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7887B1 -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7887B1
KR960007887B1 KR1019930018370A KR930018370A KR960007887B1 KR 960007887 B1 KR960007887 B1 KR 960007887B1 KR 1019930018370 A KR1019930018370 A KR 1019930018370A KR 930018370 A KR930018370 A KR 930018370A KR 960007887 B1 KR960007887 B1 KR 96000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rule
optical fiber
marking
optical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8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185A (ko
Inventor
전오곤
정명영
안승호
최태구
Original Assignee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30018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7887B1/ko
Publication of KR95001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조절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외선카메라 2 : 광학계
3 : 회전부 4 : 마킹부
4a : 마킹치구 5 : 카메라컨트롤러
6 : 마킹부 7 : 광섬유 결합기
8 : 모니터 9 : 화상처리 전용기판
10 : 제어부 11 : 케이블
12 : 모니터 조절기 13 : 페룰수직 조절기
14 : 페룰수평 조절기 15 : 페룰
16 : 페룰 어댑터 17 : 챔버
17a : 광원부홀 17b : 회전부홀
17c : 모니터홀 18 : 개폐판
본 발명은 두 광섬유의 단면을 페룰을 통해 정확히 정렬시켜 광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를 생산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컴팩트화 시켜 단일모드로 형성한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커넥터는 정밀페룰에 광섬유를 삽입, 고정하고 광섬유 단면을 페룰과 함께 연마한 후, 매우 정밀하게 가공된 슬리브내에서 두 광섬유의 단면을 페룰을 통해 정확히 정렬시켜 광신호를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광커넥터의 실제 접속은 2차 비정렬요인(Extrinsc Misalignment)과 고유 비정렬요인(Intrinisic Misalignment)에 의해 접속부위에서 광신호의 손실이 야기되었는데, 싱기 고유비정렬요인은 대부분 광섬유 자체의 기하학적 불완전 요인으로서 광커넥터 특성향상을 위해 고유비정렬요인을 줄이기는 매우 어려우며, 우수한 접속손실 특성을 갖는 광커넥터의 개발, 생산하기 위해서는 2차 비정렬요인을 최대한 줄이려고 하는 방향으로 그 연구가 집중되고 있다.
따라서, 본원출원인에 의해 기출원된 제92-14232호와, 제92-26076호에 의해 상기 비정렬요인을 최대한 배제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슬리브내에서 페룰과 함께 접속되는 광섬유의 중심을 임의의 조립형태로 두지 않고 이를 적절히 회전조립함으로서 상기 구성품(광섬유, 페룰, 슬리브등)들의 가공정밀도의 향상없이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의 저접속 손실을 위한 조립시스템의 회전 및 정렬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자체 구성품들이 차지하는 부피가 커서 운반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제어부는 컴퓨터의 본체가 적외선카메라 및 회전스테이지와 직접 연결되어 광섬유에서 출사되는 광도분포분석 및 회전제어 프로그램을 직접 수행하며, 저손실화 정렬장치의 구성시스팀이 독자적인 광학치구들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각 시스팀의 결합도 상당히 초보적인 형태를 지니고 있다. 또한, 컴퓨터, 카메라 및 회전스테이지가 실험실 방진테이블에 펼쳐진 상태이므로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의 조립장치를 상대적으로 열악한 작업환경인 생산현장에서 직접 설치, 운용할 수가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페룰 내부홀(hole)에 고정결합된 광섬유에서 출사되는 광도분포를 이미지처리(Image Processing)하여 광섬유 원형 출사면 내에서 최대 광도부를 도출하고, 기설정된 좌표계하의 일정한 영역에 존재하는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의 저접속 손실을 위한 조립시스템의 회전 및 정렬장치를 설계, 구축하고, 실제 광커넥터 조립공정에서 사용할 수 있게 저손화 장치를 고안, 구축하여 실제 생산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일체화 되도록 단일모드로 형성된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일모드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의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밀폐된 커버 전면의 소정위치에 소정크기의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성되며, 전면커버 우측에는 개폐판을 구비한 쳄버 ; 상기 쳄버의 전면커버 중앙에 형성된 홀에 돌출되게 장착되되, 광섬유의 차단파장 이상을 갖는 LD(Laser Diode)와, 출사된 광신호를 폐룰측 광섬유로 전달하는 광섬유를 구비하여 페룰 단면에서의 최대광도부가 검출되도록 하는 발광수단 ; 상기 챔버의 저면커버에 구비된 개폐판의 소정위치를 구비되며, 상기 발광수단에서 인출된 광섬유와 페룰러댑터에 결합되는 회전조정대상 광섬유의 단면을 접속하여 광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광섬유 결합수단 ; 상기 개폐판에 의해 형성된 전면커버의 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페룰외경의 중심을 정렬하기 위한 이동 및 회전조정을 위한 정렬 및 회전 수단 ; 상기 회전수단의 후단측에 구비, 장착되며, 마킹치구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고, 고정된 페룰원통면에 마킹하기 위한 마킹수단 ; 상기 정렬 및 회전수단과 마킹수단의 중앙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킹치구가 페룰 원통면에 마킹할 수 있도록 페룰을 고정시켜 주는 페룰 고정부 ; 상기 마킹수단의 후단측 소정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마킹수단에 연결되어 광섬유 출사면의 확대 및 정렬을 위한 광처리 수단 ; 상기 광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입력된 자료의 최대광도부의 인지 및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 수단 ; 및 상기 쳄버의 전면 커버의 소정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며, 상기 중앙제어 수단에 연결되어 측정결과의 출력을 나타내는 모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제1도 및 제2도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의 일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의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1은 적외선카메라, 2는 광학계, 3은 회전부, 4는 마킹부, 4a는 마킹치구, 5는 카메라 컨트롤러, 6은 광원부, 7은 광섬유 결합기, 8은 모니터, 9는 화상처리 전용기판, 10은 제어부, 11은 케이블, 12는 모니터조절기, 13은 페룰수직 조절기, 14는 페룰수평 조절기, 15는 페룰, 16은 페룰어댑터, 17은 쳄버, 17a는 광원부홀, 17b는 회전부홀, 17c는 모니터홀, 18은 개폐판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광원부(6), 페룰고정부, 정렬 및 회전부(3) 및 마킹부(4), 제어부(10)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구성부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일체화, 휴대화하기 위하여 밀폐된 쳄버(17)내에 구비되도록 하였다.
그러면, 본 고안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밀폐된 쳄버(17)의 전면커버 중앙에 위치한 소정크기의 홀더(17a)에는 1.3μm의 파장을 갖는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출사된 광신호를 페룰측 광섬유로 전달하는 광섬유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 광원부(6)가 돌출되게 위치한다.
상기 광원부(6)가 독출된 홀(17a)의 우측에는 소정크기의 개폐판(18)이 구비되어 힌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동하며, 상기 개폐판(18)에는 광우너부(6)에서 인출된 광섬유와 페룰에 구비된 광섬유의 단면을 접속하여 광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광섬유 결합기(7)가 구비,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18)에 의해 형성된 전면커버의 홀(17b)에는 페룰외경의 중심을 정렬하기 위한 축이동 및 회전조정을 위한 정렬 및 회전부(3)가 위치되는데, 상기 회전부(3)는 그의 상측에 구비된 페룰수직조절기(13)와, 좌측에 구비된 페룰수평조절기(14)를 구비하여 축이동 및 회전조정을 위한 정렬이 가능하도록 페룰 어댑터를 직접 조절하므로서 페룰과 결합된 광섬유 끝단면에서 출사되는 광도분포의 최대광도부가 일정영역으로 모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3)는 스태핑모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을 받아 회전하며, 회전각도의 제어는 제어부와 LEEE-488로 언더페이스 되며, 제어부에서 도출된 회전각도를 1°내의 오차로 회전위치를 제어한다.
상기 회전부(3)의 후단에는 페룰원통면에 마킹하기 위한 마킹부(4)가 구비되어 마킹치구(4a)의 회전제어후 페룰원통면에 마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킹부(4) 자체는 기동력은 없으나 회전부(3)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원하는위치가 마킹하게 된다.
상기 정렬 및 회전부(3)와 마킹부(4)의 중앙 내부에는 상기 마킹치구(4a)가 페룰 원통면에 마킹할 수 있도록 페룰을 고정시켜 주는 페룰고정부가 결합되어 있는데, 상기 페룰고정부는 광섬유가 결합된 페룰(15), 상기 페룰(15)을 어댑터 고정대(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와 연결하기 위한 페룰어댑터(16), 상기 회전부(3) 및 마킹부(4) 내부에 결합되어 마킹치구(4a)가 페룰원통면에 마킹할 수 있도록 페룰을 고정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러한 페룰고정부의 장점으로는 어댑터의 내부홀(hole) 크기를 다양하게 보유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페룰(15)의 외경치수에 대한 유동성 있는 대응을 보장해 준다.
여기서, 상기 페룰어댑터(16)와 어댑터고정대의 결합이 좁은 공간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그 착탈이 용이한 스탭 온(Snap-on) 결합구조로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페룰어댑터(16)의 내경은 상기 페룰(15)외경보다 크게 형성하되 그차를 되도록 적게하여 페룰외경과 어댑터내경과의 차이가 1μm 이하를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페룰(15)과 어댑터(16)가 별도의 고정치구 없이 밀착,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구조로 상기 페룰이 고정되므로써 큰 결합력이 불필요하며, 회전할대 발생하는 동심오차를 줄일 수 있다.
결합순서는 광섬유가 결합된 페룰(15)이 페룰어댑터(16)와 결합하며, 이때 광섬유는 어댑터(16)의 내부홀을 먼저 통과하여 페룰(15)의 나팔관형의 유도부를 통해 상기 어댑터(16)에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어댑터고정부와 어댑터지지부 각부분이 결합되고, 광섬유가 각 구성품의 내부홀을 차례로 통과하고 광원부(6)로 연결되어 광섬유 출사면의 광도를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마킹부(4)의 후측으로 소정간격을 갖도록 설치된 광학계(2)는 대물렌즈와 대안렌즈를 구비하고 있으며, 광섬유에서 출사되는 빛의 형상을 확대하여 최대 광부 감지 에러를 줄인다. 그리고, 상기 광학계(2)와 연결된 적외선카메라(1)와 카메라 컨트롤러(5)는 확대된 상의 촛점을 정확히 일치시키도록 조절하여 모드 필드 광도분포를 측정하고,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5)에 연결된 화상처리전용기판(9) 및 제어부(10)에 의해 광도분포자료를 컴퓨터내의 소프트웨어로 이미지처리(Image Processing)하므로서 최대 강도부의 인지 및 제어를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광도분포해석 및 회전조정 제어 프로그램을 통합하고, 반도체 EEPROM기억소자를 사용하여 1칩화 하므로서 짧은 시간으로 회전조정을 제어하여 광섬유에서 출사되며 최대광도부를 찾고, 이 최대광도부를 페룰외경 중심축에 일치시키기 위한 회전제어 값을 산출하여 모니터(8)에 출력하므로써 컴퓨터보조기억장치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것에 비해 매우 짧은 시간으로 효과적으로 회전조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페룰외경의 기하학적 중심을 상기 모니터(8)내에 있는 직교좌표의 중심으로 이동하여 일치시키므로서 최대광도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미성멸부호 11은 케이블, 12는 모니터 조절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광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한 광섬유의 다심화 및 이에 따른 고밀도화는 광통신 시스팀의 대용량화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점차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광통신 시스팀의 구현에는 단심 광커넥터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이에 대응된 단심 광섬유 정렬 접속 기술을 확보하고, 광커넥터 생산현장에서 직접 설치 운용하므로서 통신 부품의 국내산업 경쟁력을 재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단일모드 광섬유 결선용 광커넥터의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에 있어서, 밀폐된 커버 전면의 소정위치에 소정크기의 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형성되며, 전면커버 일측에는 개폐판(18)을 구비한 쳄버(17) ; 상기 쳄버(17)의 전면커버 중앙에 형성된 홀(17a)에 장착되되, 그 내부에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가 구비되어 있으며, 출사된 광신호를 폐룰측 광섬유로 전달하는 광섬유가 외부로 인출되어 있는 발광수단(6); 상기 챔버(17)의 저면커버에 구비된 개폐판(18)의 소정위치를 구비되며, 상기 발광수단(6)에서 인출된 광섬유와 페룰어댑터(16)에 결합되는 회전조정대상 광섬유의 단면을 상호 접속하여 광신호가 전달되도록 하는 광섬유 결합수단(7) ; 상기 개폐판(18)에 의해 형성된 전면커버의 홀(17b)에 장착되며, 페룰외경의 중심을 정렬하기 위한 정렬 및 회전 수단(3) ; 상기 정렬 및 회전수단(3)의 후단측에 구비, 장착되며, 마킹치구(4a)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고, 고정된 페룰원통면에 마킹하기 위한 마킹수단(4) ; 상기 정렬 및 회전수단(3)과 마킹수단(4)의 중앙부 내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마킹치구(4a)가 페룰 원통면에 마킹할 수 있도록 페룰을 고정하는 페룰 고정부 ; 상기 마킹수단(4)의 후측에 장착되며, 상기 마킹수단(4)과 소정간격을 갖도록 서치되어 광섬유 출사면이 확대 및 정렬되도록 하는 광처리 수단 ; 상기 광처리 수단에 접속되어 입력된 자료의 최대광도부의 인지하고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제어수단(10) ; 및 상기 쳄버(17)의 전면 커버의 소정홀(17c)에 장착되며, 상기 중앙제어 수단(10)의 제어에 따라 측정결과의 출력하는 모니터(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정렬 및 호전수단(3)은 그 상측에 설치되어 페룰의 수직축을 조절하는 페룰 수직조절기(13)와, 좌우측 어느한쪽에 설치되어 수평축을 조절하는 페룰 수평조절기(1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KR1019930018370A 1993-09-13 1993-09-13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KR96000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370A KR960007887B1 (ko) 1993-09-13 1993-09-13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8370A KR960007887B1 (ko) 1993-09-13 1993-09-13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85A KR950010185A (ko) 1995-04-26
KR960007887B1 true KR960007887B1 (ko) 1996-06-15

Family

ID=19363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8370A KR960007887B1 (ko) 1993-09-13 1993-09-13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78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27B1 (ko) * 2009-09-30 2011-09-30 포미주식회사 커넥터 마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135A (ko) * 2001-10-16 2003-04-26 민윤식 건강음료 제조방법
KR20020028974A (ko) * 2002-02-27 2002-04-17 최병수 양파 탄산음료 제조방법
KR20020036987A (ko) * 2002-03-22 2002-05-17 최병수 약초 탄산음료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427B1 (ko) * 2009-09-30 2011-09-30 포미주식회사 커넥터 마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185A (ko) 1995-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01617B2 (en) Laser systems and optical devices for manipulating laser beams
US6556280B1 (en) Period reconfiguration and closed loop calibration of an interference lithography patter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US5351334A (en) Rotation and alignment device for assembling of optical fiber connector with lower connection loss
US7764856B2 (en) Device for injecting light into an optical wave guide
EP312682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out an optical chip
US9782063B2 (en) Optical coupling efficiency detection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0890838B2 (en) System and methods of fluorescence microscope calibration
CN105700156A (zh) 光学均化器
CN105598694A (zh) 一种微米级的轴与孔的装配装置
US20150116699A1 (en) Removable device for inspecting polish of an optical fiber endface using a portable camera,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US20150116700A1 (en) Device for inspecting a cleave of an optical fiber endface, and related components, systems and methods
KR960007887B1 (ko) 광커넥터 저접속 손실화를 위한 조절장치
US6113284A (en) Optical fiber light source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20020012506A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ssembling an optical module
CN114859567A (zh) 一种激光合束耦合装置
JP2581257B2 (ja) 光半導体素子モジユールの製造方法
CN205483501U (zh) 用于光路准直和相对光谱透过率检测装置
CN218973629U (zh) 一种便携式天文望远镜终端光谱仪
CN220105336U (zh) 用于测量半导体晶圆中裸片的边缘耦合设备对准的系统
CN214067485U (zh) 一种光纤输出光源聚焦装置
JPH0890272A (ja) レーザ装置
US4850668A (en) Gyroptic visual couplers
SU154518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тыковки волоконного световода с излучателем
JPH08278108A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端面検査装置における光ファイバ保持機構
JPH03240007A (ja) 光半導体素子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5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