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619B1 -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619B1
KR101059619B1 KR1020040015816A KR20040015816A KR101059619B1 KR 101059619 B1 KR101059619 B1 KR 101059619B1 KR 1020040015816 A KR1020040015816 A KR 1020040015816A KR 20040015816 A KR20040015816 A KR 20040015816A KR 101059619 B1 KR101059619 B1 KR 101059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indicator
switch
symbol
ligh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0641A (ko
Inventor
전태수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5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619B1/ko
Publication of KR2005009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5Control members, e.g.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각 스위치의 커버 표면에 함께 표시되는 심벌 및 지시부에 대한 조명중 어느 한 곳의 조명이 다른 쪽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심벌 및 지시부에 대한 조명을 서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인쇄회로기판(120)에 설치되는 제1램프(124) 및 제2램프(126)에 의하여 각 스위치(140)의 심벌(144) 및 지시부(146)에 조명을 함에 있어서, 심벌쪽의 제1조명경로(152)와 지시부쪽의 제2조명경로(154) 상호간에 누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각 스위치의 가이드부(150)에 심벌(144)의 제1조명경로(152) 및 지시부(146)의 제2조명경로(154)를 구획하여 차단하는 누광차단리브(160)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중 제1램프(124)와 제2램프(126)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누광차단리브의 후단이 진퇴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형성된다.
모드스위치, 모드스위치조립체, 공조제어, 공기조화제어, 공조스위치

Description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CONTROLLER OF CAR 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를 구성하는 스위치의 예를 배면쪽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의 일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자동차의 내부에 일반적인 컨트롤러가 설치된 상태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의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종래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의 조명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컨트롤커버(Control Cover), 110 : 하우징(Housing),
120 : 인쇄회로기판, 124 : 제1램프,
126 : 제2램프, 130 : 삽입홈,
140 : 스위치(Switch), 142 : 커버(Cover),
144 : 심벌(Symbol), 146 : 지시부,
150 : 가이드부, 152 : 제1조명경로,
154 : 제2조명경로, 160 : 누광차단리브.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 스위치의 커버 표면에 함께 표시되는 심벌 및 지시부에 대한 조명중 어느 한 곳의 조명이 다른 곳으로 누설되지 않게, 심벌 및 지시부에 대한 조명을 서로 차단할 수 있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 10)에는 공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컨트롤러(20)가 설치되며, 이 컨트롤러(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온/오프 스위치(40a), 푸트모드(Foot Mode), 디프로스트모드(Defrost Mode)와 같은 공조모드의 전환용 스위치(40b), 송풍기의 단수(즉, 송풍기 모터의 회전수)의 전환용 스위치(40c), 내/외기의 전환용 스위치(40d, 40e) 등 각종 모드를 제어하는 스위치(40)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컨대 송풍기의 단수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40c)로는 다이얼 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고, 나머지는 푸시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가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스위치(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 페시아 패널(10)과 동일평면상에 설치되는 컨트롤커버(Control Cover, 30)를 통해, 센터 페시아 패널(10)의 내측에 배치된 하우징(50)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60)에 스위칭 결합된다. 각 스위치(40)는, 컨트롤커버(30)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커버(42)와 상기 커버(42)의 후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컨트롤커버(3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60)에 스위칭 결합되는 가이드부(48)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42)의 표면에는, 심벌(43)과 스위치(40)가 ON되었음을 표시하는 지시부(44)가 차례로 표시된다. 상기 각 스위치(40)의 심벌(43)과 지시부(44)는 인쇄회로기판(60)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램프나 LED와 같은 조명수단(63, 64)에 의해 각각 조명된다. 즉, 각 스위치(40)의 커버(42) 표면은 심벌(43)과 지시부(44)를 제외하고 불투명부로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심벌(43)을 조명하는 조명수단(63)의 조명경로와, 지시부(44)를 조명하는 조명수단(64)의 조명경로가 서로 차단되지 않았다. 따라서, 심벌(43)을 조명하는 조명수단(63)이 점등된 경우, 심벌(43)을 조명하는 조명수단(63)의 불빛이 지시부(44)쪽으로 누설되어, 마치 지시부(44)도 조명이 켜진 것과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켜 운전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역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스 위치의 커버 표면에 함께 표시되는 심벌 및 지시부에 대한 조명중 어느 한 곳의 조명이 다른 쪽으로 누설되지 않게, 심벌 및 지시부에 대한 조명을 서로 차단할 수 있는 공조모드 컨트롤조작부의 스위치 누광 방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의 센터 페시아 패널(Center Facia Panel)에 설치되는 컨트롤커버(Control Cover)와; 상기 센터 페시아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컨트롤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차량의 공조장치 액츄에이터(Actuator)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스위치에 대하여 심벌 조명용의 제1램프 및 지시부 조명용의 제2램프가 각각 설치된 인쇄회로기판과; 그리고, 컨트롤커버 외부로 돌출되고 표면에 상기 제1램프에 의하여 조명되는 심벌 및 상기 제2램프에 의해 조명되는 지시부가 차례로 표시된 커버(Cover)와, 상기 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컨트롤커버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스위칭 결합되는 가이드부를 가지는 다수의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치의 가이드부에 심벌의 조명경로 및 지시부의 조명경로를 구획하여 차단하는 누광차단리브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중 제1램프와 제2램프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누광차단리브의 후단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광차단리브는, 채널형 단면 구조로 가이드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 고, 상기 누광차단리브의 형상과 대응하여 상기 삽입홈은 채널(Channel)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는, 컨트롤커버(100)(도 3 참조)와, 상기 컨트롤커버(100)의 후방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내장되는 인쇄회로기판(120)(도 3 참조)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커버(10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20)에 스위칭 결합되는 다수의 스위치(140)를 가진다.
또한, 상기 컨트롤커버(100)는,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대략 중앙부에 패치되는 센터 페시아 패널에 동일평면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센터 페시아 패널의 내측에는 전방이 개방된 하우징(110)이 배치되고, 이 하우징(110)은 컨트롤커버(100) 후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공조장치의 각종 액츄에이터들, 예컨대 송풍기 내/외기 전환도어 조작용 액츄에이터, 송풍기 모터, 공조케이스에 설치되는 각종 도어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120)이 내장된다. 이 인쇄회로기판(120)에는 후술하는 각 스위치(140)에 대하여 심벌(144) 조명용의 제1램프(124) 및 지시부(146) 조명용의 제2램프(126)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제1램프(124) 및 제2램프(126)는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 채용될 수 있으며, 그 종류로는 예컨대 LE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램프들 이외에도 후술하는 커버(142)에 표시되는 다른 심벌이나 지시부와 같은 표시수단(148)을 조명하는 제3램프(128)들이 인쇄회로기판(120)에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140)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에어컨을 온/오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140a), 푸트모드, 디프로스트모드와 같은 각종 공조모드를 전환조작하기 위한 스위치(미도시), 송풍기의 단수(즉, 송풍기 모터의 회전수로서 예컨대 1∼4단)의 전환을 조작하기 위한 스위치(140b), 내/외기 전환 등을 제어하는 내/외기전환스위치(140c, 140d) 등이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치(140)들은 공조장치의 형식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으나, 예컨대 송풍기의 단수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로는 다이얼 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고, 나머지는 푸시버튼 스위치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140)는, 컨트롤커버(100) 외부로 돌출되는 커버(142)와, 상기 커버(142)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컨트롤커버(100)를 통해 인쇄회로기판(120)에 스위칭 결합되는 가이드부(150)를 가진다.
또한, 상기 커버(142)의 표면에는 스위치(140)의 기능을 나타내도록 제1램프(124)에 의하여 조명되는 심벌(144) 및 스위치(140)의 조작방법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2램프(126)에 의해 조명되는 지시부(146)가 차례로 표시된다. 예컨대 에어컨 온/오프 조작용 스위치(140a)의 경우에는, 그 기능을 나타내는 표시로 "A/C" 라는 심벌(144)과, 지시부(146)가 커버(142)의 표면에 표시될 수 있다. 이 심벌(144)과 지시부(146)는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심벌(144)과 지시부(146)를 제외한 커버(142) 표면의 나머지 부분은 불투명소재로 이루어진다. 물론, 또 다른 심벌이나 지시부와 같은 표시수단(148)이 추가된 경우에는 그 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부(150)는, 스위치(140)를 조작할 때 인쇄회로기판(120)에 대하여 스위칭 기능을 하는 동시에, 제1램프(124) 및 제2램프(126)의 조명이 외부로 누광되지 않고 심벌(144) 및 지시부(146)쪽으로 집광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150)는 제1램프(124)의 조명을 심벌(144)쪽으로 집광하는 제1조명경로(152)와, 제2램프(126)의 조명을 지시부(146)쪽으로 집광하는 제2조명경로(154)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조명경로(152) 및 제2조명경로(154) 상호간에 제1램프(124)의 조명과 제2램프(126)의 조명이 누광되지 않도록, 상기 가이드부(150)에 이들 조명경로(152, 154) 상호간을 구획하여 차단하는 누광차단리브(160)가 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이와 대응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중 제1램프(124)와 제2램프(126)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누광차단리브(160)의 후단이 진퇴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형성된다.
상기 누광차단리브(160)는, 채널형 단면 구조로 가이드부(15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누광차단리브(160)의 형상과 대응하여 상기 삽입홈(130)은 채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내/외기 전환 등을 제어하는 내/외기 전환스위치(140c, 140d)에서와 같이, 개방부가 위쪽을 향함으로써 제2램프(126)를 감싸도록 하는 채널형 누광차단리브(160)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와 대응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30)은 제2램프(126)의 양측 및 하부를 잇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부가 아래쪽을 향함으로써 제1램프(124)를 감싸도록 하는 채널형 누광차단리브(16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의 누광차단리브(160)은, 스위치(140a, 140b)에 적용될 수 있고, 이와 대응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130)은 제1램프(124)의 양측 및 상부를 잇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모드스위치조립체의 스위치 누광 방지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예컨대, 스위치(140)중 에어컨 온/오프 조작용 스위치(140a)에 있어서, "A/C"라는 표시의 심벌(144)을 조명하는 제1램프(124)는 소등되고 지시부(146)를 조명하는 제2램프(126)가 점등된 경우, 제2조명경로(154)를 통하여 조사되는 제2램프(126)의 불빛이 누광차단리브(160)에 의하여 제1조명경로(152)쪽으로 누광되지 않고 제2조명경로(154)를 통해 집광되어, 지시부(146)를 확실하게 조명할 수 있는 반면에, 심벌(144)쪽은 전혀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지시부(146)는 확실하게 조명되고 심벌(144)에 대해서는 전혀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에어컨이 가동중지 상태인 것을 혼란없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에어컨을 가동하고자 할 경우, 운전자가 제2램프(126)에 의해 조명된 지시부(146)에 따라 에어컨 온/오프 조작용 스위치(140)를 누르면, 에어컨은 가동되고, 제2램프(126)는 소등되는 반면에 제1램프(124)는 점등된다. 이 경우에도 제1조명경로(152)를 통한 제1램프(124)의 불빛이 누광차단리브(160)에 의하여 제2조명경로(154)쪽으로 전혀 누광되지 않음에 따라, "A/C"라는 표시의 심벌(144)에 대한 조명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지시부(146)에 대한 조명은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운전자는 에어컨이 가동중이라는 것을 혼란없이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모드스위치조립체의 스위치 누광 방지구조에 의하면, 누광차단리브(160)에 의하여 스위치(140)의 커버(142) 표면에 표시된 심벌(144) 및 지시부(146)쪽으로 조명되는 조명경로들이 누광차단리브(160)에 의하여 상호간에 구획되어 누광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되므로, 심벌(144) 또는 지시부(146)가 켜지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조명이 켜진 것과 착각을 불러일으켜 운전자로 하여금 혼란을 일으키게 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3)

  1. 차량의 센터 페시아 패널에 설치되는 컨트롤커버(100)와; 상기 센터 페시아 패널의 내측에 배치되어 컨트롤커버와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고 차량의 공조장치 액츄에이터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스위치(140)에 대하여 심벌 조명용의 제1램프(124) 및 지시부 조명용의 제2램프(126)가 각각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20)과; 그리고, 상기 컨트롤커버 외부로 돌출되고 표면에 상기 제1램프에 의하여 조명되는 심벌(144) 및 상기 제2램프에 의해 조명되는 지시부(146)가 차례로 표시된 커버(Cover, 142)와, 상기 커버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어 컨트롤커버를 통해 인쇄회로기판에 스위칭 결합되는 가이드부(150)를 가지는 다수의 스위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각 스위치의 가이드부에는 상기 심벌의 제1조명경로 및 지시부의 제2조명경로를 구획하여 차단하도록 누광차단리브(160)가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누광차단리브는 채널형 단면 구조로 상기 가이드부(15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중 제1램프와 제2램프 사이의 영역에는 상기 누광차단리브의 후단이 삽입되는 삽입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삽입홈은 상기 누광차단리브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채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광차단리브(160)는 상기 제2램프(126)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20040015816A 2004-03-09 2004-03-09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KR101059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816A KR101059619B1 (ko) 2004-03-09 2004-03-09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5816A KR101059619B1 (ko) 2004-03-09 2004-03-09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641A KR20050090641A (ko) 2005-09-14
KR101059619B1 true KR101059619B1 (ko) 2011-08-25

Family

ID=3727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816A KR101059619B1 (ko) 2004-03-09 2004-03-09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789B1 (ko) * 2013-07-16 2014-12-05 주식회사 대동 자동차 인디게이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101A (ja) * 2001-02-07 2002-08-16 Kojima Press Co Ltd ロータリースイッチの照明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1101A (ja) * 2001-02-07 2002-08-16 Kojima Press Co Ltd ロータリースイッチの照明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641A (ko) 200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650B1 (ko) 차량용 공조제어스위치
US7394034B2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with lighting arrangement
US9616812B2 (en) Light emission structure for indication symbol in interior space of vehicle
WO1998016940A1 (fr) Dispositif operateur a cadran
JP4735983B2 (ja) 車室内用照明装置
KR101059619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컨트롤러
US20090166163A1 (en) Push switch
JP4529546B2 (ja) パネル表示ユニット
JPH0710782U (ja) 表示装置
GB2478617A (en) A ligh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KR19980030277A (ko) 자동차용 콘솔 조명장치
KR100813760B1 (ko) 차량의 컨트롤모드 조명구조
JP4290518B2 (ja) 自動車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2006196270A (ja) プッシュ式スイッチ外筐構造
KR100593167B1 (ko) 조명 빛 간섭 차단 버튼을 갖춘 히터콘트롤
KR100866621B1 (ko) 차량 콘트롤 스위치의 노브 어셈블리
JPH11185558A (ja) スイッチ装置
EP0355482A1 (en) A control panel for a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JPH08207622A (ja) 操作パネル
JP2005300359A (ja) 車両用表示装置
KR20080009815A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콘트롤러
JP3828688B2 (ja) 自動車の操作パネルの照明装置
JPH09115375A (ja) 照明機構付き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200353637Y1 (ko) 자동차용 공조패널의 조명장치
KR101241044B1 (ko) 차량 전장품 스위치의 조명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