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475B1 -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 Google Patents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475B1
KR101063475B1 KR1020110068258A KR20110068258A KR101063475B1 KR 101063475 B1 KR101063475 B1 KR 101063475B1 KR 1020110068258 A KR1020110068258 A KR 1020110068258A KR 20110068258 A KR20110068258 A KR 20110068258A KR 101063475 B1 KR101063475 B1 KR 101063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food waste
food
lift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행진
Original Assignee
한빛테크원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빛테크원 (주) filed Critical 한빛테크원 (주)
Priority to KR102011006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4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8Platform elevators or hoists with guides or runways for raising or tipping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2003/025Constructional features relating to actuating means for lifting or tipping containers
    • B65F2003/0253Means for synchronising or coupling two or more discharging devices, e.g. for allowing the discharge of one large container or the simultaneous discharge of two or mor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Collection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두 개의 상차장치가 구비되며, 두 상차장치가 현장 상황에 맞추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는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을 위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상단부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운반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 내에 투입시키는 상차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상차장치는 적재함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과,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거치한 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각기 구성된 두 상차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두 상차장치가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하면서 상차작업을 실시하거나, 두 상차장치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하도록 두 상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Food waste truck with dual loading system}
본 발명은 음식물 수거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업자에 의해 운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적재함의 상부로 운반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차장치가 복식으로 구성되고, 복식 구성된 두 상차장치가 작업 상황에 맞추어 독립적 또는 함께 구동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음식물 수거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는 퇴비화, 비료화, 사료화, 연료화를 위한 적절한 공정을 거쳐 재활용 자원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이처럼 자원화된 음식물 쓰레기는 그 용도에 따라 재활용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재활용을 위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다른 쓰레기들과 분리하여 수거하게 되며,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수거를 위해 사용자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버리고, 수거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수거된 쓰레기를 일괄적으로 모아 처리장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음식물 쓰레기의 효과적인 수거를 위하여 음식물 수거차가 이용되고 있으며,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는 차량에 탑재된 적재함(10)의 측방에 상차장치(20)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는 작업자가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상차장치(20)로 운반하여 거치한 뒤, 상차장치(20)의 구동을 위해 마련된 레버(30)를 조작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용기가 상차장치에 의해 적재함의 상부로 운반되고, 특정 위치에서 음식물 쓰레기 용기가 서서히 기울어지며 뒤집히게 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가 이루어지게 되며,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차량의 적재함에 상차하는 과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상술한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는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자동화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으나, 쓰레기의 상차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에 구비된 상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이송 및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될 때까지 조작레버의 조작상태를 그대로 유지해야만 하므로, 작업자는 하나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거치와 이송 및 쓰레기 투입이 완전히 종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을 실시할 수 없으므로, 작업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에는 하나의 상차장치만이 구비되므로, 여러 개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수거작업이 요구될 경우에도 하나씩 순차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밖에 없으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는 대부분 120ℓ 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맞추어 제작되어 작은 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처리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는 상차장치가 적재함의 측방에 마련되어 차폭을 증가시키고 상차작업 시 도로나 인도 상에 마련된 구조물이나 주차된 차량 등과 간섭될 위험성을 갖고 있으므로, 운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개의 상차장치가 구비되며, 두 상차장치가 현장 상황에 맞추어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수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의 상차장치를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선택하여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상황에 맞추어 두 상차장치를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차장치가 도로 상의 구조물이나 주차된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적재함의 후방에 상차장치가 마련되고, 적재함의 후방에 마련된 상차장치의 하단부를 신축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과속 방지턱과 같은 노면 구조물과 상차장치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의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는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을 위한 적재함과, 상기 적재함의 상단부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운반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 내에 투입시키는 상차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상차장치는 적재함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과,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거치한 채 상기 가이드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각기 구성된 두 상차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두 상차장치가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하면서 상차작업을 실시하거나, 두 상차장치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하도록 두 상차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두 상차장치는 적재함의 후방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리프터의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성 프레임; 및 상기 고정성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성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되, 고정성 프레임으로부터 지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 프레임을 지면에 근접하게 연장시키는 이동성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성 프레임은 구동수단과 연결되고 체인유닛을 매개로 리프터와 연결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리프터를 이송시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체인유닛은, 상기 이동성 프레임으로부터 수직 상부로 연장된 체인 가이드; 상기 체인 가이드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체인 가이드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스프라켓; 상기 적재함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이동 스프라켓을 경유하여 리프터에 고정된 체인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은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펌프는 두 상차장치에 각기 구비된 유압실린더로 독립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듀얼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유압실린더는 실린더 본체가 적재함에 고정되고, 로드가 지면을 향해 하향 돌출된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의 하강을 위한 유압실린더의 신장 시, 하부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부 챔버로 유입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적재함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내부로 방향제를 분사하는 방향제 분사 노즐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작업자의 원터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동성 프레임이 고정성 프레임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이동성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주행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두 개의 상차장치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수거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두 상차장치를 독립적으로 구동하거나 두 상차장치를 상호 연동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현장상황에 맞추어 두 상차장치를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여러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상차작업 시 요구되는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함의 후방에 두 상차장치가 마련됨으로써, 차량의 정차 및 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이 고정성 프레임과 이동성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특히 원터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동성 프레임을 고정성 프레임의 내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수용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경사면이나 과속 방지턱과 같은 노면 구조물과 상차장치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차장치의 위치를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듀얼펌프가 두 상차장치에 각기 마련된 유압실린더로 항상 일정한 양의 작동유를 공급함으로써, 두 상차장치가 함께 작동할 경우에도 두 상차장치의 작동 속도가 저하되지 않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두 상차장치의 안정된 작동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입실린더에 마련된 두 챔버 중, 상대적으로 용적이 작은 챔버의 작동유는 배출되고, 용적이 큰 챔버로 작동유가 유입되는 행정에서 작은 챔버로부터 배출되어 유압탱크로 리턴되는 작동유를 용적이 큰 챔버로 추가 공급하여 줌으로써 유압펌프의 일정한 토출유량 하에서 유입실린더의 행정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음식물 수거차의 측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의 배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상차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차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이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때 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위한 유압회로도,
도 10 은 도 9의 'A'부 상세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판넬의 구조도,
도 12 는 수동모드에 의한 상차작업 공정을 나타난 상태도,
도 13 은 자동모드에 의한 상차작업 공정을 나타난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의 측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C)에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수행하는 상차장치(100,100`)가 복식으로 구성되며, 이처럼 복식 구성된 2개의 상차장치(100,100`)가 독립적으로 또는 함께 연동하여 구동하면서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토록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상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인 특징을 갖는 것이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는 차량의 후방에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을 위한 적재함(200)이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200)에 두 개의 상차장치(100,100`)가 설치되며, 두 상차장치(100,100`)는 제어부(300: 도 4에 도시됨)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모드로 선택 구동되며, 더불어 두 상차장치(100,100`)가 동시에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하며 상차 작업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두 상차장치(100,100`)는 적재함(200)의 후방에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재함(200)의 측방에 상차장치(100,100`)를 설치할 경우, 차량의 폭이 증가하여 좁은 길의 주행 시 주변 구조물이나 주차된 차량과 상차장치(100,100`)의 충돌 위험이 높아 운전자의 부담이 가중되며, 더불어 상차 작업 시에 주변 구조물이나 주차된 차량과 상차장치(100,100`) 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C)가 충돌할 위험이 있으므로, 이러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작업공간의 확보가 가능한 장소에 차량을 정차해야만 하므로 많은 제약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으나, 차량의 후방 즉, 적재함(200)의 후방에 두 상차장치(100,100`)를 나란히 설치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여 운전 및 상차 작업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차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배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차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프레임의 측면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인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수단이 유압실린더로 구성될 때 이 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위한 유압회로도를, 도 10은 도 9의 'A'부 상세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두 상차장치(100,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 하나의 상차장치(100)를 예시로 하여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두 상차장치(100,1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상차장치(100)는 가이드 프레임(110)과, 리프터(120)와, 구동수단(1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지며 리프터(120)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적재함(200)에 설치되어 리프터(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 프레임(110)은 ㄷ-자 형의 단면을 갖는 형강으로 구성되며, 상부 끝단이 적재함(200)의 투입구를 향하여 굽어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은 음식물 쓰레기 용기(C)가 거치된 리프터(120)를 지면으로부터 적재함(200)의 상부로 안내하기 위하여 지면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적재함(200)의 상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져야만 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상차장치(100,100`)를 구성할 경우, 차량의 주행 시 경사면이나 과속 방지턱과 같은 노면구조물에 가이드 프레임(110)의 하단부가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이드 프레임(110)을 고정성 프레임(111)과 이동성 프레임(112)으로 구성하여 상차 작업 시에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하단부가 지면에 근접하도록 신장시키고, 주행 시에는 가이드 프레임(110)의 하단부를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성 프레임(111)은 리프터(120)와 이동성 프레임(112)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적재함(200)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성 프레임(112)은 고정성 프레임(111)에 결합되어 고정성 프레임(1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고정성 프레임(111)으로부터 돌출하여 지면에 근접하거나 고정성 프레임(111) 내에 수용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성 프레임(112)은 구동수단(130)과 직접 연결되어 구동수단(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체인유닛(140)을 매개로 리프터(120)와 연결되어 구동수단(130)에 의해 이동성 프레임(112)의 이동 시 리프터(120)가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인유닛(140)은 이동성 프레임(112)으로부터 수직 상부로 연장된 체인 가이드(141)와, 상기 체인 가이드(14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체인 가이드(141)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스프라켓(142)과, 적재함(200)에 일측단(143a)이 고정되고 타측단(143b)이 이동 스프라켓(142)을 경유하여 리프터(120)에 고정되는 체인(1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체인유닛(140)에 의하면, 구동수단(130)에 의해 리프터(120)가 이동할 경우, 리프터(120)로부터 연장된 체인 가이드(141)의 이동에 의해 이동 스프라켓(142)이 체인(143)의 중앙부를 끌어올리거나 내리게 됨으로써 리프터(120)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처럼 하나의 구동수단(130)에 의해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를 연동하여 동작시키게 됨으로써 장치의 구조 및 제어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성 프레임(111)과 이동성 프레임(112)으로 구성된 가이드 프레임(110)은 차량의 주행 시 이동성 프레임(112)이 고정성 프레임(111)의 내부로 수용되게 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시 발생될 수 있는 노면 구조물과 가이드 프레임(110)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프터(120)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거치한 채로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적재함(200)의 상부로 이동하여 수거된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함(200)의 내부로 투입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프터(120)는 공지의 음식물 수거차(공개실용신안 제1998-0008056호 및 등록특허 제0927907호 참조)에 개시된 관련 기술과 동일한 구조로 구성되는 바, 리프터(120)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수단(130)은 리프터(120)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동수단(130)은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수단(130)을 구성하는 유압실린더(131)는 실린더 본체(132)가 적재함(2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로드(133)가 지면을 향해 하향 돌출되어 이동성 프레임(112)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구조의 유압실린더(131)에 의하면, 실린더 본체(132)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부 챔버(LC)가 로드(133)의 부피에 대응하는 용적만큼 상부 챔버(HC)의 용적에 비해 작게 형성되며, 이처럼 상대적으로 작은 용적을 갖는 하부 챔버(LC)에 작동유를 공급하여 리프터(120)의 상승 행정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작은 용량으로 신속하게 리프터(12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린더 본체(132)의 상부 챔버(HC)와 하부 챔버(LC)로 연결되는 두 유압라인(L1,L2)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라인(L3)에 리프터(120)의 하강 행정 시 개방되는 개폐밸브(134)를 설치하여 리프터(120)의 하강 행정 시, 하부 챔버(LC)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유압탱크로 반환되지 않고 상부 챔버(HC)로 유입되는 작동유에 더해져 공급되게 함으로써, 유압펌프의 일정한 토출유량 하에서 유압실린더의 행정속도를 증대시켜 신속한 상차 작업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의 미설명 부호 135는 하부 챔버(LC)로 연결되는 유압라인(L1)을 따라 작동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이다.
한편 두 상차장치(100,100`)에 구비된 유압실린더(131)로 작동유를 토출하는 유압펌프(136)는 공지의 듀얼펌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듀얼펌프(Dual pump)는 공지된 바와 같이, 독립된 두 유로를 통해 유체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바, 듀얼펌프로부터 유체가 송출되는 어느 하나의 유압라인(L4)을 어느 한 상차장치(100)의 유압실린더(131)로 연결하고, 나머지 하나의 유압라인(L5)을 나머지 한 상차장치(100`)의 유압실린더(131)로 연결시킴으로써, 두 상차장치(100,100`)가 독립적으로 구동하거나 또는 연동하여 구동할 경우에도 작동유의 부족으로 인하여 상차장치(100,100`)의 구동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에는 듀얼펌프의 일측 유압라인(L4)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적재함(200)의 상부 도아의 구동을 위한 실린더(151) 및 스크레퍼의 구동을 위한 실린더(152)와 연결된 유압회로를 경유하여 일측 상차장치(100)의 유압실린더(131)로 연결되고, 타측 유압라인(L5)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가 적재함(200)의 후부 게이트 실린더(153)와 후부 게이트의 고정을 위한 쐐기 실린더(154) 및 덤프 실린더(155)와 연결된 유압회로를 경유하여 타측 상차장치(100`)의 유압실린더(131)로 연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적재함(200)의 투입구(210) 근방에 방향제 분사 노즐(160: 도 1에 도시됨)을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함(200)의 내부로 투입 완료된 직후, 음식물 쓰레기 용기 내부로 방향제를 살포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 작업 시 발생되는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방향제 분사 노즐(160)로 공급하기 위한 방향제가 저장되는 방향제 저장 탱크와, 방향제 저장 탱크 내의 방향제를 방향제 분사 노즐(16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차량에 더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두 상차장치(100,100`)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부(300)는 각각의 상차장치(100,100`)의 인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적재함(200)의 후면에 설치된 조작판넬(310)과, 상기 조작판넬(310)로부터 발생되는 신호 및 각각의 상차장치(100,100`) 및 상부도아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도록 적재함(200)의 상단부에 구비된 센서(171,172,173,174)로부터 신호를 전달받고, 그 신호에 따라 상차장치(100,100`)를 구동시키는 회로유닛(3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작판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조작판넬(310)에는 비상정지버튼(311), 수동/자동버튼(312), 상부도아버튼(313), 주행/작업버튼(314), 수동 리프트 버튼(315), 자동 리프트 버튼(316)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비상정지버튼(311)은 상차장치(100,100`)의 구동 중 긴급상황이 발생할 경우, 작업자가 상차장치(100,100`)의 구동을 즉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동/자동버튼(312)은 작업자가 두 상차장치(100,100`)를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로 선택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도아버튼(313)은 적재함(200)의 상단부에 마련된 투입구(210)를 개폐하는 상부도아(220: 도 2에 도시됨)를 이동시켜 투입구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한편 적재함(200)의 상단부에는 상부도아(2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두 개의 센서(173,174: 도 2에 도시됨)가 설치되며, 이들 센서(173,174)에 의해 상부도아(220)의 열림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300)는 상차장치(100,100`)가 구동하지 못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주행/작업버튼(314)은 이동성 프레임(112)을 작업위치(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리프터(120)에 거치할 수 있는 위치) 또는 주행위치(이동성 프레임(112)이 고정성 프레임(111)의 내부로 수용되어 이동성 프레임(112)의 하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된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한편 고정성 프레임(111)에는 이동성 프레임(11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두 센서(171,172: 도 7에 도시됨)가 구비되며, 이중 하나의 센서(171)는 이동성 프레임(112)이 작업위치로 완전히 하강하였을 때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의 센서(172)는 이동성 프레임(112)이 주행위치로 완전히 상승하였을 때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주행/작업버튼(314)에 의해 구현되는 주행모드와 작업모드가 제어부(300)에 구비되며, 작업자는 주행/작업버튼(314)의 원터치 조작에 의하여 상차장치(100,100`)를 주행모드와 작업모드로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상부도아(22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73,174) 및 이동성 프레임(11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71,172)는 공지의 접촉식 센서 또는 비접촉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동 리프트 버튼(315)은 작업자가 임의로 리프터(12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 리프트 버튼(316)은 리프터(120)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200)에 투입하고,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초기의 거치 위치로 복귀시키는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자동 리프트 버튼(316)은 수동모드의 선택 시 상차장치(100,100`)만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게 되고, 자동모드의 선택 시 상차장치(100,100`)와 상부도아(220) 및 스크레퍼 모두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자동 리프트 버튼(316)은 해당 조작판넬(310)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차장치(100,100`)만을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자동 리프트 버튼(316a)과, 두 상차장치(100,100`)가 함께 자동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연동형 자동 리프트 버튼(316b)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음식물 수거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상차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가 갖는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를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해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수거가 용이한 위치에 차량을 정차시킨다. 한편 두 상차장치(100,100`)가 차량의 후방에 구비되어 차량 주변의 구조물(예컨대 나무 또는 전신주 또는 주차된 차량 등)과 차량의 간섭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정차 및 상차작업 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차량의 정차 후 작업자는 수거하고자 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상차장치(100,100`)에 인접한 위치로 운반한 뒤, 수동/자동버튼(312)을 이용하여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도 12는 수동모드에 의한 상차작업 공정을 나타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한편 작업자가 수동모드를 선택한 경우, 작업자는 주행/작업버튼(314)을 조작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C)를 리프터(120)에 거치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를 하강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의 이동은 주행/작업버튼(314)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이동성 프레임(112)이 작업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센서(171)가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를 작업위치로 자동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부도아버튼(313)을 조작하여 상부도아(220)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부도아버튼(313)의 조작 시 상부도아(220)와 함께 스크레퍼(230)가 연동하여 구동하게 되며, 스크레퍼(230)는 적재함(200) 내에 적재된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200)의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된다. 이러한 스크레퍼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스크레퍼의 작동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상부도아(220) 및 스크레퍼(230)가 구동하는 시간동안 작업자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C)를 리프터(120)에 거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준비동작이 완료된 후, 작업자가 조작판넬(310)의 독립형 자동 리프트 버튼(316a)을 누르게 되면, 듀얼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가 해당 상차장치(100)에 마련된 유압실린더(131)의 하부 챔버(LC)로 유입되어 로드(133)를 상승시킴으로써 이동성 프레임(112)이 상승하게 되고, 이러한 이동성 프레임(112)과 체인유닛(140)을 매개로 연결된 리프터(120)가 이동성 프레임(112)과 연동하여 상승하게 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적재함(200)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리프터(120)에 의해 이동하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C)가 적재함(200)의 상부로 이동하였을 때, 가이드 프레임(110)과 리프터(120)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용기가 기울어짐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200)에 투입하게 되며, 이때 제어부(300)는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기울어진 자세를 유지시킨 후,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유압실린더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를 하강시켜 음식물 쓰레기 용기(C)를 초기 거치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리프터(120)의 하강 행정을 위하여 유압실린더(131)의 상부 챔버(HC)로 작동유가 공급될 때, 상부 챔버(HC)와 하부 챔버(LC)로부터 연장되는 두 유압라인(L1,L2)을 연결하는 연결라인(L3) 상에 설치된 개폐밸브(134)가 연결라인(L3)의 유로를 개방하여 하부 챔버(LC)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유압탱크로 반환되지 않고 유압펌프(136)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와 함께 상부 챔버(HC)로 공급되게 함으로써, 유압펌프(136)에서 토출되는 유량 보다 많은 유량의 작동유를 상부 챔버(HC)에 공급하게 되어 리프터(120)의 신속한 하강이 가능하게 되고, 이를 통해 상차작업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300)는 상기와 같은 상차장치(100,100`)의 구동을 통해 상차작업을 실시함에 있어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상부도아(220)가 개방되지 않은 경우, 상부도아(220)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센서(173,174)로부터 상부도아(220)의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상차장치(100,100`)의 구동을 강제적으로 억제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상부도아버튼(313)을 조작하여 적재함(200)의 투입구를 폐쇄하고, 리프터(120)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원위치로 갖다 놓은 뒤, 주행/작업버튼(314)을 조작하여 이동성 프레임(112)을 주행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상차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상차작업 과정은 하나의 상차장치(100)를 이용하여 상차작업을 실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두 개의 상차장치(100,100`)가 구비되는 바,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하여 현장 상황에 맞추어 최적화된 방식으로 상차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장소에서 여러 개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상차 작업을 실시하고자 할 경우, 두 상차장치(100,100`)에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각각 거치한 뒤, 연동형 자동 리프트 버튼(316b)을 조작하여 두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상차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도 있고, 일측 상차장치(100)에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거치하여 상차작업을 진행하는 동안 다른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타측 상차장치(100`)로 운반 및 거치하는 방식으로 상차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이처럼 두 상차장치(100,100`)를 교번하여 이용하게 되면 연속적인 상차작업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여러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상차작업을 보다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대부분은 음식물 수거차는 120ℓ 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맞추어 제작되므로, 보다 작은 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는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는 일측 상차장치(100)를 이용하여 120ℓ 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대한 상차작업을 실시하면서, 타측 상차장치(100`)에는 120ℓ 용량의 빈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거치하여 작은 용량의 음식물 쓰레기 용기들에 보관된 음식물 쓰레기를 타측 상차장치(100`)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상차작업을 실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방식 외에 현장 여건에 맞추어 두 상차장치(100,100`)를 보다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수 있으며,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수거차는 작업상황에 맞추어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이 가능하므로 상차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자동모드에 의한 상차작업 공정을 나타난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작업자가 자동모드를 선택한 경우, 작업자는 주행/작업버튼(314)을 조작하여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를 작업위치로 하강시키고, 하강된 리프터(120)에 음식물 쓰레기 용기(C)를 거치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독립형 자동 리프트 버튼(316a)을 누르게 되면, 상부도아(220)의 이동에 의해 적재함(200)의 투입구가 개방된다. 물론 이때 스크레퍼(230)도 연동하여 구동하면서 적재함(200)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안쪽으로 밀어넣게 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상차장치(100,100`)가 구동하여 리프터(120)에 거치된 음식물 쓰레기 용기(C)의 상차작업을 실시하게 되며, 음식물 쓰레기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적재함(200)으로 투입된 후 음식물 쓰레기 용기가 초기 거치 위치로 복귀할 때, 상부도아(220) 및 스크레퍼(230)가 이동하여 투입구를 폐쇄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다른 장소로의 이동을 위해 주행/작업버튼(314)을 눌러 이동성 프레임(112)과 리프터(120)를 주행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자동모드에 의한 상차작업 또한 연동형 자동 리프트 버튼(316b)을 이용하여 두 상차장치(100,100`)가 동시에 상차작업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100`) : 상차장치 (110) : 가이드 프레임
(111) : 고정성 프레임 (112) : 이동성 프레임
(120) : 리프터 (130) : 구동수단
(131) : 유압실린더 (132) : 실린더 본체
(133) : 로드 (136) : 유압펌프
(140) : 체인유닛 (141) : 체인 가이드
(142) : 이동 스프라켓 (143) : 체인
(160) : 방향제 분사 노즐 (200) : 적재함
(300) : 제어부

Claims (8)

  1. 수거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보관을 위한 적재함(200)과, 상기 적재함(200)의 상단부로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운반하여 용기 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적재함(200) 내에 투입시키는 상차장치를 구비하는 음식물 수거차에 있어서,
    상기 상차장치는 적재함(200)에 설치된 가이드 프레임(110)과, 음식물 쓰레기 용기를 거치한 채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을 따라 이동하는 리프터(120)와, 상기 리프터(120)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130)으로 각기 구성된 두 상차장치(100,100`)로 구성되고,
    상기 두 상차장치(100,100`)가 각기 독립적으로 구동하면서 상차작업을 실시하거나, 두 상차장치(100,100`)가 동시에 음식물 쓰레기의 상차작업을 실시하도록 두 상차장치(100,100`)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 프레임(110)은, 상기 적재함(200)에 설치되어 리프터(120)의 이동을 지지하는 고정성 프레임(111)과, 상기 고정성 프레임(111)에 결합되어 고정성 프레임(111)을 따라 이동하되 고정성 프레임(111)으로부터 지면에 근접하도록 돌출되어 가이드 프레임(110)을 지면에 근접하게 연장시키는 이동성 프레임(1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이동성 프레임(112)은 구동수단(130)과 연결되고, 이동성 프레임(112)으로부터 수직 상부로 연장된 체인 가이드(141)와, 상기 체인 가이드(141)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체인 가이드(141)와 함께 이동하는 이동 스프라켓(142)과, 상기 적재함(200)에 일측단이 고정되고 타측단이 이동 스프라켓(142)을 경유하여 리프터(120)에 고정된 체인(143)으로 구성된 체인유닛(140)을 매개로 리프터(120)와 연결되어 구동수단(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리프터(120)를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두 상차장치(100,100`)는 적재함(200)의 후방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30)은 유압펌프(136)로부터 토출되는 작동유에 의해 구동하는 유압실린더(131)로 구성되며,
    상기 유압펌프(136)는 두 상차장치(100,100`)에 각기 구비된 유압실린더(131)로 독립적으로 작동유를 공급하는 듀얼펌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31)는 실린더 본체(132)가 적재함(200)에 고정되고, 로드(133)가 지면을 향해 하향 돌출된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리프터(120)의 하강을 위한 유압실린더(131)의 신장 시, 하부 챔버(LC)로부터 배출되는 작동유가 상부 챔버(HC)로 유입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200)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이루어진 후, 음식물 쓰레기 용기의 내부로 방향제를 분사하는 방향제 분사 노즐(160)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 장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0)는 작업자의 원터치 버튼 조작에 의해 이동성 프레임(112)이 고정성 프레임(111)의 내부로 수용되도록 이동성 프레임(112)을 이동시키는 주행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KR1020110068258A 2011-07-11 2011-07-11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KR101063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258A KR101063475B1 (ko) 2011-07-11 2011-07-11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258A KR101063475B1 (ko) 2011-07-11 2011-07-11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3475B1 true KR101063475B1 (ko) 2011-09-08

Family

ID=4495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258A KR101063475B1 (ko) 2011-07-11 2011-07-11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4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532B1 (ko) * 2021-01-29 2021-08-10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
KR102293875B1 (ko) * 2021-01-29 2021-08-26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07B1 (ko) * 2009-08-31 2009-11-23 한빛테크원 (주) 도심형 음식물 수거차량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07B1 (ko) * 2009-08-31 2009-11-23 한빛테크원 (주) 도심형 음식물 수거차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532B1 (ko) * 2021-01-29 2021-08-10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
KR102293875B1 (ko) * 2021-01-29 2021-08-26 주식회사테라바이오 음식물 수거함용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6430A (en) Material collecting and hauling apparatus
CN201102771Y (zh) 液压地埋式垃圾箱
US3071264A (en) Refuse collection system
US8827624B2 (en) Particulate material loading and unloading system
EP0577540B1 (en) Truck for the collection of garbage and refuse
CN102650115A (zh) 带有材料偏转板的筑路机
US5690465A (en) Carcass pick up and delivery motor vehicle
CN202464829U (zh) 可移动的双门快速散货接料装车斗
CN206108109U (zh) 内置提拉式垃圾装载设备
KR101063475B1 (ko) 복식 상차장치를 갖는 음식물 수거차
CN201049834Y (zh) 垃圾侧边上桶小型自卸车
CN101693483B (zh) 一种地坑式垃圾压缩机
CN206914398U (zh) 一种电动运料车
EA019297B1 (ru) Вагон-накопитель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ыпучего груза и способ
KR101685576B1 (ko) 톱밥 및 분쇄물 운반차량
EP0630831A1 (en) Collection vehicle
CN109703437A (zh) 用于喷药机器人补给和运输方舱
CA285944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mpacting materials
KR100962518B1 (ko) 차량 적재함에 부착된 적재물의 잔존물 제거 장치
CN106087925B (zh) 一种新型污物转运系统
CN202368433U (zh) 行走卸货的自卸车及其挂车
CN215853216U (zh) 一种升降分体机头移动式垃圾压缩站
JP5259320B2 (ja) 塵芥収集車
CN106628767B (zh) 一种垃圾压缩装置
CN112062048A (zh) 垃圾箱搬运装置的垃圾箱搬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