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91156A -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 Google Patents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91156A
KR20160091156A KR1020150011450A KR20150011450A KR20160091156A KR 20160091156 A KR20160091156 A KR 20160091156A KR 1020150011450 A KR1020150011450 A KR 1020150011450A KR 20150011450 A KR20150011450 A KR 20150011450A KR 20160091156 A KR20160091156 A KR 20160091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fixed
auxiliary
fixed contact
auxiliary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용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91156A/ko
Publication of KR20160091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11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16Magnetic circuit arrangements
    • H01H50/18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 H01H50/20Movable parts of magnetic circuits, e.g. armature movable inside coil and substantially lengthwise with respect to axis thereof; movable coaxially with respect to coi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0Details of electromagnetic relays
    • H01H50/54Contact arrangements
    • H01H50/541Auxiliary conta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2Non-polarised relays
    • H01H51/04Non-polarised relays with single armature; with single set of ganged armatures
    • H01H51/06Armature is movable between two limit positions of rest and is moved in one direction due to energisation of an electromagnet and after the electromagnet is de-energised is returned by energy stored during the movement in the first direction, e.g. by using a spring, by using a permanent magnet, by gravit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의 동작시간 조절이 가능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은 보조 접점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보조 접점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크로스바의 수직이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점이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Auxiliary Contacts of Magnetic Contactor}
본 발명은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접점의 동작시간 조절이 가능한 전자접촉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 릴레이(Direct Current Relay) 또는 전자접촉기(Electro-magnetic Contactor)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과 전류신호를 전달해주는 전기적인 회로 개폐 장치의 일종으로, 각종 산업용 설비, 기계 및 차량 등에 설치된다.
이러한 전자접촉기에는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주접점 기구(main contactor mechanism)와, 상기 주접점 기구의 여자코일에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거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보조 접점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보조접점 프레임에서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유닛은 보조접점 프레임(1), 크로스바(2), a접점(3,4), b접점(5,6)을 포함한다. a접점(3,4) 및 b접점(5,6)은 각각 고정접점(3,5) 및 가동접점(4,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a접점의 고정접점(3)이 끼워질 수 있는 고정슬롯(1a)이 나타나 있다.
a접점(3,4)의 경우 가동접점(4)이 고정접점(3)에 접촉하여 통전상태에 놓여있다. 이때, 크로스바(2)는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3)의 접촉위치보다 더 진행한 위치에 있게 되는데, 이는 고정접점(3)과 가동접점(4)이 안정적으로 접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크로스바(2)가 가동접점(4)과 고정접점(3)의 접촉위치를 지나 더 진행한 거리를 오버트래블(over travel)이라고 한다.
전자접촉기에 동작전력이 투입되면 고정코어(미도시)가 자화되어 가동코어(미도시)를 끌어당기면서 크로스바(2)도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a접점(3,4)의 경우 가동접점(4)이 고정접점(3)으로부터 분리되며 개방된다.
이때, 고정접점(3)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으므로, 크로스바(2)의 오버트래블양은 일정하고 가동접점(4)에 걸리는 접압력도 일정하다, 따라서, 전원 투입후 보조접점이 개방되는데 걸리는 시간은 일정하므로 개방에 걸리는 시간이나 접압력에 대한 조절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개방시간을 조절하여 시퀀스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절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접점의 동작시간이나 오버트래블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접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은 보조 접점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보조 접점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크로스바의 수직이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점이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단자부의 하부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고정접점 슬롯;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접점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접점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고정접점 슬롯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자부;와 일부에 단자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결합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접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접점의 동작시간 조절이 가능한 전자접촉기에 의하면 고정접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접촉 또는 차단에 필요한 동작시간이나 오버트래블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의 시?스 제어에서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보조접점 프레임에서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보조접점 프레임에서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절개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절개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에 적용되는 보조접점 프레임에서 보조접점 부분에 대한 절개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은 보조 접점 프레임(10)의 일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점(20); 상기 보조 접점 프레임(10)의 내부에 설치된 크로스바(40)의 수직이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접점(20)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30);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점(20)이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조 접점 프레임(10)에는 보조접점의 구성요소가 내장된다. 보조 접점 프레임(10)은 별도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전자접촉기 프레임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크로스바(40)는 보조 접점 프레임(10)의 중앙부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스바(40)는 주접점용 크로스바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접점 프레임(10)에는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상하 두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20)과 가동접점(30)을 a접점, 하부에 형성되는 고정접점(29)과 가동접점(39)을 b접점이라고 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a접점과 b접점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a접점에 대하여만 설명하기로 한다.
고정접점(20)을 여러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는 수직이동수단이 마련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고정접점(20)은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그 중 어느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단자부(50)의 하부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고정접점 슬롯(2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접점 슬롯(25)에는 고정접점(20)이 끼워질 수 있다. 보조 접점 프레임(10)의 외부에서 고정접점(20)이 고정접점 슬롯(25)에 끼워지거나 탈거될 수 있다. 집게 등의 공구로 고정접점(20)을 집고 외부로 당기면 고정접점(20)은 고정접점 슬롯(25)으로부터 빠질 수 있으며, 반대로 고정접점(20)을 집은 후 고정접점 슬롯(25)에 끼워넣을 수도 있다.
고정접점 슬롯(25)은 보조 접점 프레임(10)의 단자부(50)의 하부에 복수 개로 마련된다. 각 슬롯에는 고정접점(20)이 끼워질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고정접점 슬롯(25) 중 어느 하나에 고정접점(20)이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복수 개의 고정접점 슬롯(25)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정접점(20)과 가동접점(3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한 간격을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고정접점(20)이 최상층의 고정접점 슬롯(25)에 끼워졌을 때, 차단 상태에서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0) 사이의 간격을 G라 하고, 각 고정접점 슬롯(25) 사이의 간격을 dG라고 하면,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0) 사이의 간격은 고정접점 슬롯(25)의 갯수에 따라서, G, G-dG, G-2dG... 와 같은 식으로 정해질 것이다. 이때, 오버트래블(Over Travle)량은 순차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고정접점(20)이 최상층의 고정접점 슬롯(25)에 끼워졌을 때의 오버트래블량을 T라고 한다면, 각 고정접점 슬롯(25)에서의 오버트래블량은 T, T+dG, T+2dG...로 정해질 것이다. 다시 말하면, 최상층의 고정접점 슬롯(25)으로부터 하부로 내려갈수록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0) 사이의 간격은 감소하므로, 동작시간은 감소하고 오버트래블 양은 증가하게 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동작시간 또는 오버트래블량을 선택하여 고정접점(2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수직이동수단은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51)이 형성되는 단자부(50);와 일부에 단자부결합홀(21)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결합홀(21)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50)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접점(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단자부(50)는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51)이 형성된다. 단자부(50)는 고정접점(20)의 하부까지 길게 연장된다.
고정접점(20)에는 단자부(50)에 결합될 수 있는 단자부결합홀(21)이 형성된다. 단자부결합홀(21)에는 상기 단자부(50)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다.
단자부(50)는 고정접점(20)과 결합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이러한 회전력은 드라이버 등의 공구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단자부(50)가 정해진 위치에서 이동하지 않은 채 회전을 하게 되면, 이 회전력은 고정접점(20)에 전달되고 고정접점(20)이 보조 접점 프레임(1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지지를 받는다면 고정접점(20)은 상하로 움직이는 수직운동을 하게 된다. 고정접점(20)이 수직운동을 함에 따라 고정접점(20)의 위치는 소정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고정접점(20)의 위치에 따라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0) 사이의 간격은 조절된다. 고정접점(20)의 위치가 상부에 위치할수록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0) 사이의 간격은 커지므로 접촉 또는 차단에 필요한 시간은 증대하고 오버트래블량은 줄어들게 된다. 이와 반대로, 고정접점(20)의 위치가 하부에 위치할수록 가동접점(30)과 고정접점(20) 사이의 간격은 작아지므로 접촉 또는 차단에 필요한 시간은 감소하고 오버트래블량은 증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에 의하면 고정접점의 설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접촉 또는 차단에 필요한 동작시간이나 오버트래블량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배전반의 시?스 제어에서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보조접점 프레임 20 고정접점
21 단자부결합홀 25 고정접점 슬롯
29 고정접점 30 가동접점
39 가동접점 40 크로스바
50 단자부 51 나사산

Claims (4)

  1. 보조 접점 프레임의 일부에 설치되는 고정접점;
    상기 보조 접점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된 크로스바의 수직이동에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고정접점에 접촉 또는 분리될 수 있는 가동접점;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접점이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이동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단자부의 하부에 복수 개로 마련되는 고정접점 슬롯;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접점 슬롯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고정접점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고정접점 슬롯은 수직으로 일정한 간격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동수단은
    몸체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단자부;와
    일부에 단자부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결합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단자부에 수직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접점;으로 구성되는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KR1020150011450A 2015-01-23 2015-01-23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KR201600911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450A KR20160091156A (ko) 2015-01-23 2015-01-23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1450A KR20160091156A (ko) 2015-01-23 2015-01-23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1156A true KR20160091156A (ko) 2016-08-02

Family

ID=56708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1450A KR20160091156A (ko) 2015-01-23 2015-01-23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911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0169A (zh) * 2020-05-09 2020-07-17 沈鼎力 一种触点组通断异步的器具开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0169A (zh) * 2020-05-09 2020-07-17 沈鼎力 一种触点组通断异步的器具开关
CN111430169B (zh) * 2020-05-09 2022-06-10 浙江赫灵电气有限公司 一种触点组通断异步的器具开关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96136B1 (en) Electric vehicle relay
JP5728091B2 (ja) 単列緊急停止スイッチ接点デバイス
KR102108894B1 (ko) 릴레이
JP6744339B2 (ja) 高電圧直流リレー
US9437375B2 (en) Electromagnetic relay assembly having a switch control unit
CN101097817B (zh) 由辅助控制装置控制的电气保护设备
KR20160020804A (ko) 전자접촉기
US9779891B1 (en) Breaker motorized secondary connector - field installable kit
US3022398A (en) Electric control device
KR20160091156A (ko) 전자접촉기의 보조접점
US10566155B2 (en) Switch
US3710288A (en) Mechanical interlock for electrical contactors
CN209822486U (zh) 一种快速开关的通断机构和快速开关
CN109390180B (zh) 真空接触器
KR200376475Y1 (ko) 슬라이딩할 수 있는 접점 가이드부를 포함한 전자접촉기
CN209357676U (zh) 具有绝缘槽的继电器
US1227341A (en) Electromagnetic device.
EP3073507B1 (en) Apparatus for auxiliary contact of circuit breaker
KR101727145B1 (ko) 릴레이 접점 단자 어셈블리
CN209328800U (zh) 具有指示功能的继电器
JP2020077472A (ja) マイクロ継電器
JP2002243404A (ja) 磁気近接スイッチ
KR101869718B1 (ko) 전자접촉기
EP3211652A1 (en) Auxiliary relay of electronic contactor
KR200487216Y1 (ko) 전기자동차용 직류 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