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778A -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 Google Patents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778A
KR20050102778A KR1020040028021A KR20040028021A KR20050102778A KR 20050102778 A KR20050102778 A KR 20050102778A KR 1020040028021 A KR1020040028021 A KR 1020040028021A KR 20040028021 A KR20040028021 A KR 20040028021A KR 20050102778 A KR20050102778 A KR 20050102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ood
stomach
pyloric
duoden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희
Original Assignee
박용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희 filed Critical 박용희
Priority to KR1020040028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2778A/ko
Publication of KR20050102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778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가 과다한 체중이 되어 비만이나 고도 비만이 될 때 과다한 체중을 적정 체중으로 감량하는 체중감량(다이어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인체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과다한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하도록 억제하고, 소량의 음식물 섭취만으로 포만감을 갖게 하도록, 소화기관의 일부분인 위와 십이지장이 연결되는 유문 괄약근(또는 유문부)부분에, 위의 내부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십이지장 또는 소장이나 대장 등의 소화기관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지연시키는 튜브 장치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튜브장치는 인체가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위에서 음식물이 소화기관(소장 또는 대장 등)으로 이동되는 단위 시간을 지연시켜, 음식물의 섭취 후 포만감을 연장하여 공복감으로 인한 과다한 음식물의 섭취를 억제하도록 함으로서 비만이나 고도 비만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장치이다.

Description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omitted}
본 발명은 인체가 과다한 체중이 되어 비만이나 고도 비만이 될 때 과다한 체중을 적정 체중으로 감량하는 체중감량(다이어트)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가 음식물을 섭취 할 때 과도한 음식물의 섭취는, 비만이나 고도 비만의 원인이 되어 일상 생활이나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된다. 일반적으로 체중감량을 위해 고도비만의 경우는 소화기관의 일부인 위를 절제하여 위의 용적을 축소하는 수술(위 축소 시술)을 하거나,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하여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이나 약물요법 등의 방법을 통하여 체중을 감량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어, 이러한 방법으로 체중감량을 행할 때 많은 고통을 수반하는 문제점을 갖게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소화 기관의 일부분인 위와 십이지장이 연결되는 유문 이나 유문 괄약근 부분에,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십이지장 또는 소장이나 대장 등의 소화기관으로 이동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갖는,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원통형 튜브 장치를 설치한다. 이러한 튜브 장치를 통해서 인체가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포만감을 느끼는 시간을 연장하고, 음식물이 소화되고 흡수되는 단위 시간을 지연시켜, 공복 감으로 인한 과다한 음식물의 섭취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기능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은 위와 십이지장이 연결되는(위의 하단에서 십이지장의 상부까지)부분의 내부에, 위 쪽 방향의 입구가 넓고 십이지장 쪽 방향의 출구가 좁은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원통형 튜브를 설치하여,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소장이나 대장으로 이동되는 속도를 지연시키도록 한다. 이는 일반적으로 위로 들어간 음식물이 소화가 진행되면 위 내부 압력이 높아져 유문 괄약근의 압력과 십이지장 내부 압력의 조화로, 유문을 밀어내면서(또는 윤동 운동으로) 틈을 내어 액상(또는 미죽 상태)의 음식물을 조금씩 위에서 소장으로 보내게 되는데, 닫혀있던 유문(유문 폐쇄 상태)이 틈을 내어 열려(유문 개방 상태)질 때, 열려진 유문(유문 괄약근)보다 좁은 출구를 갖는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 튜브의 내부 통로로 소화된 음식물이 통과하게 되며, 이 때 위에서 소장 쪽으로 음식물이 이동하는 이동 시간을 지연(동일한 압력일 때는 출구가 작은 쪽이 통과 시간이 길다)시켜, 위의 내부에 소화된 음식물이 머무르는 시간을 연장하여, 음식물을 섭취한 후에 포만감을 연장시킨다. 이와 같이 연장된 포만감과 위가 공복 상태(위 속의 소화된 음식물이 비워지는 상태)로 돌아오는 시간의 지연을 통하여, 하루의 단위 시간당 섭취하는 음식물의 양을 억제하는 역활을 갖는다. 또한 유문의 개발과 폐쇄가 반복 될 때,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튜브도 유문 괄약근의 작용과 함께 개방과 폐쇄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튜브 속(튜브의 피막 내부)에 형상을 회복시키는 스프링 기능의 와이어(스틱형태 또는 그물 망형태)를 갖고, 유문이 개방될 때는 와이어의 탄성(스프링 기능)에 의해 튜브의 출구가 개방되고, 유문이 폐쇄될 때는 유문 괄약근의 조임 압력에 의해 함께 튜브의 출구가 폐쇄 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기구(Y자 형상 또는 U자 형상)가, 위의 내부 압력이나 위벽의 윤동 운동으로 인하여 십이지장 쪽으로 밀려나가지 않도록 설치(위쪽의 튜브 입구가 개방된 유문 보다 크다)하고, 이러한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튜브장치를 위의 내부에 설치하거나 제거 할 때는 위 내시경 장치 등을 이용(또는 구강을 통하여 삽입한다)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문축소형 비만 치료기구는, 위의 윤동 운동이나 십이지장의 윤동 운동과 함께 동일한 윤동 운동을 하도록, 유연성을 갖는 재질(인체에 무해한 고무 또는 실리콘 등)로 구성된 Y자 형상(또는 U자 형상)의 원통형 튜브의 피막(얇은 막으로 이루어진)을 갖으며, 튜브의 피막 속(내부)에 형상을 회복(원통형의 튜브 형상을 유지)시키는 스프링 기능의 와이어를 통하여 위의 내벽에 밀착(튜브의 통로로 소화된 음식물이 통과하도록)하여 동일한 윤동 운동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십이지장 또는 소장이나 대장 등의 소화기관으로 이동되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A는 유문부 고정 튜브(또는 피막)로서, 위의 윤동 운동시에 위벽과 함께 윤동 운동을(위벽의 조임 압력과 피막 내부의 형상 회복용 와이어의 탄성을 이용)하고,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의 내부를 통과하는 입구의 역할을 갖는다. 또한 Y자 형상 튜브는 임이의 갯 수(입구쪽 피막이 여러갈래로 갈라져 위벽과 밀착될 때 위벽의 분비물이 음식물과 접촉하는 면적을 늘린다)를 갖는 피막이 출구 측 튜브의 피막과 연결(유문부 고정 튜브부터 십이지장 고정 튜브까지 일체형으로 연장되게)되며, A는 유문 괄약근(개방된 유문 괄약근의 통로)보다 크도록 하여 본 발명의 장치가 위의 내부 압력이나 위의 윤동 운동에 의해 소장 쪽으로 밀려 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B는 유문 괄약근 고정 튜브로서 유문 괄약근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동일하게 개방되고 폐쇄된다. 즉 유문이 폐쇄될 때에는 유문 괄약근의 조임 압력에 의해서 B가 조여져 튜브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고, 유문이 개방될 때에는 튜브의 피막 내부에 있는 형상 회복용 와이어의 탄성(스프링 기능)에 의해 튜브의 내부 통로가 개방된다. 또한 개방된 튜브의 내부 통로는 개방된 유문 괄약근의 통로보다 좁아 통과되는 음식물(위에서 소화된 미죽 상태 또는 액상의 음식물)의 단위 시간을 연장시키는 역할을 갖는다. C는 십이지장 고정 튜브로 A의 입구로 들어오는 음식물이 소장 쪽으로 배출되는 출구의 역할을 갖으며, 본 발명의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기구가 위쪽으로 역류되어 밀려나지 않도록 십이지장 구부 쪽으로 고정된다. D는 유문부 고정 피막으로 임이의 갯 수(입구 쪽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를 갖으며, A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도 2에서 A, B, C는 도1의 A, B, C와 동일하고, D와 E의 연장점에서 종단면 및 횡단면은 도 3의 도면을 참조. 또한 도2의 A는 도1의 D가 한 개의 피막(U자 형상)으로 구성되어진다. F와 G는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본 발명의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기구를 통과하여 소장 쪽으로 이동하는 방향을 나타낸다. H와 I는 유문괄약근(유문)이 폐쇄될 때 유문 괄약근의 조임에 따라서 튜브의 내부 통로가 폐쇄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반대로 유문이 개방될 때에는 형상 회복용 와이어의 탄성(스프링 기능)이 H와 I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튜브의 내부 통로가 개방된다.
도 3에서 A는 원통형 튜브 피막으로 피막(도 1의 A, B, C와 동일) 내부에 형상 회복용 와이어를 고정하고 지지한다. B는 형상회복용 와이어로서 A의 피막 내부에 고정되고 지지되며, 임이의 갯 수를 갖는 스틱 형태의 와이어 또는 그물 망 형태의 와이어로 구성되어, 위벽의 윤동 운동 압력이나 유문 괄약근의 조임 압력(외부압력)에 의해서 조여진(튜브의 내부 통로 안쪽 방향으로)튜브의 피막을, 외부압력이 제거되면 외부 압력이 가해지는 반대 방향으로 팽창(스프링 기능의 탄성이 작용하여)하여 튜브의 원상을 회복하는 역할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비만이나 고도비만 시에 체중감량(약물요법, 식이요법, 운동요법, 위 축소 시술요법 등의 다이어트)에 따르는 단식이나 외과적 수술 등의 고통을 수반하지 않으며, 한번의 간편한 시술(위 내시경 장치 등을 사용하여 설치와 제거를 한다)만으로 과도한 음식물의 섭취를 억제하여 체중감량의 효과를 갖게된다.
도 1은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Y자 형상)의 외형도이다.
도 2는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U자 형상)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도-2에서 D와 E의 연장지점)의 종단면과 횡단면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도 1에서 A는 유문부 고정 튜브(또는 피막), B는 유문 괄약근 고정 튜브, C는 십이지장 고정 튜브, D는 유문부 고정 피막.
도 2에서 A, B, C는 도1과 동일, D와 E의 연장선 지점은 도3의 종단면 및 횡단면 지점을 지정, F와 G는 소화된 음식물 이동 방향, H와 I는 유문 괄약근(유문 폐쇄 상태) 조임 방향.
도 3에서 A는 원통형 튜브 피막, B는 형상 회복용 와이어, C는 A와 동일, D는 B와 동일.

Claims (1)

  1. 소화 기관 내부에 얇은 피막으로 이루어진 Y자 형상 또는 U자 형상의 원통형 튜브(이하 튜브라 한다)가, 위의 하단 부분에서 십이지장 부분의 사이에, 위의 하단 부분 쪽에는 튜브의 입구와 십이지장 부분 쪽에는 튜브의 출구가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위의 내부에서 소화된 액상 또는 미죽 상태의 음식물은 소장이나 대장 등의 소화기관으로 이동할 때, 튜브의 내부 통로를 입구 쪽에서 출구 쪽으로 통과하여 이동 하게되고, 개방된 유문 또는 유문 괄약근 보다 작은 출구를 갖는 튜브에 의해서,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의 이동 속도가 지연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기능이 가능하도록 튜브의 피막 속에 장치된 스틱 형태 또는 그물망 형태의 형상 회복용 와이어는, 위벽의 윤동 운동 또는 유문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튜브의 원형을 회복시켜 튜브의 피막을 위벽 또는 십이지장 내벽에 밀착시키는 스프링의 역할을 갖으며, 위 하부 또는 유문부 쪽 튜브의 입구는 유문 또는 유문 괄약근 보다 커서 위 내부의 내압에 의해 십이지장 쪽으로 튜브가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한다. 또한 튜브의 피막은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어 위벽의 윤동 운동이나 유문의 개방 또는 폐쇄 작용과 동일하게 수축하거나 팽창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위에서 소화된 음식물이 소장이나 대장 등의 소화기관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음식물 섭취 후 포만감을 연장하고, 공복감으로 인한 과도한 음식물 섭취를 억제하여 비만을 치료하는 유문 축소형비만 치료 기구.
KR1020040028021A 2004-04-22 2004-04-22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KR200501027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021A KR20050102778A (ko) 2004-04-22 2004-04-22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021A KR20050102778A (ko) 2004-04-22 2004-04-22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778A true KR20050102778A (ko) 2005-10-27

Family

ID=37280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021A KR20050102778A (ko) 2004-04-22 2004-04-22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27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90B1 (ko) * 2009-07-02 2011-09-14 주식회사 엠아이텍 다이어트용 스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190B1 (ko) * 2009-07-02 2011-09-14 주식회사 엠아이텍 다이어트용 스텐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7972B2 (en) Pyloric valve
US20170143523A1 (en) Stomach-Spanning Gastric Implants
US10512557B2 (en)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EP2629713B1 (en) Stomach-spanning gastric implants
US8628554B2 (en) Intragastric device for treating obesity
JP4426852B2 (ja) 飽和デバイス及び方法
US7316716B2 (en) Gastric bypass prosthesis
US8821429B2 (en) Intragastric implant devices
JP2005522269A5 (ko)
JP6067012B2 (ja) 胃腸管および/または血管の機能退化を逆戻りさせるシステム及び括約筋プローブ
US20050240279A1 (en) Gastrointestinal sleeve device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morbid obesity
US201101906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obesity
US20090312597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limiting gastric expansion
DE602005015088D1 (de) Mit Beutel versehener intragastricher Ballon mit einem Verschlusselement, das auf verbesserte Weise an den Beuteln angeordnet ist
KR101696006B1 (ko) 변형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는 피술자를 위한 비만 치료 장치 및 방법
HK1138756A1 (en) Implantable weight control device
WO2007121028A2 (en) Method of inhibiting disruption of the healing process in a physically modified stomach
KR20050102778A (ko) 유문 축소형 비만 치료 기구
EP2741808B1 (en) Anchoring and delivery system for a gastro-duodenal implant
US20160106565A1 (en) Pancreaticobiliary diversion device
US20170079822A1 (en) Gastric recycl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obesity treatment
Shulpekova et al. Intestine motility, secretion, and constipation treatment principles
RU2659020C2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и снижения веса тел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внутрижелудочного стента вместо внутрижелудочного баллона
WO2013004266A1 (en) Device for time delayed dispensing of bile
RU2150243C1 (ru) Способ наложения дуоденоеюноанастомоза при кольцевидной поджелудочной желез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