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079B1 -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079B1
KR101068079B1 KR1020100066785A KR20100066785A KR101068079B1 KR 101068079 B1 KR101068079 B1 KR 101068079B1 KR 1020100066785 A KR1020100066785 A KR 1020100066785A KR 20100066785 A KR20100066785 A KR 20100066785A KR 101068079 B1 KR101068079 B1 KR 101068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m0214
herpes simplex
simplex virus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남주
이강오
Original Assignee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06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5Bifido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 SPM 0214 (KCTC 11668 BP) 및 상기 유산균 SPM 0214 (KCTC 11668 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BIFIDO BACTERIUM ADOLESENTIS SPM0214 HAVING ANTIVIRAL ACTIVITY AN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CURING OF HSV VIRUS INFECTION COMPRISING BIFIDO BACTERIUM ADOLESENTIS SPM0214 OR CULTURED MATERIAL OF THE SAME}
본 발명은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 SPM 0214 (KCTC 11668 BP) 및 상기 유산균 SPM 0214 (KCTC 11668 BP)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순포진바이러스(HSV)는 투명액으로 가득 차있는 수포형태로 나타나는 통증을 수반한 피부 또는 점막 병변을 일으키는 원인이다. 단순포진바이러스(HSV) 1형(HSV-1)은 주로 입, 얼굴 및 눈을 감염시킨다. 단순포진바이러스(HSV) 2형(HSV-2)은 주로 생식기 및 엉덩이를 감염시킨다. 그러나, 1형 및 2형 혈청형 각각은 모든 부위에서 감염을 일으킬 수 있다(문헌[Stalkup JR et al., Chapter 80, Human Herpesviruses in Dermatology, Bolognia JL et al. eds. 2003, Mosby Edingurgh, United Kindom]).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의한 1차 감염은 일반적으로 감염 부위에 약한 발열 병변을 발생시킨다. 치료기간은 평균적으로 8일 내지 12일이며, 이 기간에 바이러스가 신경절로 이동하여 이곳에서 잠복상태로 지내게 된다. 잠복상태의 바이러스는 육체적 또는 감정적 스트레스, 추위, 열, 면역기능 저하 또는 분명치 않은 원인 등을 포함한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다시 활성화될 수 있다. 활성화되면 이로 인해 2차 감염 발생을 유발한다.
감염 발생은 많은 경우에 국소적 통증과 일반화된 미열을 유발한다. 일반적으로 처음에는 가려움증, 통증, 작열감이 있으며 몇 시간 동안 피부나 점막에 국소적 홍반이 나타난다. 그런 후에 그 피부나 점막에 수포가 생긴다. 며칠이 지나면 궤양이 건조되고 표면에 딱지가 생겨서, 일반적으로 약 10일 정도면 회복된다.
단순포진바이러스(HSV)-1은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는 타액과의 접촉에 의해 전파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단순포진바이러스(HSV)-2는 일반적으로 성적 접촉에 의해 전파된다. 이러한 하나 또는 두 혈청형의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의한 감염은 매우 흔한 것이다. 일부 연구에서는 세계 인구의 90%가 단순포진바이러스(HSV)-1에 대한 항체를 보유하고 있다고 추산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4천만 내지 6천만 명의 사람이 단순포진바이러스(HSV)-2에 감염되어 있다(문헌[Stalkup JR et al., Supra]).
각종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전염성 질병은 백신을 투여해서 거의 퇴치할 수 있으나,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기인하는 전염병의 예방은 아직도 심각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재 단순포진바이러스(HSV) 감염에 대한 치료법이 없다. 항바이러스 요법은 바이러스 유출 및 2차적 병변의 증상을 다소 감소시킬 수 있다. 항바이러스 치료로서 면역기능 저하 환자의 만성 감염을 치료할 수 있다. 항바이러스제는 또한 예방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가 감염에 대한 치료가 아니며, 따라서 예방학적 면에서의 치료는 환자의 평생 동안 필요할 수도 있다(문헌[Chakrabaty A et al. 2005, Skin Therapy Lett. 10(1): 1 ~ 4]). 예방학적 면에서의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행한다 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자주는 아니지만 감염이 발생할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는 아시클로버 및 그 유도체, 예들 들면, 발라시클로버 및 팜시 클로버 등이 있다. 이러한 항바이러스제는 주로 경구 투여되지만, 정맥주사로 투여될 수도 있고 국소적 크림 형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코사놀 크림(Docosanol cream; ABREVA 제품)도 또한 병변의 지속기간을 다소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문헌[Sacks SL et al. 2001, J Am Acad Dermatol. 45(2): 220 ~ 30]). 그러나, 이러한 종래 항바이러스제에 대한 내성이 나타나고 있어 단순포진바이러스(HSV) 감염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신규한 물질 및 치료방법이 필요하다.
유산균은 사람 및 동물의 장내에 분포하여 장내 유해 미생물 생장 억제, 이상 발효의 치료,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 기능의 증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며, 항암 작용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유산균을 사람이 섭취하여 건강을 증진할 수 있도록 유산균 함유 발효 유제품 및 정장제가 상용화되어 널리 음용 또는 식용되고 있다. 최근에 유산균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억제에 관한 연구결과들이 보고되었다. 비피도박테리움 비피덤(Bifidobacterium bifidum)과 스트렙토코커스 써모필러스(Streptococcus thermophilus)를 보충한 분유를 섭취함으로써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유아 설사증을 예방하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식물유래 유산균(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808910호)도 보고되었다.
그러나, 유산균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억제, 특히 단순포진바이러스(HSV)에 대한 증식 억제 효능을 나타내는 유산균에 대한 시험 결과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순포진바이러스(HSV) 감염 예방 또는 치료의 목적으로 살균제나 항생물질의 투여에 대신하는 방법으로, 유산균을 이용한 단순포진바이러스(HSV)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포진바이러스(HSV)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저해할 수 있는 안전한 물성의 새로운 천연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 음료,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안전한 물성의 새로운 천연 항균성 물질을 생산하는 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산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는 생균, 건조균 또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생육을 특이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유산균주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 음료,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신규 유산균인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의 분리 및 동정, 나아가 상기 균주의 단순 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 테스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는 2010년 4월 7일자로 대한민국 특허균주 기탁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생명공학연구소 내 유전자원센타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1668BP를 부여받은 바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능을 갖는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임상 투여 시에 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 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할 경우에는 단독 또는 약제학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들과 함께 약제학적으로 통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연고, 크림, 정제, 캡술제 등과 같은 제재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제제는 고형, 액형 또는 에어로졸 형태(예, 분말, 결정형 물질, 젤, 페이스트, 연고, 납고, 크림, 용액제, 현탁제, 부분 액제, 스프레이, 분무제, 미스트, 분무화된 증기, 에어로졸 및 팅크제)일 수 있다. 또한, 제제는 인간에 의한 자가 투여에 적합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능을 갖는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경구 투여에 적합한 형태로 제제화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사람의 경우, 통상적인 1일 투여량은 1~30㎎/kg 체중의 범위일 수 있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투여량은 투여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체중, 건강상태 및 질환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한다. 물론, 상기 항 바이러스용 약학조성물은 유산균을 유효 성분으로 함에 따라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약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포진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능을 갖는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발효유는 유산균 배양액과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및 혼합과즙시럽을 일정비율로 조합하여 150bar에서 균질한 후 10℃ 이하로 냉각한 후 용기에 포장하여 발효유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능을 갖는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음료는 혼합과즙시럽,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HY7501 및 물을 일정한 비율로 조합하여 150bar에서 균질한 후 10℃ 이하로 냉각한 후 유리병, 패트병 등 소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기능성 음료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 억제 효능을 갖는 새로운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은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을 포함하는 것 이외에 영양보조성분으로서 비타민 B1, B2, B5, B6, E 및 초산에스테르, 니코틴산 아미드, 올리고당 등이 첨가될 수 있으며 여타의 식품 첨가물이 첨가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신규한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에 대하여 특이적 저해 활성 기능을 가지고 있어 단순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는 다양한 질환 또는 질병을 매우 효율적으로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다.
도 1 은 (A) 유산균으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 (B)SPM 0214 사균체로 처리한 경우, (C)SPM 0214 상등액으로 처리한 경우 플라크 생성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바이러스 감염 후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를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처리 농도에 따른 플라크 리덕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를 처리하고 2시간, 4시간 배양후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경우에 있어서 처리 농도에 따른 플라크 리덕션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인분으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정상적인 섭식 습관을 갖는 20-30세의 건강한 성인 15명으로부터 분변을 수집하였다. 이후, BBL의 혐기성 샘플 컬렉션 & 트랜스포트 시스템(BBL's anerobic sample collection & transport system)을 이용하여 편성 혐기성(obligate anaerobic) 유산균을 4가지를 분리하였으며, 각각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1204, 0308, 0214, 1005 로 명명하였다.
수집된 인분의 적당량을 생리식염수 100 ㎖에 현탁한 후, 적당량을 취하여 5% 양 혈청이 함유된 BL 아가 배지(Blood-Liver, Nissue)에 도말하였다. 박트론 혐기 챔버(Bactron Anaerobic chamber; Sheldon Manufacturing Inc.)를 이용하여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상기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실시예 2> 단순포진 바이러스 배양
숙주세포로는 Vero 세포(Kidney, African Green Monkey) KCLB 10081을 사용하였으며, 바이러스는 고려대학교 병원성 바이러스 은행으로부터 분양받은 단순 포진 바이러스를 사용하였다.
Vero 세포는 10% FBS(fetal bovine serum), 페니실린 G, 스트렙토마이신, 암포테리신 B(amphotericin B)를 첨가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바이러스의 숙주세포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의 선별 - plaque forming assay
상기 실시예 1에서 분리된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1204, 0308, 0214, 1005 중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 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는 유산균을 선별하기 위하여 plaque forming assay 를 실시하였다.
베로(Vero) 세포의 컨플루언트 단일층은 1시간동안 상기 유산균의 사균 또는 상등액으로 처리하고 완충액으로 2회 세척한 다음 단순포진 바이러스로 감염시킨다. 바이러스의 흡착을 위해 1시간 동한 인큐베이션 한 후, 세포를 다시 세척하여 비결합된 바이러스를 제거하였다. 세포 표면상의 바이러스 결합 부위의 감소를 평가하기 위해, 세포에 한천을 적층시키고 37℃에서 항온처리하였다.
유산균 배양액으로 처리된 세포에서 생성된 플라크의 수와 유산균 배양액으로 처리되지 않은 대조군 세포에서의 플라크 수와 비교하였다. 각 유산균에 대한 플라크 생성 결과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으며, 도 1에서 (A) 유산균으로 처리하지 않은 경우, (B)SPM 0214 사균체로 처리한 경우, (C)SPM 0214 상등액으로 처리한 경우 플라크 생성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산균 종류 유산균 미처리시 유산균 처리시
SPM 1204 사균체 60 56
SPM 0308 사균체 60 60
SPM 0308 상등액 60 35
SPM 0214 사균체 60 11
SPM 0214 상등액 60 27
SPM 1005 사균체 60 48
<실시예 4> 세포 독성 검사
공지의 방법 (Korba, B. E. et al., Use of a standardized cell culture assay to assess activities of nucleoside analogs against hepatitis B virus replication, Antiviral research, 19, 55-70, 1992)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들이 베로 세포(Vero cell)에 대해 나타내는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웰당 2×105 개의 세포를 100㎕ 부피로 첨가하고 37℃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동결건조 분말을 10000, 1000, 100, 10 ㎍/㎖이 되도록 혼합하고 48시간 동안 트립판 블루 염료 배제법(trypan blue dye exclusion)에 의한 세포 생존검사로 CC50 (50% 세포독성 농도; cytotoxic concentration)로 결정한 결과,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가 세포 생존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유산균의 항바이러스능 시험
상기 실시예 3에서 플라크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좋았던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의 단순포진 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 증식 억제능을 측정하기 위해서, 플라크 리덕션 분석(plaque reduction assay)을 행하였다.
플라크 리덕션 분석은 Edgar등(see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5th ed. A. Balows (chief ed.) Amer. Soc. for Microbiology, WashingtonDC.(1991), p.1184-1191)에 의해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시행되었다.
유산균 처리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 시킨 후 유산균을 처리하는 경우와 먼저 유산균을 처리한 후 바이러스로 감염시키는 2가지 경우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먼저,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후 유산균을 처리한 경우는 다음과 같다. 간단하게 평판 배양(culture plate)에서 자란 베로(Vero) 세포의 단층을 바이러스 100-200 PFU(plaque-forming unit)로 감염시킨다. 바이러스의 흡착을 위해 1시간 동안 인큐베이션 한 후 그 접종물을 흡인하고 2% 메틸 셀룰로오즈에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동결건조 분말을 10000, 1000, 100, 10 ㎍/㎖이 되도록 혼합한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ith 2% fetal calf serum)에 발랐다. 37℃에서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그 플레이트를 포르말린으로 고정,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고 건조해서 플라크의 수를 세었다.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배양액이 추가되지 않은 플레이트는 대조군으로 사용된다. 플라크 형성의 억제 비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대조군의 플라크 수)-(시험된 플라크 수)/(대조군의 플라크 수)×100
먼저 유산균으로 처리한 후, 바이러스에 감염시키는 경우는 평판 배양(culture plate)에서 자란 베로(Vero) 세포의 단층을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동결건조 분말을 10000, 1000, 100, 10 ㎍/㎖이 되도록 혼합하고 2시간,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바이러스 100-200 PFU(plaque-forming unit)로 감염시킨다. 바이러스의 흡착을 위해 1시간 동한 인큐베이션 한 후 그 접종물을 흡인하고 배지(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with 2% fetal calf serum)에 감염시켰다. 37℃에서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 후 그 플레이트를 포르말린으로 고정,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염색하고 건조해서 플라크의 수를 세었으며, 상기 바이러스 감염후 유산균 처리의 경우와 동일하게 플라크 형성의 억제 비율을 계산하였다.
바이러스 감염 후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를 처리한 경우에 있어서 처리 농도에 따른 플라크 리덕션 분석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처리 농도가 증가할 수록 플라크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를 처리한 후 2시간, 4시간 배양후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경우에 있어서 처리 농도에 따른 플라크 리덕션 분석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산균 처리후 4시간 배양후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경우와 유산균 처리후 2시간 배양후 바이러스에 감염시킨 경우에 있어서 플라크 생성 억제율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도 3과 도 4를 비교하면, 바이러스 감염 전에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로 처리하여 바이러스 감염 전에 예방한 경우를 나타내는 도 4의 경우가, 감염 후 처리한 도 3의 경우보다 플라크 생성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유산균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가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6> SPM 0214 의 균학적 성질의 동정
상기 본 발명의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의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분석된 염기서열 목록의 결과를 가지고, 발생학적 계보를 파악하기 위해 이미 알려져 있는 균주들과의 16S rDNA 염기 서열을 비교해본 결과 하기 표 2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균주의 스트레인 기탁번호 유사도 차이개수/비교개수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ATCC 15703 99% 1/1457
상기 표 2에 따른 16S rDNA 염기서열의 유사성을 종합적으로 동정해 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유산균주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로 명명하고 2010년 4월 7일자로 대한민국 특허균주 기탁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생명공학연구소 내 유전자원센타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CTC 11668BP를 부여받았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1668BP 20100407

Claims (6)

  1.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KCTC 11668 BP).
  2. 단순포진바이러스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4 는 생균, 건조균 또는 사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00066785A 2010-07-12 2010-07-12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68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85A KR101068079B1 (ko) 2010-07-12 2010-07-12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785A KR101068079B1 (ko) 2010-07-12 2010-07-12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8079B1 true KR101068079B1 (ko) 2011-09-28

Family

ID=4495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785A KR101068079B1 (ko) 2010-07-12 2010-07-12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0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93B1 (ko) 2011-10-14 2013-06-0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1005-a, 및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1005-a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007632A (zh) * 2016-01-28 2017-08-04 康贝株式会社 用于改善或预防疱疹病毒感染症的组合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688B2 (en) * 1999-06-21 2006-05-30 Vsl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infection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using a combin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2688B2 (en) * 1999-06-21 2006-05-30 Vsl Pharmaceuticals, Inc. Method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infections and inflammatory conditions using a combin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0493B1 (ko) 2011-10-14 2013-06-03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1005-a, 및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억제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1005-a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007632A (zh) * 2016-01-28 2017-08-04 康贝株式会社 用于改善或预防疱疹病毒感染症的组合物
CN107007632B (zh) * 2016-01-28 2022-05-06 康贝株式会社 用于改善或预防疱疹病毒感染症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405789A1 (en) Lactobacillus sp. strain having ability to inhibit growth of virginal pathogenic microorganisms
US20180112176A1 (en) NOVEL LACTIC ACID BACTERIUM HAVING IgA PRODUCTION PROMOTING ACTIVITY, AND USE THEREOF
KR101104397B1 (ko) 유산균 발효유 필터액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0047504A (ja) アトピー性皮膚炎緩和剤
KR101770035B1 (ko) 상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IL-1β에 의한 관절염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US20130309212A1 (en)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method for preparing metabolite thereof, composi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and metabolite thereof and use of the composition
KR20200018532A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1473475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풍미가 향상된 대추발효물의 제조 방법
KR101068079B1 (ko) 단순포진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상기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균주 또는 이의 배양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50102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발효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120039381A (ko) 장내 항염증 효과를 갖는 유산균 및 이를 함유하는 염증성 장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00049827A (ko)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루테리 에이취와이7501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479732B1 (ko) 리모실락토바실러스 루테리 mg5458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02498A (ko) 질염 원인균에 대한 증식억제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조합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KR102244732B1 (ko) 프로바이오틱 초산균인 아세토박터 파스테리아누스 mglv 및 이의 면역조절 효과
KR102098655B1 (ko) 바이러스 질환 예방 효과를 지닌 유산균 발효액
KR102143608B1 (ko)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k040706을 함유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44382A (ko) 목장 원유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골밀도 강화 또는 골다공증 치료용 조성물
JP6803247B2 (ja) ヘルペスウイルス感染症を改善又は予防するための組成物
KR20130070963A (ko) 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 0214 및 비피도박테리움 슈도카테눌라툼 spm 1204 의 혼합 유산균을 포함하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 억제용 조성물
RU2791561C2 (ru) Штамм lactobacillus crispatus kbl693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KR20190064756A (ko) 면역력 개선 및 바이러스 질환 예방 효과를 지닌 유산균 발효액
WO2022253828A2 (en) Bacterial strains for use in preventing, treating and/or reducing symptoms associated with a rhinovirus-induced cold infection
KR20230168314A (ko) 여성 질염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여성 생식기 내 부착성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쿠스 gynolacto 및 그의 용도
KR20230057194A (ko) 락토바실러스 퍼멘툼 mg531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알콜성 지방간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