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9474B1 -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9474B1
KR101059474B1 KR1020080130957A KR20080130957A KR101059474B1 KR 101059474 B1 KR101059474 B1 KR 101059474B1 KR 1020080130957 A KR1020080130957 A KR 1020080130957A KR 20080130957 A KR20080130957 A KR 20080130957A KR 101059474 B1 KR101059474 B1 KR 101059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internet
emergency
serv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2526A (ko
Inventor
정옥조
이일진
강신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130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94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72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2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9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9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4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with alarm systems, e.g. fire, police or burglar alarm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5Proxies, e.g. for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53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 H04M1/2535Telephone sets using digital voice transmission adapted for voice communication over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42/00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 H04M2242/04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for emergency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수신서버는, 수신부와 분석부를 포함한다. 수신부는, 제1 망(network)을 통해 긴급 호의 음성 호를 수신한다. 분석부는 수신된 긴급 음성 호를 분석하고, 긴급 음성 호의 분석 결과, 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는 호인 경우, 제2 망(network)을 통해 미디어를 요청하여 수신부로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분석부는, 수신부가 수신된 미디어와 긴급 음성 호를 발신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Reception server of emergency cal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emergency call service}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표준개발지원의 일환으로 수행한 연구로부터 도출된 것이다.[과제관리번호 : 2008-P1-13-06K83, 과제명 : 인터넷전화 연동 및 MoIP 응용 표준기술연구]
긴급 통화 서비스는 기존 유선 전화망에서 제공되던 서비스로서 구조 요청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구조 요청을 하면, 유선 사업자(예를 들어, KT(korea telecommunication) 주식 회사)가 관리하는 유선 전화 가입자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긴급 통신망을 통해 긴급 구조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긴급 통화 서비스는 이동 통신사가 설치한 기지국에서 긴급 구조 호(call)를 수신하면, 인근 지역의 구조 기관으로 음성 호(call)를 전달함으로써 긴급 구조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인터넷 전화 긴급 구조 서비스의 경우, 유선 통신사의 유선 전화망을 사용하여 서비스가 제공되기 때문에, 인터넷 전화 사용자의 경우에도 음성만이 긴급 구조 센터로 연결되고, 영상 등의 미디어(media)는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유선 전화망과 인터넷 망(internet protocol network)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영상 등의 멀티미디어(multimedia)가 지원되는 긴급 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서버는, 제1 망(network)을 통해 긴급 호의 음성 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긴급 음성 호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긴급 음성 호의 분석 결과, 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는 호인 경우, 제2 망(network)을 통해 상기 미디어를 요청하여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도록 하고, 상기 수신부가 상기 수신된 미디어와 상기 수신된 긴급 음성 호를 발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긴급 음성 호를 분석한 결과 음성만을 지원할 수 있는 호인 경우, 상기 수신된 긴급 음성 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는,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망에 요청된 호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INVIT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망은 유선 전화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망은 인터넷 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a) 인터넷 전화 단말기로부터 제1 프락시 서버로 긴급 호를 전달하는 단계; (b) 상기 제1 프락시 서버에 전달된 긴급 호의 음성 호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제2 프락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c) 상기 제2 프락시 서버는 상기 (b) 단계에서 전달된 긴급 음성 호를 분석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전달된 긴급 음성 호가 인터넷 전화 가입 단말기의 호인 경우, 상기 제2 프락시 서버는, 상기 제1 프락시 서버에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지원하는 미디어를 요청하는 요청 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e) 상기 제1 프락시 서버는, 상기 (d) 단계에서의 요청 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제2 프락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f) 상기 제2 프락시 서버는 상기 (e) 단계에서의 전송된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와, 상기 (b) 단계에서 전달된 긴급 음성 호를 인터넷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g) 상기 (c) 단계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b) 단계에서 전달된 긴급 음성 호가 유선 전화 가입 단말기의 호인 경우, 상기 인터넷 단말기로 상기 (b) 단계에서 전달된 긴급 음성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프락시 서버가, 상기 (d) 단계에서의 요청 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제2 프락시 서버로 직접 전달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는, 상기 제1 프락시 서버가 상기 긴급 음성 호를 상기 유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세션과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를 상기 인터넷 망으로 전송하는 세션을 별도로 관리하거나 또는 단일하게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는, 상기 제2 프락시 서버가, 상기 (e) 단계에서의 전송된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와 긴급 음성 호를 혼합(mixing)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유선 전화망을 경유한 긴급 통화 호(call)가 긴급 구조 센터에 도달했을 때, 긴급 통화를 요구하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발신 단말기의 미디어 지원 기능에 따라 영상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인터넷 망을 통해 긴급 구조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긴급 구조 요청을 할 때 음성 및 영상 등의 다양한 미디어 통해 구조 활동이 수행됨으로써 긴급 구조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이 참조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 처리 시스템(100)의 수신 서버(10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긴급 호 처리 시스템(100)은 긴급 통화 서비스 네트워크로도 언급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긴급 호 처리 시스템(100)은, 발신 단말기(101), 제1 서버(server)(102), 제1 게이트웨이(gateway)(103), 제1 망인 유선 전화망(104), 제2 게이트웨이(105), 제2 서버(106), 응답 단말기(107), 및 제2 망인 인터넷 망(internet protocol network)(108)을 포함한다. 유선 전화망(104)은 공중 전화망(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으로도 언급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01)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단말기와 같은 인터넷 전화 단말기일 수 있다. 발신 단말기(101)는 제1 서버(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발신 단말기(101)는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기는 음성 및 영상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다.
발신 단말기(101)는, 긴급한 상황에 처한 구조 요청자에 의해 사용되며 긴급 구조 호(call)를 발생시키고 상기 발생된 긴급 구조 호(call)는 제1 서버(102)에 제공된다. 상기 긴급 구조 호(call)의 착신 번호는 119 또는 112일 수 있다.
상기 긴급 구조 호(call)는, 예를 들어, 인터넷 전화 단말기(101)와 제1 프락시 서버(102) 사이에 프로토콜인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세션 개시 프로토콜(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이 사용되는 경우, 음성, 문자, 영상, 또는 사진과 같은 다양한 미디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성 또는 문자는 한국어 또는 외국어를 포함한다.
제1 서버(102)는 프락시 서버(proxy server)일 수 있고, 발신 서버로도 언급될 수 있다. 제1 서버(102)는 인터넷 전화 서비스 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호(call) 처리 장치이다. 제1 서버(102)는 수신된 호(call)가 긴급 구조 호(call)임을 식별하고, 상기 식별된 긴급 구조 호(call)의 음성 호(call)를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제2 서버(106)로 전달한다.
제1 서버(102)는 제2 서버(106)가 음성 이외의 새로운 미디어 전송을 요청할 경우에 자신을 경유하는 미디어를 인터넷 망(108)을 통해 제2 서버(106)로 전달한다. 즉, 제1 서버(102)는 인터넷 전화 단말기(101)의 미디어가 자신을 경유하여 제2 서버(106)로 전송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1 서버(102)는, 제2 서버(106)가 음성 이외의 새로운 미디어 전송을 요청하는 호(call)를 발생한 경우에, 인터넷 전화 단말기(101)가 인터넷 전화 단말기(101)의 미디어를 인터넷 망(108)을 통해 제2 서버(106)로 직접 전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제1 게이트웨이(103)는 제1 서버(102) 쪽의 인터넷 망과 유선 전화망(120)과 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interface)이다. 즉, 제1 게이트웨이(103)는 인터넷 망과 유선 전화망(104)을 연동시킨다. 유선 전화망(104)은 긴급 음성 호(call)를 전달한다.
제2 게이트웨이(105)는 제2 서버(106) 쪽의 인터넷 망과 유선 전화망(104)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이고, 인터넷 망과 유선 전화망(104)을 연동시킨다.
제1 및 제2 게이트웨이들(103,105)과 유선 전화망(104)은 수신된 음성 호(call)를 사전에 지정된 긴급 호(call)의 라우팅(routing)에 따라 제2 서버(106)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전달되는 미디어는 음성 미디어에 한정된다.
제2 서버(106)는, 예를 들어, 프락시 서버일 수 있고, 수신 서버(응답 서버)로도 언급될 수 있다. 제2 서버(106)는, 예를 들어, 인터넷 망을 통해 응답 단말기(107)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서버(103)는,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네트워크(network)의 구성에 따라 다수의 제2 서버들이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서버(106)는 긴급 구조 센터(예를 들어, 소방 방재 센터)에 배치된 호(call) 처리 장치이다. 제2 서버(106)는 유선 전화망(104)으로부터 긴급 음성 호(call)를 수신하면 응답 단말기(107)에 호(call)를 전달하여 구조 활동이 수행되도록 한다.
제2 서버(106)는, 유선 전화망(104)부터 수신된 긴급 음성 호(call)를 분석(interpretation)하여 발신 단말기(101)의 전화 번호를 조사한 후 어떤 통신 서 비스에 가입된 전화 번호인 가를 자신이 보유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확인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발신 번호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 종류 및 발신 서버의 주소 등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는, 발신 단말기(101)의 위치 정보 또는 응답 단말기(107)의 위치 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만일 발신 번호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다면, 제2 서버(106)는 인터넷 망(108)을 통해 IETF의 SIP의 INVITE 메시지를 포함하는 요청 호(call)를 생성하여 제1 서버(102)로 전송하여 발신 단말기(101)가 지원하는 음성 데이터 이외의 영상 미디어(영상 데이터) 등을 인터넷 망(108)을 통해 전송하도록 요청한다.
제2 서버(106)가 제1 서버(102)와 호(call)를 연결하여 인터넷 망(108)을 통하여 발신 단말기(101)의 음성 이외의 미디어를 수신하면, 제2 서버(106)는 응답 단말기(107)에 긴급 음성 호와 발신 단말기(101)의 영상 등의 미디어를 각각 전달하거나 또는 긴급 음성 호와 발신 단말기(101)의 미디어를 혼합(mixing)하여 전송할 수 있다.
제2 서버(106)는, 수신부 및 분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부는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긴급 호의 음성 호를 수신한다. 상기 분석부는 상기 수신된 긴급 음성 호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긴급 음성 호의 분석 결과, 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는 호인 경우, 인터넷 망(108)을 통해 상기 미디어를 요청하여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분석부는, 수신부가 수신된 미디어와 긴급 음성 호를 발신하도록 한다.
응답 단말기(107)는 발신 단말기(101)의 요청 호(call)에 응답하는 수신(착 신) 단말기이고, 유선 단말기 또는 무선 단말기일 수 있다. 응답 단말기(107)는, 예를 들어, 일정 지역을 관할하는 소방서, 경찰서, 또는 병원에서 사용되는 VoIP 단말기와 같은 인터넷 단말기(예를 들어, PC(personal computer))일 수 있다.
응답 단말기(107)는 제2 서버(106)로부터 긴급 구조 호(call)를 수신한다. 상기 긴급 구조 호(call)는, 예를 들어, IETF의 SIP의 INVITE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단말기(107)는 수신된 긴급 구조 호(call)를 구조자와 연결하여 구조자가 구조 요청에 대해 구조 활동을 수행하도록 한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응답 단말기(107)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두 개 이상의 응답 단말기들이 배치될 수 있다.
긴급 호 처리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동작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전화 사용자에 의해 발신 단말기(101)가 긴급 호(call)를 발생시킨다. 상기 발생된 긴급 호(call)의 음성 호(call)는 인터넷 전화 사업자의 제1 서버(102)를 통해 유선 전화망(104)을 경유하여 긴급 구조 센터의 제2 서버(106)로 전달된다. 제2 서버(106)는 상기 전달된 긴급 음성 호(call)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긴급 음성 호(call)를 근거로 하여 상기 긴급 음성 호(call)의 서비스 종류를 파악한다.
만일 긴급 음성 호(call)의 발신 번호가 인터넷 전화 서비스를 사용하는 전화 번호인 경우, 해당 인터넷 전화 사업자의 제1 서버(102)로 인터넷 망(108)을 통해 새로운 호(call) 생성을 요청한다. 이와 동시에 제2 서버(106)는 수신된 긴급 음성 호(call)를 긴급 구조를 위해 응답 단말기(107)로 전송하여 음성 등을 통한 구조 활동이 우선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인터넷 전화 사업자의 제1 서버(102)가 긴급 구조 센터의 제2 서버(106)로부터 호(call)를 수신한 후, 제1 서버(102)는 인터넷 망(108)을 통해 발신 단말기(101)의 음성 이외의 미디어 데이터를 제2 서버(106)로 전송한다. 제2 서버(106)는 응답 단말기(107)에게, 유선 전화망(104)으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기(101)의 긴급 음성 호(call)와 인터넷 망(108)으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기(101)의 미디어 데이터를 응답 단말기(107)로 전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음성 호(call)를 수신했을 때 제2 서버(106)의 동작 과정(200)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서버(106)의 동작 과정(200)은, 확인 단계(210), 제1 조사 단계(220), 제1 연결 단계(221), 분석 단계(230), 제2 조사 단계(240), 제2 연결 단계(241), 요청 단계(250), 및 수신 단계(260)를 포함한다.
확인 단계(210)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유선 전화망(104)으로부터 긴급 호의 음성 호(call)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 호(call)의 발신 번호를 이용하여 사전에 제2 서버(106)에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B)에서 발신 단말기(101)의 전화 번호가 어떤 통신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음성 호(call)의 발신 번호가 070-1111-1111일 경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인터넷 전화 가입 단말 번호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조사 단계(220)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상기 음성 호(call)의 발신 번호가 유선 전화 서비스 가입 단말인 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일 발신 번호가 일반 적인 유선 전화 서비스 가입 단말이면, 제2 서버(106)의 동작 단계(200)는 제1 연결 단계(221)로 진행되고, 만일 발신 번호가 유선 전화 서비스 가입 단말이 아니면, 제2 서버(106)의 동작 단계(200)는 분석 단계(230)로 진행된다.
제1 연결 단계(221)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유선 전화 서비스 가입 단말로부터 전달된 긴급 음성 호(call)를 응답 단말기(107)로 연결한다. 다수의 응답 단말기들이 존재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101)의 최인근의 응답 단말기로 긴급 음성 호(call)가 연결된다. 그러면, 긴급 구조가 수행될 수 있다.
분석 단계(230)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발신 단말기(101)가 다양한 미디어를 전송할 수 있는 인터넷 전화와 같은 통신 서비스에 가입된 단말인 지 여부를 분석한다. 만일 인터넷 전화 가입 단말기인 경우, 프로세스(process)(200)는 제2 조사 단계(240)로 진행된다.
제2 조사 단계(240)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발신 번호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영상 등을 지원할 수 있는 단말인 지 여부를 조사한다. 만일 발신 단말기(101)가 음성 이외의 미디어를 지원할 수 없다면, 프로세스(200)는 제2 연결 단계(241)로 진행된다. 만일 발신 단말기(101)가 음성 이외의 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다면, 프로세스(200)는 요청 단계(250)로 진행된다.
제2 연결 단계(241)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응답 단말기(107)로 긴급 음성 호(call)를 연결한다. 다수의 응답 단말기들이 존재하는 경우, 발신 단말기(101)의 최인근의 응답 단말기로 긴급 음성 호(call)가 연결된다. 그러면, 긴급 구조가 수행될 수 있다.
요청 단계(250)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발신 단말기(101)가 다양한 미디어를 제공할 수 있는 경우 인터넷 전화 가입 단말에 대응하는 제1 서버(102)로 다른 미디어를 전송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세션(session) 연결을 요청하는 호(call)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IETF SIP의 INVITE 메시지에 요청하는 미디어를 포함하여 제1 서버(102)로 세션 설정을 요청한다.
수신 단계(260)에 따르면, 제2 서버(106)는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수신된 발신 단말기(101)의 음성 호(call)와 인터넷 망(108)을 통해 수신된 발신 단말기(101)의 음성 호(call) 이외의 영상 미디어 등을 제1 서버(102)로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미디어를 별도로 응답 단말기(107)로 전송한다. 수신 단계(260)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서버(106)는 수신된 음성 호(call) 및 미디어를 혼합(mixing)하여 응답 단말기(107)에 전달한다. 그러면, 다양한 미디어를 통한 긴급 구조 활동이 수행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102)의 동작 과정(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서버(102)의 동작 과정(300)은, 분석 단계(310), 조사 단계(320), 처리 단계(321), 및 전송 단계(330)를 포함한다.
분석 단계(310)에 따르면, 제1 서버(102)는, 제2 서버(106)로부터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제1 서버(102)에 현재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연결된 호(call)가 존재하는 지 분석한다.
조사 단계(320)에 따르면, 제1 서버(102)는, 제2 서버(106)로부터 수신된 세 션 설정 메시지를 분석하여 긴급 호(call) 발신 번호가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연결 중 인지 여부를 조사(확인)한다. 만일 조사 단계(320)에서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연결된 호(call)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서버(102)의 동작 과정(300)은 처리 단계(321)로 진행된다. 만일 조사 단계에서 유선 전화망(104)을 통해 연결된 호(call)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서버(102)의 동작 과정(300)은 전송 단계(330)로 진행된다.
처리 단계(321)에 따르면, 제1 서버(102)는 상기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호 연결 메시지 요청)에 대해 일반적인 호 연결 메시지 처리 방법에 따라 처리한다. 일반적인 호 연결 메시지 처리 방법은 제1 서버(102)가 긴급 호(call)가 아닌 다른 호(call)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전송 단계(330)에 따르면, 만일 긴급 호 발신 번호에 해당하는 음성 호(call)가 유선 전화망(104)으로 전송되고 있는 중이면, 제1 서버(102)는 발신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된 음성 이외의 영상 등의 미디어를 인터넷 망(108)을 통하여 제2 서버(106)로 전달한다.
전송 단계(330)의 실시예의 동작이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음성과 영상 미디어를 지원하는 인터넷 전화 단말(101)이 음성과 영상 미디어를 제1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서버(102)는 긴급 호의 음성 호(call)만을 유선 전화망(104)으로 전달하는 중에, 제2 서버(106)가 영상 미디어의 전송을 요청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망(108)을 통해 제2 서버(106)로 영상을 전달한다. 이 때, 제1 서버(102)는 인터넷 전화 단말(101)의 미디어가 자신을 경유하도록 할 수 있거나 또는 인터넷 전 화 단말(101)의 미디어가 인터넷 전화 단말(101)로부터 인터넷 망(108)을 통해 제2 서버(106)로 직접 전달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인터넷 전화 단말(101)의 미디어가 직접 제2 서버(106)로 전달되도록 설정된 경우에는 제1 서버(102)가 제2 서버(106)로부터 수신된 세션 설정 요청 메시지를 인터넷 전화 단말(101)로 전달한다. 제1 서버(102)는 음성 호(call)를 유선 전화망(104)으로 전송하는 세션과 음성 이외의 미디어를 인터넷 망(108)로 전송하는 세션을 별도로 관리하거나 또는 단일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긴급 호(call)가 발생할 때 유선 전화망을 이용하여 긴급 구조 서비스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고, 유선 전화망을 경유한 긴급 통화 호(call)가 긴급 구조 센터에 도달했을 때, 긴급 통화를 요구하는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발신 단말기의 미디어 지원 기능에 따라 영상 등의 다양한 미디어를 인터넷 망을 통해 긴급 구조 기관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긴급 구조 요청을 할 때 음성 및 영상 등의 다양한 미디어 통해 구조 활동이 수행됨으로써 긴급 구조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즉, 말을 하지 못하는 등의 긴급 상황에서 영상을 통한 데이터 전송은 긴급 구조 기관에게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 시민이 사고 또는 긴급한 상황에서 긴급 구조 기관에 구조 요청을 했을 때, 긴급 구조 기관에서 음성, 영상, 및 언어(문자) 등을 지원하여 효과적인 구조 활동을 수행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으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호 처리 시스템(100)의 수신 서버(106)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음성 호(call)를 수신했을 때 제2 서버(106)의 동작 과정(2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서버(102)의 동작 과정(300)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발신 단말기 102: 제1 서버
104: 유선 전화망 106: 제2 서버
107: 응답 단말기 108: 인터넷망

Claims (10)

  1. 발신 번호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 종류, 발신 서버의 주소, 및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제 1 망을 통해 발신 번호를 갖는 긴급 호의 음성 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음성 호의 발신 번호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분석하고, 상기 음성 호의 발신 번호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 종류가 미디어를 지원할 수 있는 경우, 제 2 망을 통해 상기 발신 서버에 미디어를 요청하는 호를 발생하고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망에 요청된 호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포함하는 수신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긴급 호를 분석한 결과 음성만을 지원할 수 있는 호인 경우, 상기 음성 호를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는 수신 서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는 음성 및 영상을 포함하는 수신 서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망은 유선 전화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망은 인터넷 망을 포함하는 수신 서버.
  6.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인터넷 전화 단말기로부터 제 1 프락시 서버로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발신 번호를 갖는 긴급 호의 음성 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1 프락시 서버에 상기 전달된 음성 호를 유선 전화망을 통해 제 2 프락시 서버로 전달하는 단계;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상기 음성 호의 발신 번호에 대응하는 통신 서비스 종류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 호가 인터넷 전화 가입 단말기의 호인 경우,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는, 상기 제 1 프락시 서버에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지원하는 미디어를 요청하는 요청 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프락시 서버는, 상기 요청 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는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와 상기 음성 호를 인터넷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넷 망에 요청된 호는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인바이트(INVITE) 메시지를 포함하는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음성 호가 유선 전화 가입 단말기의 호인 경우, 상기 인터넷 단말기로 상기 음성 호를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를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락시 서버가, 상기 요청 호에 응답하여,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가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를 상기 인터넷 망을 통해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로 직접 전달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를 상기 제 2 프락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프락시 서버가 상기 긴급 음성 호를 상기 유선 전화망으로 전송하는 세션과 상기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를 상기 인터넷 망으로 전송하는 세션을 별도로 관리하거나 혹은 단일하게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넷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프락시 서버가, 상기 전송된 인터넷 전화 단말기의 미디어와 긴급 음성 호를 혼합(mixing)하여 상기 인터넷 단말기로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130957A 2008-12-22 2008-12-22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059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957A KR101059474B1 (ko) 2008-12-22 2008-12-22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957A KR101059474B1 (ko) 2008-12-22 2008-12-22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526A KR20100072526A (ko) 2010-07-01
KR101059474B1 true KR101059474B1 (ko) 2011-08-30

Family

ID=42635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957A KR101059474B1 (ko) 2008-12-22 2008-12-22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9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789B1 (ko) 2010-07-27 201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작동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61B1 (ko) 2002-11-13 2005-04-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22720B1 (ko) 2007-04-16 2009-10-22 (주)제너시스템즈 유/무선 영상전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561B1 (ko) 2002-11-13 2005-04-18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개별 경로를 통한 멀티미디어 통화 연결 시스템 및 그방법
KR100922720B1 (ko) 2007-04-16 2009-10-22 (주)제너시스템즈 유/무선 영상전화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2526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41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emergency call management
EP30668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ed emergency calls
RU2499359C2 (ru) Управляемое клиентом динамическое перенаправление вызова
US10225722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short message service text to call centers
US9723032B2 (en) Data communication
JP5684386B2 (ja) ボイスメールに付随する映像コンテンツへのウェブベースのアクセス
JP4973172B2 (ja) 呼管理システムおよびメッセージ処理サーバシステム
US8320362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EP2200353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nitiating two party call
JP4502835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携帯電話報知方法
KR101059474B1 (ko) 긴급 호 처리 시스템의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184193B1 (ko) 사업체들에 대한 ims 네트워크들에서의 호 응답 서비스들
JP4677350B2 (ja) 呼制御信号転送装置、呼制御信号転送方法および呼制御信号転送プログラム
JP5916169B2 (ja) 通信を開始するためにモバイルデバイスをアクティブ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251394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呼制御方法
KR101136712B1 (ko) VoIP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086981A (ko) 복합 ars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881548B1 (ko) 사용자상태 기반 호처리 방법
US20140364090A1 (en) Gateway for voice communication
KR101069819B1 (ko) 수신 서버 및 긴급 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42436B1 (ko) 인터넷 전화망에서 ivr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
JP5034918B2 (ja) Ims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ガイダンス確認装置および方法
CN102292967A (zh) 对涉及手持机的通信事件的实时监控
KR20040104922A (ko) 통신용 장치 및 방법
KR100596003B1 (ko) 할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ip교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