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343B1 -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343B1
KR101065343B1 KR1020090038089A KR20090038089A KR101065343B1 KR 101065343 B1 KR101065343 B1 KR 101065343B1 KR 1020090038089 A KR1020090038089 A KR 1020090038089A KR 20090038089 A KR20090038089 A KR 20090038089A KR 101065343 B1 KR101065343 B1 KR 101065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gateway
management server
call signal
premises management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133A (ko
Inventor
박미순
Original Assignee
이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준 filed Critical 이화준
Priority to KR102009003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343B1/ko
Priority to PCT/KR2010/002020 priority patent/WO2010126230A2/ko
Publication of KR20100119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3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25Reporting to a device located outside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 위치된 생활 도구에 대한 제어 뿐 아니라 단선 및 고장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되는 생활도구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활도구와 연결되어 상기 생활도구를 제어하고, 상기 생활도구에 대한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홈게이트웨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전달받는 구내관리서버;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구내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고장 체크

Description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AN APPARATUS OF A REMOTE PLACE}
본 발명은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지에 위치된 생활 도구에 대한 제어 뿐 아니라 단선 및 고장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하여 원격지의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원격지, 즉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무실 또는 거주지에 설치된 생활도구에 대한 제어 시스템들이 다양하게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이들 시스템들은 설치를 위해 전용선을 설치하여야 하며, 이를 유지하기 위한 비용도 상당히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생활 도구 자체에 대한 주기적인 고장 체크가 저비용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전용선 자체의 단선이나 고장에 대한 체크가 저비용으로 이루어 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따라서, 원격지에 위치된 생활 도구, 예를 들어 수도, 가전제품, 보일러 자체의 작동이상을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단순한 구성의 시스템을 통해 통보받을 수 있으며, 특히, 저비용으로 원격지 연결 네트워크망의 고장 및 훼손에 대해서도 스 스로 판단을 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직접 알려줄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낮은 설치 비용 및 낮은 유지 비용으로 원격지의 생활도구에 대한 제어 및 작동이상 감지가 가능하도록 하며, 원격지의 생활도구의 작동이상 발생시 사용자에게 직접 작동이상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이 자체적으로 시스템의 고장 및 네트워크의 훼손을 스스로 감지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알릴 수 있도록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은, 원격지에 설치되는 생활도구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활도구와 연결되어 상기 생활도구를 제어하고, 상기 생활도구에 대한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홈게이트웨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전달받는 구내관리서버;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구내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발신함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기 준 호출신호수에 도달할 때까지 온-후크(on-hook)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하면, 온-후크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중단시키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 이하의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발신함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시스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온-후크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출신호는 CID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구내관리서버의 발신에 의한 호출신호만을 수신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발신에 의한 응답 호출신호만을 수신한다.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는 1 내지 2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시스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스 템 이상 기록이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설정 대기 시간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재발신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재송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발신함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하여도, 오프-후크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유지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기준 호출신호수를 넘어서면 오프-후크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구내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설정 주기마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발신함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기준 호출신호수에 도달할 때까지 온-후크(on-hook)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하면, 온-후크 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중단시키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 이하의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시스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출신호는 CID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홈게이 트웨이의 발신에 의한 호출신호만을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는 1 내지 2회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설정 주기가 경과하여도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시스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설정 주기가 경과하여도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스템 이상 기록이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설정 대기 시간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구내관리서버에 재발신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재송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구내관리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발신함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하여도, 오프-후크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유지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기준 호출신호수를 넘어서면 오프-후크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전류가 설정전류값 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전류가 상기 설정전류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또는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전류가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전류가 설정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지 않거나, 상기 전류가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가 사용하는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량이 설정사용기간동안 설정유량값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또는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유량이 상기 설정사용기간동안 상기 설정유량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생활도구가 사용하는 유량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가 설정온도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조도가 설정조도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습도가 설정습도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생활도구의 생산시 설정된 생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가 상기 생산데이터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지를 측정하여 상기 생산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는 PSTN, BcN 또는 무선통신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네트워크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 상기 홈게이트웨이 및 상기 구내관리서버를 연결시키는 전송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해 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의 효과는 하기와 같다.
(1)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원격지에 위치된 생활도구에 대한 작동이상을 감시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이상이 발생되는 경우에 직접 사용자의 휴대폰으로 상기 원격지의 상황이 문자, 음성, 영상 또는 동영상으로 실시간 전송되어 사용자가 원격지에 오지 않고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2) 원격지의 생활도구의 감시를 PSTN, BcN, 무선통신망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간단한 구성으로 수행함으로써, 감시 및 관리 비용을 최소한으로 발생시킨다.
(3) 네트워크의 사용에 의한 과금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에서 자체적으로 감시 시스템의 고장이나 단선을 주기적으로 감시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통지함으로써, 감시 시스템의 감시 공백 및 관리 비용을 최소화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100)은 홈게이트웨이(200), 구내관리서버(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하며, 생활도구(600)는 홈게이트웨이와 연결된다. 여기서, "원격지"란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를 나타내며, 사용자가 자리를 비운 사무실, 공장 및 집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한 "생활도구"란 원격지에 위치된 각종 가전제품(텔레비젼, 라디오, 조명기 구, 냉장고 등) 또는 수도, 보일러나 전기 시스템을 말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에 위치되며, 원격지의 생활도구(600)를 제어하며, 생활도구(600)에서 발생되는 작동이상을 감시하고, 작동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작동이상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작동이상"이란 원격지의 생활도구(600)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않는 사건들을 말한다. 또한, "작동이상신호"란, 원격지에서 발생한 생활도구(600)의 작동이상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휴대폰 단문 문자 데이터, 동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에서 생활도구(600)들과 근접하게 위치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원격지로부터 떨어진 곳에 위치될 수도 있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생성된 작동이상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구내관리서버(3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직접 사용자의 단말기(500)로 작동이상신호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생활도구(600)(예를 들어, 냉장고, 텔레비젼 등)로 유입되는 전류량을 측정하는 전류계, 생활도구(600)(예를 들어, 수도 등)가 사용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 원격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원격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원격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 등이 모두 가능하며, 이들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작동이상이 감지되면,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한다. 홈게이트웨이(200)가 생활도구(600)의 작동이상을 감지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 다.
생활도구(600)가 가전제품인 경우에, 원격지의 누전, 합선, 단선 등을 감지하기 위하여 홈게이트웨이(200)는 상기 가전제품으로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전류값을 넘어서는 전류값이 가전제품으로 유입되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전류값"은 가전제품의 출시 당시에 제품마다 결정되는 생산데이터인 허용 전류 범위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허용 전류 범위를 말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가전제품이 OFF 상태인 경우에 유입되는 전류값이 감지되는 경우에는 누전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가전제품이 ON 상태인 경우에 유입되는 전류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선으로 판단하게 되며, 유입되는 전류값이 설정전류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합선으로 판단하게 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합선이나 누전의 경우에 원격지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전류차단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홈게이트웨이(200) 자체도 이러한 누전, 합선, 단선 등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충전식 배터리나 예비 배터리가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기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도 정상적으로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가전제품에 대한 작동이상이 감지되는 시간을 "설정사용기간"으로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사용기간에 가전제품이 ON 상태이어야 하는지 OFF 상태이어야 하는지를 필요에 따라 설정하고, 이를 홈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생활도구(600)가 수도인 경우에, 홈게이트웨이(200)는 누수를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도를 통해 방출되는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유량값을 넘어서는 유량값이 방출되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유량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허용 유량 범위를 말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누수의 경우에 원격지에서 방출되는 유량을 차단하는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누수차단장치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사무실, 상수도사업소, 상수도사업본부에 연락하여 상수도를 차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수도에 대한 작동이상이 감지되는 시간을 "설정사용기간"으로서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사용기간에 수도가 열려있어야 하는지, 닫혀있어야 하는지를 필요에 따라 설정하고, 이를 홈게이트웨이(200)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생활도구(600)가 보일러, 난방기구, 냉방기구 등인 경우에,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원격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온도값을 넘어서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온도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허용 온도 범위를 말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의 온도가 설정온도값을 벗어난 경우에, 원격지의 온도가 설정온도값으로 유지되도록 냉방기구를 작동시키거나, 난방기구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생활도구(600)가 조명기구인 경우에,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의 조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원격지의 조도를 측정할 수 있는 조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조도값을 넘어서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조도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허용 조도 범위를 말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의 조도가 설정조도값을 벗어난 경우에, 원격지의 조도가 설정조도값으로 유지되도록 조명기구를 ON하거나, OFF할 수 있으며, 커튼의 개폐를 할 수도 있고, 이는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생활도구(600)가 가습기인 경우에,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의 습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원격지의 습도를 측정할 수 있는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설정습도값을 넘어서는지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설정습도값"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임의의 허용 습도 범위를 말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원격지의 습도가 설정습도값을 벗어난 경우에, 원격지의 습도가 설정습도값으로 유지되도록 가습기를 ON하거나, OFF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구내관리서버(300)는 홈게이트웨이(200)로부터 발생된 작동이상신호를 네트워크(400)를 통해 전달받고, 이를 사용자의 단말기(50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단말기(500)"는 구내관리서버(3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장비(예를 들어, 휴대폰, PDA, 노트북, 데스크탑 피씨 등)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휴대폰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500)로 구내관리서버(300)에 접속하여 홈게이트웨이를 거쳐 원격지의 생활도구(600)를 원하는 상태로 제어할 수도 있다.
구내관리서버(300)는 메세지전송부(310)를 포함하며, 메세지전송부(310)는 홈게이트웨이(200)로부터 수신한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휴대폰(500)에서 수신 가능한, 단문 문자 데이터 메세지(SMS) 또는 영상데이터가 첨부된 문자 데이터 메 세지(MMS)의 형태로 사용자의 휴대폰(50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홈게이트웨이(200)가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휴대폰(500)에서 수신 가능한, 영상데이터가 첨부된 문자 데이터 메세지(MMS) 또는 단문 문자 데이터 메세지(SMS)의 형태로 변환하여 구내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도 있고, 직접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메세지전송부(310)는 문자 메세지 확인 태그를 문자 데이터 메세지에 포함시켜, 사용자가 문자 데이터 메세지를 수신 확인 및/또는 읽기 확인하였음을 알리는 수신확인메세지 및/또는 읽기확인메세지를 구내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구내관리서버(300)의 메세지수신확인부(330)에서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확인메세지"는,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문자 데이터 메세지가 도착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발신측으로 재전송되는 메세지이며, "읽기확인메세지"는 사용자가 휴대폰(500)으로 전송된 메세지를 읽은 경우에 이를 알리기 위하여 발신측으로 재전송되는 메세지이다. "확인메세지"는 "수신확인메세지"와 "읽기확인메세지"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구내관리서버(300)는 홈게이트웨이(200)로부터 수신한 작동이상신호, 각종 설정 주기 데이터, 사용자 인증 데이터(사용자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 및 홈게이트웨이 인증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종 설정 주기 데이터, 사용자 인증 데이터 및 홈게이트웨이 인증 데이터 등이 구내관리서버(300) 자체에 직접 입력될 수도 있다.
데이터 관리부(320)에 저장된 작동이상신호는 사용자에게 재전송이 가능하게 되며, 특히 메세지수신확인부(330)가 수신확인메세지 및/또는 읽기확인메세지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메세지전송부(310)가 데이터 관리부(320)에 저장된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재전송할 수 있다. 저장되거나 직접 입력된 사용자 인증 데이터 및 홈게이트웨이 인증 데이터는 등록된 사용자와 장비만이 사용될 수 있도록 인증기능에 사용된다.
데이터 관리부(320)는 생활도구(600)의 생산시 제품마다 고유하게 설정된 생산데이터를 저장하며, 생활도구(600)가 생산데이터 범위 내에서 작동되는지를 판단할 때 비교데이타로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생산데이터는 홈게이트웨이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네트워크(400)는 홈게이트웨이(200)와 구내관리서버(300)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시키는 네트워크를 나타내며, 예를 들면,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BcN(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또는 무선통신망 등이 이에 해당한다. 네트워크(400)는 적어도 하나의 교환기와 전송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홈게이트웨이(200)와 구내관리서버(300)는 전송로를 통해 교환기를 거쳐 상호 연결된다. 네트워크(400)는 공지의 네트워크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시스템 이상"이란, "네트워크 훼손 (단선 등)" 및 "고장"을 포함하는 개념이며, "네트워크 훼손"이란 홈게이트웨이(200)와 네트워크(400)의 교환기를 연결하는 전송로가 단선되는 등, 홈게이트웨이(200)와 구내관리서버(300)간 통신두절이 되는 네트워크(400) 장애인 경우를 말 하고, "고장"이란 홈게이트웨이(200)가 고장난 경우를 말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은 구내관리서버(300)가 주기적으로 홈게이트웨이(200)에 대해, 통화로를 구성하지 않는 미과금 방식으로 실시한다. 이하에서는 하나의 교환기가 포함된 네트워크(400)를 통해 홈게이트웨이(200)와 구내관리서버(300)가 연결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내관리서버(300)는 설정 주기마다 홈게이트웨이(200)로 발신하면, 네트워크(400), 즉 네트워크(400)의 교환기는 홈게이트웨이(200)에는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구내관리서버(300)에는 호출음을 전송한다.
여기서, "호출신호"는 착신측 단말장치가 벨소리를 내도록 교환기에서 착신측 단말장치로 송출하는 신호를 가리킨다. 호출신호 사이에는 CID(Calling Identity Delivery; 발신자정보) 데이터가 삽입되어, 홈게이트웨이(200)는 수신받은 호출신호가 구내관리서버(300)에 의해 발생된 호출신호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출음"이란 네트워크(400)의 교환기가 발신측 단말기로 보내는 신호를 말하며, 착신측의 단선의 경우에도 발신측으로는 기계적으로 전송되며, 사용자 지정음 등이 포함된다.
"설정 주기"란 시스템 이상 체크 주기로서, 호출신호를 송출하기 위해 설정되는 발신 주기, 즉 호출신호 주기를 말하며, 구내관리서버(300)에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며, 설정 주기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홈게이트웨이(200)로 전송될 수 있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첫번째 호출신호와 두번째 호출신호 사이에 위치된 CID 데이터를 통해 호출신호가 구내관리서버(3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호출신호가 구내관리서버(3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것이 아니라면, 계속하여 온-후크(on-hook) 상태를 유지하여 통화로를 구성하지 않는다. 여기서, "온-후크 상태"란 수화기를 내려놓은 상태를 말하며, 통화로가 구성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과금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만일, CID 데이터를 통해 호출신호가 구내관리서버(3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홈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호출신호의 횟수가 기준 호출신호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온-후크상태를 유지하고, 기준 호출신호수 이후의 호출신호부터는 오프-후크(off-hook) 상태로 전환되어 통화로를 구성한다. 여기서 "오프-후크 상태"는 수화기를 든 상태를 말하며, 통화로가 구성되어 데이터가 송수신되며 과금이 이루어진다.
"기준 호출신호수"란 구내관리서버(300)의 발신으로 발생한 호출신호가 시스템 이상 체크용 신호인지 유효한 데이터 전송용 신호인지를 홈게이트웨이(200)가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가 설정한 기준횟수를 말하며, 발신측이 최초의 호출음을 전송받을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횟수로 설정하되, 1회 내지 2회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기준 호출신호수를 2회로 설정하면, 홈게이트웨이(200)는 두번째 호출신호를 수신할 때까지는 온-후크 상태를 유지하고, 그 이후의 호출신호에 대하여 오프-후크(off-hook) 상태로 전환된다.
홈게이트웨이(200)가 호출신호를 첫번째 또는 두번째 호출신호까지 수신하는 동안, 구내관리서버(300)는 교환기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전송받게 되며, 최초의 호출음을 전송받는 즉시 온-후크하여, 홈게이트웨이(200)에 대한 발신을 중지하여 호출신호의 송출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홈게이트웨이(200)는 두번째 호출신호까지만 수신하게 되므로, 계속 온-후크 상태로 유지한 상태가 되며, 기준 호출신호수를 초과하는 호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구내관리서버(300)에 의한 발신이 시스템 이상 체크를 위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하의 절차를 수행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고장이 아님 또는 홈게이트웨이(200)와 교환기 사이의 전송로가 단선되지 않았음을 구내관리서버(300)에 알리기 위한 응답 호출신호를 유도한다. 즉, 홈게이트웨이(200)가 구내관리서버(300)에 발신하여 교환기가 응답 호출신호를 구내관리서버(300)로 송출하도록 하며, 교환기는 응답 호출신호를 구내관리서버(300)로 송출하는 동시에 홈게이트웨이(200)에는 호출음을 전송한다.
홈게이트웨이(200)에 대한 발신을 중지한 후 응답 호출신호를 기다리던 구내관리서버(300)가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받게 되면, 홈게이트웨이(200)와 교환기 사이의 전송로가 단선되지 않았거나 홈게이트웨이(200)가 고장나지 않은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홈게이트웨이(200)는 최초의 호출음을 교환기로부터 전송받으면 온-후크 상태로 전환된다.
만일, 홈게이트웨이(200)와 교환기 사이의 전송로가 단선되었거나 홈게이트웨이(200)가 고장난 경우에는 홈게이트웨이(200)가 구내관리서버(300)의 발신에 의 해 송출된 호출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므로, 응답 호출신호가 구내관리서버(300)로 송출될 수 없게 된다. 즉, 시스템 이상 체크용 호출신호가 송출되도록 유도한 구내관리서버(300)는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받지 못하면 이러한 상태를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메세지전송부(310)가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시스템 이상 메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한 복구를 유도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는 데이터 관리부(320)에 기록으로 저장된다.
만일, 구내관리서버(300)가 시스템 이상 체크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홈게이트웨이(200)로 발신하였으나, 통화중 상태(즉, 교환기로부터 화중음, 폭주음 등 전송받는 상태)라면, 설정 대기 시간 후에 소정 시간 동안 홈게이트웨이(200)로 재발신하여 호출신호를 재송출하며, 통화중 상태가 일정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는 메세지전송부(310)가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통화중 메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한 확인을 유도한다.
구내관리서버(300)가 홈게이트웨이(2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홈게이트웨이(200)에 발신하여 네트워크(400)의 교환기가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송출된 호출신호에 대한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하여도 오프-후크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호출신호 송출을 중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홈게이트웨이(200)는 기준 호출신호수인 2회를 초과하여 호출신호를 수신받게 되고, 오프-후크 상태로 전환되어 통화로를 구성하고 구내관리서버(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받는 데이터의 예로는 장비 고장 문의 등의 A/S 관련 정보, 제어 데이터(각종 설정 주기, 사용자 아이디·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 데이터 및 홈게이트웨이 인증 데이 터 등) 조회 및 제어 데이터 다운로드 관련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내관리서버(300)가 홈게이트웨이(200)에 발신하여 네트워크(400)가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홈게이트웨이(200)는 구내관리서버(300)에 발신하여 네트워크(400)가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여 시스템 이상 체크를 하였으나, 제 2 실시예에서는 홈게이트웨이(200)가 구내관리서버(300)에 발신하여 호출신호가 구내관리서버(300)로 송출되도록 유도하여, 네트워크(400)의 단선 또는 홈게이트웨이(200)의 고장을 체크하는 구성을 가진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은 홈게이트웨이(200)가 주기적으로 구내관리서버(300)에 대해, 통화로를 구성하지 않는 미과금 방식으로 시스템 이상 체크를 실시한다.
홈게이트웨이(200)는 설정 주기마다 구내관리서버(300)로 발신하여 네트워크(400)의 교환기가 구내관리서버(300)로 호출신호를 송출하도록 유도한다. 설정 주기는 홈게이트웨이(200)에서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며, 설정 주기는 네트워크(400)를 통해 구내관리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주기는 구내관리서버(300)로부터 네트워크(400)를 통해 홈게이트웨이(200)로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구내관리서버(300)는 첫번째 호출신호와 두번째 호출신호 사이에 위치된 CID 데이터를 통해 호출신호가 홈게이트웨이(2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호출신호가 홈게이트웨이(2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것이 아니라면, 계속하여 온-후크(on-hook) 상태를 유지하고 더 이상의 처리를 하지 않는다.
만일, CID 데이터를 통해 호출신호가 홈게이트웨이(2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것으로 판단되면, 구내관리서버(300)는 수신한 호출신호의 횟수가 기준 호출신호수에 도달할 때까지는 온-후크상태를 유지하고, 기준 호출신호수 이후의 호출신호부터는 오프-후크(off-hook) 상태로 전환되어 통화로를 구성한다.
만일, 기준 호출신호수를 2회로 설정하면, 구내관리서버(300)는 두번째 호출신호를 수신할 때까지는 온-후크 상태를 유지하고, 그 이후의 호출신호에 대하여 오프-후크(off-hook) 상태로 전환된다.
구내관리서버(300)가 호출신호를 첫번째 또는 두번째 호출신호까지 수신하는 동안, 홈게이트웨이(200)는 교환기로부터 최초의 호출음을 전송받게 되며, 최초의 호출음을 전송받는 즉시 온-후크하여, 구내관리서버(300)에 대한 발신을 중지하여 호출신호의 송출이 더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구내관리서버(300)는 많아야 두번째 호출신호까지만 수신하게 되므로, 계속 온-후크 상태로 유지한 상태가 되며, 기준 호출신호수를 초과하는 호출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므로, 이러한 홈게이트웨이(200)에 의한 발신이 시스템 이상 체크를 위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구내관리서버(300)는 홈게이트웨이(200)로부터 호출신호를 받았으므로, 네트워크(400)가 단선이 아니고, 홈게이트웨이(200)가 고장도 아닌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상태는 데이터 관리부(320)에 기록으로 저장된다.
만일, 홈게이트웨이(200)와 교환기 사이의 전송로가 단선되었거나, 홈게이트 웨이(200)가 고장난 경우에는 설정 주기가 경과하여도 구내관리서버(300)가 홈게이트웨이(200)의 발신에 의해 송출된 호출신호를 받지 못하게 되므로, 이러한 상태를 시스템 이상으로 판단하며, 이에 따라 메세지전송부(310)가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시스템 이상 메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한 복구를 유도한다. 또한, 이러한 상태는 데이터 관리부(320)에 기록으로 저장된다.
만일, 홈게이트웨이(200)가 시스템 이상 체크 또는 데이터 전송을 위해 구내관리서버(300)로 발신하였으나, 통화중 상태(즉, 교환기로부터 화중음, 폭주음 등 전송받는 상태)라면, 설정 대기 시간 후에 소정 시간 동안 구내관리서버(300)로 재발신하여 호출신호를 재송출하며, 통화중 상태가 일정한 횟수 이상 반복되는 경우에는 홈게이트웨이(200)가 사용자의 휴대폰(500)으로 통화중 메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에 의한 확인을 유도한다.
홈게이트웨이(200)가 구내관리서버(300)로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내관리서버(300)에 발신하여 네트워크(400)의 교환기가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송출된 호출신호에 대한 최초의 호출음을 수신하여도 오프-후크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호출신호 송출을 중지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구내관리서버(300)는 기준 호출신호수인 2회를 초과하여 호출신호를 수신받게 되고, 오프-후크 상태로 전환되어 통화로를 구성하고 홈게이트웨이(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수신받는 데이터의 예로는 작동이상신호, A/S 관련 정보(장비 고장 보고·장비 고장 문의 응답 등), 제어 데이터(각종 설정 주기, 사용자 ID·비밀번호 등의 사용자 인증 데이터 및 홈게이트웨이 인증 데이터 등) 조회 및 제어 데이터 업로드 관련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구내관리서버(300)는 홈게이트웨이(200)에 시스템 이상 유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과금방식으로 문의해서 체크하고 그 결과를 데이터 관리부(320)에 기록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의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는 침입자들이 통신 선로를 절단하거나, 무선 기지국 또는 중계기를 파괴하여 제어 시스템을 무력화시키는 것을 저비용 및 간단한 구성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9)

  1. 삭제
  2. 원격지에 설치되는 생활도구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활도구와 연결되어 상기 생활도구를 제어하고, 상기 생활도구에 대한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홈게이트웨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전달받는 구내관리서버;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구내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발신하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구내관리서버로는 호출음을 전송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출신호의 수신 횟수가 기준 호출신호수에 도달할 때까지 온-후크(on-hook)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호출음을 최초로 수신하면, 온-후크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계속 송출하는 것을 중단시키며,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호출신호의 수신 횟수가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 이하가 된 상태에서 상기 호출신호를 더이상 수신받지 못하면,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발신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시스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발신함에 따라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한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는 호출음을 전송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전송된 호출음을 최초로 수신하면,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온-후크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는 것을 중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는 CID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출신호에서 상기 CID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구내관리서버의 발신에 의한 호출신호만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호출신호는 CID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응답 호출신호에서 상기 CID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발신에 의한 응답 호출신호만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는 1 내지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시스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스템 이상 기록이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설정 대기 시간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재발신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호출신호를 재송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홈게이트웨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호출음을 최초로 수신하여도, 오프-후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계속 호출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호출신호의 수신 횟수가 기준 호출신호수를 넘어서면 오프-후크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구내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1. 원격지에 설치되는 생활도구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활도구와 연결되어 상기 생활도구를 제어하고, 상기 생활도구에 대한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홈게이트웨이;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전달받는 구내관리서버; 및
    상기 홈게이트웨이와 상기 구내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를 포함하되,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시스템 이상 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설정 주기마다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발신하면,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는 적어도 하나의 호출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는 호출음을 전송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호출신호의 수신 횟수가 기준 호출신호수에 도달할 때까지 온-후크(on-hook)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호출음을 최초로 수신하면, 온-후크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계속 송출하는 것을 중단시키며,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호출신호의 수신 횟수가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 이하가 된 상태에서 상기 호출신호를 더이상 수신받지 못하면,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발신하고, 상기 네트워크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로 응답 호출신호를 송출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응답 호출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시스템 이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신호는 CID 데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호출신호에서 상기 CID 데이터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상기 홈게이트웨이의 발신에 의한 호출신호만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호출신호수는 1 내지 2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설정 주기가 경과하여도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여 사용자의 단말기로 시스템 이상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상기 설정 주기가 경과하여도 상기 호출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 시스템 이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시스템 이상 기록이 상기 데이터 관리부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구내관리서버가 통화중 상태인 경우에는 설정 대기 시간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상기 구내관리서버에 재발신하여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호출신호를 재송출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가 상기 구내관리서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호출음을 최초로 수신하여도, 오프-후크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가 상기 구내관리서버로 계속 호출신호를 송출하도록 하며,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호출신호의 수신 횟수가 기준 호출신호수를 넘어서면 오프-후크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홈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8.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19.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전류가 설정전류값 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전류가 상기 설정전류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또는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전류가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1.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전류를 측정하며, 상기 전류가 설정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지 않거나, 상기 전류가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2.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가 사용하는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유량이 설정사용기간동안 설정유량값에 해당되지 않는 경우 또는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유량이 상기 설정사용기간동안 상기 설정유량값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우 또는 상기 설정비사용기간동안 상기 생활도구로 유입되는 경우에, 상기 생활도구가 사용하는 유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3.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온도가 설정온도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4.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지의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조도가 설정조도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5.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원격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습도가 설정습도값이 아닌 경우에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6.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 또는 상기 구내관리서버는 상기 생활도구의 생산시 설정된 생산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관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생활도구가 상기 생산데이터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지를 측정하여 상기 생산데이터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7.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PSTN, BcN 또는 무선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8.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는
    교환기; 및
    상기 교환기, 상기 홈게이트웨이 및 상기 구내관리서버를 연결시키는 전송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29. 제 2 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홈게이트웨이는
    상기 작동이상신호를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KR1020090038089A 2009-04-30 2009-04-30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KR101065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89A KR101065343B1 (ko) 2009-04-30 2009-04-30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PCT/KR2010/002020 WO2010126230A2 (ko) 2009-04-30 2010-04-01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089A KR101065343B1 (ko) 2009-04-30 2009-04-30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33A KR20100119133A (ko) 2010-11-09
KR101065343B1 true KR101065343B1 (ko) 2011-10-14

Family

ID=4303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089A KR101065343B1 (ko) 2009-04-30 2009-04-30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65343B1 (ko)
WO (1) WO201012623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0723B (zh) * 2018-11-19 2022-11-29 深圳友讯达科技股份有限公司 网关设备、物联网事务管控系统及方法
CN114488908B (zh) * 2022-02-17 2023-12-05 北京卡特加特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开关失效后迅速恢复控制的方法、智能开关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185A (ko) * 2000-08-16 2002-02-25 고대식 지능형 홈서버 시스템과 이를 모니터링 및 제어하는 무선단말 장치
KR100584556B1 (ko) * 2003-06-26 2006-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댁내망 내 가전기기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82498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전송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4674558B2 (ja) * 2006-03-01 2011-04-20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133A (ko) 2010-11-09
WO2010126230A3 (ko) 2011-01-06
WO2010126230A2 (ko)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532B1 (ko) 원격지 감시 시스템
WO2009157616A1 (en) Wireless security networking system using zigbee technology
KR101065343B1 (ko)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KR20100091863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지능형 홈서버 제어 동작 방법 및 tcp/ip를 이용한 영상 확인 제어 및 모니터 방법
JP2007235602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6340154A (ja) メーター通報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333305A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情報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2006324741A (ja) 情報端末、地震情報の取得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070097901A (ko) 홈네트워크를 이용한 정수기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KR20070023480A (ko) 무선통신기능을 가지는 보안 감지 단말기 및 그 방법과,그를 이용한 통합 보안서비스 제공 방법
KR100685651B1 (ko) 공동 경비 비상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4095408B2 (ja)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20080007825A (ko) 홈네트워크 시스템
JP2004363880A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0133356B1 (ko) 가정 및 사무실 통합관리 전자시스팀
JP2005184190A (ja) 監視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4046577A (ja) 初期登録システム、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74558B2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JP2001274916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07233736A (ja) 住宅設備監視制御システム
KR200212097Y1 (ko) 건조기 무인 경보장치
JP2002246964A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JP4538957B2 (ja) 網制御装置
KR20100138414A (ko) 원격지 생활도구 제어 시스템
TWI769713B (zh) 多重輸入模式及多重輸出通道預警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