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80B1 -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 Google Patents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80B1
KR101064680B1 KR1020100069873A KR20100069873A KR101064680B1 KR 101064680 B1 KR101064680 B1 KR 101064680B1 KR 1020100069873 A KR1020100069873 A KR 1020100069873A KR 20100069873 A KR20100069873 A KR 20100069873A KR 101064680 B1 KR101064680 B1 KR 10106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ecurity card
security
wire conductor
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1000698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09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for removal detection of electrical appliances by detecting their physical disconnection from an electrical system, e.g. using a switch incorporated in the plug conn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금지 수단을 갖는 방범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제1시트(11)와, 제2시트(12)의 사이에 와이어도체(14)와 이 와이어도체(14)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칩유닛(13)이 매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시트(11)의 외면에 접착제(21)가 부착되어 임의의 위치에 부착 고정시켜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 사용하도록 된 방범용 카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도체(14)는 상기 제1시트(11)의 내면에 압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시트(11)에는 상기 와이어도체(14)의 회로 일부를 포함하는 절취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부(18)의 외면에 접착제(21)가 도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제 위치에 부착된 방범카드를 부착 위치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방범 카드의 내부에 내장된 회로가 단선되어 방범카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인위적인 방범카드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The crime prevention card which has a location mobile prohibition means}
본 발명은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는 방범카드를 인위적으로 분리하고자 하면 카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의 발달과 함께 주거시설 및 산업시설 등이 발달하게 되었고, 그 시설의 내용과 규모는 점차 대형화되고, 다양화되어 그에 따른 관리 업무도 점진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주거시설이나 산업시설 및 사무시설 등에 대한 방범이 더욱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었고, 이러한 방범 시스템도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방범 시스템에도 그 형태가 다양한 바, 일일이 방범 경비원이 주기적으로 순찰을 하는 기초적인 형태에서 보안카메라를 이용한 무인경비 시스템까지 그 형태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비록 많은 형태의 방범 시스템이 있다고는 해도 방범 경비원의 사실적인 확인이 가장 명확한 방범이 이루어질 수 있고, 또 이러한 사실적인 확인이 요구되는 시설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방범 순찰에 있어서, 방범 경비원의 순찰 사실 및 안전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방범카드가 이용되고 있는데, 즉, 방범카드와 이 방범카드와 연동하는 단말기의 접촉으로 순찰 사실이 기록되도록 하는 것이다.
방범카드는 제1시트와 제2시트로 이루어진 내부에 와이어도체가 칩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단말기와 접촉에 의해 단말기에 내용이 기록되도록 된 것으로서, 종래에는 일정 위치마다 단말기가 설치되어 방범 경비원이 휴대하는 방범카드를 각 단말기마다 체크하여 순찰 사실을 기록하도록 하였는데, 이 방법은 단말기가 고가인 관계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방범카드를 각 순찰 위치에 부착하여 위치고정 봉인카드로 사용하는 시스템이 적용되고 있는데, 방범 경비원이 단말기를 휴대하여 각 위치의 방범카드를 체크하도록 함으로써 방범 시스템의 경비를 줄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방범카드는 그 구조가 간단하여 부착 위치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방범카드의 이탈은 누군가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제거될 수도 있으며, 또는 방범 경비원이 근무를 태만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임의대로 부착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범카드의 위치 이탈은 방범 시스템에 치명적인 결함을 제공하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 위치에 부착된 방범카드를 부착 위치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방범 카드의 내부에 내장된 회로가 단선되어 방범카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인위적인 방범카드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된 이동금지 수단을 갖는 방범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시트와, 제2시트의 사이에 와이어도체와 이 와이어도체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칩유닛이 매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시트의 외면에 접착제가 부착되어 임의의 위치에 부착 고정시켜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 사용하도록 된 방범용 카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도체는 상기 제1시트의 내면에 압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시트에는 상기 와이어도체의 회로 일부를 포함하는 절취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부의 외면에도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설정된 위치에 부착된 방범카드를 임의대로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절취부는 벽면에 부착된 상태로 되고, 방범카드의 나머지 부분이 분리되면서, 절취부에 압착된 와이어도체가 회로적으로 분리되어 단선됨으로써 방범카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임의대로 방범카드를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행위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제2시트의 내면에는 상기 절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지가 더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절취부에 위치한 와이어도체가 다른 부분의 와이어도체보다 제2시트와의 부착력을 약화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방범카드의 분리시에 절취부와 함께 절취부의 내면에 부착된 와이어도체 부분이 쉽게 단선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지는 종이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위 붙임쪽지로 널리 알려진 포스트잇을 사용함으로써 커버지의 부착이 쉬우면서 카드의 제조시 압착에 따른 유동됨을 방지하고, 접착성이 없는 면에 접하게 되는 와이어도체의 단선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위치에 부착된 방범카드를 부착 위치로부터 분리하게 되면 방범 카드의 내부에 내장된 회로가 단선되어 방범카드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인위적인 방범카드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배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일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와이어코드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일부 확대단면도.
본 발명에 대한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일부 확대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의 와이어코드 배치도로서,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범카드(1)는 제1시트(11)와 제2시트(12)의 접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시트(11)와 제2시트(12)의 사이에 회로를 구성하는 와이어도체(14)와 칩유닛(13)이 압착 내장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도체(14)는 제1시트(11)상에서 대략 직사각형의 구조를 갖도록 배선되며, 그 일부는 배선된 외곽의 직사각형의 중앙을 지나도록 배선되어 있다.
와이어도체(14)는 개시코일영역(15)과 최종코일영역(16)을 가지며, 이 개시코일영역(15)과 최종코일영역(16)은 상기 칩유닛(13)에 회로적으로 접촉되어 배선된다.
제1시트(11)의 내측으로는 배선된 와이어도체(14)와 칩유닛(13)을 커버하면서 접착 고정하는 접착시트(17)가 결합되어 와이어도체(14) 및 칩유닛(13)을 보호하게 된다.
제2시트(12)는 상기 접착시트(17)의 외측으로 부착되며 제1시트(11)와 접합되어 전체적인 방범카드(1)를 형성한다.
제2시트(12)는 통상적으로 다수 개의 시트로 이루어지는데, 도면에서는 3개의 제2시트(12-1,12-2,12-3)가 접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2시트(12)는 각종 인쇄 및 도안이 형성되는 면으로 적용된다.
제1시트(11)에는 절취부(18)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절취부(18)는 절취선(19)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선(19)은 어느 정도의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 절취가 이루어져서 제1시트(11)로부터 절취부(18)가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취부(18)는 와이어도체(14)의 배선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와이어도체(14)의 배선 경로중 중앙을 지나는 일부가 절취부(18)를 경유하도록 배선됨이 바람직하다.
절취선(19)은 제1시트(11)와 접착시트(17)에까지 형성되어 있어서 절취부(18)가 분리되는 경우 상기 접착시트(17)의 일부분까지 함께 절취된다.
와이어도체(14)는 제1시트(11)상에 압착 배선되며, 이 때 상기 절취부(18)를 경유하는 부분의 와이어도체(14)도 마찬가지로 절취부(18)의 내면에 압착 배선되므로 절취부(18)의 영역에 포함된 와이어도체(14)도 절취부(18)와 어느 정도의 일체성을 갖는다.
제2시트(12)의 내면에는 상기 절취부(18)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지(20)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지(20)는 제1시트(11)와 제2시트(12)의 접합에도 불구하고 절취부(18)의 영역에 있는 와이어도체(14)를 제2시트(12)의 내면으로부터 분리된 성질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커버지(20)는 적어도 상기 절취부(18)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 커버지(20)와 제2시트(12)는 접착되어 있되 커버지(20)의 다른 면 즉, 절취부(18)와의 접촉면은 접착성이 없는 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커버지(20)의 특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커버지(20)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점착지를 사용하게 되면 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특히, 점착지를 사용하는 경우, 방범카드의 제조시 압착시에 커버지(20)가 유동되어 제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시트(11)의 외면에는 접착제(21)가 도포되어 있는데, 이는 임의의 위치에 방범카드(1)를 부착하기 위한 것이며, 적어도 절취부(18)의 절취선(19) 내부에도 접착제가 도포됨을 기본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21)는 도포되는 형태와 달리 접착밴드나 점착제 등 방범카드(1)를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수단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착제(21)의 접착력은 상기 절취선(19)의 절취를 위한 압력보다 큰 것을 전제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방범카드(1)는 방범을 위한 순찰의 경로상에 있는 임의의 위치에 부착된 상태로 사용되며, 순찰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와의 접촉에 의해 연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사용되는 방범카드가 인위적으로 부착 위치로부터 이탈됨은, 제1시트의 외면에 도포된 접착제가 부착 위치로부터 분리됨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경우,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이 제1시트의 일부를 구성하는 절취부(18)의 절취선(19)이 먼저 절취되어 방범카드(1)를 부착 위치로부터 분리하였을 때, 원래의 접착 위치에는 절취부(18)가 그대로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때, 절취부(18)의 내면에 압착되어 있는 와이어도체(14) 역시 절취선(19)에 따라 단선되어 절취부(18)의 영역 내에 있는 부분은 그대로 절취부(18)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절취부(18)와 와이어도체(14)는 제2시트(12)에 대하여 커버지(20)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도체(14)의 배선은 단선되어 방범카드(1)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러한 방범카드(1)는 다른 위치에서 재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어 결국, 방범카드(1)를 분리하여 임의대로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행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 ; 방범카드
11 ; 제1시트 12 ; 제2시트
13 ; 칩유닛 14 ; 와이어도체
15 ; 개시영역코일 16 ; 최종영역코일
17 ; 접착시트 18 ; 절취부
19 ; 절취선 20 ; 커버지
21 ; 접착제

Claims (1)

  1. 제1시트(11)와, 제2시트(12)의 사이에 와이어도체(14)와 이 와이어도체(14)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칩유닛(13)이 매입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시트(11)의 외면에 접착제(21)가 부착되어 임의의 위치에 부착 고정시켜서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 사용하도록 된 방범용 카드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도체(14)는 상기 제1시트(11)의 내면에 압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제1시트(11)에는 상기 와이어도체(14)의 회로 일부를 포함하는 절취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절취부(18)의 외면에도 접착제(21)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금지 수단을 갖는 방범용 카드.

KR1020100069873A 2010-07-20 2010-07-20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KR10106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873A KR101064680B1 (ko) 2010-07-20 2010-07-20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873A KR101064680B1 (ko) 2010-07-20 2010-07-20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680B1 true KR101064680B1 (ko) 2011-09-14

Family

ID=44957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873A KR101064680B1 (ko) 2010-07-20 2010-07-20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1201A (zh) * 2015-12-07 2016-05-04 广东南方海岸科技服务有限公司 防拆卸船载电子设备及其防拆卸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60B1 (ko) 1995-10-12 2004-04-17 엠더블유 트레이딩 (유케이) 리미티드 경보태그
KR20090094897A (ko) * 2008-03-04 2009-09-09 엄익식 설치 및 리딩 거리조절이 간편한 rfid리더기안테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60B1 (ko) 1995-10-12 2004-04-17 엠더블유 트레이딩 (유케이) 리미티드 경보태그
KR20090094897A (ko) * 2008-03-04 2009-09-09 엄익식 설치 및 리딩 거리조절이 간편한 rfid리더기안테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51201A (zh) * 2015-12-07 2016-05-04 广东南方海岸科技服务有限公司 防拆卸船载电子设备及其防拆卸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6367B1 (ko) 방수 통기 시트
CA2558223C (en) Flat transpond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0694287B2 (en) Waterproof sound-transmitting sheet
CN101784156B (zh) 线路板及其制作方法
KR101064680B1 (ko) 위치이동 금지수단을 갖는 방범카드
JP2006324075A (ja) 電池パック
WO2002068746A3 (en) Laminated battery separator material
CN104009424A (zh) 线束以及线束的制造方法
CN103748973A (zh) 具有安全特征的终端单元
DE10195924T1 (de) Automatisches Identitätsschutzsystem mit Fernüberwachung durch einen dritten Beteiligten
KR102049394B1 (ko) 산업 설비용 케이스의 케이블 관통홀 커버
WO2020005153A1 (en) Rfid security tape
WO2015092681A1 (en) Multi-layered filter elemen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WO2008011449A3 (en) Terminal weld tab having a wire squeeze limiter
WO2019081882A1 (en) FILTERING ENVIRONMENT
US9546778B2 (en) LED module with protective film
JP2016216835A (ja) マスク及びマスクの製造方法
JP2006231168A (ja) ベントフィルタ及びそれを備えた筐体
CN108602543A (zh) 用于软管或管道的隔离件
US20070111559A1 (en) Multiple flexible wiring board, method for producing same,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wiring board, and flexible wiring board
KR20170138975A (ko) 방수통음시트
JP5232518B2 (ja) 層間材
JP2014207769A (ja) 電線束の保護構造
CA2480269C (en) Cassette filter
KR20080066108A (ko) 연약지반용 드레인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