정페룰(113)과 접속되거나 반대로 고정용하우징(111)으로부터 인출되어 분리된다.
상기 마킹부(170)는 측정용페룰(130)에 접속손실이 최소가 되는 접속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마킹부(170)는 베이스판(10)에 지지되어 상기 측정용페룰(130)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171)과, 이 프레임(171)에 지지되는 액튜에이터(172)와, 액튜에이터(172)에 의해 하강 및 승강되는 표시부재(173)를 포함한다.
액튜에이터(172)는 일반적인 유압실린더 또는 공압실린더가 적용될 수 있으며, 모터와 스크류에 의해 하강 및 승강이 이루어지는 기계식 승강장치가 적용될 수도 있다.
표시부재(173)는 측정용페룰(130)의 외주면에 접속방향을 표시하기 위한 마킹을 하는 것인데, 액튜에이터(172)에 의해 하강하면서 측정용페룰(130)의 외주면에 마킹을 하게 된다.
상술한 것처럼 측정용페룰(130)을 회전시키면서 접속방향에 따른 접속손실량을 측정하면, 접속손실이 최소가 되는 접속방향을 알 수 있으며, 그 접속방향 상태로 측정용페룰(130)을 고정한 뒤 마킹부(170)를 통해 접속방향을 표시하게 된다.
이렇게 측정용페룰(130)에 접속방향이 표시가 되므로 후에 측정용페룰(130)을 광섬유의 연결에 직접 사용할 때, 마킹부(170)에 의해 표시된 마킹표시가 상방을 향하도록 접속방향을 설정함으로써 광섬유의 연결시 접속손실이 최소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100)는 측정용페룰(1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접속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각각의 접속방향 에 대한 접속손실을 객관적으로 비교 분석함으로써 접속손실이 최소가 되는 접속방향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마킹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 마킹장치의 일 부분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정용페룰과 고정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커넥터 마킹장치
110; 고정부
120; 광원부
130; 측정용페룰
140; 접속손실 측정부
150; 페룰회전구동부
160; 스테이지구동부
170; 마킹부

Claims (4)

  1. 삭제
  2.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고정페룰이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페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측정용페룰과;
    상기 측정용페룰과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광의 접속손실을 측정하는 접속손실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페룰의 회전에 따른 광의 접속손실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회전시키는 페룰회전구동부와;
    상기 측정용페룰과 고정페룰이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고정페룰측으로 진퇴시키는 스테이지구동부; 및
    상기 측정용페룰에 상기 접속손실 측정부에 측정된 접속손실이 적은 방향을 표시하는 마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정용페룰은 광섬유를 지지하는 페룰부재와, 페룰부재의 단부에 상기 페룰부재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확장부재와, 상기 확장부재의 후단에 상기 확장부재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단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페룰회전구동부는 상기 측정용페룰의 확장부재와 단차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페룰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페룰체결홈에 삽입된 측정용페룰의 광섬유와 광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전달부가 마련되며, 회전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기어치와, 상기 기어치와 치합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를 회전구동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마킹장치.
  3. 베이스판에 고정되며, 고정페룰이 설치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페룰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부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페룰과 연결되는 측정용페룰과;
    상기 측정용페룰과 연결되어 상기 광원부를 통해 공급되는 광의 접속손실을 측정하는 접속손실 측정부와;
    상기 측정용페룰의 회전에 따른 광의 접속손실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회전시키는 페룰회전구동부와;
    상기 측정용페룰과 고정페룰이 결합 또는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측정용페룰을 고정페룰측으로 진퇴시키는 스테이지구동부; 및
    상기 측정용페룰에 상기 접속손실 측정부에 측정된 접속손실이 적은 방향을 표시하는 마킹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테이지구동부는 상기 베이스판에 상기 삽입홈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측정용페룰을 지지하는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된 이동모터와,
    상기 이동모터에 의해 정역회전하며 상기 가이드레일의 사이에서 상기 가이드레일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스크류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이동플레이트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게 하는 체결브라켓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마킹장치.
  4. 제 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액튜에이터에 설치되어 하강시 상기 측정용페룰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측정용페룰에 접속손실이 적은 방향을 표시하는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마킹장치.
KR1020090092994A 2009-09-30 2009-09-30 커넥터 마킹장치 KR1010694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994A KR101069427B1 (ko) 2009-09-30 2009-09-30 커넥터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994A KR101069427B1 (ko) 2009-09-30 2009-09-30 커넥터 마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332A KR20110035332A (ko) 2011-04-06
KR101069427B1 true KR101069427B1 (ko) 2011-09-30

Family

ID=4404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994A KR101069427B1 (ko) 2009-09-30 2009-09-30 커넥터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94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65B1 (ko) 2013-04-01 2014-10-01 포미주식회사 페룰 저 손실점 측정용 다중 채널 회전장치
KR20190066097A (ko) * 2017-12-04 2019-06-13 김진환 암수 결합을 위한 가동 스테이지
KR20210115447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아원기술 광섬유 분광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85A (ko) * 1993-09-13 1995-04-26 양승택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JP2002107264A (ja) * 2000-09-29 2002-04-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の偏心測定装置及び偏心測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185A (ko) * 1993-09-13 1995-04-26 양승택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KR960007887B1 (ko) * 1993-09-13 1996-06-15 양승택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JP2002107264A (ja) * 2000-09-29 2002-04-10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コネクタの偏心測定装置及び偏心測定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765B1 (ko) 2013-04-01 2014-10-01 포미주식회사 페룰 저 손실점 측정용 다중 채널 회전장치
KR20190066097A (ko) * 2017-12-04 2019-06-13 김진환 암수 결합을 위한 가동 스테이지
KR102135968B1 (ko) * 2017-12-04 2020-07-20 김진환 암수 결합을 위한 가동 스테이지
KR20210115447A (ko) * 2020-03-13 2021-09-27 주식회사 아원기술 광섬유 분광기
KR102326026B1 (ko) * 2020-03-13 2021-11-12 주식회사 아원기술 광섬유 분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332A (ko)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5535B2 (en) Glass-based ferrules and optical interconnection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1069427B1 (ko) 커넥터 마킹장치
US20110164255A1 (en) Rotation Optical Fiber Unit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0506425A (ja) 光ロータリージョイント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08003044A (ja) タイヤ形状測定装置
JP2013238692A (ja) マルチコアファイバコネクタの製造方法、マルチコアファイバの回転装置
JP2019511010A (ja) マルチチャネル光ファイバ回転接合器
JP2015522181A (ja) 光ファイバー・クリーブ機構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2791722A1 (en) Ferrule with encapsulated protruding fibers
US8141607B2 (en) Optical component lens assembling apparatus
KR101446765B1 (ko) 페룰 저 손실점 측정용 다중 채널 회전장치
JP2014026108A (ja) 光部品の光軸調整方法及び光軸調整装置
US4659175A (en) Fiber waveguide coupling device
JP6438374B2 (ja) 光ファイバ側方入出力器及び光ファイバ側方入出力方法
JP5156979B2 (ja) 光ファイバーカプラーに光ファイバーを取り付ける方法
WO2004063671A3 (en) Optical encoder with cylindrical light guide
CN1239943C (zh) 用于提供偏振光的装置
US8229269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ttenuating and measuring light passed through a launch multimode fiber
JP4713346B2 (ja) 光部品の調心装置、光部品の製造方法
CN113866889B (zh) 光纤光路切换装置及基于该装置的光纤光路切换方法
CN218497190U (zh) 一种保偏熔接机调芯及推进一体装置
JP2002103105A (ja) レンズ枠の加工装置
CN212872971U (zh) 用于准直器安装的自动耦光点胶系统
CN114924354B (zh) 一种多芯光纤的对准方法
CN117170035A (zh) 保偏光纤对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