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428B1 -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 Google Patents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428B1
KR101067428B1 KR1020110037584A KR20110037584A KR101067428B1 KR 101067428 B1 KR101067428 B1 KR 101067428B1 KR 1020110037584 A KR1020110037584 A KR 1020110037584A KR 20110037584 A KR20110037584 A KR 20110037584A KR 101067428 B1 KR101067428 B1 KR 101067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coupled
roller
hing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형태
Original Assignee
용원기계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원기계공업(주) filed Critical 용원기계공업(주)
Priority to KR102011003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4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3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pivoting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04B7/16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characterised by a translation movement of the movable roof part, with or without additional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구조물의 상부에 지붕이 절첩되어 개방되어지도록 구성된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붕은 구조물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에 프론트지붕과 리어지붕이 안착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안내레일은 지지바의 상부에 요철단면을 갖는 지지레일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론트지붕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의 전후방측 하부모서리에 각각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은 일측이 상기 제2로울러에 가동힌지로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고정바에 고정힌지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고리에 와이어의 타측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와이어의 일측이 포스트로울러를 경유하여 구조물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권취부에 감겨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FOLDING ROOF STRUCTURE THAT MAINTENANCE IS EASY}
본 발명은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물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에 안착된 프론트지붕과 리어지붕이 구조물의 외측 하부로 설치된 권취부에 감겨지는 와이어에 의하여 절첩된 상태로 개방되어지고, 권취부에서 풀려지는 와이어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조물 특히, 건축 구조물은 내,외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내부로 제공되어지는 공간에 생산, 제작 기계들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의 도난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가운데 먼지 등이 이물질이 표면에 앉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원석의 파쇄 및 파쇄된 원석을 다시 파쇄시켜 특정한 입도를 갖도록 하는 분쇄기인 콘크라셔는 그 크기가 큼으로써, 통상 건축 구조물의 내부가 아닌 외부에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지게 된다.
외부에 설치된 콘크라셔의 경우, 점검 및 보수작업이 용이하나,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과 소음이 주변으로 확산됨에 따라 주변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라셔를 내,외부가 차단된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하게 될 경우에는 구조물의 출입구를 통해 설치가 가능하나, 콘크리셔의 형고가 높음에 따라 콘게이브나 맨틀 등을 점검, 보수 및 교체를 할 경우 구조물의 지붕 또는 천정과의 공간이 협소함에 따라 작업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콘게이브나 맨틀이 많은 무게를 가짐에 따라 별도의 크레인을 설치할 경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됨과 동시에 이 또한 공간이 협소하여 설치에 또 다른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구조물의 상부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별도의 크레인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된 콘크라셔의 콘게이브나 맨틀 등의 점검과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시 발생되는 분진이나 소음이 주변을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의하면 구조물의 상부에 지붕(10)이 절첩되어 개방되어지도록 구성된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붕(10)은 구조물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20)에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안착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안내레일(20)은 지지바(210)의 상부에 요철단면을 갖는 지지레일(22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론트지붕(110)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11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설치된 힌지에 제1로울러(130)가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111)의 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제3힌지홀(142)이 형성된 제2요부편(14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어지붕(120)을 지지하는 리어프레임(12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설치된 가동힌지(150)에 제2로울러(140)가 결합되고, 상기 리어프레임(121)의 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는 고정힌지(170)가 구조물의 후방측 상단에 가로로 설치된 고정바(16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120)의 후방측 상부에 구비된 고리(113)에 와이어(W)의 타측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구조물의 후방측 상부 중앙의 포스트에 설치된 포스트로울러(180)를 경유하여 구조물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권취부(190)에 감겨지며,
상기 프론트프레임(111)의 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제2요부편(141)에 상기 리어프레임(12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제2철부편(151)이 삽입되며, 상기 제2요부편의 제3힌지홀에 가동힌지핀(152)이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지붕(110)과 상기 리어지붕(120)이 결합되는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지붕(110)은 4각형태의 프론트프레임(111)의 상부에 프론트지붕재(1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120)은 리어프레임(121)의 상부에 리어지붕재(12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힌지(170)는 리어프레임(121)의 배면에 제1힌지홀(171)을 갖는 제1요부편(17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바(160)에 제2힌지홀(161)을 갖는 제1철부편(16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요부편(172)에 제1철부편(162)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힌지핀(173)이 제1힌지홀(171)과 제2힌지홀(16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로울러(130), 제2로울러(140)는 외주면에 요철단면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구조물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에 안착된 프론트지붕과 리어지붕이 구조물의 외측 하부로 설치된 권취부에 감겨지는 와이어에 의하여 절첩된 상태로 개방되어지고, 권취부에서 풀려지는 와이어에 의하여 펼쳐진 상태로 닫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물의 상부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고하중을 갖는 콘크라셔가 구조물의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별도의 크레인을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구조물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콘크라셔의 콘게이브나 맨틀 등의 점검과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콘크라셔가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있음으로써, 작업중 발생되는 분진이나 소음이 주변을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변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을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을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을 분리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이 오픈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을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은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 공간이 제공되어지는 가운데 출입구(310)가 설치된 구조물(30)의 상부로 지붕(10)이 절첩된 상태로 개방되어지거나 펼쳐진 상태로 닫혀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붕(10)은 상부가 개방된 형태를 갖는 구조물(30)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20)에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안착되게 받쳐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은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이 힌지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120)의 타측은 후술하는 고정바(160)에 힌지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지붕(120)이 상부를 향하여 접혀지는 과정에서 리어지붕(120)의 일측에 힌지로 결합된 프론트지붕(110)의 타측이 같이 상부로 들려지면서 접혀짐과 동시에 프론트지붕(110)의 타측이 안내레일(20) 위에서 슬라이딩되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프론트지붕(110)은 4각형태의 프론트프레임(111)의 상부에 프론트지붕재(112)가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어진 것으로 각각의 프론트프레임(111)의 단면은 디귿자의 단면을 갖는 찬넬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론트지붕(110)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11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에 는 제1로울러(130)가 결합되어지고, 후방측 하부 모서리에는 상기 제1로울러(130)와 대응되는 제2로울러(140)가 제2요부편(141)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로울러(130) 및 제2로울러(140)는 후술하는 안내레일(20)에 받쳐진 요철단면을 갖는 지지레일(220) 상부와 대응되도록 외주면에 가이드홈(131)이 형성되어 각각의 제1,2로울러(140)가 지지레일(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지붕(120)은 리어프레임(121)의 상부에 리어지붕재(122)가 맞대어진 상태로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리어지붕(120)은 일측이 상기 제2로울러(140)에 가동힌지(150)로 결합되어지며, 타측이 고정바(160)에 고정힌지(170)로 결합되어짐에 따라 타측이 회동하는 가운데 일측이 상부로 들려질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리어지붕(120)의 일측 상부에는 고리(113)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고리(113)에 와이어(W)의 타측이 연결되어지며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건축 구조물(30)의 상부 보다 더 높이 설치된 포스트로울러(180)를 경유하여 구조물(30)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권취부(190)에 감겨지거나 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동힌지(150)는 리어지붕(120)의 일측이 당겨진 와이어(W)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리어지붕(120)의 일측에 결합된 프론트지붕(110)의 타측이 연동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제2로울러(140)가 삽입된 제2철부편(151)과, 상기 제2철부편(151)이 삽입되어 가동힌지핀(152)으로 결합되어지는 제2요부편(141)으로 구성되어있다.
상기 제2요부편(141)은 제3힌지홀(142)이 형성되어 프론트프레임(111)의 배면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철부편(151)은 제4힌지홀(153)이 형성되어 제2요부편(141)과 대응되는 리어프레임(121)의 전면에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힌지(170)는 당겨기거나 풀려지는 와이어(W)에 의하여 리어지붕(120)과 프론트지붕(110)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과정에서 리어지붕(120)의 타측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리어프레임(121)의 배면에 제1힌지홀(171)을 갖는 제1요부편(172)이 결합되어지고, 건축 구조물(30)의 배면 내측 상부에 횡방향으로 구비된 고정바(160)에 제2힌지홀(161)을 갖는 제1철부편(162)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요부편(172)에 제1철부편(162)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힌지핀(173)이 제1힌지홀(171)과 제2힌지홀(16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레일(20)은 프론트지붕(110)의 프론트프레임(111) 하부측 모서리에 결합된 제1로울러(130) 및 제2로울러(140)가 안정적이게 받쳐진 상태가 유지되는 가운데 리어지붕(120)의 일측이 와이어(W)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거나 하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프론트지붕재(112)의 일측이 안정되게 슬라이드 이동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레일(20)은 지지바(210)의 상부에 요철단면을 갖는 지지레일(220)이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40)는 건축 구조물(30)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콘크라셔이다.
상기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결합되어지는 부분의 상부에는 도1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실링커버(50)가 덮혀지도록 할 경우, 빗물이 내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건축 구조물(30)의 내부 공간에는 출입구(310)를 통하여 콘크라셔(40)가 설치될 수 도 있으나, 건축 구조물(30)의 상부에 설치된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으로 이루어진 지붕(10)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외부에 있는 콘크라셔(40)를 인양하여 건축 구조물(30)의 내부 공간으로 내려 놓아 안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콘크라셔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개방되어지는 과정은 먼저, 권취부(190)의 구동으로 인하여 와이어(W)가 권취됨과 동시에 와이어(W)는 포스트로울러(180)를 통하여 당겨짐으로써, 리어지붕(120)의 일측 상부에 구비된 고리(113)가 포스트로울러(180)를 향하여 이동되기 시작한다. 이때, 리어지붕(120)의 타측에 형성된 고정힌지(170)에 의하여 리어지붕(120)의 타측은 제1힌지홀(17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지붕(120)의 일측이 지지레일(220)의 상부에서 들려지게 된다.
다음, 이와 동시에 리어지붕(120)의 일측에 프론트지붕(110)의 타측이 형성된 제2요부편(141)이 가동힌지핀(152)으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프론트지붕(110)의 타측이 같이 들려지게 된다. 이때 프론트지붕(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로울러(130)는 지지레일(220)의 표면에 맞대어진 상태가 유지되어지게 된다.
다음, 와이어(W)가 더 당겨지게 됨에 따라 리어지붕(120)의 일측은 포스트로울러(180)를 향하여 이동하게 되는 과정에서 프론트지붕(110)의 타측이 당겨지게 됨으로써, 프론트지붕(110)의 일측에 형성된 제1로울러(130)의 가이드홈(131)은 지지레일(220)을 따라 이동되어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절첩되어 지붕(10)이 개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붕(10)이 개방된 상태에서 콘크라셔(40)를 설치하거나, 콘크라셔(40)의 콘케이브나 맨틀 등을 외부에 있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들어내거나 들여놓아 점검 및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오픈된 지붕(10)을 닫기 위해서는 권취부(190)를 역구동시켜 감겨진 와이어(W)가 풀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절접된 상태로 있던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의 하중에 의하여 경사진 형태로 설치된 지지레일(220)을 따라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펼쳐짐으로써, 닫혀지게 된다.
10:지붕 20:안내레일
110:프론트지붕 111:프론트프레임
113:고리 120:리어지붕
130:제1로울러 140:제2로울러
150:가동힌지 160:고정바
170:고정힌지 180:포스트로울러
190:권취부 210:지지바
220:지지레일

Claims (4)

  1. 구조물의 상부에 지붕(10)이 절첩되어 개방되어지도록 구성된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붕(10)은 구조물의 상부 양측으로 설치된 안내레일(20)에 프론트지붕(110)과 리어지붕(120)이 안착되게 구비되어지되, 상기 안내레일(20)은 지지바(210)의 상부에 요철단면을 갖는 지지레일(220)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프론트지붕(110)을 지지하는 프론트프레임(11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설치된 힌지에 제1로울러(130)가 결합되고, 상기 프론트프레임(111)의 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제3힌지홀(142)이 형성된 제2요부편(141)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리어지붕(120)을 지지하는 리어프레임(12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설치된 가동힌지(150)에 제2로울러(140)가 결합되고, 상기 리어프레임(121)의 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는 고정힌지(170)가 구조물의 후방측 상단에 가로로 설치된 고정바(160)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120)의 후방측 상부에 구비된 고리(113)에 와이어(W)의 타측이 연결되어지고, 상기 와이어(W)의 일측이 구조물의 후방측 상부 중앙의 포스트에 설치된 포스트로울러(180)를 경유하여 구조물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 권취부(190)에 감겨지며,
    상기 프론트프레임(111)의 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제2요부편(141)에 상기 리어프레임(121)의 전방측 하부모서리의 양측 하단에 설치된 제2철부편(151)이 삽입되며, 상기 제2요부편의 제3힌지홀에 가동힌지핀(152)이 삽입되어 상기 프론트지붕(110)과 상기 리어지붕(120)이 결합되는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지붕(110)은 4각형태의 프론트프레임(111)의 상부에 프론트지붕재(11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리어지붕(120)은 리어프레임(121)의 상부에 리어지붕재(122)가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힌지(170)는 리어프레임(121)의 배면에 제1힌지홀(171)을 갖는 제1요부편(17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고정바(160)에 제2힌지홀(161)을 갖는 제1철부편(162)이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요부편(172)에 제1철부편(162)이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힌지핀(173)이 제1힌지홀(171)과 제2힌지홀(161)을 관통하여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130), 제2로울러(140)는 외주면에 요철단면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31)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KR1020110037584A 2011-04-22 2011-04-22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KR101067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84A KR101067428B1 (ko) 2011-04-22 2011-04-22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584A KR101067428B1 (ko) 2011-04-22 2011-04-22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428B1 true KR101067428B1 (ko) 2011-09-27

Family

ID=44957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584A KR101067428B1 (ko) 2011-04-22 2011-04-22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4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670B1 (ko) 2011-10-11 2013-06-17 자스트 주식회사 금속재 가공으로부터 발생된 칩의 보관 및 배출을 위한 구조물
KR101324728B1 (ko) * 2013-04-09 2013-11-14 (주)에스플러스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CN107410038A (zh) * 2017-06-19 2017-12-01 河南和宏农牧股份有限公司 一种幼猪专用猪栏
CN110409866A (zh) * 2019-06-21 2019-11-05 中国矿业大学 一种海边度假屋
CN112593738A (zh) * 2020-11-30 2021-04-02 安徽维嵩生产力促进有限公司 一种合理利用自然资源实现节能化的智能型加工车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274A (ja) * 1992-12-25 1994-07-12 Kajima Corp 自昇降開閉式全天候型仮設上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3274A (ja) * 1992-12-25 1994-07-12 Kajima Corp 自昇降開閉式全天候型仮設上屋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4670B1 (ko) 2011-10-11 2013-06-17 자스트 주식회사 금속재 가공으로부터 발생된 칩의 보관 및 배출을 위한 구조물
KR101324728B1 (ko) * 2013-04-09 2013-11-14 (주)에스플러스 캐노피 기능을 갖는 천막형 체육시설용 출입구 개폐구조
CN107410038A (zh) * 2017-06-19 2017-12-01 河南和宏农牧股份有限公司 一种幼猪专用猪栏
CN110409866A (zh) * 2019-06-21 2019-11-05 中国矿业大学 一种海边度假屋
CN112593738A (zh) * 2020-11-30 2021-04-02 安徽维嵩生产力促进有限公司 一种合理利用自然资源实现节能化的智能型加工车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428B1 (ko) 정비가 용이한 접이식 지붕구조
KR101420589B1 (ko)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200445900Y1 (ko) 가로등주 고정식 우산
KR101797430B1 (ko) 슬라이딩 개폐식 캐노피의 이동장치
JP4688771B2 (ja) 水平軸型風力発電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円柱形状の鉄塔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吊り機構と、円柱形状の鉄塔のメンテナンス用ゴンドラ吊り方法
CA2953716A1 (en) Collapsible modular building
IT201800011083A1 (it) Elemento di copertura mobile per un apparato di copertura, preferibilmente un frangisole di tipo regolabile
KR101128503B1 (ko) 접이식 차양 구조물
KR20130081751A (ko) 개폐식 천막장치
KR101190162B1 (ko) 이동식 바리케이트
KR200448244Y1 (ko) 호이스트 출입문용 안전 발판
KR101541394B1 (ko) 확장 전개형 이동식 막사 트레일러
KR101241369B1 (ko) 캠핑하우스
KR200454445Y1 (ko) 이동식건물
JP2011246897A (ja) スライド式シャッタの補強構造
ITBO20070428A1 (it) Struttura per la movimentazione di contenitori interrati
JP2014076891A (ja) 建造物における床スラブの開口開閉装置
KR20220085957A (ko) 슬라이드형 갱폼 커버링 시스템
JP4962890B2 (ja) 道路舗装工事用屋根構造
KR102599629B1 (ko) 지하 출입구 차수 장치
JP2022112630A (ja) 仮囲い養生装置
ITBA20100030A1 (it) Sistema di impacchettamento , con alzata a spinta e caduta libera frenata , di telai modulari per la realizzazione di manti per la chiusura di luci di edifici civili ed industriali.
KR101207949B1 (ko) 센터프레임의 2단 자동 승하강 기능을 갖는 캐노피
KR100989562B1 (ko) 능동형 방음벽
CN202611527U (zh) 具有逃生功能的防盗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