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652B1 -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652B1
KR101064652B1 KR1020080014711A KR20080014711A KR101064652B1 KR 101064652 B1 KR101064652 B1 KR 101064652B1 KR 1020080014711 A KR1020080014711 A KR 1020080014711A KR 20080014711 A KR20080014711 A KR 20080014711A KR 101064652 B1 KR101064652 B1 KR 10106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esh
vegetation
vegetation mat
presen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506A (ko
Inventor
허수영
Original Assignee
현대휀스개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휀스개발 (주) filed Critical 현대휀스개발 (주)
Priority to KR102008001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65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4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바닥면이나 경사면을 필요한 깊이만큼 파내고 정리한 다음에; 철망의 면이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워서 쭈욱 펼치고, 펼쳐진 철망이 지면에 대하여 일종의 벽면체를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철망 벽면체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빈 공간부에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식생토를 채워주고; 상기의 식생토로 채워된 지표면 위로 식생매트를 쭈욱 깔아주고, 상기의 식생매트를 상기 철망 벽면체의 철망에 결합시켜서 진행되어진다. 본 발명은 개천 등의 바닥면에 식생매트가 안정되게 고정되어지고, 사후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철망, 굴요성, 하천, 개천, 바닥면, 식생매트, 시공방법, 선 고정

Description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Method of Connecting Planting Mat with Steel Mesh}
본 발명은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이나 바닥면 위에 덮여지는 식생매트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도시 주변의 하천과 개천 등은 도시화 산업화로 인하여 오염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하천의 자연환경 보존 내지 복원 기능이 날로 저하되거나 악화되어가고 있다. 또한, 하천의 수질오염으로 인하여 생태계 구성요소로서 하천 식생이 위협받고 있으며, 하천에 서식하는 어류와 조류의 서식밀도가 낮아지고, 서식 동식물의 다양성이 감소되어지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산업화 도시화에 따르는 부작용을 인식하게 되고, 산업화에 못지 않게 환경의 보전 및 원상회복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대되어가고 있고, 이에 관한 자연환경의 복원을 외치는 목소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친환경 내지 환경복원에 대한 열망이 점점 커지면서, 종래의 하천이나 야산의 절개지 등의 경사면을 중심으로 하여, 다양한 형태의 자연식물들을 자라나게 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뒷따르고 있다. 그에 관한 대표적인 재료가 식물의 씨앗을 미리 포함시켜놓은 식생매트이다.
그런데, 종래의 식생매트를 이용한 시공방법은 식생매트를 시공현장으로 운반한 다음, 상기의 식생매트를 바닥면에 쭈욱 펼쳐놓은 상태에서,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의 식생매트를 단지 핀으로 지면에 눌러서 고정할 뿐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의 핀에 의하여 식생매트가 고정되어 있긴 하지만, 군데군데 고정되어 있는 것이라서, 실질적으로 고정되는 힘이 약하였다.
또한, 종래의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상기의 식생매트에서 풀이나 식물이 자라나기 전에 비가 내리거나, 하천의 제방에 물이 불어나 물에 잠기게 되었을 경우, 상기의 핀이 상기의 식생매트를 특정한 일부분에서만 고정하고 있었으므로, 그 부분을 실질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었다.
또한, 종래의 식생매트를 고정하는 방법은, 하천의 제방에 넘실대던 물살이 빠져나가거나, 비가 그치게 될 경우, 상기의 핀이 식생매트를 군데군데 고정시키고 있으므로, 여기저기에서 위로 부풀어 올라오게 되거나, 어느 한쪽 방향에서부터 말려서 지면에 완전히 접하지 못하고 부분적으로 떨어져 있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곤 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될 경우에는, 아무리 효율이 좋고 값비싼 식생매트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실질적으로 식생매트에서 자라난 식물들이 지면으로부터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섭취할 수 없게 되어지고, 이것은 식생매트의 식물들이 제대로 자라나지 못하게 되는 원인이 되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이나 바닥면 위에 덮여지는 식생매트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식생매트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외부의 환경이 달라지게 될 경우에도, 최초의 위치에서 이탈되거나 변형되지 않는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강이나 하천의 경사면이나 바닥면 위에 덮여지는 식생매트를 안전하고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a). 개천, 하천 또는 강의 바닥면이나 경사면을 정리하고 필요한 깊이만큼 형성하고 다듬어주는 준비단계와; b). 철망의 면이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쭈욱 펼쳐서 상기의 세워진 철망이 지면에 대하여 일종의 벽면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철망 벽면체의 형성단계와; c). 상기 철망벽면체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빈 공간부에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식생토(일반 토양 또는 부식토)를 채워주는 철망벽면체의 식생토 충진단계와; d). 상기의 식생토로 채워진 철망벽면체의 위로 식생매트를 쭈욱 깔아주고, 상기의 식생매트를 상기 철망벽면체의 철망에 결합시키는 식생매트의 결합단계;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의 형성단계는 상기의 지면에 먼저 부직포를 깔아주고, 그 부직포의 위쪽에 상기의 철망벽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은 통상의 6각 개비온 철망이나 5각 개비온 철망이나 사각 능형 철망 또는 사각 용접철망을 이용할 수 있고, 그의 철망이 위쪽을 향하여 배치된 끝단에 걸고리 형상의 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하천이나 개천의 바닥면 또는 경사면에 상기의 철망벽면체가 형성되고 그 주변에 식생토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모두 채워짐으로써 상기 식생토에 매몰되어 있는 역학적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그 위에 식생매트가 결합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식생매트는 실질적으로 상기의 철명벽면체에 고정된 결과가 되고, 이로 인하여 더욱 견고하게 고정되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상기의 철망벽면체가 하천이나 개천의 바닥면 또는 경사면에 일련의 직선 또는 곡선을 형성하면서 가로 방향 및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위에 상기 식생매트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의 식생매트는 상기 철망벽면체의 배열을 따라 직선상 또는 곡선상으로 연속하여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식생매트의 고정방식이 핀에 의한 점 고정방식이라고 한다면, 본 발명의 방식은 일종의 선 고정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작업자가 상기의 식생매트를 위에서 가볍게 눌러가면서 선 고정을 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정이 매우 간편한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선 고정방식을 채택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이 비가 내리거나 물에 잠긴 이후에도 식생매트가 부분적으로 부풀어올라오거나 둘둘 말려지지 않고, 처음과 동일한 형상을 유지하게 되므로, 식생매트에서 발아되거나 생육하게 되는 식물들이 안정된 상태에서 지면에 높은 확률로서 활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작업 완료 후 곧바로 비가 내리거나 물에 잠기게 될 경우에도, 식생매트의 아래쪽에 있는 철망벽면체가 식생토를 붙들어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식생토가 쉽게 유실되거나 떠내려가지 않고, 상기의 식생매트에서 식물이 자라날 때까지 안정된 토양을 유지하게 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1). 지표면의 형성 및 준비단계(S 110):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개천, 하천 또는 강의 바닥면이나 하천의 경사면을 정리하고 필요한 깊이만큼 형성하고 다듬어주는 준비단계(S 110)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강이나 개천 또는 하천의 바닥면이나 하천의 경사면은 자연상태의 모습으로 존재할 경우도 있고, 수해로 인하여 유실된 경우도 있을 수 있고, 시멘트 블록이나 호안블록으로 덮여있는 상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종의 중장비를 이용하거나 그 지표면을 걷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이러한 바닥면의 형성 및 그 준비단계는 통상적인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2). 철망벽면체의 형성단계(S 120):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강이나 개천 또는 하천의 바닥면이나 하천의 경사면에 철망을 이용하여 철망벽면체(200)를 형성하는 철망벽면체의 형성 단계(S 1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철망벽면체(200)를 구성하는 철망(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각 용접철망을 예시하면서 5각 개비온 철망 및 6각 개비온 철망을 나타내주고 있는 반면에,
도 2b는 상기 철망(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사각 용접철망을 예시하면서 이들을 서로 결합시킴과 동시에 위쪽에 걸림부재(110)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3은 하천 등의 바닥면 또는 경사면 위에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를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철망(100)의 면이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하고, 상기의 철망(100)을 지면을 따라 쭈욱 펼쳐져서 연속된 철망 시트 형상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철망(100)의높이(h)는 지면에서 약 10 센티미터 내지 50 센티미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지면에는 약 10 센티미터 내지 50 센티미터의 높이를 가진 철망의 벽면을 형성하게 되고, 이는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로서 구체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의 높이(h)는 시공현장의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상기의 철망벽면체(200)의 높이(h)가 10 센티미터 보다 적을 경우에는 그 내부에 채워지게 될 식생토의 깊이가 너무 낮아서 바람직스럽지 못할 뿐만 아니라, 상기 철망(100)이 지면에 대하여 그 위에 결합되어질 식생매트를 안정되게 붙잡아주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한편, 상기 철망(100)의 높이(h)가 50 센티미터 이상을 형성하게 될 경우에는, 그 내부에 채워질 식생토의 투입량이 너무 많아지게 되어 작업능률 및 경제적 관점에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를 이루는 철망(100)은 상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사각 용접철망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스럽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6각 개비온 철망이나 5각 개비온 철망 또는 능형 철망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상기의 철망(100)이 사각 용접철망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확대도에서는 6각 개비온 철망과 5각 개비온 철망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는 사각 용접철망 또는 6각 개비온 철망이나 5각 개비온 철망을 사용할 있음을 나타낸 것이고, 이들이 서로 혼용되어 있음을 의미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철망(100)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의 철망(100)은 기본적으로 철선들이 서로 교차하거나 서로 꼬여서 사각형이나 오각형 또는 육각형의 망눈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나중에 식생토가 채워질 경우에(도 4a 및 도 4b 참조), 상기의 식생토가 상기의 망눈 사이에 채워지게 되고, 결과적으로 식생토가 상기의 철망(100)을 붙들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종래의 앵커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의 앵커가 어느 하나의 지점을 지면에 대하여 점 고정(Point Fixing)시키는 방식인 것인데 반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벽면을 형성하게 되므로 지면에 대하여 선 고정(Line Fixing)시 키는 방식이 되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지면에 대하여 그의 반대쪽(상면)에 걸고리 형상의 걸림부재(110)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철망벽면체(200)가 걸림부재(110)를 형성하고 있을 경우에는 나중에 식생매트(150)를 결합시키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식생매트(150)를 붙잡아주게 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상기의 철망벽면체(200)가 상기의 걸림부재(110)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에는 이와 같은 기능을 더욱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지면에 대하여 그의 면이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쭈욱 일체형 시트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교차함으로써 빈 공간부(120)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빈 공간부(120)는 나중에 식생토를 채워넣게 되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첨부도면 2a 및 첨부도면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을 이루고 있는 철선들이 강선을 이루고 있으면서 서로 용접되어 있거나 서로 꼬여있으므로, 지면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질 경우, 철망(wire mesh)에 의한 벽면체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첨부도면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로 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것들과, 세로방향으로 세워져 있는 것들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상기 가로방향의 철망벽면체와 상기 세로방향의 철망벽면체가 서로 맞닿은 부분에서 서로 교차하여 연결되어지고, 이들이 4개 부분에서 서로 맞닿게 되므로, 4각형의 빈공간부(120)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3). 철망벽면체의 식생토 충진단계(S 130):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상기 철망벽면체(200)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빈 공간부(120)에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식생토를 채워주는 철망벽면체의 식생토 충진단계(S 130)를 포함하고 있다.
도 4a는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들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120)의 내부에 식생토를 채워나가고 있는 중간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4b는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들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부(120)의 내부에 식생토를 완전히 채워놓은 최종적인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빈 공간부(120)에는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영양성분을 혼합시킨 식생토를 채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나중에 식생매트(150)에서 발아하게 될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의 식생토는 인공적으로 식물의 영양성분을 포함시킨 식생토양을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연상태에서 각종의 식물이 죽어서 흙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부식토양을 의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식생토는 인공적으로 구입하는 제품과 작업현장에서 직접 조달하게 되는 주변의 흙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생토는 상기 철망벽면체(200)의 상단이 묻히지 않는 범위에서 채워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철망벽면체(200)의 상단이 완전히 묻히게 되면, 그 위에 놓여지게 될 식생매트(150)를 철망의 걸림부재(110)에 결합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작업자는 상기의 식생토를 상기 빈 공간부(120)에 백호우 또는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하여 채워넣거나, 삽 등의 기구를 이용하여 차곡차곡 채워넣을 수 있으며, 상기 철망벽면체(200)가 완전히 묻히게 되는지의 여부를 살펴보면서 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식생토의 충진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4). 식생매트의 결합단계(S 140):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상기의 식생토로 충진된 지표면 위로 식생매트를 쭈욱 깔아주고, 상기의 식생매트를 상기 철망벽면체의 걸림부재에 결합시키는 식생매트의 결합단계(S 1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4c는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들의 위에 식생매트(150)를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측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방식에 의하여 식생매트(150)를 상기의 철망벽면체(200)의 위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위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식생매트(150)의 위에 별도의 덮개 철망(160)을 더욱 추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5a에 의한 방식으로 식생매트(150)를 고정한 이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생매트(150)는 먼저 상기 식생토로 충진된 지표면 위에 쭈욱 펼쳐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식생매트(150)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들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지표면 위에 쭈욱 펼쳐서 사용되는 제품들을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생매트(150)가 식생토의 지표면 위에 쭈욱 펼쳐져 있으면, 그 상태에서 상기 식생매트(150)를 지표면 쪽으로 살짝 눌러준다. 이때, 상기 식생매트(150)의 바로 아래쪽에는 상기 철망벽면체(200)의 걸림부재(110)가 지표면 위로 살짝 올라와 있으므로, 상기의 식생매트(150)를 아래쪽으로 눌러줌 과 동시에, 상기의 걸림부재(110)가 상기 식생매트(150)의 표면 위로 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걸림부재(110)가 상기 식생매트(150)의 위쪽으로 살짝 나오게 되면, 작업자는 상기의 걸림부재(110)에 별도의 체결 철선(130)을 삽입시키고, 그 끝단을 지면쪽으로 향하여 절곡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의 체결 철선(130)은 그 끝단이 지면으로 향하여 있으므로, 작업자 또는 다른 제 3자가 상기의 체결 철선(130)에 의하여 신체손상을 당하지 않게 되고, 작업을 수행할 경우에도 안전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체결 철선(130)을 단순히 상기의 걸림부재(110)에 단순히 삽입시키는 것으로 족하고, 별도로 철선을 꼬아주거나 체결하는 것이 아니므로, 결합작업이 매우 단순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렇지만, 철망벽면체(200)에 걸림부재(110)가 없을 경우, 통상의 방법으로 상기의 식생매트를 결합시키는 것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의 식생매트(150)는 상기의 철망벽면체(20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상기의 철망벽면체(200)가 지면에 대해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쭈욱 깔려져 있고, 그 상태에서 식생토로 완전히 채워져 있으므로,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그 자체의 무게에 의한 중력과 더불어 상기 식생토에 의해 견고하게 지면에 붙들려 있게 되며, 그 상태에서 상기의 식생매트(150)가 상기의 철망벽면체(200)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식생토에 매몰된 상태로 일련의 직선(直線) 또는 곡선(曲線)을 이루면서 배열되어 있고, 이들이 서로 교차하여 결합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결합관계는 더욱 강력하게 유지되어진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직선을 형성하고 있으나, 작업현장의 상황에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말할 필요도 없을 것이다.
이것은 종래의 방식이 단순히 핀을 중심으로 하여 점(點) 결합(結合)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를 기준으로 하여 선(線) 결합(結合)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은 필요할 경우, 도 5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의 식생매트(150)의 위에 다시 거적을 덮거나 유연성 덮개 철망(160)을 쭈욱 펼쳐서 덮어줄 수 있으며, 이는 작업장의 상태 또는 작업 당시의 계절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a는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철망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b는 상기 도 2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에 사용될 수 있는 철망벽면체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채움재 충진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식생매트 고정방법을 완성한 이후 위쪽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식생매트의 위에 별도의 덮개 철망을 더욱 추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상기 도 5a에 의한 방식으로 식생매트를 고정한 이후 상당한 시간이 경과되었을 경우를 나타낸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종래의 식생매트 고정방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철망, 110 : 걸림 부재,
120 : 빈 공간부, 130 : 체결 철선,
150 : 식생매트, 200 : 철망벽면체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a). 개천, 하천 또는 강의 바닥면이나 경사면을 정리하고 필요한 깊이만큼 형성하고 다듬어주는 준비단계(S 110)와;
    b). 철망(100)을 이용하여 채움재를 채워넣을 공간을 마련하는 철망벽면체의 형성단계(S 120)와;
    c). 상기 철망벽면체(200)들이 서로 교차하면서 형성된 빈 공간부(120)에 식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식생토를 채워서 상기 철망벽면체(200)의 위쪽만을 남겨두고 모두 채워주는 철망벽면체의 식생토 충진단계(S 130)와;
    d). 상기의 식생토로 충진된 지표면 위로 식생매트(150)를 쭈욱 깔아주고, 상기의 식생매트(150)를 상기 철망벽면체(200)의 철망(100)에 결합시키는 식생매트의 결합단계(S 140); 를 포함하고 있는 식생매트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의 b). 철망벽면체의 형성단계(S 120)는 상기의 철망(100)을 지면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수직방향으로 세우고, 상기의 철망(100)을 쭈욱 펼쳐서 시트형상으로 지면에 대하여 일종의 철망벽면체(200)를 형성하도록 하며, 이 경우 상기의 철망벽면체(200)는 그의 위쪽 끝단에 걸고리 형상의 걸림부재(1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의 걸림부재(110)는 상기 철망(100)의 위쪽 끝단에서 돌출되어 상기의 식생매트(150)를 선결합 방식으로 결속시키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4. 삭제
KR1020080014711A 2008-02-19 2008-02-19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KR10106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11A KR101064652B1 (ko) 2008-02-19 2008-02-19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711A KR101064652B1 (ko) 2008-02-19 2008-02-19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506A KR20090089506A (ko) 2009-08-24
KR101064652B1 true KR101064652B1 (ko) 2011-09-15

Family

ID=41207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711A KR101064652B1 (ko) 2008-02-19 2008-02-19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6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986Y1 (ko) * 2003-01-08 2003-05-0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JP2003278130A (ja) * 2002-03-25 2003-10-02 Maeda Kosen Co Ltd 護岸構造物及び護岸工法
KR100450733B1 (ko) * 2003-12-23 2004-10-01 이재덕 가비언 판넬 및 가비언 판넬 설치 공법
KR200408102Y1 (ko) * 2005-11-16 2006-02-07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8130A (ja) * 2002-03-25 2003-10-02 Maeda Kosen Co Ltd 護岸構造物及び護岸工法
KR200311986Y1 (ko) * 2003-01-08 2003-05-09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식재가능한 조립식 격자블럭
KR100450733B1 (ko) * 2003-12-23 2004-10-01 이재덕 가비언 판넬 및 가비언 판넬 설치 공법
KR200408102Y1 (ko) * 2005-11-16 2006-02-07 박재희 식생매트리스를 활용한 개비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506A (ko) 2009-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8096A (en) Embankment element for stabilizing or supporting a slope
EP0857415B1 (en) Method for planting trees in an inclined face
US20060233611A1 (en) Method for conserving soil and water by integrating botanical net body and soft framework
CN106351238A (zh) 植被混凝土双层防护网边坡生态绿化系统及利用该系统进行边坡生态绿化的方法
CN109811776B (zh) 一种装配式格构框架梁
CN110409438A (zh) 一种岩质路堑边坡生态防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22466B1 (ko) 식생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CN210887252U (zh) 一种防止水土流失的防护装置
KR101064652B1 (ko) 철망을 이용한 식생매트의 고정방법
KR20100047485A (ko) 분리 가능한 보강틀을 구비한 사면 보강용 보강구조
KR100363435B1 (ko) 경사면 구축방법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JP2008038369A (ja) 植生ネットおよび柔性枠組の結合による土地改良措置工法
JP2002272274A (ja) 壁面緑化用植物支持材及び壁面緑化方法
CN114164844B (zh) 一种方格网式有机材护坡结构施工方法
KR20150114449A (ko) 경계재를 이용한 비탈면 녹화 공법 및 비탈면에 시공되는 경계재
JP2005061144A (ja) 法面の緑化工法
JPH0633426A (ja) 防音壁の施工方法
CA2377328C (en) Plant suppor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lant support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JPH08158344A (ja) 自然石を用いた護岸施工方法
JPS6232290B2 (ko)
JPH1129935A (ja) 法面保護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金網
JP4220613B2 (ja) 法面、壁面、岸面等の保護緑化構造
KR101364260B1 (ko) 자연식생 철망 옹벽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