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8031B1 -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8031B1
KR101068031B1 KR1020090033632A KR20090033632A KR101068031B1 KR 101068031 B1 KR101068031 B1 KR 101068031B1 KR 1020090033632 A KR1020090033632 A KR 1020090033632A KR 20090033632 A KR20090033632 A KR 20090033632A KR 101068031 B1 KR101068031 B1 KR 101068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filtering
reaction tank
dirt
filter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3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5091A (ko
Inventor
유호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영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영기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영기연
Priority to KR1020090033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8031B1/ko
Publication of KR20100115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8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8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using pure oxygen or oxygen rich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1/007Processes including a sedimen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8Originating from marine vessels, ships and boats, e.g. bilge water or ballast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장치에 의해 오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며 물을 역류시키는 세척수단에 의해 자체적으로 필터링 청소가 가능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는, 1차적으로 오물을 걸러내고, 침전시키는 분리수단(100)과; 상기 분리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링수단(200)과; 상기 필터링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링수단(200)을 통과한 오수가 경유하는 저장탱크(300)와; 상기 저장탱크(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저장탱크(300)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오수를 화학적으로 재차 정화하여 소독하는 정화수단(400)과; 상기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역류시켜, 필터링수단(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세척수단(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서 발생되는 오수 및 폐수의 정화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33632
오수, 선박, 이물질, 폐수, 정화, 살균

Description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Sewage treatment apparatus for use in ship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장치에 의해 오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며 물을 역류시키는 세척수단에 의해 자체적으로 필터링 청소가 가능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SBR공법은 정해진 시간의 배열에 따라 단일 반응조에서 오·폐수의 유입 및 처리수의 유출이 일어나는 공정으로 각 단위 공정이 연속적으로 일어난다.
이때, 공정은 유입(Fill)공정, 반응(React)공정, 침전(Settle)공정, 배출(Draw)공정, 그리고 휴지(Idle)의 순서로 반응이 진행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오수처리기는, 장기간 침전을 시켜 하부의 찌꺼기를 분리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완전한 오수의 정화가 어려우며, 침전을 시키기 위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조선업의 호황으로 인하여 다량의 조선 건조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선박의 오수처리장치가 제대로 오수를 정화하지 못하여 바다가 오염되고, 특히 질소나 인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장치에 의해 오수의 정화가 이루어지며, 세척수단에 의해 필터링수단이 정기적으로 자동 청소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의 처리와 물의 역류에 의한 세척이 자체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는, 1차적으로 오물을 걸러내고, 침전시키는 분리수단과; 상기 분리수단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링수단과; 상기 필터링수단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링수단을 통과한 오수가 경유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일측에 구비되며, 저장탱크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오수를 화학적으로 재차 정화하여 소독하는 정화수단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링수단으로 역류시켜, 필터링수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세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단계와; 반응조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 중의 이물질을 스크린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내는 분리단계와; 상기 오물유입단계에 의해 유입되는 오물의 량을 측정하여, 설정된 반응조의 수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반응조 내 부로의 오물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제어단계와; 상기 오물유입단계에 의해 반응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설정된 시간동안 침전과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정화단계와; 상기 정화단계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오수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단계와; 상기 정화단계가 수행된 다음에는 상기 반응조 내부의 하단에 적치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물배출단계와; 상기 오물배출단계가 완료된 다음에 수행되며, 상기 반응조 내부의 오수가 필터링수단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수배출단계와; 상기 오수배출단계에 의해 필터링수단으로 유입된 오수를 필터링수단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단계와; 상기 필터링단계를 거친 오수에 화학물질을 첨가하여 화학적으로 살균/소독하여 정화하는 소독단계와; 상기 반응조에 저장된 오수가 배출된 다음에는, 저장탱크에 저장된 물을 역류시켜 상기 필터링수단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역세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선박의 오수 및 폐수 처리가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즉, 분리수단과 정화수단 등에 의해 오수 중의 이물질이 기계적으로 및 화학적으로 정화된다. 따라서, 큰 크기의 이물질은 물론 미세 크기의 이물질도 걸러지게 되며, 미생물과 염소 등에 의해 화학적으로 바다를 오염시킬 수 있는 질소 및 인 등과 같은 물질이 모두 제거된다.
또한, 세척수단에 의해 필터링수단의 필터가 자동적으로 세척되므로, 사용자가 일일이 필터 등을 세척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에서 발생된 오,폐수의 정화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는, 1차적으로 오물을 걸러내고 침전시키는 분리수단(100)과, 상기 분리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링수단(200)과, 상기 필터링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링수단(200)을 통과한 오수가 경유하는 저장탱크(300)와, 상기 저장탱크(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저장탱크(300)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오수를 화학적으로 재차 정화하여 소독하는 정화수단(400)과, 상기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역류시켜 필터링수단(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세척수단(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선박 내부의 변기통(600)와 기타 오물이 모이는 오물탱크(610)는, 오물관(620)에 의해 상기 분리수단(100)과 연결되고 오물관(620)에는 오수의 공급을 위한 입구펌프(6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입구펌프(630)의 작동에 따라 오물관(620)을 통해 이물질이 섞인 오수가 분리수단(100)의 상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분리수단(100)은, 하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호퍼가 구비되는 반응 조(110)와, 상기 반응조(11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며 변기나 오물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이 걸러지는 오물스크린(120)과, 상기 반응조(1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를 혼합하는 교반수단(130)과, 상기 반응조(110)의 하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10) 내부로 산소(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40)과,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50,152)와, 상기 반응조(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반응조(110) 내부의 수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표시수단(160)과, 상기 반응조(110)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10) 내부에 서식하는 균이 부착되도록 하는 메디아(17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응조(110)는 원통 또는 사각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사용자가 개폐 가능한 커버(112)가 구비된다.
상기 오물스크린(120)은, 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반응조(110)에 측방으로부터 슬라이딩 출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서랍식으로 이루어져, 전방 또는 측방에서 당기거나 미는 동작에 의해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교반수단(130)은, 상기 반응조(110)의 중앙부 또는 하반부에 위치되어 회전하는 교반날개(132)와, 상기 반응조(110)의 중앙부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교반축(134)과, 상기 교반축(134)의 상단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1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교반날개(132)는 프로펠러와 같이 다수의 날개로 구성되며, 상기 교반 축(134)의 하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교반모터(136)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에어공급수단(140)은, 상기 반응조(110) 외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에어펌프(142)와,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144)과, 상기 에어펌프(142)와 에어노즐(144) 사이를 연결하는 에어관(14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위센서(150,152)는 상기 반응조(110) 내부로 투입되는 오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것으로, 상기 반응조(1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부센서(150)와, 상기 반응조(110)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하부센서(1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센서(150)와 하부센서(152)에서 감지되는 오수의 수위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어 전체적인 장치의 제어에 활용된다.
상기 수위표시수단(160)은, 상기 반응조(11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반응조(110) 내부와 연통되고, 이러한 수위표시수단(16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 수위와 상기 수위표시수단(160)의 오수 수위가 동일하게 되어, 외부에서 반응조(110) 내부의 수위를 시각적으로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메디아(170)는, 일반적으로 오,폐수처리장치의 폭기조에 투입되어 미생물이 부착, 생존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매개체이다. 따라서, 이러한 메디아(170)에 부착된 미생물은 오,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을 분해하여 BOD(Biological Oxygen Demand), 즉 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을 저감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반응조(110)의 일측(도 1에서는 상측)에는 약제공급수단(180)이 구비된다. 상기 약제공급수단(180)은, 화학약품이나 균주(바실러스: Bacillus sp.)와 같은 미생물 또는 미생물을 위한 영양물질 등이 저장되는 약제탱크(182)와, 상기 약제탱크(182) 내부의 내용물이 상기 반응조(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약제관(184)과, 상기 약제관(184)을 통해 약제탱크(182) 내부의 내용물이 반응조(110) 내(內)로 유입되도록 강제하는 약제펌프(186)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의 반응조(110)에는 온도제어수단이 더 구비되기도 한다. 이러한 온도제어수단은,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함은 물론, 제어부를 통하여 적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바실러스 균주(Bacillus sp.)와 같은 미생물이 서식하기 좋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반응조(110)에는 오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히터(도시되지 않은) 등이 더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 반응조(110)의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좁아지는 호퍼(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조(110)의 하단에는 배출관(114)이 연결되어 오수의 배출을 안내하게 되며, 배출관(114)은 오수를 외부로 안내하는 드레인관(640)에 연결되고, 배출관(114)에는 배출관(114)을 개폐하는 배출밸브(114')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관(640)에는 오물(오수)의 외부 배출을 강제하는 슬러지펌프(642)가 설치되고, 이러한 슬러지펌프(642)가 작동되고 상기 배출밸브(114')가 개방되면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오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필터링수단(200)은, 상기 반응조(110)의 외부에 설치되며, 이러한 필터링수단(200)에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따라서, 오수가 필터링수단(200) 내부의 필터를 통과하면, 오수 중의 이물질이 필터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상기 반응조(110)와 필터링수단(200) 사이에는 이송관(210)이 연결되어 오수를 안내하게 된다. 상기 이송관(210)에는 리턴펌프(212)가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10)의 오수가 필터링수단(200)으로 이동하도록 강제하게 되며, 이러한 이송관(210)에는 이송관(210)을 개폐하는 이송밸브(214)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링수단(200)의 하단은 상기 드레인관(640)과 연결되어 폐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세척배출관(540)도 더 연결 설치된다. 상기 세척배출관(540)은 아래에서 설명할 세척관(510)을 통해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되어 역류한 물(세척수)이 필터링수단(200)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관(pipe)이며, 이러한 세척배출관(540)에는 세척배출관(540)의 개폐를 위한 역세밸브(53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탱크(300)는 상기 필터링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저장관(310)과 세척관(510)에 의해 상호 간에 물(오수)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저장관(310)은 상기 필터링수단(200)에 의해 정화된 물이 상기 저장탱크(30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관(pipe)이며, 여기에는 저장관(310)의 개폐를 위한 이송밸브(21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세척관(510)은, 상기 저장탱크(300)의 물이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이동(역류)되도록 안내하는 관이며, 이러한 세척관(510)에는 역세펌프(520)와 역세 밸브(530)가 설치된다. 상기 역세펌프(520)는 상기 저장탱크(300) 내부의 물(세척수)이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이동(역류)하도록 강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역세밸브(530)는 상기 세척관(510)을 필요에 따라 개폐한다.
상기 세척관(510)과 역세펌프(520) 및 세척배출관(540) 등은, 상기 세척수단(50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정화수단(400)은, 상기 저장탱크(300)와 이격 설치되며, 이러한 정화수단(400)과 저장탱크(300) 사이에는 정화관(410)이 연결되어 오수(물)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화수단(400)에는 화학약품이 저장되는 소독탱크(420)가 연결된다. 상기 소독탱크(420)와 정화수단(400) 사이에는 소독관(422)이 연결되어, 상기 소독탱크(420) 내부의 화학물질(약품)이 상기 정화수단(400)으로 공급되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이러한 소독관(422)에는 상기 소독탱크(420) 내부의 물질이 상기 정화수단(400)으로 공급되도록 강제하는 소독펌프(424)가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2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블럭도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어방법은,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단계(S800)와, 반응조(110)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 중의 이물질을 오물스크린(120)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내는 분리단계(S810)와, 상기 오물유입단계(S800)에 의해 유입되는 오물의 량을 측정하여 설정된 반응조(110)의 수위를 만족하는 경우 에는 반응조(110) 내부로의 오물 유입을 차단하는 수위제어단계(S820)와, 상기 오물유입단계(S800)에 의해 반응조(110)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설정된 시간동안 침전과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정화단계(S830)와, 상기 정화단계(S830)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단계(S840)와, 상기 정화단계(S830)가 수행된 다음에는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하단에 적치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물배출단계(S850)와, 상기 오물배출단계(S850)가 완료된 다음에 수행되며,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가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수배출단계(S860)와, 상기 오수배출단계(S860)에 의해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된 오수를 필터링수단(20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단계(S870)와, 상기 필터링단계(S870)를 거친 오수에 화학물질을 첨가하여 화학적으로 살균/소독하여 정화하는 소독단계(S880)와, 상기 반응조(110)에 저장된 오수가 배출된 다음에는,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역류시켜 상기 필터링수단(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역세단계(S89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물유입단계(S800)는, 맨 먼저 수행되는 단계로, 상기 반응조(110)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는 과정이다. 이때에는 상기 입구펌프(630)의 작동에 의해 변기통(600)이나 오물탱크(610)에 저장된 오수가 상기 반응조(110)의 상측을 통해 강제적으로 유입된다.
물론, 이때 상기 반응조(110) 내에는 미생물이 배양되어 존재하는 상태이다. 즉 상기 반응조(110) 내에서는 연속회분식공정(SBR)을 이용한 폐수의 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반응을 위해 바실러스 균주와 같은 미생물이 배양되어 존재 하고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러한 반응조(110)에는 미생물의 발아 및 분열을 촉진시키기 위해 규소(Si)와 칼슘(Ca), 마그네슘(Mg) 등의 여러가지 무기물질을 포함하는 미생물활성제가 주입되기도 한다.
상기 반응조(110)로 투입되는 오수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은, 상기 오물스크린(120)에 의해 걸러진다. 즉 상기 오물스크린(120)은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은 이러한 오물스크린(120)을 통과하지 못하여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상기 분리단계(S810)이다.
상기 반응조(110)로 투입되는 오수는, 수위가 상기 상부센서(150)에 이를 때까지 유입된다[수위제어단계(S820)]. 상기 반응조(110)로 오수가 유입되면, 상기 교반수단(130)이 작동하게 되고, 이러한 교반수단(130)에 의해 오수의 혼합이 이루어진다.[교반단계(S840)]
상기 교반수단(130)은, 저속으로 운전된다. 즉, 약 50~70rpm의 속도로 회전하도록 제어된다.
한편, 상기 온도제어수단에 의해 반응조(110)의 온도는 바실러스 균주와 같은 미생물이 활동하기 좋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예로, 상기 반응조(110)의 온도는 25±0.5℃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정화단계(S830)는, 침전과 반응에 의해 오수를 정화하는 단계로, 연속회분식공정(SBR)을 이용한 폐수의 생물학적 처리공정이다.
상기 정화단계(S830)는, 일정 시간동안 반응조(110) 내부로 공기(산소)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과정(S832)과,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이물질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과정(S83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공급과정(S832)은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상부센서(150)까지 물이 공급된 다음에 수행되며, 상기 침전과정(S834)은 상기 에어공급과정(S832)이 수행된 다음에 수행된다. 상기 에어공급과정(S832)은, 상기 에어공급수단(140)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침전과정(S834)은, 상기 에어공급수단(140)에 의해 에어공급과정(S832)이 소정 시간동안 이루어진 다음에 수행되는 침전휴지시간으로, 설정된 임의의 시간동안 진행된다. 상기 침전과정(S834)은 약 6시간 동안 진행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오물배출단계(S850)는, 상기 반응조(110)의 하단부에 쌓이는 오물을 배출하는 단계로, 상기 배출밸브(114')가 열림과 동시에 상기 슬러지펌프(642)가 작동되어, 반응조(110) 내부에 침전된 오물이 상기 배출관(114) 및 드레인관(640)을 통해 별도의 슬러지탱크(도시되지 않음)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오물배출단계(S850)나 오수배출단계(S860)에서, 상기 반응조(110) 내부에 살고 있는 바실러스 균주와 같은 미생물은 상기 메디아(170)에 부착되어 반응조(110)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오물배출단계(S850)에 의해 반응조(110) 내부 하측에 침전된 오물이 배출된 다음에는,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가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되며, 이 단계가 상기 오수배출단계(S860)이다.
이때에는 상기 이송밸브(214)가 열리고, 상기 리턴펌프(212)가 작동함에 따 라 오수가 이송관(210)을 통해 필터링수단(2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러한 오수배출단계(S860)는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수위가 하부센서(152) 수위까지 내려가면 정지된다.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된 오수는 내부의 필터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이물질이 걸러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링단계(S870)는, 막(필터)를 이용하여 오수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여과공정이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저장관(310)의 이송밸브(214)도 열려 있으므로, 상기 필터링수단(200)을 경유하여 상대적으로 깨끗해진 오수는 저장탱크(300)로 유입된다.
상기 저장탱크(300)로 유입된 오수는 저장탱크(300) 내부가 채워지면, 정화관(410)을 따라 상기 정화수단(400)으로 이동된다. 상기 정화수단(400)에서는 상기 소독단계(S880)가 수행된다. 즉, 상기 소독펌프(424)에 의해 상기 소독탱크(420) 내부의 화학물질이 상기 소독관(422)을 통해 정화수단(400) 내부로 유입되어, 살균 및 소독이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수단(400) 내부로 유입된 화학물질에 의해 정화수단(400) 내부의 오수가 화학적으로 정화된 다음에는 외부로 유출된다.
상기 소독탱크(420)에서는 주로 염소(Cl)가 충진되며, 이러한 염소(Cl)가 상기 소정화수단(400)으로 유입되어 오수 중의 질소와 인 등을 제거하여, 살균 및 소독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저장탱크(300)나 정화수단(400) 등에서 빛에 의한 살균/ 소독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필터링수단(200) 내부의 필터에는 이물질이 부착되게 되고, 이러한 이물질의 부착이 계속되면, 필터를 통한 물의 이동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이물질을 걸러내는 작업이 어려워지므로 이때에는 상기 역세단계(S890)가 수행된다.
상기 역세단계(S890)는, 상기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역류시켜 상기 필터링수단(200) 내부의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시켜 배출하는 과정이다.
상기 역세단계(S890)는, 상기 세척수단(500)에 의해 수행된다. 즉, 상기 역세펌프(52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300) 내부의 세척수(물)가 상기 세척관(510)을 따라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이동하여 필터링수단(200) 내부를 역류한다. 따라서, 상기 필터링수단(200) 내부의 필터에 부착된 이물질이 분리되어, 세척수와 함께 상기 세척배출관(540)을 따라 배출된다. 물론 이때 상기 세척관(510)과 세척배출관(540)의 역세밸브(530)는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역세단계(S890)은 사용자가 임의로 조작하여 수행하거나, 일정기간이 지난 다음에는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제어된다.
상기와 같은 역세단계(S890)가 완료되고 나면, 상기에서 설명한 오물유입단계(S800) 등이 차례로 진행되어 정상운전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 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회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인 블럭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분리수단 200. 필터링수단
300. 저장탱크 400. 정화수단
500. 세척수단 S800. 오물유입단계
S810. 분리단계 S820. 수위제어단계
S830. 정화단계 S840. 교반단계
S850. 오물배출단계 S860. 오수배출단계
S870. 필터링단계 S880. 소독단계
S890. 역세단계

Claims (5)

  1. 삭제
  2. 1차적으로 오물을 걸러내고, 침전시키는 분리수단(100)과;
    상기 분리수단(100)의 일측에 구비되어, 오물을 2차적으로 걸러내는 필터링수단(200)과;
    상기 필터링수단(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링수단(200)을 통과한 오수가 경유하는 저장탱크(300)와;
    상기 저장탱크(3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저장탱크(300)를 경유하여 유동하는 오수를 화학적으로 재차 정화하여 소독하는 정화수단(400)과;
    상기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상기 필터링수단(200)으로 역류시켜, 필터링수단(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소하는 세척수단(50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분리수단(100)은,
    하부에는 깔때기 형상의 호퍼가 구비되는 반응조(110)와;
    상기 반응조(110)의 내부 상단부에 설치되며, 변기나 오물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오수 중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오물스크린(120)과;
    상기 반응조(110)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를 혼합하는 교반수단(130)과;
    상기 반응조(110)의 하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10)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140)과;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150,152)와;
    상기 반응조(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반응조(110) 내부의 수위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수위표시수단(160)과;
    상기 반응조(110)의 내측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반응조(110) 내부에 서식하는 균이 부착되도록 하는 메디아(17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단(500)은,
    상기 필터링수단(200)과 저장탱크(300) 사이를 연결하는 세척관(510)과;
    상기 세척관(510)에 설치되어, 상기 저장탱크(300)의 물이 필터링수단(200)으로 역류하도록 강제하는 역세펌프(520)와;
    상기 필터링수단(200)을 역류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세척배출관(5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4. 오물이 유입되는 오물유입단계(S800)와;
    반응조(110) 내부로 유입되는 오물 중의 이물질을 오물스크린(120)에 의해 1차적으로 걸러내는 분리단계(S810)와;
    상기 오물유입단계(S800)에 의해 유입되는 오물의 량을 측정하여, 설정된 반응조(110)의 수위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반응조(110) 내부로의 오물 유입을 차단하 는 수위제어단계(S820)와;
    상기 오물유입단계(S800)에 의해 반응조(110) 내부로 유입된 오수를 설정된 시간동안 침전과 반응에 의해 정화하는 정화단계(S830)와;
    상기 정화단계(S830)가 진행되는 동안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가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는 교반단계(S840)와;
    상기 정화단계(S830)가 수행된 다음에는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하단에 적치된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오물배출단계(S850)와;
    상기 오물배출단계(S850)가 완료된 다음에 수행되며,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오수가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오수배출단계(S860)와;
    상기 오수배출단계(S860)에 의해 필터링수단(200)으로 유입된 오수를 필터링수단(200)에 의해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링단계(S870)와;
    상기 필터링단계(S870)를 거친 오수에 화학물질을 첨가하여 화학적으로 살균/소독하여 정화하는 소독단계(S880)와;
    상기 반응조(110)에 저장된 오수가 배출된 다음에는, 저장탱크(300)에 저장된 물을 역류시켜 상기 필터링수단(200)에 부착된 이물질을 분리하여 배출하는 역세단계(S8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단계(S830)는,
    상기 반응조(110) 내부의 상부센서(150)까지 물이 공급된 다음에 수행되어, 일정 시간동안 반응조(110) 내부로 산소를 공급하는 에어공급과정(S832)과;
    상기 에어공급과정(S832)이 수행된 다음에는,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이물질이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과정(S8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오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90033632A 2009-04-17 2009-04-17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8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632A KR101068031B1 (ko) 2009-04-17 2009-04-17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3632A KR101068031B1 (ko) 2009-04-17 2009-04-17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91A KR20100115091A (ko) 2010-10-27
KR101068031B1 true KR101068031B1 (ko) 2011-09-28

Family

ID=4313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3632A KR101068031B1 (ko) 2009-04-17 2009-04-17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8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003B1 (ko) * 2010-04-05 2012-04-20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용 복합식 오폐수 처리장치
KR102076674B1 (ko) * 2013-10-14 2020-04-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용 슬러지 탱크의 슬러지 순환장치 및 그 순환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496A (ko) * 2003-08-14 2005-02-2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간이정수처리시스템
KR20050094944A (ko) * 2004-03-23 2005-09-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하수 방류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0583005B1 (ko) * 2006-01-25 2006-05-23 세림제지주식회사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JP2007307549A (ja) 2006-04-21 2007-11-29 Maezawa Ind Inc 濾過装置及びこの濾過装置を用いた排水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496A (ko) * 2003-08-14 2005-02-23 주식회사 환경시설관리공사 간이정수처리시스템
KR20050094944A (ko) * 2004-03-23 2005-09-29 코오롱건설주식회사 하수 방류수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0583005B1 (ko) * 2006-01-25 2006-05-23 세림제지주식회사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JP2007307549A (ja) 2006-04-21 2007-11-29 Maezawa Ind Inc 濾過装置及びこの濾過装置を用いた排水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091A (ko) 2010-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68414B2 (en) Apparatus having a bioreactor and membrane filtration module for treatment of an incoming fluid
EP2258663A1 (en) Grey water regeneration system
CN101475247B (zh) 以超滤为核心集多种净水技术于一体的短流程水处理工艺
CZ301746B6 (cs) Zpusob hlubokého biologického cištení odpadních vod a zarízení k provádení tohoto zpusobu
CN107055932A (zh) 一种船用生活污水处理系统
KR101068031B1 (ko) 선박용 오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93666Y1 (ko) 침지식 막 분리 시설의 분리막 자동 세정장치
KR20090111188A (ko) 일체형 방류수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류수의처리방법
KR100894646B1 (ko) 자동연속여과장치 부착형 용존공기 가압부상조
JP4397360B2 (ja) 浄化槽
CN206494810U (zh) 一种船用生活污水处理装置
CN108164038A (zh) 一种给水处理装置及处理方法
KR100878152B1 (ko) 비상용 상수도 정수장의 복합 정수장치
KR100629147B1 (ko) 병원의 오염배수 처리장치
CN208869463U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系统
CN209307162U (zh) 一种小型景观水体生化处理系统
JP4381556B2 (ja) 合併処理浄化槽
JP2002096090A (ja) 浄化槽
ZA200205320B (en) Method and device for effluent treatment.
CN108793645A (zh) 一体化生活污水处理系统
JP3734478B2 (ja) 循環式浄化装置
JP4444430B2 (ja) 単独処理浄化槽の合併処理化方法
CN208898691U (zh) 基于mbr生物反应器的医院废水处理系统
KR100575369B1 (ko) 소규모 상수용 무인 제어형 급속 정수시스템
KR950013317B1 (ko) 접촉산화조 및 폭기여과식 침전조를 이용한 오수 정화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