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190B1 - 다이어트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다이어트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190B1
KR101064190B1 KR1020090060392A KR20090060392A KR101064190B1 KR 101064190 B1 KR101064190 B1 KR 101064190B1 KR 1020090060392 A KR1020090060392 A KR 1020090060392A KR 20090060392 A KR20090060392 A KR 20090060392A KR 101064190 B1 KR101064190 B1 KR 101064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t
stent
body portion
slip
duode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753A (ko
Inventor
김상호
신일균
기병윤
김한기
전훈재
홍대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090060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190B1/ko
Publication of KR2011000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6Stents in a form characterised by the wire-like elements; Stents in the form characterised by a net-like or mesh-like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003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Anti-eating devices
    • A61F5/0013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 A61F5/0076Implantable devices or invasive measures preventing normal digestion, e.g. Bariatric or gastric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5Stomach, intest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besit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이어트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십이지장과 위장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는 몸체부가 십이지장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과 같은 유체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등이 위장에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게 되어 포만감을 느끼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된다.
스텐트, 다이어트, 금속와이어, 커버막, 역류방지밸브

Description

다이어트용 스텐트{STENT FOR DIET}
본 발명은 인체 내강에 삽입되어 다이어트를 이룰 수 있는 다이어트용 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잘못된 식생활 또는 생활습관 등에 의해 비만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추세이며, 비만은 많은 질병의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다이어트 요법이 소개되고 있으며, 식이요법 또는 운동요법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이어트를 위해 외과적 시술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위장의 일부를 잘라내거나, 위장에 보형물 등을 고정하는 시술 등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외과적 시술은 그 시술이 복잡하며, 외과적 수술에 따른 후유증이 동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외과적 수술없이 간단하게 인체 내강에 삽입하여 다이어트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다이어트용 스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는, 십이지장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5mm 내지 10 mm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의 상단은 20mm 내지 30mm의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메쉬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금속와이어의 표면에 커버막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는, 십이지장에 삽입되는 몸체부가 십이지장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과 같은 유체의 유속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등이 위장에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게 되어 포만감을 느끼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의 상측에 마련되는 미끄럼방지부를 통해 다이어트용 스텐트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하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의 하부에 마련되는 걸림부 또는 확장부를 통해 다이어트용 스텐트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상류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 내부에 마련되는 역류방지밸브를 통해 몸체부 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유체가 상류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중복되는 설명이나 자명한 사항에 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100)는 몸체부(110)와, 미끄럼방지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10)는 인체의 십이지장에 삽입되는 것으로, 금속와이어(W1)를 엮어서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금속와이어(W1)는 니켈-티타늄 합금 등과 같은 형상기억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몸체부(110)는 피크파트 및 밸리파트를 갖도록 금속와이어(W1)가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복수의 열(Ⅰ,Ⅱ,Ⅲ)을 구비하며, 제 1열(Ⅰ)의 피크파트(P1)와 이웃한 제 2열(Ⅱ)의 밸리파트(V2)가 교차되도록 엮이고, 제 2열(Ⅱ)의 피크파트(P2)와 이웃한 제 3열(Ⅲ)의 벨리파트(V3)가 교차되도록 엮여서 전체적으로 메쉬 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몸체부(110)는 금속와이어(W1)의 표면에 형성되는 커버막(C1)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커버막(C1)은 20 내지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몸체부(110) 내부로 흐르는 음식물 등의 유체가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외부조직이 스텐트(100)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여 스텐트(100)의 제거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막(C1)의 재질은 의료용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실리콘우레탄공중합체(SILICONE-URETHANE COPOLYMER), 실리콘(SILICON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에스터(POLYESTER) 또는 불소수지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몸체부(110)는 십이지장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도록 마련되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5mm 내지 10mm의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십이지장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유체의 유속을 저하시켜 음식물 등이 위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하기 위함이다.
미끄럼방지부(120)는 몸체부(110)의 상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몸체부(110)가 십이지장의 내벽을 타고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미끄럼방지부(120)는 금속와이어(W2)를 엮어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하여서 전체적으로 중공을 이루면서 테이퍼진 원통 형상을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미끄럼방지부(120)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와이어(W2)를 엮는 방식은 몸체부(110)를 형성하기 위해 금속와이어(W1)를 엮는 방식과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미끄럼방지부(120)는 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부(120)는 금속와이어(W2)의 표면에 형성되는 커버막(C2)을 더 구비하며, 이러한 커버막(C2)은 몸체부(110) 내부로 흐르는 음식물 등의 유체가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부(120)는 위장과 십이지장이 연결되는 부분을 지지함으로써, 몸체부(110)가 최초 삽입된 위치에서 하류방향, 즉 유체가 흐르는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미끄럼방지부(120)의 상단은 20mm 내지 30mm의 외경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6mm의 외경을 갖는 것이 좋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트용 스텐트(100)는 내부를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유체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밸브(13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역류방지밸브(130)은 고정막(131)과, 밸브막(13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재질은 커버막(C1,C2)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막(131)은 몸체부(110) 내주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고정막(131)에는 음식물 등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방사 형태로 개구된 개구부(H)가 형성된다.
밸브막(132)은 고정막(131)에서 일체로 연장되는 것으로, 절첩된 형태로 마련되어 개구부(H)와 연통되는 통로(L)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역류방지밸브(130)는 음식물 등의 유체가 고정막(131)의 상류측으로부터 투입되면, 밸브막(132)의 통로(L)를 개방하여 음식물을 통과시킨다. 그리고, 유체의 투입이 중단되면, 밸브막(132)의 통로(L)를 차단하여 유체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가 인체의 내강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트용 스텐트(100)의 몸체부(110)는 십이지장(A)과 위장(B)의 연결부위에 삽입되며, 미끄럼방지부(120)는 위장(B)의 바닥면을 지지함으로써 다이어트용 스텐트(100)가 하류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지하게 된다.
이때, 몸체부(110)는 십이지장(A)의 내경보다 작은 5 mm 내지 10mm 내경을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십이지장(A)을 통과하는 음식물 등의 유체의 유속이 저하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 등이 위장에 오랫동안 머무를 수 있게 되어 포만감을 느 끼는 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를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600)는 몸체부(610)와, 미끄럼방지부(620)와, 걸림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몸체부(610) 및 미끄럼방지부(620)의 구성은 제 1실시예의 몸체부(110) 및 미끄럼방지부(12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걸림부(630)는 몸체부(610)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된 것으로, 금속와이어(W3)를 엮어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630)는 몸체부(610)의 외주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어서 인체의 내강을 지지하게 되며, 이를 통해 몸체부(610)가 음식물 등의 유체가 흐르는 상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걸림부(630)의 표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코팅층(C3)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코팅층(C3)은 걸림부(630)의 내측에 형성되어 걸림부(630)의 탄성력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다이어트용 스텐트(800)는 몸체부(810)가 상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확장부(830)를 구비할 수도 있다.
확장부(830)는 금속와이어(W4)를 엮어서 중공의 원통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으로, 몸체부(8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확장부(830)는 몸체부(810)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며, 십이지장의 내벽을 지지함으로써 다이어트용 스텐트(800)가 상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스텐트가 인체 내강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하측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스텐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600 : 스텐트 110, 610 : 몸체부
120, 620 : 미끄럼방지부 130 : 역류방지밸브
630 : 걸림부

Claims (5)

  1. 십이지장의 내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중공의 원통형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의 미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를 따라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가 유체가 흐르는 상류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피크파트 및 밸리파트를 갖도록 원주방향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된 복수의 열을 구비하며, 상기 몸체부의 제1열의 피크파트와 이웃한 제2열의 밸리파트가 교차되도록 엮이고, 제2열의 피크파트와 이웃한 제3열의 밸리파트가 교차되도록 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몸체부는 5mm 내지 10 mm의 내경을 가지며, 상기 미끄럼방지부의 상단은 20mm 내지 30mm의 외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스텐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측에 형성되되 상기 몸체부보다 큰 외경을 갖는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스텐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하측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스텐트.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금속와이어를 엮어서 메쉬 형태로 형성하고, 상기 금속와이어의 표면에 커버막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트용 스텐트.
KR1020090060392A 2009-07-02 2009-07-02 다이어트용 스텐트 KR101064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392A KR101064190B1 (ko) 2009-07-02 2009-07-02 다이어트용 스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0392A KR101064190B1 (ko) 2009-07-02 2009-07-02 다이어트용 스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53A KR20110002753A (ko) 2011-01-10
KR101064190B1 true KR101064190B1 (ko) 2011-09-14

Family

ID=43610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392A KR101064190B1 (ko) 2009-07-02 2009-07-02 다이어트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1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26330A (zh) * 2012-05-05 2012-08-08 万平 一种用可降解生物相容材料制成的十二指肠内覆膜及应用
KR101238719B1 (ko) 2011-09-29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비만 치료용 스텐트
KR20200014598A (ko) * 2018-08-01 2020-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이도용 셀프 리테이너
KR20210004003A (ko) 2019-07-02 2021-01-1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욕억제용 위장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58546B (zh) * 2017-06-27 2018-11-30 杭州糖吉医疗科技有限公司 胃导流器
CN107308534B (zh) * 2017-06-27 2021-02-26 杭州糖吉医疗科技有限公司 胃导流器及其消化道抗菌导管
CN107126306B (zh) * 2017-06-27 2024-05-14 杭州糖吉医疗科技有限公司 胃导流器及其支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330B1 (ko) * 2002-09-03 2004-07-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050102778A (ko) * 2004-04-22 2005-10-27 박용희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2330B1 (ko) * 2002-09-03 2004-07-30 주식회사 엠아이텍 스텐트 및 이 스텐트의 제조방법
KR20050102778A (ko) * 2004-04-22 2005-10-27 박용희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719B1 (ko) 2011-09-29 2013-03-04 주식회사 엠아이텍 비만 치료용 스텐트
CN102626330A (zh) * 2012-05-05 2012-08-08 万平 一种用可降解生物相容材料制成的十二指肠内覆膜及应用
CN102626330B (zh) * 2012-05-05 2014-06-25 万平 一种用可降解生物相容材料制成的十二指肠内覆膜及应用
KR20200014598A (ko) * 2018-08-01 2020-02-11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이도용 셀프 리테이너
KR102153665B1 (ko) * 2018-08-01 2020-09-10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외이도용 셀프 리테이너
KR20210004003A (ko) 2019-07-02 2021-01-13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식욕억제용 위장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753A (ko) 201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190B1 (ko) 다이어트용 스텐트
CN111134899B (zh) 主动脉植入物
ES2386239T3 (es) Prótesis cardiovalvular atraumática
AU2005286730B2 (en) Stent graft connection arrangement
US20190015201A1 (en) Aortic valve stent graft
ES2215163T3 (es) Injerto aortico.
ES2432542T3 (es) Aparato para el tratamiento de aneurismas adyacentes a ramificaciones arteriales
ES2577853T3 (es) Dispositivos de endoinjerto modular
US7993410B2 (en) Esophageal stent
US7510574B2 (en) Implantable device as organ valve replacement
JP5960713B2 (ja) 血管枝部位におけるステントグラフトの生体位(insitu)開窓のためのデバイス及び方法
ES2546477T3 (es) Dispositivo intraluminal híbrido
JP6543119B2 (ja) ステントグラフト
US20080077234A1 (en) Valve Prosthesis
US20030171801A1 (en) Partially covered intraluminal support device
JP2009513288A (ja) 部分的に覆われたステント機器とその使用方法
KR20040024875A (ko) 슬리브 밸브를 갖는 인공 삽입물
JP2006503654A (ja) 静脈弁装置並びに方法
BR112015011214B1 (pt) Implante de vaso para implantação em um vaso sanguíneo de um paciente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um implante de vaso
CN111067664A (zh) 覆膜支架
JP6761117B2 (ja) 全体アーチ概念
WO2022065058A1 (ja) 体液還流デバイス
US10709543B2 (en) Non-cylindrical mesh top stent with twisted sections
WO2007067886A2 (en) Stents with beveled en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CN114376763B (zh) 血管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