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217B1 -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 Google Patents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217B1
KR101062217B1 KR1020080109121A KR20080109121A KR101062217B1 KR 101062217 B1 KR101062217 B1 KR 101062217B1 KR 1020080109121 A KR1020080109121 A KR 1020080109121A KR 20080109121 A KR20080109121 A KR 20080109121A KR 101062217 B1 KR101062217 B1 KR 10106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infant
vehicle
low
infan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0036A (ko
Inventor
김연수
문경호
장세기
이강원
목재균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09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2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0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0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2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57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peculiar orientation of the chi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1Seats convertible into parts of the seat cushion or the back-rest or disapppearing therein, e.g.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위해서 차체가 도로면에 가깝도록 낮게 설계된 저상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저상차량에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은 휠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서 차체 내측에 돌출 형성된 휠 커버의 상단부에 유아용 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저상차량, 휠, 휠 커버, 유아용 시트, 회전, 접힘

Description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Low floor vehicle having seat for infant}
본 발명은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위해서 차체가 도로면에 가깝도록 낮게 설계된 저상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저상차량에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약자, 장애인, 임산부 및 유아나 어린이 등과 같은 교통 약자는 물론 일반인을 포함한 다양한 승객이, 버스나 경전철 등과 같은 대중교통 수단에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그 대중교통 수단의 차체를 도로면과 가깝도록 낮게 설계한 저상차량이 도입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상차량은 주로 시내버스로 이용되며 1량으로 이루어진 일반 저상버스나, 2량 이상의 저상차량을 서로 연결한 저상굴절차량 등 다양한 타입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저상차량은 차체가 도로면에 가깝도록 낮게 설계됨으로써 결국에는 차실 바닥이 일반적인 차량보다 낮게되고 승객의 승하차 편리성은 향상되나, 차실 내부의 휠 커버는 일반차량보다 더욱 높게 돌출된다.
즉, 저상차량은 차실 내측으로 돌출된 휠 커버가 일반적인 차량보다 높게 설계됨에 따라 휠 커버가 차지하는 공간이 일반차량보다 더 클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종래에는, 도 1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저상차량(10)의 차실 내로 돌출된 휠 커버(11)의 경사 측면에 일반 승객을 위한 카 시트(car seat, 12)를 설치하여 좌석을 확보하거나, 휠 커버(11)의 상단부에 펜스(fense, 13)를 설치하여 승객이 소지한 소지품이나 짐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 커버(11)에 의한 공간이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휠 커버(11)의 경사 측면에 설치된 일반 승객용 카 시트(12)는 그 휠 커버(11)가 차지하는 전체 공간 중 극히 일부분 즉, 경사 측면의 일부만을 이용하고 있어서, 공간 활용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휠 커버(11)의 상단부에 설치된 펜스(13)에 의해 승객의 소지품이나 짐 등을 휠 커버(11)의 상단부에 실을 수는 있으나, 실제로는 도난 등의 이유로 소지품은 승객이 직접 소지하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고, 짐은 바닥면에 내려놓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이러한 펜스(13)에 의한 공간 활용도 역시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에는 이상과 같이 휠 커버(11)에 카 시트(12)나 펜스(13) 등을 제공하고 있을 뿐, 차량의 급출발이나 급제동에 의한 위험 및 그 외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위험에 노출되기 쉽고, 자신 스스로가 그에 대한 대비를 충분히 할 수 없는 유아를 위한 별도의 수단은 제공되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위해서 차체가 도로면에 가깝도록 낮게 설계된 저상차량에 있어서, 저상차량에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은, 저상차량에 있어서, 휠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서 차체 내측에 돌출 형성된 휠 커버의 상단부에 유아용 시트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아용 시트와 휠 커버 사이에는 주행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휠 커버의 상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운동하며, 상부면에는 상기 유아용 시트가 설치되는 판 형상의 승하강 커버와; 양단이 상기 승하강 커버의 하부면과 상기 홈의 바닥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승하강 커버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상측부 테두리에 설치된 상승제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다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유아용 시트는 등받이부와 좌석부가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된 접힘형 유아용 시트이며, 상기 유아용 시트의 다리 중 후방에 위치한 후방 다리는 상기 휠 커버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고, 전방에 위치한 전방 다리는 상기 휠 커버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좌석부와 함께 접힘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다리 중 후방 다리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에서 실내의 복도측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실내의 복도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아용 시트의 등받이부와, 좌석부 및 팔걸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은, 저상차량에 유아를 앉힐 수 있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휠 커버에 유아용 시트를 설치하여 유아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유아가 없는 경우에는 좌석부를 접어두어 그 공간에 짐 등을 실을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 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부분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유아용 시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유아용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100)은, 승객이 편리하게 승하차 할 수 있도록, 그 차체가 도로면과 가깝도록 낮게 설계되어 있으며, 주로 시내버스로 이용되며 1량으로 이루어진 일반 저상버스 및 저상차량을 2량 이상 서로 연결한 저상굴절차량 등 다양한 타입을 포함한다.
그리고,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100)은 차체가 도로면에 가깝도록 낮게 설계됨으로써, 휠(차륜, W)은 일반적인 차량보다 차실 내측으로 더욱 높게 돌출되며, 그에 따라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휠(W)을 커버하는 휠 커버(110) 역시 차실 내측으로 높게 돌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상기 휠 커버(110)의 상단부에 유아용 시트(130)가 설치되는데, 유아용 시트(130)는 일반적인 카 시트(car seat)와 같이 등받이부(131)와, 좌석부(132)와, 팔걸이부(133) 및 다리(134, 135)를 포함하며, 상기 다리(134, 135)를 통해서 유아용 시트(130)가 휠 커버(110)의 상단부에 견고히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휠 커버(110)의 상단부에 펜스(도 1의 13 참조) 등을 설치하여 실제로는 효용도가 매우 낮은 소지품이나 짐을 수납하는 공간으로써 사용되었음에 비해, 본 발명은 휠 커버(110)의 상단에 유아가 앉을 수 있는 유아용 시트(130)를 구비함으로써, 유아는 물론 그 유아를 동반한 승객(부모 등)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특히, 유아용 시트(130)에 유아를 앉히도록 함으로써 급출발이나 급출발 혹은 그 외 주행 중 발생하는 사고 위험으로부터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출퇴근 시간대 등과 같이 차실 내부가 혼잡한 경우에도 유아를 다른 승객들로부터 독립된 공간에서 별도로 보호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100)은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충격에 약한 유아를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충격흡수장치(120)를 구비한다.
충격흡수장치(120)는 도 2와 같이 휠 커버(110)와 유아용 시트(130) 사이에 구비되어, 주행 중 휠(W)로부터 전달된 충격이 휠 커버(110)를 통해 유아용 시트(130)까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충격흡수장치(120)는, 도 3과 같이,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단부에는 각각 커버 걸림돌기(121a)가 형성되어 있는 승하강 커버(121) 및 판 스프링이나 코일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스프링(122)을 포함한다. 물론, 이러한 탄성 스프링(122) 대신 각종의 유압 장치나 그 외 충격 흡수가 가능한 다양한 부재(미도 시) 역시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휠 커버(110)의 상단 중심측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고, 휠 커버(110)의 상단 테두리에는 개방부 측을 향해 돌출된 제1걸림돌기(1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1걸림돌기(111)의 하측 부분에는 휠 커버(110)의 내부에 수평하게 배치 및 고정된 제2걸림돌기(112)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개방부, 제1걸림돌기(111), 및 제2걸림돌기(112)가 소정 형상의 가이드 홈(guide groove)을 형성한다.
승하강 커버(121)는 휠 커버(110)에 형성된 상기 홈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휠 커버(110)의 내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그 상부면은 개방부를 통해 차실 측으로 노출된다.
그리고, 승하강 커버(121)의 승강운동은 당해 승하강 커버(121)의 커버 걸림돌기(121a)가 휠 커버(110)의 제1걸림돌기(111)(즉, 상승제한 걸림돌기)에 걸림동작 됨으로써 제한되고, 승하강 커버(121)의 하강운동은 당해 승하강 커버(121)가 제2걸림돌기(112)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한된다.
또한, 탄성 스프링(122)은 그 상하측의 양단이 승하강 커버(121)의 하부면과 제2걸림돌기(112)의 상부면(즉, 홈의 바닥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됨으로써, 당해 탄성 스프링(122)이 승하강 커버(121)를 탄성 지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휠(W)로부터 전달된 충격은 승하강 커버(121)의 상부에 설치된 유아용 시트(130)까지 전달되지 아니하고, 탄성 스프링(122)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100)은, 유아가 탑승 하지 않은 경우에는 승객의 소지품이나 짐을 휠 커버(110)의 상부에 수납할 수 있도록, 유아용 시트(130)가 접혀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유아용 시트(130)는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31)와, 좌석부(132)와, 팔걸이부(133) 및 다리(134, 1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중 등받이부(131)와 좌석부(132)는 힌지(hinge, 136)에 의해 서로 힌지결합되어 있어서, 좌석부(132)가 등받이부(131)를 향해 접혀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좌석부(132)가 접혀진 경우에는 그에 따라 노출된 휠 커버(110)의 상단부에 승객의 소지품이나 짐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130)를 구비한 저상차량(100)은,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아용 시트(130)가 복도측(aisle)을 바라보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유아를 동반한 보호자(즉, 부모 등)와 유아가 서로 마주볼 수 있으므로, 보호자가 유아를 관찰 및 보호하기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방향으로 유아용 시트(130)가 설치되면, 당해 유아용 시트(130)는 차량의 진행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게 되어 급출발이나 급제동시 유아의 허리나 목 등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필요에 따라서는 유아용 시트(130)가 회전하여 차량의 진행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을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4의 (a)와 같이 유아용 시트(130)의 다리(134, 135) 중 후방에 위치한 후방 다리(135)는 1개로 이루어지며, 그 후방 다리(135)는 좌석부(132) 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당해 유아용 시트(130)의 회전시 중심축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유아용 시트(130)의 다리(134, 135) 중 전방에 위치한 전방 다리(134)는 그 하단부에 고정돌기(13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 다리(134) 양측 사이드에는 각각 보조 다리(134b)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보조 다리(134b)는 유아용 시트(130)의 지지력을 보강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도 4의 (b)와 같이 휠 커버(110)의 상단부에 노출된 승하강 커버(121)에는 회전 중심점(O)을 중심으로 전방부(즉, 차량 진행 방향)에 설치된 전방 홈(123a)과, 복도측을 향하는 복도 홈(123b) 및 전방 홈(123a)의 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후방 홈(123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중심점(O)과 전방 홈(123a) 사이, 중심점(O)과 복도 홈(123b) 사이, 및 중심점(O)과 후방 홈(123c) 사이의 거리는 유아용 시트(130)의 후방 다리(135)와 전방 다리(134)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전방 홈(123a)과, 복도 홈(123b) 및 후방 홈(123c)은 반원형의 궤적을 이룬다.
또한, 전방 홈(123a)과, 복도 홈(123b), 및 후방 홈(123c)에 전방 다리(134)의 하단부에 형성된 고정돌기(134a)가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홈(123a 내지 123c)들과 고정돌기(134a)는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전방 다리(134)의 고정돌기(134a)가 전방 홈(123a)에 삽입 고정되어 유아용 시트(130)가 전방을 바라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복도측으로 방향을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좌석부(132)를 들어 전방 다리(134)의 고정돌기(134a)를 전방 홈(123a)으로부터 탈착시킨 다음 후방 다리(135)를 중심축으로 하여 유아용 시트(130)를 회전시키고, 다시 전방 다리(134)의 고정돌기(134a)를 복도 홈(123b)에 삽입 고정함으로써, 유아용 시트(130)의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유아용 시트(130)는, 후방 다리(135)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에서 실내의 복도측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실내의 복도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단, 유아용 시트(130)의 전방 다리(134)는 전방 홈(123a), 복도 홈(123b) 및 후방 홈(123c) 중 어느 하나에 자유롭게 삽입 고정될 수 있음에 따라, 차량의 주행 중 유아용 시트(130)의 전방 다리(134)가 좌석부(132)와 함께 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방 홈(123a)과, 복도 홈(123b) 및 후방 홈(123c)의 인접 부분에 각각 들림 방지수단을 구비한다. 들림 방지수단은 일 예로 전방 홈(123a)과, 복도 홈(123b) 및 후방 홈(123c)에 각각 인접하여 형성된 들림방지 가이드 홈(124a 내지 124c) 및 각각 들림방지 가이드 홈(124a 내지 124c)을 따라 이동하는 들림 방지판(125a 내지 125c)을 포함한다.
따라서, 전방 홈(123a)을 위한 들림 방지수단의 경우, 전방 다리(134)가 전방 홈(123a)에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들림방지 가이드 홈(124a)을 따라 들림 방지판(125a)을 이동시켜 당해 들림방지판(125a)이 전방 홈(123a)에 근접하도록 한 다음, 볼트(미도시) 등에 의해 당해 들림 방지판(125a)이 승하강 커버(121)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하면, 들림 방지판(125a)이 전방 다리(134)의 고정돌기(134a) 상부를 누르고, 결국 전방 다리(134) 및 좌석부(132)가 차량의 주행 중 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유아용 시트(130)는 등받이부(131)와, 좌석부(132) 및 팔걸이부(1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쿠션부(131a 내지 133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차량의 주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충격으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쿠션부(131a 내지 133a)는 일반적인 쿠션이 사용될 수 있지만 그외 에어백(미도시)이 대신하거나 에어백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충격흡수부(120)가 휠 커버(110)에 별도로 설치된 것과는 다르게, 충격흡수부(120')가 유아용 시트(140)의 다리(144, 145)에 각각 설치된 것을 예로 든 것이다.
이러한 충격흡수부(120')는 유아용 시트(130)의 다리에 일체로 설치되되, 내부에 판 스프링이나 코일 스피링 등과 같은 탄성 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한 것이거나, 그 외 유압 실린더(미도시) 등을 구비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상과 같은 충격흡수부(120')를 구비하고 있다는 것 이외에, 유아용 시트(140)가 등받이부(141), 좌석부(142), 팔걸이 부(143) 및 다리(144, 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때 등받이부(141)와 좌석부(142)가 힌지(146)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는 것이나, 후방 다리(145)가 좌석부(142)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전방 다리(144)에 고정돌기(144a)가 형성되어 있어서 당해 유아용 시트(130)가 회전 가능하다는 점 등은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전방 다리(144)의 양측 사이드에 각각 보조 다리(144b)가 설치되어 유아용 시트(140)의 지지를 보강하거나, 등받이부(141)와, 좌석부(142) 및 팔걸이부(143)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쿠션부(141a 내지 141c)가 설치되어 유아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것 역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은, 유아를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호할 수 있음은 물론 차량 실내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승객의 승하차 편의를 위한 저상차량의 활성화를 앞당기고 상대적으로 약자인 유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저상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부분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부분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충격흡수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유아용 시트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의 유아용 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 휠 110: 휠 커버
120, 120': 충격흡수장치 121: 승하강 커버
121a: 커버 걸림돌기 122: 탄성 스프링
123a: 전방 홈 123b: 복도 홈
123c: 후방 홈 125a~125c: 들림 방지판
130, 140: 유아용 시트 131, 141: 등받이부
132, 142: 좌석부 133, 143: 팔걸이부
134, 144: 전방 다리 134a, 144a: 고정돌기
135, 145: 후방 다리

Claims (10)

  1. 저상차량에 있어서,
    휠 설치공간 확보를 위해서 차체 내측에 돌출 형성된 휠 커버의 상단부에 유아용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유아용 시트와 휠 커버 사이에는 주행중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장치가 설치되되,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휠 커버의 상단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가이드 홈과,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하 운동하며, 상부면에는 상기 유아용 시트가 설치되는 판 형상의 승하강 커버와, 양단이 상기 승하강 커버의 하부면과 상기 홈의 바닥면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탄성 스프링 및 상기 승하강 커버의 상승을 제한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의 상측부 테두리에 설치된 상승제한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장치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다리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는 등받이부와 좌석부가 서로 힌지에 의해 결합된 접힘형 유아용 시트이며,
    상기 유아용 시트의 다리 중 후방에 위치한 후방 다리는 상기 휠 커버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전방에 위치한 전방 다리는 상기 휠 커버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좌석부와 함께 접힘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는,
    상기 유아용 시트의 다리 중 후방 다리를 회전 중심축으로 하여, 전방에서 실내의 복도측(aisle)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후방에서 실내의 복도측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아용 시트의 등받이부와, 좌석부 및 팔걸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는 충격을 흡수하는 쿠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9. 삭제
  10. 삭제
KR1020080109121A 2008-11-04 2008-11-04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KR1010622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21A KR101062217B1 (ko) 2008-11-04 2008-11-04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9121A KR101062217B1 (ko) 2008-11-04 2008-11-04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36A KR20100050036A (ko) 2010-05-13
KR101062217B1 true KR101062217B1 (ko) 2011-09-05

Family

ID=42276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121A KR101062217B1 (ko) 2008-11-04 2008-11-04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2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29124B (zh) * 2015-11-13 2019-03-12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客车车载儿童座椅安装结构及使用该安装结构的客车
CN111098768B (zh) * 2018-10-29 2021-07-16 郑州宇通客车股份有限公司 集成座椅及使用该集成座椅的车辆
CN112896057B (zh) * 2019-11-19 2022-04-26 中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基于低地板车辆轮包的多媒体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532Y1 (ko) * 1996-12-28 1999-07-15 양재신 버스의 휠하우징에 설치한 보조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1532Y1 (ko) * 1996-12-28 1999-07-15 양재신 버스의 휠하우징에 설치한 보조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0036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03934A (en) Folding seat and wheelchair restraint
US3044800A (en) Automotive vehicle safety barrier
EP1787855B1 (en) Vehicle child seat arrangement
KR101062217B1 (ko) 유아용 시트를 구비한 저상차량
WO2014137279A1 (en) Wheelchair comprising energy absorber
CN106740305B (zh) 一种成人儿童两用汽车座椅
JP2002052982A (ja) 自動車トランクル−ム荷物の車室内流入防止構造
CN206327194U (zh) 一种防下潜装置及具有其的车辆
KR1009171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닝 조절장치
KR100919113B1 (ko) 차량용 절첩식 보조 의자
CN212125104U (zh) 空中轨道列车特殊专用安全保护系统
US6120093A (en) Child seat arrangement for an automotive vehicle
WO2011094570A2 (en) Folding chair for the transportation of babies and children
CN220535481U (zh) 乘员安全保护装置及汽车座椅
JP3170718U (ja) 自動車の座席構造
KR20120035920A (ko) 열차용 자전거 주차대
CN202685996U (zh) 汽车的后排座椅加固装置与汽车
CN111845482B (zh) 一种婴儿提篮
KR101021403B1 (ko) 차량의 스페어타이어 장착구조
KR200223606Y1 (ko) 차량시트의 유아보호 장치
KR0111309Y1 (ko) 자동차용 어린이 손잡이
KR20060001037A (ko) 자동차용 시트 트레이
KR100212784B1 (ko) 자동차의 탑승자보호용 시트구조
KR200144957Y1 (ko) 시트벨트 보조장치
KR200196788Y1 (ko) 확장시트의 위치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