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692B1 -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692B1
KR101067692B1 KR1020100139082A KR20100139082A KR101067692B1 KR 101067692 B1 KR101067692 B1 KR 101067692B1 KR 1020100139082 A KR1020100139082 A KR 1020100139082A KR 20100139082 A KR20100139082 A KR 20100139082A KR 101067692 B1 KR101067692 B1 KR 101067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luid pipe
metal bellows
sealing case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종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종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종이엔지
Priority to KR10201001390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6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50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 F16J15/52Sealings between relatively-movable members, by means of a sealing without relatively-moving surfaces, e.g. fluid-tight sealings for transmitting motion through a wall by means of sealing bellows or diaphrag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3/00Diaphragms; Bellows; Bellows pistons
    • F16J3/04Bellows
    • F16J3/047Metallic bello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7/00Seal for a joint or juncture
    • Y10S277/935Seal made of a particular material
    • Y10S277/939Containing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는 제1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관과 상기 제1 유체와 열교환하는 제2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제1 유체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유체관의 연결부에 상기 제2 유체관과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링케이스와, 상기 실링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관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서 형성되는 단열포 층과, 상기 단열포 층의 내측, 중간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그랜드패킹, 그리고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상기 제2 유체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실링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실링케이스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판 및, 상기 관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실링케이스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판을 통해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Metal Bellows Hot Gas Sea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열교환장치의 유체관들의 연결부위에서 뜨거운 가스의 누출을 방지하고 열기를 보온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관의 흔들림을 잡아 줄 수 있는 방진구조를 갖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한 열병합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 열병합발전이란, 전력과 열을 동시에 발생시켜 에너지 이용률을 높인 발전체계로서, 기본적으로는 고온부와 저온부에서 작동하는 서로 다른 열역학사이클을 조합하여 운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열병합발전소에서는 평균적으로 1일 1회 이상의 단속운전이 이루어지며, 그 결과 공급되는 열전달량이 주기적으로 변하므로, 내부의 열교환장치의 구조물에서는 열팽창과 수축이 일어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열병합발전방식과 같은 시설에서 구성부분의 하자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하자보수의 문제뿐 아니라 보수에 따른 시설가동의 중지로 인한 2차적 손실마저 초래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한 열교환장치의 설계 및 유지, 보수가 중요하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열병합발전소의 열교환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일러 등의 열공급장치(10)에서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 되는 연소가스는 1차적으로 증기터빈을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킨다.
이후, 증기터빈을 구동한 고온의 연소가스(이하, 제1 유체라함)는 가열로(이하, 제1 유체관이라 함)(20)의 내부를 통과하거나 저장되며, 가열로의 내부를 관통하는 전열관(이하, 제2 유체관이라 함)(30)과 열교환을 한다.
상기 제2 유체관(30)에 전달된 열은 제2 유체관(30) 내부의 물(이하, 제2 유체라함)에 전달되고, 제2 유체는 제2 유체관(30)을 통해 그 끝단에 연결되어 있는 포집부(40)에 전달되며, 포집부(40)에 전달된 제2 유체는 새로운 열공급원으로 활용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장치는 제1 유체관(20) 내부의 제2 유체관(30) 상에서 제2 유체가 저장, 순환하는 다수의 헤더부(25)와, 상기 제1 유체관(20)과 제2유체관(30)에 연결되어 있는 메탈 벨로우즈(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열교환장치에서는 장치의 운전상태에 따라 내부 유체, 즉 상기 제1, 제2 유체의 유동으로 인한 유체관등의 구성장치들의 흔들림이 있으며, 특히, 상기 유체관의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 및 유체관에 전달되는 열전달량에도 변화가 있다.
특히, 유체관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80)에서 각 유체관의 구성금속의 열전달율의 차이 및 관의 축 방향의 불일치 등으로 인해 이러한 현상은 더욱 심하게 나타나며, 이를 해소하고자 메탈 벨로우즈(50)를 설치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러한 상기의 흔들림 또는 열팽창은 유체관의 상기 연결부(80)에서의 변형 및 파손을 초래하였고, 결국 상기 연결부(80)에서의 유체의 누설 및 그에 따른 에너지 낭비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연결부(80)에서의 뜨거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방산열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체관의 흔들림을 잡아 줄 수 있는 방진구조를 갖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교환장치의 유체관들의 연결부위에서 뜨거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방산열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열교환장치의 유체관들의 연결부위에 우수한 실링 기능을 발휘하고 열기를 보온할 수 있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열교환장치의 유체관 기둥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는 방진기능을 발휘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시공이 용이하고 보수 및 유지가 간편한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제1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관과 상기 제1 유체와 열교환하는 제2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제1 유체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유체관의 연결부에 상기 제2 유체관과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링케이스; 상기 실링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관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서 형성되는 단열포 층; 상기 단열포 층의 내측, 중간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그랜드패킹; 그리고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상기 제2 유체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실링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실링케이스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판 및, 상기 관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실링케이스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판을 통해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포 층 내에 분포되는 질석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판과 볼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가 실링케이스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압축되어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은 상기 실링케이스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열교환장치의 유체관들의 연결부위에서 뜨거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방산열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열교환장치의 유체관들의 연결부위에 우수한 실링 기능을 발휘하고 열기를 보온할 수 있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장치의 유체관 기둥의 흔들림을 잡아줄 수 있는 방진기능을 발휘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시공이 용이하고 보수 및 유지가 간편한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복합화력발전소의 종래의 열교환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에 적용된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에 적용되는 단열포와 질석의 분포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의 가압수단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의 가압수단에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에 적용된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에 적용된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에 적용되는 단열포와 질석의 분포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의 가압수단을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의 가압수단에 탄성부재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100)는 크게 제1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관(20)과 상기 제1 유체와 열교환하는 제2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제1 유체관(20)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유체관(30)의 연결부(80)에 상기 제2 유체관(30)과 상기 연결부(80)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링케이스(110)와, 상기 실링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관(30)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서 형성되는 단열포 층(120) 및, 상기 단열포 층(120)의 내측, 중간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그랜드패킹(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가 적용되는 열교환장치는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고온의 제1 유체를 제공하는 열공급장치(10), 상기 제1 유체가 흐르는 제1 유체관(20), 제2 유체관(30)의 구성부분으로서, 그 내부에서 제2 유체가 저장, 순환하는 다수의 헤더부(25), 헤더부(25)를 경유한 제2 유체가 통과하는 제2 유체관(30), 제2 유체가 전달되는 포집부(40)와 상기 제1 유체관(20)과 제2유체관(30)에 연결되어 있는 메탈 벨로우즈(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탈 벨로우즈(50)의 일측은 제2 유체관(3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그 외주면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제2 유체관(30)이 제1 유체관(20)을 관통하는 부분을 덮으면서 상기 제1 유체관(20)과 연결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일러 등의 가열장치에 의하여 생성된 고온의 제1 유체는 열공급장치(10)를 통해, 제1 유체관(20)에 공급된다. 제1 유체관(20)은 공급받은 제1 유체를 통과시키거나, 이를 관 내부에서 순환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유체관 내부에는 제1 유체관(20)을 관통하는 1개 이상의 제2 유체관(30)이 있으며, 제2 유체관(30)에는 헤더부(25)가 형성되어 제1 유체에 저장되어 있는 열에너지의 흡수를 최대화한다.
한편, 상기 실링케이스(110)는 제1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관(20)과 상기 제1 유체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유체관(30)의 연결부(80)에 상기 제2 유체관(30)과 상기 연결부(80)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케이스(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한 외형을 가지는 원통형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실링케이스(110)는 상기 제1 유체관(20)과 제2 유체관(30)의 연결부(80)에 구비되는데, 본 발명의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100)는 열팽창이 이루어지는 금속소재의 연결부(80)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제1 유체관(20)과 제2 유체관(30)은 그 용어에 관계없이 통상의 관의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복합화력발전소와 같은 시설에서, 가열된 가스가 공급되어 통과하는 가열로와 가스로부터 열을 전달받는 전열관에 있어서 상기 가열로와 같은 시설은 상기 제1 유체관(20)을 의미하는 것이며, 상호연결관계를 갖는 다수의 금속 부재의 연결부(80)에서 열팽창 또는 유체의 유동에 따라 발생하는 응력집중으로 인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의 파손 및 가스 누설등에 대비한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유체관(30)과 제1 유체관(20)의 연결 형태는 제2 유체관(30)이 제1 유체관(20)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2 이상의 유체관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어떠한 형태의 연결부(8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구체적인 적용에 따른 변형된 형태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유체의 종류는 불문하며, 가스, 수증기 등의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실링케이스(110)가 상기 제1 유체관(20)과 맞닿는 면에는 플랜지부(11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유체관(20)과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용접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100)는 상기 실링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관(30)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서 형성되는 단열포 층(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단열포 층(120)은 석면포, 부직포 등을 수회 감아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단열포 층(120) 내에 질석(122)을 첨가하여 분포시킬 수 있다.
상기 질석(122)은 굳기가 1~2, 비중은 2.76 정도이며, 알루미늄, 마그네슘, 철의 수산화규산염으로 된 점토광물로서, 회백색 또는 갈색이고, 가열하면 팽창하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질석(122)은 다공질(多孔質)이며, 흡수능력이 좋아서 내열재료 및 방음재(防音材)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데, 특히, 900-1000도로 가열하면 층 사이에 있던 수분이 증기로 변하며 격자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벌레 모양으로 분리되고, 부피는 통상적으로 8-20배 증가하나 개별 편들은 최대 30배까지도 늘어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질석(122)이 상기 단열포 층(120)에 분포됨으로써, 고온의 환경에서 단열 능력과 실링 작용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100)는 상기 단열포 층(120)의 내측, 중간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그랜드패킹(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랜드패킹(130)이 제2 유체관(30)과 인접하는 내측에 설치되는 예를 중심을 설명한다.
상기 그랜드패킹(130)은 원래는 회전하는 축을 밀봉할 때 사용하는 패킹을 말하는 것으로서 주로 유체가 누설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랜드패킹(130)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제1, 제2 유체의 유동으로 인한 제1 유체관(20) 및 제2 유체관(30)의 흔들림, 특히, 유체관이 직접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80)에서 각 제1 유체관(20), 제2 유체관(30)의 구성 금속의 열전달율의 차이 및 관의 축 방향의 불일치 등으로 인한 진동과 그에 의한 유체관의 파손을 해소할 수 있으며, 더불어 가스 등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100)는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을 상기 제2 유체관(30)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1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압수단(140)은, 상기 실링케이스(110)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142)와, 상기 관통부(142)가 형성된 실링케이스(110)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판(144) 및, 상기 관통부(142)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실링케이스(110)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판(144)을 통해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을 가압하는 볼트(1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관통부(142)는 상기 실링케이스(110)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될 수 있고, 내부에 상기 실링케이스(110)를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하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144)은 상기 실링케이스(110) 내측에서 상기 단열포 층(120) 또는 그랜드패킹(130)과 접하게 되며, 상기 볼트(146)가 상기 관통부(142)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실링케이스(110)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압판(144)은 상기 관통부(142)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45)를 구비하며, 상기 볼트(146)는 상기 삽입부(145)를 통해 상기 가압판(144)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압수단(140)은, 상기 가압판(144)과 볼트(146)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146)가 실링케이스(110)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압축되어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을 가압하는 탄성부재(14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48)는 상기 관통부(142) 내측의 볼트(146)와 가압판(144) 사이,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볼트(146)와 상기 가압판(144)의 삽입부(145) 사이에 개재될 수 있고, 상기 볼트(146)가 실링케이스(110)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압축되며, 그에 따른 복원력으로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을 가압함으로써 실링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148)로 스프링을 사용하였지만,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는 여하한 구조 및 재질의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장치에 적용된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은 상기 실링케이스(110)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실링케이스(110), 가압수단(140) 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며 상기 단열포 층(120)과 그랜드패킹(130)의 적용 구조만 차이가 있다. 즉, 다수의 그랜드패킹(130)이 설치가 되고 상기 그랜드패킹(130)의 사이사이에 석면포나 부직포 등을 수회 감아 단열포 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링케이스(110) 외측에는 상기 실링케이스(110)와 상기 제1 유체관(20)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지지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50)는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실링케이스(110) 및 제1 유체관(20)과 결합되어 상기 실링케이스(110)를 상기 제1 유체관(2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열교환장치의 유체관들의 연결부위에서 뜨거운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고 방산열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높일 수 있고, 우수한 실링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장치의 유체관 기둥의 흔들림을 잡아줌으로써,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 및 보수, 유지가 간편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110 : 실링케이스
120 : 단열포 층 130 : 그랜드패킹
140 : 가압수단 150 : 지지부재

Claims (6)

  1. 제1 유체가 유동하는 제1 유체관과 상기 제1 유체와 열교환하는 제2 유체가 유동하며 상기 제1 유체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제2 유체관의 연결부에 상기 제2 유체관과 상기 연결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실링케이스;
    상기 실링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2 유체관을 적어도 1회 이상 감아서 형성되는 단열포 층;
    상기 단열포 층의 내측, 중간 또는 외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그랜드패킹; 그리고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상기 제2 유체관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실링케이스 측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가 형성된 실링케이스 내측면에 구비되는 가압판 및, 상기 관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실링케이스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가압판을 통해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가압하는 볼트를 포함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포 층 내에 분포되는 질석을 더 포함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수단은,
    상기 가압판과 볼트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가 실링케이스 내측으로 전진함에 따라 압축되어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을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포 층과 그랜드패킹은 상기 실링케이스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서로 번갈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KR1020100139082A 2010-12-30 2010-12-30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KR101067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82A KR101067692B1 (ko) 2010-12-30 2010-12-30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082A KR101067692B1 (ko) 2010-12-30 2010-12-30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692B1 true KR101067692B1 (ko) 2011-09-27

Family

ID=4495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082A KR101067692B1 (ko) 2010-12-30 2010-12-30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6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40B1 (ko) 2010-07-12 2012-07-19 용광후렉시블공업 주식회사 가열로의 복합 단열구조
KR20210141800A (ko) * 2020-05-13 2021-11-23 주식회사 디엠티 배열회수보일러용 신축이음관
KR20220086454A (ko) * 2020-12-16 2022-06-23 칭화 유니버시티 쉘앤튜브 열교환기 및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패키징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587A (ja) * 1995-07-28 1997-02-14 Ask:Kk 断熱シーリング装置
KR20070012610A (ko) * 2004-10-18 2007-01-26 리켄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음관
KR100916680B1 (ko) * 2009-03-09 2009-09-08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보온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0261546A (ja) * 2009-05-11 2010-11-18 Cosmo Koki Co Ltd 移動防止手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587A (ja) * 1995-07-28 1997-02-14 Ask:Kk 断熱シーリング装置
KR20070012610A (ko) * 2004-10-18 2007-01-26 리켄 코키 가부시키가이샤 이음관
KR100916680B1 (ko) * 2009-03-09 2009-09-08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보온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010261546A (ja) * 2009-05-11 2010-11-18 Cosmo Koki Co Ltd 移動防止手段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440B1 (ko) 2010-07-12 2012-07-19 용광후렉시블공업 주식회사 가열로의 복합 단열구조
KR20210141800A (ko) * 2020-05-13 2021-11-23 주식회사 디엠티 배열회수보일러용 신축이음관
KR102338706B1 (ko) * 2020-05-13 2021-12-13 주식회사 디엠티 배열회수보일러용 신축이음관
KR20220086454A (ko) * 2020-12-16 2022-06-23 칭화 유니버시티 쉘앤튜브 열교환기 및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패키징 방법
US11656039B2 (en) 2020-12-16 2023-05-23 Tsinghua University Tubular heat exchanger and packaging method of tubular heat exchanger
KR102562493B1 (ko) * 2020-12-16 2023-08-01 칭화 유니버시티 쉘앤튜브 열교환기 및 쉘앤튜브 열교환기의 패키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4967B1 (ja) 平行運動の熱エネルギー動力機械及びその動作方法
KR101067692B1 (ko) 메탈 벨로우즈 고열 실링장치
US20120304982A1 (en) Arrangement of tubing in solar boiler panels
JP2009542952A (ja) 家庭用熱電併給システム
JP2023082139A (ja) 効率的熱回収エンジン
CN210106020U (zh) 一种工业炉窑余热利用斯特林发电系统
CN107702340B (zh) 双层螺旋盘管供热装置供应热水和/或蒸汽的方法
KR101183815B1 (ko) 소형 열병합발전기에서 엔진 배기유로의 배출구조
CN202216226U (zh) 一种烟气余热回收器
WO2011087198A3 (ko) 스터링엔진 어셈블리
CN204098970U (zh) 燃气轮机排气系统
CN216614056U (zh) 一种弹性固定式铂网支撑固定机构
KR101614155B1 (ko) 스털링엔진의 내부 응축수 발생 억제 구조
CN215403774U (zh) 一种新型污泥热泵干化系统
TW201937055A (zh) 工作媒體特性差發電系統及使用該發電系統的工作媒體特性差發電方法
KR101022456B1 (ko) 스터링 엔진
KR100942657B1 (ko) 폐열회수보일러의 기구적 슬리브 타입 신축이음장치
JP2011112003A (ja) Co2加熱器
JP6696788B2 (ja) 一軸型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パワープラントの軸配列
KR101738871B1 (ko) 열효율 향상을 위한 tme 모듈
JP5774260B2 (ja) 複数気筒ガソリンおよび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ためのエグソーストラインシステム
KR100804278B1 (ko) 스터링 엔진
KR101191585B1 (ko) 소형 열병합발전기의 보조보일러 배기유로 형성용 커버조립체
CN216922236U (zh) 燃料烟气多温区利用发电系统
KR101405512B1 (ko) 유기 랭킨 사이클용 팽창기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