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787B1 - 공랭식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공랭식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787B1
KR101061787B1 KR1020080118508A KR20080118508A KR101061787B1 KR 101061787 B1 KR101061787 B1 KR 101061787B1 KR 1020080118508 A KR1020080118508 A KR 1020080118508A KR 20080118508 A KR20080118508 A KR 20080118508A KR 101061787 B1 KR101061787 B1 KR 101061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ipe
mounting table
guide par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8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071A (ko
Inventor
박기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8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7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60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24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wire, rods, rounds,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74Temperature control, e.g. by cooling or heating the rolls or the product
    • B21B37/76Cooling control on the run-out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랭식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대; 제1지지대와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대; 제2지지대에 걸쳐지는 설치대; 설치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제1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철근이 투입되는 투입가이드부; 설치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철근이 배출되는 배출가이드부; 설치대 상에 구비되고 투입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철근을 배출가이드부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 및 설치대의 타단부과 결합되어 설치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는 철근이 이동되면서 공기와 접촉되어 냉각된다.
Figure R1020080118508
철근, 공랭, 냉각, 선별

Description

공랭식 냉각장치{AIR-COOLED COOLING DEVICE}
본 발명은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의 철근이 공기와 접촉되면서 이동되도록 하여 철근을 냉각시키는 공랭식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정은 제선공정, 제강공정, 연주공정, 압연공정을 거치게 된다.
제선공정은 쇳물을 생산하는 기초공정으로써, 철광석과 원료탄 유연탄을높이 약 100m의 고로에 넣은 뒤 1,200℃ 정도의 뜨거운 바람을 불어넣으면 원료탄이 타면서 나오는 열에 의해 철광석이 녹아 쇳물이 된다.
다시 말해 원료탄이 연소되며 발생하는 일산화탄소가 철광석과 환원반응을 일으키면서 쇳물이 생산된다.
즉, 원료탄은 철광석을 녹이는 열원으로서의 역할과 동시에 산화철 상태인 철광석에서 산소와 쇳물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고로에 장입된 철광석이 쇳물로 나오기까지는 5~6시간 정도가 소요되고, 이때 쇳물의 온도는 1,500℃까지 올라간다. 이러한 쇳물에는 철성분 외에도 탄소나 유황등 불순물이 함유돼 있다.
제강공정은 쇳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해 강철로 만드는 공정으로써, 고로에서 생산된 쇳물(용선)은 탄소 함유량이 많고 인, 유황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 쇳물을 용선이라고 하는데 이를 전로에 넣는다.
전로 속에는 고철과 용선을 함께 넣은 후 순수한 산소를 불어넣는다. 이 과정을 통해 인이나 유황, 탄소성분을 걸러낸다. 이렇게 불순물을 제거한 깨끗한 쇳물을 용강이라고 한다.
연주공정은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공정으로써, 아직 액체상태인 용강이 주형(mold)에 주입되고 연속 주조기를 통과하면서 냉각, 응고돼 연속적으로 슬래브나 블룸, 빌릿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진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압연기로 들어가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압연공정은 철을 강판이나 선제로 만드는 공정으로써, 압연이란 연속주조 공정에서 생산된 슬래브, 블룸, 빌릿 등을 회전하는 여러개의 롤 사이를 통과시켜 연속적인 힘을 가하여 늘리거나 얇게 만드는 과정을 말한다.
한편, 압연공정 후 강판이나 선제로 만들어지는 철은 쿨러 파이프를 통과하게 된다. 이러한 쿨러 파이프는 관 내부에 냉각수가 통과되므로, 이러한 냉각수에 의해 철이 냉각된다.
종래의 쿨러 파이프는 냉각수에 의해 철을 냉각하므로, 철 냉각을 위해 다량의 냉각수가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쿨러 파이프가 손상되면, 냉각수가 외부로 누출되어 작업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공기 접촉을 통해 철을 냉각하는 공랭식 냉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와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대; 상기 제2지지대에 걸쳐지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철근이 투입되는 투입가이드부; 상기 설치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철근이 배출되는 배출가이드부; 상기 설치대 상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기 철근을 상기 배출가이드부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 및 상기 설 치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설치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투입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대에 안착되고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되는 삽입돌기가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에 안착되며 상기 철근이 투입되는 투입관; 및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입관을 덮는 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투입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가이드부는 상기 철근을 안내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는 연장판; 상기 설치대와 접촉되고 절곡되어 상기 연장판과 접촉되는 장착판; 상기 연장판과 상기 장착판을 체결하는 제1이송고정체; 및 상기 장착판을 상기 설치대에 고정시키는 제2이송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대에 구비되는 안착판에 안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는 배출관; 및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을 덮는 상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출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철근을 안내하는 보조가이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가이드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측면과 접촉되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철근을 안내하는 보조관; 상기 걸림턱이 내측에 걸리며 상기 결합체와 마주보는 체결체; 및 상기 결합체와 상기 체결체를 체결하는 보조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는 철근을 안내하는 관이 분리 가능하여, 손상된 관만 선택하여 수리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는 실린더에 의해 설치대가 회전되므로, 철근을 선별하여 추가공정부로 이동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는 보조가이드부가 추가됨으로써, 철근이 추가공정부에 안정적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실시예 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투입가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이송가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배출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배출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100)는 공기 접촉을 통해 철근(1)을 냉각시키는 것으로서, 제1지지대(10), 제2지지대(20), 설치대(30), 투입가이드부(40), 이송가이드부(50), 배출가이드부(60) 및 실린더부(70)가 구비된다.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20)는 지면에 고정 설치된다. 제1지지대(10)와 제2지지대(20)는 서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설치대(30)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지지대(10)에는 한 쌍이 서로 이격된 대(11)와, 이를 서로 연결하는 수평바(12)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H' 형상은 설치대(30) 외의 부품하중을 지탱하도록 설계된다. 제2지지대(20)는 제1지지대(10)의 수평바(12)에 대응되는 지지바(22)가 구비된다.
설치대(30)는 일단이 제1지지대(10)에 위치되고 타단이 제2지지대(20)를 통과한다. 설치대(30)는 지지바(22)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투입가이드부(40)는 설치대(30)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제1지지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투입가이드부(40)에는 가열된 철근(1)이 투입된다.
배출가이드부(60)는 설치대(30)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이를 통해 철근(1)이 최종적으로 배출된다. 배출가이드부(60)에 의해 배출된 철근(1)은 추가공정부(90)로 이동되어 철근(1)의 다음 공정이 실시된다.
이송가이드부(50)는 투입가이드부(40)와 배출가이드부(60) 사이에 위치되며 설치대(30)에 장착된다. 이송가이드부(50)는 투입가이드부(40)를 통해 유입된 철근(1)을 배출가이드부(60)로 안내한다.
실린더부(70)는 설치대(30)의 타단부와 결합된다. 실린더부(70)는 지면에 고정되며 실린더부(70)의 구동에 의해 설치대(30)는 타단에서 상하로 이동된다.
실린더부(70)의 작동에 따라 설치대(30)가 상하로 이동되면, 철근(1)은 추가공정부(90)의 상부라인과 하부라인으로 각각 이동된다. 철근(1)이 상부라인과 하부 라인으로 오차 없이 이동되도록, 실린더부(70)는 배출가이드부(60)의 하방에 위치되어 배출가이드부(6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입가이드부(40)에는 하판(41), 투입관(42), 상판(43) 및 투입고정체(44)가 구비된다.
하판(41)은 설치대(30)에 안착되고, 상측에는 투입관(42)이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하판(41)의 측면에는 삽입돌기(411)가 돌출 형성된다. 삽입돌기(411)는 제1지지대(10)의 대(11)에 형성되는 삽입부(13)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된다.
대(11)는 삽입돌기(411)의 결합을 위해 상부 및 하부가 별물로 이루어진다. 즉, 대(11)의 하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고, 대(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삽입부(13)에 삽입돌기(411)를 삽입한 상태에서, 대(11)의 상부와 하부를 결합한다.
투입관(42)은 철근(1)을 안내한다. 투입관(42)으로 투입된 철근(1)은 투입관(42)을 관통하여 이동된다. 투입관(42)은 철근(1)이 통과하도록 내측이 관통된 형상을 하며, 투입관(42)의 일단(철근이 유입되는 부분)에는 철근(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투입확장판(421)이 구비된다. 투입확장판(421)은 내경이 전측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철근(1)을 중앙부로 안내한다.
상판(43)은 하판(41)의 상측에 위치되며, 투입관(42)을 덮는다. 상판(43)의 저면에는 투입관(42)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을 제외한 상판(43)의 저면은 하판(41)과 접촉된다.
투입고정체(44)는 설치대(30)에 하판(41) 및 상판(43)을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투입고정체(44)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설치대(30), 하판(41) 및 상판(43)에는 볼트 관통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가이드부(50)에는 제1이송고정체(51), 제2이송고정체(52), 이송관(53), 연장판(54) 및 장착판(55)이 구비된다.
이송관(53)은 철근(1)을 안내한다. 이송관(53)은 철근(1)이 통과되도록 내측이 관통된 형상을 하며, 이송관(53)의 일단(철근이 유입되는 부분)에는 철근(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이송확장판(531)이 구비된다. 이송확장판(531)은 내경이 유입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철근(1)을 중앙부로 안내한다.
연장판(54)은 이송관(53)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연장판(54)은 이송관(53)과 별개의 부품으로 용접에 의해 이송관(53)과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장착판(55)은 설치대(30)와 접촉되고 절곡되어 연장판(54)과도 접촉된다. 제1이송고정체(51)는 연장판(54)과 장착판(55)을 체결하고, 제2이송고정체(52)는 장착판(55)과 설치대(30)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이송고정체(51)와 제2이송고정체(52)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설치대(30), 연장판(54) 및 장착판(55)에는 볼트 관통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도 1,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가이드부(60)에는 하부판(61), 배출관(62), 상부판(63) 및 배출고정체(64)가 구비된다.
하부판(61)은 설치대(30)의 상측에 안착되며,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설치대(30)에 고정 설치된다. 하부판(61)의 상측에는 배출관(62)이 안착되기 위한 홈이 형성된다.
배출관(62)은 철근(1)을 안내한다. 배출관(62)은 철근(1)이 통과되도록 내측이 관통된 형상을 하며, 배출관(42)의 일단(철근이 유입되는 부분)에는 철근(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배출확장판(621)이 구비된다. 배출확장판(621)은 내경이 유입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철근(1)을 중앙부로 안내한다.
상부판(63)은 하부판(61)의 상측에 위치되며, 배출관(62)을 덮는다. 상부판(63)의 저면에는 배출관(62)이 삽입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홈을 제외한 상부판(63)의 저면은 하부판(61)과 접촉된다.
배출고정체(64)는 설치대(30)에 하부판(61) 및 상부판(63)을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배출고정체(64)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설치대(30), 하부판(61) 및 상부판(63)에는 볼트 관통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볼팅 작업이 원활해지도록, 설치대(30)의 타단은 상방으로 돌출된 'T' 형상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배출관(62)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622)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돌기(622)는 하부판(61)과 상부판(63) 사이에 위치되는 배출관(62)의 이동을 제한한다.
배출관(62)의 타단에는 철근(1)을 안내하기 위한 보조가이드부(8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가이드부(80)에는 결합체(81), 보조관(82), 체결체(83) 및 보조고정체(84)가 구비된다.
결합체(81)는 배출관(62)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결합체(81)는 용접에 의해 배출관(62)에 고정되거나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며, 그 외 다양한 고정방식에 의해 배출관(62)에 설치된다.
보조관(82)은 철근(1)을 안내한다. 보조관(82)은 철근(1)이 통과되도록 내측이 관통된 형상을 하며, 보조관(82)의 일단(철근이 유입되는 부분)에는 철근(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확장판(821)이 구비된다. 보조확장판(821)은 내경이 유입되는 부분으로 갈수록 확장된 형상을 하여 철근(1)을 중앙부로 안내한다. 보조관(82)의 외주면에는 걸림턱(822)이 형성된다. 체결체(83)는 걸림턱(822)에 걸리면서 전체적으로 보조관(82)을 감싸게 된다.
보조고정체(84)는 결합체(81)와 체결체(83)를 체결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고정체(84)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결합체(81)와 체결체(83)에는 볼트 관통을 위한 홀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투입관(42)과 다수의 이송관(53) 및 배출관(62)은 서로 이격되므로, 이러한 관들을 이동하는 철근(1)은 공기와 접촉되어 냉각되며, 각 관들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해 냉각된다.
한편, 실린더부(70)의 작동에 의해, 설치대(30)의 타단은 상하로 이동된다. 이때, 설치대(30)와 결합된 삽입돌기(411)가 회전축이 되어 설치대(30)는 회전된다.
이에 의해 배출가이드부(60)의 높낮이가 변경되므로, 배출관(62) 또는 보조관(82)을 통과한 철근(1)은 추가공정부(90)의 서로 다른 라인으로 선별적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100)는 철근(1) 이동에 따른 관의 손상 발생시 손상된 관만 신속히 교환 가능하다.
즉, 투입가이드부(40)의 경우, 하판(41)과 상판(43) 간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손상된 투입관(42)을 교체할 수 있다.
이송가이드부(50)의 경우, 연장판(54)과 장착판(55) 간의 분리가 가능하여 손상된 이송관(53)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착판(55)과 설치대(30) 간의 분리도 가능하므로, 손상된 이송관(53)을 교체할 수 있다.
배출가이드부(60)의 경우, 하부판(61)과 상부판(63) 간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손상된 배출관(62)을 교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조가이드부(80)의 경우, 결합체(81)와 체결체(83) 간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손상된 보조관(82)을 교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의 교체는 철근(1)의 하중 및 실린더(70) 작동에 따른 위치변경에 의해 철근(1)과의 접촉이 커지더라도 손상된 부분을 신속히 교환하여 공정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철근(1)과의 접촉이 잦은 배출가이드부(60)의 배출관(62)에는 보조가이드부(80)가 구비됨으로써, 철근(1)이 추가공정부(90)에 안정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투입가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이송가이드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배출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냉각장치의 배출가이드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지지대 20 : 제2지지대
30 : 설치대 40 : 투입가이드부
50 : 이송가이드부 60 : 배출가이드부
70 : 실린더부 80 : 보조가이드부

Claims (11)

  1.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제1지지대;
    상기 제1지지대와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는 제2지지대;
    상기 제2지지대에 걸쳐지는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철근이 투입되는 투입가이드부;
    상기 설치대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철근이 배출되는 배출가이드부;
    상기 설치대 상에 구비되고 상기 투입가이드부를 통과하는 상기 철근을 상기 배출가이드부로 안내하는 이송가이드부; 및
    상기 설치대의 타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설치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대에 안착되고 상기 제1지지대에 형성되는 삽입부에 삽입되어 회전축이 되는 삽입돌기가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하판;
    상기 하판에 안착되며 상기 철근이 투입되는 투입관; 및
    상기 하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투입관을 덮는 상판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가이드부는
    상기 철근을 안내하는 이송관;
    상기 이송관에 구비되는 연장판;
    상기 설치대와 접촉되고 절곡되어 상기 연장판과 접촉되는 장착판;
    상기 연장판과 상기 장착판을 체결하는 제1이송고정체; 및
    상기 장착판을 상기 설치대에 고정시키는 제2이송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가이드부는
    상기 설치대에 구비되는 안착판에 안착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에 안착되는 배출관; 및
    상기 하부판의 상측에 위치되며 상기 배출관을 덮는 상부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출관의 타단부에는 상기 철근을 안내하는 보조가이드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가이드부는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되는 결합체;
    상기 결합체의 측면과 접촉되는 걸림턱이 외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철근을 안내하는 보조관;
    상기 걸림턱이 내측에 걸리며 상기 결합체와 마주보는 체결체; 및
    상기 결합체와 상기 체결체를 체결하는 보조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투입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송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배출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판과 상기 상부판이 걸리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의 일단부에는 상기 철근의 이탈을 방지하는 보조확장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랭식 냉각장치.
KR1020080118508A 2008-11-27 2008-11-27 공랭식 냉각장치 KR101061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08A KR101061787B1 (ko) 2008-11-27 2008-11-27 공랭식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8508A KR101061787B1 (ko) 2008-11-27 2008-11-27 공랭식 냉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71A KR20100060071A (ko) 2010-06-07
KR101061787B1 true KR101061787B1 (ko) 2011-09-05

Family

ID=4236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8508A KR101061787B1 (ko) 2008-11-27 2008-11-27 공랭식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7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775B1 (ko) * 2012-12-27 2014-09-05 주식회사 포스코 강편 압연용 가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418U (ko) 1981-04-22 1982-11-25
JPS58119904U (ja) * 1982-02-08 1983-08-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線材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85418U (ko) 1981-04-22 1982-11-25
JPS58119904U (ja) * 1982-02-08 1983-08-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線材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071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18572B2 (ja) チタン鋳塊およびチタン合金鋳塊の連続鋳造装置および連続鋳造方法
CN110616360A (zh) 一种辊套用32Cr3Mo1V连铸大圆坯生产方法
CN102847895B (zh) 炼钢连铸工艺用引锭装置及其引锭方法
KR101061787B1 (ko) 공랭식 냉각장치
CN102019379B (zh) 环境伺服式洁净金属铸模
KR101246252B1 (ko) 고로 대탕도용 가이드장치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JP4441418B2 (ja) 連続鋳造用鋳型
KR101140844B1 (ko) 전극봉 고정용 암
KR101009695B1 (ko) 쿨러 파이프 결합장치
CN202238937U (zh) 一种精轧机废品箱导槽总成
JP2005103552A (ja) 連続鋳造方法
KR100446885B1 (ko) 주단조용 급탕장치
CN105861786B (zh) 铁屑制作轴承材料的方法
JP4232491B2 (ja) 連続鋳造用鋳型
KR101159593B1 (ko) 압출기 램
KR101242947B1 (ko) 래들 로의 루프 장치
KR20120018560A (ko) 알루미늄 연속 용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알루미늄 코일의 제조 장치
KR101431033B1 (ko) 강판 냉각장치
KR101024752B1 (ko) 냉각상 런-인 사이드 롤러의 지지구조체
CN117324601A (zh) 一种铸铁机生铁浇铸出铁防护装置以及铸铁机
KR10137749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연원료 불출장치
KR101051297B1 (ko) 워킹빔 가열로
KR101175784B1 (ko) 절단된 소재의 안내장치
KR101185011B1 (ko) 연주기용 주편 안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