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6636B1 -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6636B1
KR101066636B1 KR1020110037754A KR20110037754A KR101066636B1 KR 101066636 B1 KR101066636 B1 KR 101066636B1 KR 1020110037754 A KR1020110037754 A KR 1020110037754A KR 20110037754 A KR20110037754 A KR 20110037754A KR 101066636 B1 KR101066636 B1 KR 101066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air
concrete
sealing material
expansion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형
서윤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스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스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스탑
Priority to KR1020110037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6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에는 각각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11,11')과 선단면(12,12')를 감싸는 망체(20,20')가 부착되고, 선단면(12,12')에 부착된 망체(20,20') 사이로 봉함재(3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며, 접착제(B)를 매개로 망체(20,20')의 일측이 콘크리트구조물(10,10')에 설치되고 타측이 봉함재(30)에 설치되어 상호 신축이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에 보강된 망체와 봉함재 및 접착제를 매개로 신축이음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을 통한 현장 설치시 시공의 용이성 및 재료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시공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시공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The Installation Method Sealed Expansion Joint System For The Concrete Structure}
본 발명은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접착제를 매개로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면에 망체를 보강하여 봉함재를 설치, 상호 접합시켜 신축이음되도록 함으로서, 외력에 의해 콘크리트의 노출된 표면 및 단부(모서리)가 파손되는 결점을 보완하고, 내구성과 부착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그 중에서도 하나의 실시 예인 교량 상부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신축이음구조는 교량 상부구조물(10,10') 사이의 개방부분에 봉함재(30)를 설치하고, 교량 상부구조물(10,10')과 봉함재(30)는 접착제를 매개로 상호 신축이음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구성이 단순하며, 설치가 매우 쉽고 간편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신축이음구조는 봉함재(30)를 교량 상부구조물(10,10') 사이에 설치시, 봉함재(30)의 양 측면에 도포된 일부접착제가 교량 상부구조물(10,10')의 단부(모서리)에 걸려 제거되고, 교량 상부구조물(10,10')의 단면에 도포된 접착제는 압축삽입되는 봉함재(30)에 간섭이 발생, 신축이음을 하는데 있어서 이러한 문제에 대해 작업시, 주의가 요구되어 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봉함재(30)의 양 측면으로 접착제의 체류를 위한 홈을 형성해 줌으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봉함재(30)는 현장에 반입된 봉함재(30)의 치수가 부적절할 경우 현장 대응에 따른 시공성이 크게 결여되는 문제가 종종 있어 통상 작업현장에서 현장상황에 맞게 작업자가 필요한 봉함재(30)를 절단(마름질)하고, 절단(마름질)된 봉함재(30)의 양 측면에 상부구조물(10,10')과의 접합시 부착력의 증강을 위해 접착제의 체류를 위한 홈을 가공하였다.
그런데, 작업자가 현장에서 가공장비를 매개로 봉함재(30)를 절단하여 측면에 홈을 가공할 때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과 깊이로 다수개의 홈을 가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더군다나 작업자의 부주의 또는 외적인 요인에 의해 홈을 가공하는 과정에 자칫 실수라도 하는 날엔 손에 큰 부상을 입게 되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항상 내포하고 있었다.
한편, 교량 상부구조물(10,10')에 고려되는 콘크리트는 취성재료(脆性材料)로서, 교량 상부구조물(10,10')의 모서리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결점이 있고, 모서리의 파손으로 인하여 접착제를 매개로 상호 신축이음되어 있는 교량 상부구조물(10,10')의 단면과 봉합재(30)의 외면 사이로 파손된 부재가 지속적으로 침투, 전이하게 되며, 이와 같은 파손된 부재의 침투로 인해 교량 상부구조물(10,10')과 봉함재(30) 간의 접합력(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참고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콘크리트구조물 즉, 상부구조물(10,10')의 모서리는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도록 모따기(Chamfering) 작업을 시행하지만, 하나의 공정이 추가된 만큼 부수적으로 시공비용의 상승 및 공사기간이 늘어나는 문제가 있고, 상부구조물(10,10')과 봉함재(30) 간의 모따기(Chamfering) 만큼의 단차로 인해 골이 형성되어 먼지, 금속가루 등의 이물질이 봉함재(30)의 상면에 침착되기 쉬우며, 이러한 이물질의 침착에 따른 외부 영향을 통해 신축재료인 봉함재(30)의 수명 및 기능저하에 대한 문제가 대두 되곤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에 따른 구성 및 시공을 단순화하고, 추가적인 보강을 통해 내구성과 시공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에 각각의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과 선단면을 감싸는 망체;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망체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봉함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과 선단면에 망체가 감싸져 부착되고, 각각의 선단면에 부착된 망체 사이로 봉함재가 삽입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며, 접착제를 매개로 망체가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되고, 설치된 선단부에 봉함재가 부착되는 신축이음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에 보강된 망체와 개방부분을 봉함재 및 접착제를 매개로 신축이음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을 통한 현장 설치시 시공의 용이성 및 재료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시공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망체의 보강을 통해 구조물 단부면에서 우려되는 균열 및 탈락으로부터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봉함재의 외면과 콘크리트면에 부착된 망체 사이에서 접착제가 경화되므로, 봉함재의 외면에 홈을 파고 접착제를 함유한 상태로 콘크리트와 접합하는 것보다 부착강도를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거동으로 인한 봉함재의 신축시, 봉함재의 외면에 접착제를 매개로 망체를 부착한 것이 외면에 홈을 형성한 봉함재에 비해 접착제의 경화영역이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기 때문에 봉함재의 신축에 대한 수용가능범위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에 보강되는 망체를 통해, 설치가 고려되는 신축이음부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습기와의 접촉이 불가피한 모서리 부분에서의 망상균열(網狀龜裂), 박리(剝離), 박락(剝落) 등과 같은 현상을 최소화시켜 줌으로서, 신축이음부를 매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구조물의 신축이음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의 다른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의 또 다른 설치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콘크리트구조물은 여러 종류가 있지만,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교량의 상부구조물을 도식화하여 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에는 각각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11,11')과 선단면(12,12')를 감싸는 망체(20,20')가 부착되고, 선단면(12,12')에 부착된 망체(20,20') 사이로 봉함재(30)가 삽입되어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며, 접착제(B)를 매개로 망체(20,20')의 일측이 콘크리트구조물(10,10') 상면에 설치되고 타측이 봉함재(30)가 설치되는 선단면에 설치된다.
상기 접착제(B)는 여러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 실시 예의 경우에는 에폭시(Epoxy)와 같은 경화제가 사용된다.
특히, 상기 망체(20,20')는 도 2의 확대도면과 같은 격자형 구조를 이루고 있어 최대한 많은 양의 접착제(B)를 함유하면서, 취성재료인 콘크리트 부재의 모서리 손상 등의 결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함재(30)의 양 측면에는 접착제(B)를 함유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31)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봉함재(30)의 양 측면에 다수의 홈(31)을 형성하여 줌으로서, 접착제(B)를 매개로 망체(20,20')와 접합시 봉함재(30)의 홈(31)이 충분한 양의 접착제(B)를 함유할 수 있어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봉함재(3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홈(31)의 모양은‘―’자, 물결무늬 등과 같은 다양한 공지의 모양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는 몰탈(M)이 더 보강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몰탈(M)을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타설하여 줌으로서, 외력에 의해 망체(20,20')가 들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몰탈(M)은 여러 공지의 수단이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본 실시 예에서는 패칭용 몰탈(제품명:BES PASTE #105)을 선택적으로 적용 실시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1)제1단계(S1)
상기 제1단계(S1)는 망체(20,20')를 접착제(B)를 매개로 콘크리트구조물(10,10')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망체(20,20')가 배치될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을 다듬어 면 정리를 시행한다.
상기 면 정리가 끝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과 선단면(12,12')에 접착제(B)를 1차 도포 후,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이 감싸지도록 망체(20,20')를 설치하거나 또는 접착제(B)가 도포된 망체(20,20')를 한 쌍의 교량 상부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과 선단면(12,12')에 부착하면 된다.
2)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는 접착제(B)를 1차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망체(20,20')의 부착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망체(20,20')가 접착제(B)를 매개로 콘크리트구조물(10,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접착제(B)가 경화되도록 한다.
3)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는 봉함재(30) 설치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 단부의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을 감싸고 있는 망체(20,20')에 접착제(B)를 2차 도포 후, 접착제(B)가 도포된 봉함재(30)를 선단면(12,12')에 부착된 망체(20,20') 사이로 압축 삽입하여 망체(20,20')와 봉함재(30)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한다.
4)제4단계(S4)
상기 제4단계(S4)는 망체(20,20') 및 봉함재(30)의 외면에 도포된 접착제(B)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망체(20,20') 및 봉함재(30)가 접착제(B)를 매개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접착제(B)가 경화되도록 한다.
5)제5단계(S5)
상기 제5단계(S5)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여 마감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4단계(S4) 이후에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고, 타설된 몰탈(M)이 경화되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한다.
상기 몰탈(M)을 망체(20,20')에 타설할 때에 망체(20,20')가 몰탈(M)에 의해 충분히 감싸지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따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제1단계(S1)
상기 제1단계(S1)는 망체(20,20')를 접착제(B)를 매개로 콘크리트구조물(10,10')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망체(20,20')가 배치될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을 다듬어 면 정리를 시행한다.
상기 면 정리가 끝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에 접착제(B)를 1차 도포 후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이 감싸지도록 망체(20,20')를 설치하거나 또는 일부분에만 접착제(B)가 도포된 망체(20,20')를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에 부착하면 된다.
2)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는 접착제(B)를 1차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망체(20,20')의 부착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망체(20,20')가 접착제(B)를 매개로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접착제(B)가 경화되도록 한다.
3)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는 봉함재(30) 설치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 단부의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을 감싸고 있는 망체(20,20')에 접착제(B)를 2차 도포 후, 접착제(B)가 도포된 봉함재(30)를 선단면(12,12')에 부착된 망체(20,20') 사이로 압축 삽입하여 망체(20,20')와 봉함재(30)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한다.
4)제4단계(S4)
상기 제4단계(S4)는 망체(20,20') 및 봉함재(30)의 외면에 도포된 접착제(B)를 2차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망체(20,20') 및 봉함재(30)가 접착제(B)를 매개로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여 접착제(B)가 경화되도록 한다.
5)제5단계(S5)
상기 제5단계(S5)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여 마감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4단계(S4) 이후에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고, 타설된 몰탈(M)이 경화되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한다.
상기 몰탈(M)을 망체(20,20')에 타설할 때에 망체(20,20')가 몰탈(M)에 의해 충분히 감싸지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시공방법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제1단계(S1)
상기 제1단계(S1)는 망체(20,20')를 접착제(B)를 매개로 콘크리트구조물(10,10')에 부착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망체(20,20')가 배치될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을 다듬어 면 정리를 시행한다.
상기 면 정리가 끝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11,11')과 선단면(12,12')이 감싸지도록 망체(20,20')를 배치한 후에 선단면(12,12')에 배치된 망체(20,20')에만 접착제(B)를 1차 도포하거나 또는 일부분에만 접착제(B)가 도포된 망체(20,20')를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선단면(12,12')에 부착한다.
상기 선단면(12,12')에 배치된 망체(20,20')에는 접착제(B)를 도포할 때에 망체(20,20')가 접착제(B)를 흡수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을 발라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2)제2단계(S2)
상기 제2단계(S2)는 봉함재(30) 설치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봉함재(30)를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선단면(12,12')에 부착된 망체(20,20') 사이로 삽입하여 망체(20,20')와 봉함재(30)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봉함재(30)를 삽입시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가 함께 딸려 들어갈 수 있으므로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를 확실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봉함재(30)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제3단계(S3)
상기 제3단계(S3)는 접착제(B) 추가 도포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 단부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접착제(B)를 2차 도포한다.
4)제4단계(S4)
상기 제4단계(S4)는 망체(20,20') 및 봉함재(30)의 외면에 도포된 접착제(B)를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과 망체(20,20') 및 봉함재(30)가 상호 접합될 수 있도록 1·2차 도포된 접착제(B)가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한다.
5)제5단계(S5)
상기 제5단계(S5)는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여 마감하는 단계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4단계(S4) 이후에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고, 타설된 몰탈(M)이 경화되도록 소정시간 동안 방치한다.
상기 몰탈(M)을 망체(20,20')에 타설할 때에 망체(20,20')가 몰탈(M)에 의해 충분히 감싸지도록 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단부에 보강된 망체(20,20')와 봉함재(30) 및 접착제(B)를 매개로 신축이음구조를 실현할 수 있고, 단순한 구성을 통한 현장 설치로 시공의 용이성 및 재료비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시공단계를 최소화할 수 있어 공기의 단축과 더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상면(11,11')에 배치된 망체(20,20')에 몰탈(M)을 타설하여 줌으로서, 외력에 의해 망체(20,20')가 들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망체(20,20') 및 접착제(B) 또는 몰탈(M)에 의해 콘크리트구조물(10,10')의 모서리가 감싸져 보호되기 때문에 모서리에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모서리가 쉽게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해 구조물 본체에 대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10': 콘크리트구조물 20.20': 망체 30: 봉함재
B: 접착제 M: 몰탈

Claims (8)

  1.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신축이음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에 각각의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과 선단면을 감싸는 망체;
    접착제를 매개로 상기 망체 사이에 삽입되어 접착되는 봉함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함재의 양 측면에는 접착제를 함유할 수 있도록 다수의 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3.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상면에 배치된 망체에는 몰탈이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4.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과 선단면에 망체가 감싸져 부착되고, 각각의 선단면에 부착된 망체 사이로 봉함재가 삽입되어 콘크리트구조물의 개방부분을 폐쇄하며, 접착제를 매개로 망체가 콘크리트구조물에 설치되고, 설치된 선단부에 봉함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설치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과 선단면에 접착제를 1차 도포 후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과 선단면이 감싸지도록 망체를 설치하거나 또는 접착제가 도포된 망체를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과 선단면에 부착하는 제1단계(S1);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2단계(S2);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과 선단면을 감싸고 있는 망체에 접착제를 2차 도포 후, 봉함재를 선단면에 부착된 망체 사이로 삽입하여 망체와 봉함재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는 제3단계(S3);
    상기 2차 도포된 접착제가 2차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4단계(S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설치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에 접착제를 1차 도포 후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과 선단면이 감싸지도록 망체를 설치하거나 또는 일부분에만 접착제가 도포된 망체를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에 부착하는 제1단계(S1);
    상기 접착제가 1차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2단계(S2);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과 선단면을 감싸고 있는 망체에 접착제를 2차 도포 후, 봉함재를 선단면에 부착된 망체 사이로 삽입하여 망체와 봉함재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는 제3단계(S3);
    상기 2차 도포된 접착제가 2차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4단계(S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설치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모서리를 포함하여 상면과 선단면이 감싸지도록 망체를 배치한 후에 선단면에 배치된 망체에만 접착제를 1차 도포하거나 또는 일부분에만 접착제가 도포된 망체를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선단면에 부착하는 제1단계(S1);
    봉함재 삽입시 딸려 들어가지 않도록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에 배치된 망체를 고정한 상태에서 봉함재를 선단면에 부착된 망체 사이로 삽입하여 망체와 봉함재의 외면이 서로 접하도록 하는 제2단계(S2);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단부 상면에 배치된 망체에 접착제를 2차 도포하는 제3단계(S3);
    1·2차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4단계(S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설치방법.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S4) 이후에는 상기 한 쌍의 콘크리트구조물의 상면에 배치된 망체에 몰탈을 타설하고, 몰탈이 경화될 때까지 소정시간 동안 방치하는 제5단계(S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설치방법.
KR1020110037754A 2011-04-22 2011-04-22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101066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54A KR101066636B1 (ko) 2011-04-22 2011-04-22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754A KR101066636B1 (ko) 2011-04-22 2011-04-22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6636B1 true KR101066636B1 (ko) 2011-09-22

Family

ID=44957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754A KR101066636B1 (ko) 2011-04-22 2011-04-22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66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819A (ko) 2017-05-01 2018-11-09 김창겸 횡단 레벨차 슬래브용 코너레벨강절재 및 이를 이용한 봉함재 설치공법
KR20210038078A (ko) * 2019-09-30 2021-04-07 삼우기연 주식회사 탄성봉함재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8908A (ja) 1997-04-24 1998-11-10 Tonen Corp 橋梁伸縮連結装置
KR19990014499A (ko) * 1998-09-10 1999-02-25 장익순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20889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 구조물
JP3165656U (ja) * 2010-11-17 2011-01-27 首都高メンテナンス西東京株式会社 伸縮継手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8908A (ja) 1997-04-24 1998-11-10 Tonen Corp 橋梁伸縮連結装置
KR19990014499A (ko) * 1998-09-10 1999-02-25 장익순 교량 및 일반 구조물용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50120889A (ko) * 2004-06-21 2005-12-26 주식회사 한국피엔알건설 탄성콘크리트를 이용한 신축 이음 구조물
JP3165656U (ja) * 2010-11-17 2011-01-27 首都高メンテナンス西東京株式会社 伸縮継手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819A (ko) 2017-05-01 2018-11-09 김창겸 횡단 레벨차 슬래브용 코너레벨강절재 및 이를 이용한 봉함재 설치공법
KR102047159B1 (ko) * 2017-05-01 2019-11-21 김창겸 횡단 레벨차 슬래브용 코너레벨강절재 및 이를 이용한 봉함재 설치공법
KR20210038078A (ko) * 2019-09-30 2021-04-07 삼우기연 주식회사 탄성봉함재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2367556B1 (ko) * 2019-09-30 2022-02-25 삼우기연 주식회사 탄성봉함재를 이용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3750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crete Crack Repair
KR101491280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복합방수공법
KR101066636B1 (ko) 콘크리트구조물에 대한 봉합형 신축이음구조 및 그 설치방법
KR20190110012A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726750B1 (ko) Frp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보강 공법
KR200402361Y1 (ko) 콘크리트 신축 이음용 복합지수판
US85671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concrete
JP607166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補強工法
KR101734105B1 (ko) 교량 신축이음부의 봉함재 설치 공법 및 그 구조
KR20160005575A (ko) 컴프레션씰을 이용한 신축이음 보수 시공방법
KR20150000722A (ko) 합성수지와 매트릭스 구조로 융합한 강화판넬을 이용한 구조물 보수 보강공법
JP2010216080A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目地材、及び防水施工方法
JP5340851B2 (ja) 目地補修構造および目地補修方法
KR101115082B1 (ko) 삽입방수층과 확장이음부를 갖는 일체형 시멘트몰탈 복합방수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JP5961470B2 (ja) コンクリートの打継施工方法
JP6612012B2 (ja) 壁パネルの目地埋め工法及び壁パネル構造
JP5759330B2 (ja) モルタル外壁の接合構造及びモルタル外壁の接合方法
JP2009013662A (ja) 目地補修構造および目地補修方法
KR200394986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지수판의 연결구조
KR100749000B1 (ko) 거푸집용 모서리 면귀재
KR20050079965A (ko) 경계석 줄눈 채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383646B1 (ko) 탄소섬유파이프의 보강수리방법
KR100285166B1 (ko) 조립식 거푸집패널 재생방법
CN208899819U (zh) 柱周楼地面施工缝角铝条护角结构
JP6903035B2 (ja) 壁パネルの目地埋め工法及び壁パネ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