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862B1 -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 Google Patents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862B1
KR101066862B1 KR1020090077432A KR20090077432A KR101066862B1 KR 101066862 B1 KR101066862 B1 KR 101066862B1 KR 1020090077432 A KR1020090077432 A KR 1020090077432A KR 20090077432 A KR20090077432 A KR 20090077432A KR 101066862 B1 KR101066862 B1 KR 101066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hannel
base
regular intervals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847A (ko
Inventor
조남우
Original Assignee
대신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신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신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8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선을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 배선용 멀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멀티 채널(10)에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에 절단공(20)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에 절단공(21)이 형성되고 결합돌기(15)의 단부에 절단홈(22)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을 관통하는 절단공(23)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11)에 절단공(24)이 형성되고 좌우 측벽(12, 13)과 결합돌기(15)를 관통하는 절단홈(25)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이다.
채널, 클램프, 마개, 전선, 배관, 절단

Description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Preparation Cutting Structure of Multiple Channel for Electric Wiring}
본 발명은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전선이나 케이블의 배관 작업을 할 때에 클램프를 고정시키기 위한 채널을 용이하게 절단하기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길이로 연속되는 공간에 전선이나 케이블을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배선용 채널이 사용된다. 통상 전선이나 케이블은 직접 노출된 채로 배선되거나 또는 덕트나 파이프 등의 배관에 전선이나 케이블을 내장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배관을 천장이나 벽면에 고정 설치하기 위하여 형강 모양의 채널에 배관을 지지하고 고정시키기 위하여 클램프 등이 적용된다. 즉 일정 간격으로 고정 설치된 채널에 클램프를 고정한 후에 클램프에 전선, 케이블 또는 배관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채널과 클램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66028호의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가 공지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의 도 5와 도 6에서, 채널에 케이블을 파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를 결합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채널은 벽면이나 천장에 설치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일정 길이만큼 절단기나 소우(saw) 등으로 절단하고, 채널에 복수의 고정공을 형성한 다음에 앵커 볼트 등으로 고정하였다. 상기 채널은 금속 재질로 표면을 용융 아연도금으로 처리한다. 따라서 채널을 절단기 등으로 절단을 하거나 고정공을 형성하게 되면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절단면이나 고정공은 녹이 발생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관 후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었던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하여 절단면이나 고정공에 방청을 위한 스프레이를 분사하여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표면을 도금 처리한 것보다는 방청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절단기로 절단을 할 때에 작업자마다 절단면이 일정하지 않거나 손상될 수 있고, 절단면에 마감을 위한 마개를 체결하기 어려운 단점도 있으며, 절단면에 버(burr) 등이 발생하면 외관상 좋지 않고 작업 도중에 작업자가 버에 의해 다칠 수 있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도금 처리가 이루어진 일정 길이로 절단된 형상의 채널을 주문 제작으로 제공하고 있지만, 현장의 정확한 소요량 파악과 더불어 주문 제작에 따른 일정한 소요시간과 제작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도 1 내지 도 4는 플랜지가 형성된 채널에 힌지 결합된 한 쌍의 클램프가 일체로 결합된 구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러한 구성도 채널의 길이나 소요량 파악과 더불어 제작비용의 상승 등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속되는 일정 길이의 채널에 일정 간격으로 절단이 용이하도록 예비로 절단부를 형성하여 현장에서 손쉽게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면의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채널에 복수의 체결공을 형성하여 별도로 앵커 볼트의 체결을 위한 구멍을 뚫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배선을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를 고정시키는 상부가 개방된 "ㄷ"자형 배선용 멀티 채널에 있어서, 상기 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멀티 채널에 베이스와 좌우 측벽에 절단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와 좌우 측벽에 절단공이 형성되고 결합돌기의 단부에 절단홈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와 좌우 측벽을 관통하는 절단공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에 절단공이 형성되고 좌우 측벽과 결합돌기를 관통하는 절단홈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적용된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상기 해결수단에 의하여, 작업자가 현장에서 채널을 간편하게 절단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절단면이 최소화되어 방청효율이 향상되며, 일정한 절단면의 형성으로 외관이 깨끗하고, 채널에 복수 체결공의 형성으로 작업시간의 단축 등 설치비용의 절감과 시공에 따른 신뢰성을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멀티 채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채널에 배선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절단하기 전의 예비 절단 구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는 좌우로 연속되는 일정 길이의 멀티 채널로서, 채널에 일정 간격으로 미리 절단공이나 절단홈을 형성하여 절단이 용이하고 절단면을 최소화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멀티 채널(10)은 "ㄷ" 자형 형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멀티 채널(10)은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일정 길이로 절단된 채널(10)은 전선배관(1)을 지지하는 한 쌍의 클램프(40)가 결합되고, 채널(10)의 좌우측 단부에는 마감을 위한 마개(30)가 각각 결합된다. 채널(10)은 베이스(11)와 양 측벽(12, 13)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멀티 채널(10)의 베이스(11)와 측벽(12, 13)에는 복수의 체결 공(14)이 형성되어 있어 채널(10)의 베이스(11)나 측벽(12, 13) 중에서 어느 쪽을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시켜도 좋을 것이다. 더욱이 별도의 앵커 볼트 등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한 쌍의 클램프(40)는 마주하여 결합되는 구조로, 상부에는 서로 맞닿는 플랜지(45)에 체결부재(46)로 결합되는 나사공(43)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채널(10)의 결합돌기(15)에 삽입 고정되는 결합홈(44)이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클램프(40)의 중앙에는 전선배관(1)을 파지 및 지지하기 위한 홀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홀딩부(41)는 만곡부가 형성되어 전선배관(1)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표면에는 보강돌기(4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채널(10)의 좌우단을 마감하기 위한 부재로 마개(30)가 적용된다. 마개(30)는 채널(10)을 향하여 돌출된 고정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고정돌기(31)는 채널(10)의 내측과 절곡된 결합돌기(15)까지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3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멀티 채널은 예를 들어 100mm 단위로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공 및/또는 절단공을 형성하여 작업에 필요한 수량을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공의 간격을 줄여 벽면이나 천장에 채널의 고정의 편의를 도모하였다. 더욱이 절단공 및/또는 절단홈, 체결공의 형성으로 형강의 재료절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채널은 채널을 생산할 때에 포밍 설비에 의하여 여러 단계의 롤러를 통하여 굴곡지게 형성하는 것으로 절단과 타공은 포밍 전후에 프레스에 의해 가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멀티 채널의 측면의 절곡면이 일정 부분마다 절개 되어 있으므로 연속작업인 포밍 공정이 필요 없으며 프레스 공정만으로 제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프레스 공정만을 거치면서 베이스와 측벽에 체결공을 타공하고 동시에 일정 길이만큼씩 연속적으로 절곡을 한 후에 절단을 위한 절단공과 절단홈을 타공하는 일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획기적인 공정의 개선이 이루어졌다.
한편, 본 발명의 멀티 채널은 다양한 실시예와 변형예를 갖는 것으로,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에서, 좌우로 연속 형성되는 멀티 채널(10)에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에 절단공(20)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구조이다. 즉 절단공(20)은 베이스(11)에 하나 이상의 절단공(20)이 형성되고, 베이스(11)와 직각으로 형성된 측벽(12, 13)에 하나 이상의 절단공(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공(20)은 작업자가 절단기로 절단하였을 경우에 일정한 절단면을 갖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절단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b에서,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에 절단공(21)이 형성되고 결합돌기(15)의 단부에 절단홈(22)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구조이다. 즉 절단공(21)은 베이스(11)에 하나의 절단공(21)이 형성되고, 베이스(11)와 직각으로 형성된 측벽(12, 13)에 하나의 절단공(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돌기(15)의 단부에는 절단홈(22)이 미리 형성되어 있어 단부의 절단면이 더욱 깔끔해진다. 도 3c는 도 3b와 유사한 구조로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에 복수의 절단공(21)이 형성된 것이다. 이는 절단의 편의를 위하여 절단공(21)을 복수로 형성한 것이다.
도 3d에서,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 13)을 관통하는 절단공(23)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구조이다. 즉 절단공(23)은 베이스(11)의 중심부에서 좌우 측벽(12, 13)을 통과하여 결합돌기(15)까지 절단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조는 절단면이 적고 절단이 쉽도록 되어 있다.
도 3e에서, 베이스(11)에 절단공(24)이 형성되고 좌우 측벽(12, 13)과 결합돌기(15)를 관통하는 절단홈(25)이 일정 간격마다 형성된 것이다. 이는 좌우 측벽(12, 13)과 결합돌기(15)까지 절단홈(25)이 형성되어 있어 절단면이 더욱 적을 뿐만 아니라 절단할 부분을 최소화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는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는 좌우로 연속되는 일정 길이를 갖는 채널로서, 채널에 일정 간격으로 절단공이나 절단홈을 미리 형성하여 채널의 절단 작업을 단순화하고, 절단면의 최소화로 방청효율이 좋으며, 절단면이 일정하여 마감이 용이하고, 작업효율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멀티 채널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멀티 채널이 배선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선용 멀티 채널의 절단 전의 예비 절단 구조의 다양한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채널 11: 베이스
12, 13: 측벽 14: 체결공
15: 결합돌기 20, 21, 23, 24: 절단공
22, 25: 절단홈 30: 마개
31: 고정돌기 40: 클램프

Claims (2)

  1. "ㄷ"자형 형강으로서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1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좌우 측벽(12,13)의 상측 단부가 내측으로 결합돌기(15)가 절곡 형성되어 전선배관(1) 파지 및 지지하는 클램프(40)를 고정하는 멀티 채널(10)에 있어서,
    상기 멀티 채널(10)을 벽면이나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13)에는 복수의 체결공(14)이 형성되며;
    상기 멀티 채널(10)을 일정 간격마다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11)와 좌우 측벽(12,13)에는 일정 간격마다 절단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5)에는 일정 간격마다 절단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2. 삭제
KR1020090077432A 2009-08-21 2009-08-21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KR101066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32A KR101066862B1 (ko) 2009-08-21 2009-08-21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32A KR101066862B1 (ko) 2009-08-21 2009-08-21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47A KR20110019847A (ko) 2011-03-02
KR101066862B1 true KR101066862B1 (ko) 2011-09-26

Family

ID=43929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32A KR101066862B1 (ko) 2009-08-21 2009-08-21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127Y1 (ko) * 2016-05-31 2017-08-02 차민석 커브런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2514B2 (ja) * 1987-08-20 1999-07-26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ダクト装置
KR200166028Y1 (ko) * 1997-08-21 2000-01-15 박병구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
KR100785340B1 (ko) 2007-07-03 2007-12-17 이병렬 케이블덕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2514B2 (ja) * 1987-08-20 1999-07-26 松下電工株式会社 配線ダクト装置
KR200166028Y1 (ko) * 1997-08-21 2000-01-15 박병구 케이블 지지용 클램프
KR100785340B1 (ko) 2007-07-03 2007-12-17 이병렬 케이블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847A (ko) 201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0586B2 (en) Bracket assembly
US11296489B2 (en) Support system for electrical boxes
US11047510B2 (en) Profiled section element with stepped sidewall
US7025314B1 (en) Multi-functional mounting bracket with integral electrical box
KR101066862B1 (ko) 배선용 멀티 채널의 예비 절단 구조
JP2016205614A (ja) 配管支持金具
KR20130094462A (ko) 건축물 커튼월 시공장치
JP4748528B2 (ja) ケーブル等保護管の配管構造、及びその配管方法及び通線方法
KR100612468B1 (ko) 케이블 트레이
KR101661034B1 (ko) 벽체시공용 수도관 지지장치
RU2517744C1 (ru) Способ формирования криволинейного межуровневого перехода для монтажа многоуровневого натяжного потолка
AU2018256603A1 (en) Interlockable partitio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 same
KR20090090470A (ko) 관이음새의 구조
KR200382026Y1 (ko) 수전이음쇠의 고정장치
KR101500456B1 (ko) 스틸 스터드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건식벽체 시스템
JP3198433U (ja) 配管支持金具
KR101967875B1 (ko) 전선 정리용 금속 파이프의 절곡을 위한 가이드바
KR200311208Y1 (ko) 천정마감재 고정용 행거
KR200463894Y1 (ko) 이동식 펜스용 파이프 결속 클램프
JP2001136633A (ja) 配線用部材及びその施工方法
KR20160096780A (ko) 거푸집용 밴드 체결구
KR20140000860U (ko) 거푸집에 설치되는 관통슬리브의 고정구
KR100503115B1 (ko) 경량철골 천정판 설치용 구조
KR102250757B1 (ko) 전신주 필름밴드
KR200347114Y1 (ko)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