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745B1 - 다접점 스위치 - Google Patents

다접점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745B1
KR101062745B1 KR1020090130686A KR20090130686A KR101062745B1 KR 101062745 B1 KR101062745 B1 KR 101062745B1 KR 1020090130686 A KR1020090130686 A KR 1020090130686A KR 20090130686 A KR20090130686 A KR 20090130686A KR 101062745 B1 KR101062745 B1 KR 101062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guide member
slide member
guide
contac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0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3886A (ko
Inventor
금종관
Original Assignee
금종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종관 filed Critical 금종관
Priority to KR1020090130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745B1/ko
Publication of KR20110073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3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 H01H1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ic switches of switch conta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lide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접점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 전극이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켜 주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다접점, 슬라이드, 이동, 스크류

Description

다접점 스위치{multi-contact input switch}
본 발명은 다접점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전기회로의 개폐나 접속상태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전기적 접점 방식으로는 단일 접점 및 다접점 방식이 있다. 다접점 방식의 스위치는 다수의 접점을 갖고 있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접점이 접속되면서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게 된다.
다접점 스위치는 사용자가 레버를 조작함에 따라 케이스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단자가 이동하면서 접점에 접속되어 전기적 신호가 출력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다접점 스위치의 단자는 정확한 스위칭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정확한 전기적 신호가 정확히 출력되지 못하여 다접점 스위치가 설치된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안전하고 정확하게 접점을 연결할 수 있으며, 전압의 차이를 선택할 수 있는 다접점 스위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스위치는,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 전극이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켜 주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가 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결 전극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접점 스위치는, 상기 연결 전극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전극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 시키는 스크류 바, 그리고 상기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스크류 바가 결합되는 나선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과 타면에 각기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과 타면에 각기 장착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과 저면에 각기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과 제2 전극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 전극이 스크류 바의 회전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어 있어 연결 전극의 이동이 정확하여 전원 연결을 정확히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들 마다 전압이 달라 연결 전극이 접촉되는 제2 전극 위치에 따라 다른 전압을 출력할 수 있어 전압의 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점점 슬라이드 스위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접점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접 점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스위치(100)는, 한 쌍의 가이드부(20), 상기 가이드부(20)에 장착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전극(30) 및 복수의 제2 전극(40),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을 연결하는 연결 전극(50)이 장착된 슬라이드 부재(60), 슬라이드 부재(60)를 이동 시켜 주는 구동부(70)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부(20)는 슬라이드 부재(60)를 가이드하는 것으로 그 내부가 길이 방향으로 따라 관통되어 있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부(20)는 제1 가이드 부재(20a) 및 제2 가이드 부재(20b)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부재(20a)와 제2 가이드 부재(20b)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떨어져 있으며, 하우징(10)의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가이드 부재(20a) 및 제2 가이드 부재(20b)는 하우징(10)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가이드 부재(20a)와 제2 가이드 부재(20b)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슬라이드 부재(6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21)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가이드 부재(20a)와 제2 가이드 부재(20b)의 일측과 타측에는 슬라이드 부재(60)가 걸리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슬라이드 부재(60)가 가이드홈(21)에서 이탈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20a)와 제2 가이드 부재(20b)는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전극(30)은 전원 출력 케이블(1)이 접속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 부재(20a)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다. 제1 전극(30)은 제1 가이드 부재(20a)의 저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전극(30)은 제1 가이드 부재(20a)의 상면과 저면에 각기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1 전극(30)이 제2 가이드 부재(20b)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위치한 제1 전극은(30)은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제2 전극(40)은 코일이 감겨 있는 전압 조절부(3)와 연결된 전원 입력 케이블(2)들이 접속되어 있으며, 제2 가이드 부재(20b)의 상면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하나의 제2 전극(40)에는 전원 입력 케이블(2)이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전압 조절부(3)의 코일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권선되어 일측과 타측은 전압차가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일측에 위치한 제2 전극(40)과 타측에 위치한 제2 전극(40)의 전압은 다르다. 제2 전극(40)은 제2 가이드 부재(20b)의 저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전극(40)은 제2 가이드 부재(20b)의 상면과 저면에 각기 장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제2 전극(30)이 제1 가이드 부재(20a)의 저면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렇게 되면 제2 전극은(40)은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하게 된다.
슬라이드 부재(60)는 제1 가이드 부재(20a)와 제2 가이드 부재(20b)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부재(60)의 양측에는 가이드부(20)의 가이드홈(2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61)가 각기 형성되어 있다. 가이 드홈(2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61)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60)는 흔들림 없이 직선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에 의하여 슬라이드 부재(60)는 가이드부(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0)는 하우징(10)의 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60)의 상면에는 연결 전극(50)이 설치되는 설치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설치홈(62)은 슬라이드 부재(60)의 저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설치홈(62)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60)의 가운데 부분에는 구동부(70)가 결합되는 나선홀(63)이 관통되어 있다. 나선홀(63)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 부재(60)는 전류가 통하지 않는 절연 재질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설치홈(62)에 설치된 연결 전극(50)은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며, 연결 전극(50)과 슬라이드 부재(60) 사이에는 연결 전극(50)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51)는 설치홈(62)의 바닥면에 위치한다. 연결 전극(50)은 탄성 부재(51)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에 밀착되어 연결 전극(50)과 제1 전극(30), 제2 전극(40)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전류를 안전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연결 전극(50)이 제2 전극(40)에 접촉되는 위치에 따라 전원 출력 케이블(1)로 출력되는 전압은 다르다.
아울러, 연결 전극(50)은 슬라이드 부재(60)의 저면에 형성된 설치홈(62)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전극(50)이 전원 입력 케이블(2)이 연결되어 있지 않는 제2 전극(40)에 접점되면 전류는 통하지 않게 되어 오프(off)가 될 수도 있다.
구동부(70)는 슬라이드 부재(60)를 이동 시켜 주는 것으로, 스크류 바(71), 그리고 조작부(72)를 포함한다.
스크류 바(71)는 슬라이드 부재(60)를 직접적으로 이동 시키는 것으로, 슬라이드 부재(60)의 나선홀(6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외부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스크류 바(71)의 양쪽 끝은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크류 바(71)가 회전하게 되면 슬라이드 부재(60)는 가이드부(20)에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나선홀(63)과 스크류 바(71)의 나사는 사각나사이다. 사각나사로 인하여 슬라이드 부재(60)의 이동 정밀도가 정확하며,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의 하나의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 시킬 수 있다. 아울러, 나사의 피치에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6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작부(72)는 스크류 바(71)를 회전 시켜 주는 것으로, 스크류 바(71)에 결합되어 하우징(1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사용자가 조작부(72)를 잡고 돌리면 스크류 바(71)가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부재(60)는 일정한 속도로 가이드부(20)에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 조작부(72)를 일방향으로 돌리면, 스크류 바(71)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슬라이드 부재(60)가 일측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조작부(72)를 타방향으로 돌리면, 슬라이드 부재(60)는 타측 방향으로 움직여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을 연결하게 된다.
조작부(72)가 장착되어 있는 하우징(10) 부분에는 조작부(72)를 돌릴 때 사용자가 현재 전압을 알 수 있도록 전압 표시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조작부(72)는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로 형성될 수도 있다. 조작부(72)가 구동 모터로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부(20)에는 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사 센서의 센싱으로 슬라이드 부재(60)의 위치를 컨트롤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스위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에 맞는 전압이 출력되도록, 전압 표시부를 확인하면서 조작부(72)를 돌리면, 이와 연결된 스크류 바(71)가 회전되어 슬라이드 부재(60)가 가이드부(20)를 따라 직선 이동하게 된다. 스크류 바(71)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60)의 이동 거리와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슬라이드 부재(60)는 가이드홈(21)과 가이드 돌기(61)에 의하여 흔들림 없이 직선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 부재(60)가 스토퍼에 닿게 되면 슬라이드 부재(60)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된다. 조작부(72)가 구동 모터로 형성 된경우 슬라이드 부재(60)의 위치는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이렇게 되면 구동 모터는 구동하지 않고 멈추게 된다.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탄성 부재(51)에 의하여 연결 전극(50)이 제1 전극(30) 및 제2 전극(40)에 밀착되어 있어 슬라이드 부재(60) 이동 시 스파크 따위의 발생이 최소화 된다.
전압 표시부를 확인하면서 원하는 전압 위치에 조작부(72) 위치하면 사용자는 조작부(72)를 돌리는 것을 중단하게 된다. 이때 연결 전극(50)은 제1 전극(30)과 제2 전극(40)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세기의 전압을 연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스위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다접점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다접점 스위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다접점 스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다접점 스위치 10: 하우징
20: 가이드부 20a: 제1 가이드 부재
20b: 제2 가이드 부재 21: 가이드홈
30: 제1 전극 40: 제2 전극
50: 연결 전극 51: 탄성 부재
60: 슬라이드 부재 61: 가이드 돌기
62: 설치홈 63: 나선홀
70: 구동부 71: 스크류 바
72: 조작부 1: 전원 출력 케이블
2: 전원 입력 케이블 3: 전압 조절부

Claims (5)

  1. 서로 떨어져 있는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어 있는 제1 전극,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는 복수의 제2 전극,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가이드 부재 사이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 중 어느 하나를 연결하는 연결 전극이 설치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이동시키는 스크류 바와, 상기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다접점 스위치.
  2.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 및 제2 가이드 부재가 접하는 부분에는 가이드돌기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연결 전극이 설치되는 설치홈이 형성되어 있는 다접점 스위치.
  3. 제1항에서,
    상기 연결 전극과 상기 슬라이드 부재 사이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 전극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다접점 스위치.
  4. 제1항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스크류 바가 결합되는 나선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접점 스위치.
  5. 제1항에서,
    상기 제1 전극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과 타면에 각기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제2 가이드 부재의 서로 마주하는 일면과 타면에 각기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상면과 저면에 각기 장착되어 있어
    상기 제1 전극, 상기 제2 전극, 그리고 상기 연결 전극은 상기 슬라이드 부재를 기준으로 상하부에 대칭되게 형성되어 있는
    다접점 스위치.
KR1020090130686A 2009-12-24 2009-12-24 다접점 스위치 KR101062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86A KR101062745B1 (ko) 2009-12-24 2009-12-24 다접점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0686A KR101062745B1 (ko) 2009-12-24 2009-12-24 다접점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886A KR20110073886A (ko) 2011-06-30
KR101062745B1 true KR101062745B1 (ko) 2011-09-06

Family

ID=4440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0686A KR101062745B1 (ko) 2009-12-24 2009-12-24 다접점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82Y1 (ko) * 2012-05-21 2013-11-11 권택주 다단 디밍 스위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980A (ja) 2007-10-11 2009-04-30 Asahi Denso Co Ltd インヒビタ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93980A (ja) 2007-10-11 2009-04-30 Asahi Denso Co Ltd インヒビタ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3886A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6600B2 (en) Electric terminal block with a separator that is displaceable to/from between contact elements
US20100171026A1 (en) On/off switch
US10147572B2 (en) Embedded pol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2015015242A (ja) スイッチ構造
KR101062745B1 (ko) 다접점 스위치
WO200711998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liding driving means using electromagnetic force
JP2016018616A (ja) 配線器具
DE602008002499D1 (de) Elektrischer Schalter mit mehreren Schaltkanälen
JP2013060055A (ja) ポジションセンサ
US4133991A (en) Limit switch
KR20140136850A (ko) 전력용 변압기 1차 탭 자동 전환 장치
JPH08264075A (ja) 多機能スイッチ
KR101635783B1 (ko)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CN216291178U (zh) 一种镜头装置
CN214068470U (zh) 2d摇杆电位器
JP6574986B2 (ja) 多方向入力装置
KR20140076349A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WO2014171409A1 (ja) スイッチ装置
KR20160091156A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CN107665794A (zh) 零力矩开关机构
JP6386615B1 (ja) 直線摺動型ポテンショメーター
US11366164B2 (en) Switch circuit, switch device, and system
TWI666971B (zh) 負載控制裝置
WO2018211918A1 (ja) 操作レバー装置
WO2018211917A1 (ja) 操作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