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270B1 -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270B1
KR101064270B1 KR1020090019176A KR20090019176A KR101064270B1 KR 101064270 B1 KR101064270 B1 KR 101064270B1 KR 1020090019176 A KR1020090019176 A KR 1020090019176A KR 20090019176 A KR20090019176 A KR 20090019176A KR 101064270 B1 KR101064270 B1 KR 101064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elay
railway vehicle
switch
cab
battery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345A (ko
Inventor
박승묵
임재형
박상헌
오재형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9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2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9/00Ligh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는 철도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전원과,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등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철도차량에 대한 기동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스위치부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시간 지연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등의 소등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철도차량 운전자의 하차시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철도차량, 시간 지연, 기동신호, 시간 지연 제어신호, 시간 지연 릴레이

Description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LIGHT CONTROL APPARATUS OF RAILWAY 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등의 소등 시점을 제어함으로써, 철도차량 운전자의 하차시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저감시킬 수 있는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은 원동기(原動機)가 구비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동력차와 운반차로 분류될 수 있다.
동력차는 원동기가 구비되어 있어 자체의 힘으로 운행할 뿐 아니라 운반차를 견인할 수 있는 차량이다. 동력차는 구비된 원동기의 종류에 따라 증기차, 전기차 및 내연차(內燃車)로 분류될 수 있다.
증기차는 증기의 힘으로 움직이는 증기기관차를 일컫는 용어이고, 전기차는 전기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전기기관차와 전동차를 일컫는 용어이고, 내연차는 내연기관에 의하여 움직이는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및 가솔린동차 등을 일컫는 용어이다.
동력차는 과학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계속 발전되어 왔으며 앞으로 원자력차(原子力車) 등 고에너지 동력차가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이러한 동력차의 개발은 철도의 고속화와 직접 관계되는 것으로 현재 세계적으로 그 연구가 계속되고 있어 초고속 동력차도 등장하였다.
종래에는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을 주차시킨 후 하차하는 경우, 먼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을 소등시킨 후에 하차한다.
도 1에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조명 제어장치가 나타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조명 제어장치는 배터리 전원(10), 배터리 접촉기(12), 온/오프 스위치(14) 및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조명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운전실 전등(40)을 점등하는 경우, 먼저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 시동키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기동신호를 활성화시킴으로써 배터리 접촉기(12)를 턴온시킨다. 다음으로 온/오프 스위치(14)를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배터리 전원(10)과 배터리 접촉기(12)와 온/오프 스위치(14)와 전등(40) 및 배터리 전원(10)으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가 생성되어,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이 점등된다.
운전실 전등(40)을 소등하는 경우,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 시동키를 빼내어 불활성화시킴으로써 배터리 접촉 기(12)를 턴오프시키거나 온/오프 스위치(14)를 턴온시키면, 배터리 전원(10)으로부터 전등(40)으로의 전류 루프가 끊어지게 되어,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이 소등된다. 즉,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은 앞서 설명한 운전자에 의한 입력 동작에 의하여 즉시 소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서 시동키를 빼내는 경우 또는 운전자가 온/오프 스위치(14)를 턴오프시키는 즉시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이 소등된다면, 철도차량을 어두운 장소에 주차하는 철도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가 없어서 운전자의 하차시의 편의성이 저하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서 시동키를 빼낸 경우,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을 즉시 소등하지 않고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등시킴으로써, 철도차량을 어두운 장소에 주차하는 철도차량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여 운전자의 하차시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저감시키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는 철도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전원과,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등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철도차량에 대한 기동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스위치부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시간 지연 릴레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개폐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수동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수동 제어 스위치와 상기 전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동신호의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시간 지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턴오프되는 시간 지연 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간 지연 스위치는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의 보조 접점들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등은 상기 기동신호가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로 입력되고 상기 수동 제어 스위치가 턴온 상태인 경우 점등되고, 상기 기동신호의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서 시동키를 빼낸 경우,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이 즉시 소등되지 않고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등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을 어두운 장소에 주차하는 철도차량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운전자의 하차시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는 배터리 전원(10), 스위치부(20) 및 시간 지연 릴레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도차량은 전기 모터의 힘으로 움직이는 전기기관차와 전동차, 내연기관에 의하여 움직이는 디젤기관차, 디젤동차 및 가솔린동차 등의 내연차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배터리 전원(10)은 이러한 철도차량에 설치되어 각종 전장품들을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스위치부(20)는 배터리 전원(10)과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 사이에 설치되어 배터리 전원(10)으로부터 전등(40)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한다.
이러한 스위치부(20)는 수동 제어 스위치(22)와 시간 지연 스위치(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동 제어 스위치(22)는 배터리 전원(10)에 연결되어 철도차량 운전자가 수동으로 개폐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후술하겠지만,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등(40)을 점등하기 위해서는 이 수동 제어 스위치(22)는 반드시 턴온 상태이어야 한다. 수동 제어 스위치(22)는 예를 들어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또는 캠 스위치(cam switch)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시간 지연 스위치(24)는 수동 제어 스위치(22)와 전등(40) 사이에 설치되어 기동신호의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30)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시간 지연 릴레이(30)로부터의 시간 지연 제어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턴오프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동신호는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 시동키를 삽입하고 회전시키는 경우 활성화되는 신호이다. 즉, 기동신호는 철도차량 운행을 개시하는 시동신호이다. 이러한 시간 지연 스위치(24)는 후술할 시간 지연 릴레이(30)의 보조 접점들을 이용하여 개폐된다.
이러한 기동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시간 지연 스위치(24)는 턴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시간 지연 스위치(24)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고, 앞서 설명한 수동 제어 스위치(22)가 턴온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배터리 전원(10)과 수동 제어 스위치(22)와 시간 지연 스위치(24)와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 및 배터리 전원(10)으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가 형성됨으로써,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40)이 점등된다.
반면, 기동신호가 불활성화된 상태 즉, 기동신호의 시간 지연 릴레이(30)로의 입력이 차단되면, 시간 지연 제어신호가 활성화된다. 이 시간 지연 제어신호에 의하여 시간 지연 스위치(24)의 턴오프 시점이 제어된다. 이러한 시간 지연 제어신호에 대하여는 시간 지연 릴레이(30)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시간 지연 릴레이(30)는 기동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스위치부(20)에 포함된 시간 지연 스위치(24)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기동신호의 입력 차단 즉,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서 시동키를 빼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시간 지연 스위 치(24)는 설정되어 있는 시간만큼 지연되어 턴오프된다. 지연 시간은 예를 들어, 일반적인 타이머를 이용하여 60초 정도로 설정될 수 있다.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등(40)은 시간 지연 릴레이(30)로 기동신호가 입력되고 수동 제어 스위치(22)가 턴온 상태인 경우 점등되고, 기동신호의 시간 지연 릴레이(30)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소등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의 동작 과정을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전등(40)의 점등 및 소등과 결부시켜 설명한다.
<전등(40)의 점등>
(1)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 시동키를 삽입하고 회전시켜 기동신호를 활성화시킨다.
(2) 활성화된 기동신호가 시간 지연 릴레이(30)로 입력되면, 시간 지연 스위치(24)가 턴온된다. 이 후, 기동신호가 불활성화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시간 지연 스위치(24)는 턴온 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3)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 제어 스위치(22)를 턴온시킨다.
(4) 시간 지연 스위치(24)와 수동 제어 스위치(22)가 턴온되면, 배터리 전 원(10)과 수동 제어 스위치(22)와 시간 지연 스위치(24)와 전등(40) 및 배터리 전원(10)으로 구성되는 전류 루프가 생성된다.
(5) 전류 루프가 생성되면, 배터리 전원(10)으로부터 전등(40)으로 전류가 공급되어 전등(40)이 점등된다.
<전등(40)의 소등>
(1)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서 시동키를 빼냄으로써 기동신호를 불활성화시킨다.
(2) 기동신호가 불활성화되면 즉, 기동신호의 시간 지연 릴레이(30)로의 입력이 차단되면, 시간 지연 제어신호가 활성화되어 설정된 지연 시간에 대한 카운트가 시작된다.
(3)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하면, 시간 지연 스위치(24)가 턴오프된다.
(4) 시간 지연 스위치(24)가 턴오프되면, 배터리 전원(10)으로부터 전등(40)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루프가 끊어짐으로써 전등(40)이 소등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차량의 운전자가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어 있는 키 박스에서 시동키를 빼낸 경우,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이 즉시 소등되지 않고 설정된 지연 시간이 경과한 후에 소등된다. 이에 따라, 철도차량을 어두운 장소에 주차하는 철도차량 운전자의 시야가 확보되어 운전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철도차량의 운전실 조명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운전실 조명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터리 전원 12: 배터리 접촉기
14: 온/오프 스위치 20: 스위치부
22: 수동 제어 스위치 24: 시간 지연 스위치
30: 시간 지연 릴레이 40: 전등

Claims (4)

  1. 철도차량에 설치된 배터리 전원;
    상기 배터리 전원과 상기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된 전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터리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등으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철도차량에 대한 기동신호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상기 스위치부가 턴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시간 지연 릴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배터리 전원에 연결되어 수동으로 개폐 여부를 입력하기 위한 수동 제어 스위치; 및
    상기 수동 제어 스위치와 상기 전등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기동신호의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활성화되는 시간 지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턴오프되는 시간 지연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지연 스위치는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의 보조 접점들을 이용하여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등은
    상기 기동신호가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로 입력되고 상기 수동 제어 스위치가 턴온 상태인 경우 점등되고,
    상기 기동신호의 상기 시간 지연 릴레이로의 입력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기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소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KR1020090019176A 2009-03-06 2009-03-06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KR101064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76A KR101064270B1 (ko) 2009-03-06 2009-03-06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9176A KR101064270B1 (ko) 2009-03-06 2009-03-06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45A KR20100100345A (ko) 2010-09-15
KR101064270B1 true KR101064270B1 (ko) 2011-09-14

Family

ID=43006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9176A KR101064270B1 (ko) 2009-03-06 2009-03-06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624A (zh) * 2011-11-26 2012-04-11 庄景阳 Hid安定器延时装置
KR20160116468A (ko)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철도차량 객실등의 스마트 조도 제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556B1 (ko) * 2010-12-30 2013-06-11 한국과학기술원 전력 자동화 시스템의 전력 스위칭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863452B1 (ko) * 2016-10-21 2018-06-0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 종료 시스템
CN108055754B (zh) * 2018-01-31 2024-04-30 浙江杭派电动车有限公司 一种电动车大灯延时关闭装置
KR20190114567A (ko) 2018-03-30 2019-10-10 현대로템 주식회사 타이머 릴레이를 이용한 객실 조명 자동소등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도차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242A (ja) * 1995-12-14 1997-06-24 Hitachi Ltd 車両用電灯点灯回路
JPH10217840A (ja) 1997-02-06 1998-08-18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ランプ制御装置
KR100645310B1 (ko) 2006-06-14 2006-11-15 주식회사 유니룩스 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임의 조도 유지회로
JP2007038935A (ja) 2005-08-04 2007-02-15 Tokyu Car Corp 鉄道車両用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8242A (ja) * 1995-12-14 1997-06-24 Hitachi Ltd 車両用電灯点灯回路
JPH10217840A (ja) 1997-02-06 1998-08-18 Harness Sogo Gijutsu Kenkyusho:Kk 自動車用ランプ制御装置
JP2007038935A (ja) 2005-08-04 2007-02-15 Tokyu Car Corp 鉄道車両用照明装置
KR100645310B1 (ko) 2006-06-14 2006-11-15 주식회사 유니룩스 스위치 오프시 일정시간 임의 조도 유지회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3624A (zh) * 2011-11-26 2012-04-11 庄景阳 Hid安定器延时装置
KR20160116468A (ko) 2015-03-30 2016-10-10 주식회사 제이케이에이 철도차량 객실등의 스마트 조도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345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270B1 (ko) 철도차량의 조명 제어장치
CN204774708U (zh) 一种停车自动断电控制装置
KR102175393B1 (ko) 보조 배터리의 자동 충전 장치 및 방법
JP2015031410A (ja) 車両用冷却システム
CN106143147A (zh) 一种防惯性启停控制系统及客车
CN104149683A (zh) 一种汽车日行灯控制装置
JP6363865B2 (ja) 乗物及びその電力供給装置
KR20030007247A (ko) 자동차 문 열림 외부 경고등(燈) 장치
CN106004640A (zh) 一种汽车日行灯控制器
CN204871326U (zh) 自行车夜间相向行驶提醒装置
CN204291468U (zh) 一种踏步灯控制结构
JP4063647B2 (ja) エンジン駆動制御装置
CN203601022U (zh) 一种客车后舱盖安全保护装置
KR20170005588A (ko) 운전기사 부재시 자동시동(엔진)정지장치
JP2680064B2 (ja) 鉄道車両
JP3178674U (ja) 車両用照明器具点灯制御装置
KR200388740Y1 (ko) 주유시 차량의 엔진 제어장치
KR100264438B1 (ko) 엔진시동용 추가버튼 부착 장치
CN204870721U (zh) 一种汽车后座窗投影装置
KR200457192Y1 (ko) 자동차용 램프 자동제어장치
KR100913994B1 (ko) 철도차량 조명등 제어시스템
KR200413263Y1 (ko) 차량용 후드 램프 장치
CN102052161B (zh) 机动车辆
KR19980022772U (ko) 자동차용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CN202560426U (zh) 利用摩托车油门把手转动启动引擎的点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