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8907B1 -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 Google Patents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8907B1
KR101058907B1 KR1020110011594A KR20110011594A KR101058907B1 KR 101058907 B1 KR101058907 B1 KR 101058907B1 KR 1020110011594 A KR1020110011594 A KR 1020110011594A KR 20110011594 A KR20110011594 A KR 20110011594A KR 101058907 B1 KR101058907 B1 KR 10105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istribution cable
guides
shaf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기현
Original Assignee
(합)동양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동양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합)동양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10011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관한 것으로, 둘레면에 다수의 맞물림홈(36)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를 매개로 완철(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축대(10); 상기 축대(10)의 양단에서 상기 축대(10)의 회전을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0); 상기 축대(10)가 관통하는 관통구(37)의 내면은 다수의 중공(35)이 형성되고 외면은 피치가 형성된 톱니바퀴형상의 몸체(31), 상기 중공(35)에 내설되는 스프링(32), 상기 스프링(32)에 연결되어 중공(3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무게추(33), 상기 관통구(37)로 돌출되고 상기 무게추(33)와 연결된 돌기(34)를 갖추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하단 피니언(30a, 30b); 상기 완철(100)에 횡설되고 송배전 케이블과 마주하는 일면에 ∩ 형상의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하기 제1·2 이동체(40a,40b)의 랙과의 맞물림을 위해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는 제1·2 가이드(110a, 110b);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상기 개구부(120)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저면이 개구된 ∩ 형상을 이루고 상기 몸체(31)의 피치와 맞물리는 랙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에 송배전 케이블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어, 상기 상·하단 피니언(30a,3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내면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하며,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 내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관통구멍(5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50)은 고무막(70)으로 폐구되는 제1·2 이동체(40a,4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STEEL CROSSARM FOR PREVENTING DERAILMENT}
본 발명은, 송배전 케이블의 연결과 지지를 위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은 발전소로부터 변전소로 전송되어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친 후 콘크리트 전주와 같은 배전로를 따라 전주의 주상변압기를 통해 수용가로 전달된다. 수용가측 각 전주의 송배전 케이블은 전주 상단으로 횡설되는 상부지지대(완철)에 팽팽한 긴장력을 갖도록 배선되고, 상부지지대에 고정된 라인포스트 애자(Linepost:핀애자)를 통해 점퍼선과 상향 또는 하향으로 연결하게 된다.
계속해서, 송배전 케이블에 적용되는 금속재질은 온도에 따른 팽창 및 수축 변화가 커서, 여름에는 열에 의한 팽창으로 늘어지고, 겨울에는 냉기에 의한 수축으로 팽팽해진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져서 배전선이 팽창하면, 송배전 케이블이 지면 가까이 늘어져서 통행차량 또는 통행인에게 위협을 가할 수 있고, 외관 또한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온도가 낮아져서 송배전 케이블이 수축하면, 케이블이 받는 장력이 커져서 케이블을 고정하는 애자 등에 무리를 줄 수 있다. 상기 무리는 애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한편, 송배전 케이블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으로 자체 길이가 점차 늘어나면서 케이블의 수명 또한 단축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송배전 케이블 주변에서의 각종 공사 등으로 인해 예기치 못한 외력이 에 가해질 경우 가해지는 외력이 그대로 애자 및 완철에 전달되어 심한 경우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송배전 케이블과 완철의 연결부위가 분리되어 분리된 송배전 케이블이 지나가던 행인이나 자동차 또는 건물 등에 접촉하여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온도변화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이완 또는 수축에 따른 장력의 변화에 대응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송배전 케이블에 순간적이고 급격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이 송배전 케이블을 통해 애자와 완철부위에 직접 작용하지 못하게 하고 외력이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을 방지하는 완철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둘레면에 다수의 맞물림홈(36)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를 매개로 완철(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축대(10); 상기 축대(10)의 양단에서 상기 축대(10)의 회전을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0); 상기 축대(10)가 관통하는 관통구(37)의 내면은 다수의 중공(35)이 형성되고 외면은 피치가 형성된 톱니바퀴형상의 몸체(31), 상기 중공(35)에 내설되는 스프링(32), 상기 스프링(32)에 연결되어 중공(3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무게추(33), 상기 관통구(37)로 돌출되고 상기 무게추(33)와 연결된 돌기(34)를 갖추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하단 피니언(30a, 30b); 상기 완철(100)에 횡설되고 송배전 케이블과 마주하는 일면에 ∩ 형상의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하기 제1·2 이동체(40a,40b)의 랙과의 맞물림을 위해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는 제1·2 가이드(110a, 110b);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상기 개구부(120)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저면이 개구된 ∩ 형상을 이루고 상기 몸체(31)의 피치와 맞물리는 랙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에 송배전 케이블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어, 상기 상·하단 피니언(30a,3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내면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하며,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 내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관통구멍(5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50)은 고무막(70)으로 폐구되는 제1·2 이동체(40a,4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계절에 관계없이 가공 배전선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순간적이고 급격한 외력이 송배전 케이블에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애자를 통해 완철에 계속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 및 완철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완철에 위치한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가 급격한 외력에 의해 탈선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도4b,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일부분인 축대와 피니언의 동작특성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5a, 도 5b는 제1·2 이동체(40a, 40b)의 단면도로서 제1·2 이동체(40a, 40b)의 동작특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단,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a, 도4b, 도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완철의 일부분인 축대와 피니언의 동작특성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도 5a, 도 5b는 제1·2 이동체(40a, 40b)의 단면도로서 송배전 케이블에 외력이 작용할 경우 제1·2 이동체(40a, 40b)동작특성을 나타낸다.
도 1,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은, 한 쌍의 완철(100), 완철(100)에 고정된 축대(10), 축대(10)의 양단에 결합된 토션스프링(20), 축대(10)에 나란히 결합한 상단 피니언(30a)과 하단 피니언(30b), 완철에 횡설되어 제1·2 이동체(40a, 40b)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2 가이드(110a, 110b) 및 송배전 케이블이 고정되며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맞물려 이동이 가능하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내면과 마주하는 면에 관통구멍(5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50)을 폐구하는 고무막(70)을 구비하는 제1·2 이동체(40a, 40b)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2 이동체(40a, 40b)에 연결된 애자(200)는 송배전 케이블과 클램프(210)를 매개로 연결된다.
또한 도 1 및 4를 참조하면 축대(10)는 완철(10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에 관통삽입되며, 축대(10)의 상단과 하단에 고정결합된 토션스프링(2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에 고정된다. 즉 축대(100)는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를 매개로 하여 완철(100)에 고정된다. 또한 토션스프링(20)은 일단이 축대(10)에 고정되며 타단이 각각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에 고정되어 축대(10)에 일정한 방향으로 힘을 가한다. 축대(10)는 상단과 하단의 둘레면을 따라 맞물림홈(36)이 형성되며, 상·하단 피니언(30a, 30b)은 중심부로 축대(10)가 관통하며 관통하는 관통구(37)의 내면은 다수의 중공(35)이 형성되고 외면은 피치가 형성된 톱니바퀴형상의 몸체(31), 중공(35)에 내설되는 스프링(32), 스프링(32)에 연결되어 중공(3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무게추(33), 관통구(37)로 돌출되고 무게추(33)와 연결된 돌기(34)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5a 및 도 5b 를 참조하면 제1·2 가이드(110a, 110b)는 완철(100)에 횡설되고 송배전 케이블과 마주하는 일면에 ∩ 형상의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하기 제1·2 이동체(40a,40b)의 랙과의 맞물림을 위해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2 이동체(40a, 40b)는 제1·2 가이드(110a, 110b)의 개구부(120)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저면이 개구된 ∩ 형상을 이루고 몸체(31)의 피치와 맞물리는 랙이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1·2 이동체(40a, 40b)는 일단에 송배전 케이블이 고정설치되며, 제1·2가이드(110a, 110b)의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내설되어, 상·하단 피니언(30a, 30b)의 회전에 의해 제1·2가이드(110a, 110b)의 내부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송배전 케이블은 제1·2 이동체를 매개로 제1·2가이드(110a, 110b)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1·2 이동체(40a, 40b)의 제1·2 가이드(110a, 110b)의 내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관통구멍(50)이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구멍(50)은 막 고정장치(60)에 의해 고무막(70)으로 폐구되어 있다. 제1·2 이동체(40a, 40b)는 저면이 개구된 ∩ 형상을 통해 제1·2 가이드(110a, 110b)의 송배전선과 마주하는 일면에 형성된 ∩ 형상의 개구부(120)에 내삽된다. 이러한 내삽에 의해 제1·2 이동체(40a, 40b)는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제1·2 가이드(110a, 110b)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으며, 제1·2 이동체(40a, 40b)의 탈선방지막(90)과 제1·2 의 탈선방지막(80)의 접촉에 의해 제1·2 이동체(40a, 40b)가 제1·2 가이드(110a, 110b)로부터 빠져 탈선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2, 3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동작을 설명한다.
온도의 변화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수축 이완의 경우에는 그 변화가 매우작다. 따라서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은 매우 천천히 변하며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돌기(32)가 축대(10)에 형성된 맞물림홈(36)과 맞물려 축대(10)를 통해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을 토션스프링(20)으로 전달한다. 스프링(32)은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의 변화가 작은 경우에는 그 탄성에 의해 돌기(32)가 축대(10)의 맞물림홈(36)과 항상 맞물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송배전 케이블은 설치시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과 이완을 고려하여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토션스프링(20)의 탄성은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아 송배전 케이블이 이완되었을 경우 송배전 케이블을 잡아당겨 처짐을 완화시키며, 겨울철 송배전 케이블이 수축될 경우 송배전 케이블을 풀어주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탄성을 가진다. 즉 송배전 케이블의 설치시에 설계한 장력과 균형을 이루도록 토션스프링(20)의 탄성이 조절된다. 설치된 송배전 케이블은 날씨가 더워지는 경우 소재특성으로 인해 이완되게 된다. 이 경우 송배전 케이블이 원래 설치되었던 위치보다 아래쪽으로 쳐지게 되며 최초로 설치할 때 유지하였던 장력이 송배전 케이블의 처짐으로 인해 약해지게 된다. 이렇게 약해진 장력은 송배전 케이블과 연결된 제1·2 이동체(40a, 40b), 상·하단 피니언(30a, 30b) 및 축대(10)를 통해 토션스프링(20)에 전달되고 토션스프링(20)의 탄성과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이 균형을 잃어 토션스프링(20)은 약해진 장력만큼의 힘을 축대(10)를 통해 상·하단 피니언(30a, 30b)에 전달하여 제1·2 이동체(40a, 40b)를 당김으로써 송배전 케이블이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송배전 케이블에 갑작스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4c는 갑작스런 외력이 전선에 가해질 경우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축대(10)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도이다.
송배전 케이블은 지상으로부터 이격되어 전주위에 설치되어 비교적 안전하지만 각종 공사 및 차량(높이가 높은 건설장비 등)에 의해 예상치 못한 힘을 받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심하게 힘을 받는 경우 송배전 케이블이 끊어지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라도 송배전 케이블과 완철(100)의 연결부위에 예상치 못한 힘이 발생하여 애자(200) 및 앵커에 순간적으로 큰 힘이 작용하여 각 소재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도 4a는 송배전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상·하단 피니언(30a, 30b)의 중공(35)에 위치한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돌기(34)가 축대(10)의 맞물림홈(36)와 맞물려 힘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b는 송배전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기 시작했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것이며 도 4c는 외력에 의해 상·하단 피니언(30a, 30b)의 돌기(34)가 중공(35)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서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축대(10)가 분리되어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송배전 케이블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도 4a와 같이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돌기(34)와 축대(10)의 맞물림홈(36)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순간적인 외력이 송배전 케이블에 가해지는 경우 피니언(외력이 가해지는 쪽의 송배전 케이블과 연결된 이동체와 맞물리는 피니언)은 외력에 의해 회전을 하려고 한다. 하지만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축대(10)는 거의 움직이지 않고 있으므로 움직임에 저항하는 관성이 있다. 즉 축대(10)는 정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려는 관성이 존재한다. 하지만 피니언은 외력에 의해 회전하려고 하므로 이 경우 축대(10)의 정지하려는 관성과 피니언의 회전하려는 관성에 차이에 의해 돌기(34)와 축대(10)의 맞물림홈(36)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는 돌기(34)와 대응하는 맞물림홈(36)의 형상이 완만한 경사를 가지고 있으며 돌기(34)와 맞물림홈(36)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 관성의 차이가 클 경우 돌기(34)는 피니언의 회전에 의해 맞물림홈(36)과 분리된다. 또한 피니언의 회전으로 인해 무게추(33)에 원심력이 발생하며, 이러한 원심력에 의해 돌기(34)와 맞물림홈(36)과의 해제가 더욱 가속화된다.
도 4c에서처럼 송배전 케이블에 순간적인 외력이 가해지거나 외력의 크기가 매우 경우 돌기(34)와 축대(10)의 맞물림홈(36) 사이의 결합이 해제된다. 따라서 제1·2 이동체(40a, 40b)에 연결된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제1·2 이동체(40a, 40b)는 급격하게 바깥쪽으로 움직인다.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이 매우 큰 경우 그 힘에 의해 제1·2 이동체(40a, 40b)의 탈선을 막아주는 가이드(110a, 110b)의 일면이 파괴되어 이동체가 가이드(110a, 110b)로부터 탈선되어 그대로 낙하하여 지나가는 행인이나 차량 또는 작업 인부들에게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제1·2 이동체(40a, 40b)의 단면도로서 상기와 같이 돌기(34)와 축대(10)의 피치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었을 때의 제1·2 이동체(40a, 40b)의 동작특성을 나타낸다.
돌기(34)와 축대(10)의 맞물림홈(36) 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제1·2 이동체(40a, 40b)와 연결된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에 의해 제1·2 이동체(40a, 40b)가 순간적으로 바깥쪽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제1·2 가이드(110a, 110b)의 일면에 형성된 ∩ 형상의 개구부 두께와 제1·2 이동체(40a, 40b)의 각 면의 두께는 거의 일치하여 따라서 온도의 변화에 따른 장력의 변화에 대응한 이동의 경우에는 제1·2 이동체(40a, 40b)의 내면과 외부의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여 별다른 저항이 없이 움직임이 가능하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급격한 이동에 의해서는 순간적으로 제1·2 이동체(40a, 40b)내부와 외부의 공기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내부의 기압이 외부의 기압보다 상승한다.제한되어 이렇게 상승된 기압에 의해 고무막이 관통구멍을 통해 위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팽창된 고무막(70)이 제1·2 가이드(110a, 110b)의 일면에 닿게 되면 고무막(70)과 제1·2 가이드(110a, 110b)의 마찰에 의해 제1·2 이동체(40a, 40b)의 움직임이 저항을 받게 되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제1·2 이동체(40a, 40b)의 운동에너지가 감소하여 제1·2 이동체(40a, 40b)가 가이드(110a, 110b)에 부딪히더라도 제1·2 이동체(40a, 40b)의 탈선을 방지하는 가이드(110a, 110b)의 탈선방지막(8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관통구멍(50) 및 고무막(70)은 하나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가이드의 탈선방지막(80)이 충격에 견디는 정도 및 송배전 케이블의 장력 등을 감안하여 설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1)

  1. 둘레면에 다수의 맞물림홈(36)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고정대(50a, 50b)를 매개로 완철(10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축대(10);
    상기 축대(10)의 양단에서 상기 축대(10)의 회전을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20);
    상기 축대(10)가 관통하는 관통구(37)의 내면은 다수의 중공(35)이 형성되고 외면은 피치가 형성된 톱니바퀴형상의 몸체(31), 상기 중공(35)에 내설되는 스프링(32), 상기 스프링(32)에 연결되어 중공(35)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무게추(33), 상기 관통구(37)로 돌출되고 상기 무게추(33)와 연결된 돌기(34)를 갖추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하단 피니언(30a, 30b);
    상기 완철(100)에 횡설되고 송배전 케이블과 마주하는 일면에 ∩ 형상의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단 피니언(30a, 30b)과 하기 제1·2 이동체(40a,40b)의 랙과의 맞물림을 위해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는 제1·2 가이드(110a, 110b);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상기 개구부(120)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저면이 개구된 ∩ 형상을 이루고 상기 몸체(31)의 피치와 맞물리는 랙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에 송배전 케이블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어, 상기 상·하단 피니언(30a,30b)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의 내면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하며, 상기 제1·2 가이드(110a, 110b) 내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관통구멍(5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50)은 고무막(70)으로 폐구되는 제1·2 이동체(40a,40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20110011594A 2011-02-09 2011-02-0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05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594A KR101058907B1 (ko) 2011-02-09 2011-02-0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594A KR101058907B1 (ko) 2011-02-09 2011-02-0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8907B1 true KR101058907B1 (ko) 2011-08-25

Family

ID=4493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594A KR101058907B1 (ko) 2011-02-09 2011-02-0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890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95B1 (ko) 2015-11-23 2016-07-01 (주)영상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671503B1 (ko) 2015-12-29 2016-11-01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771144B1 (ko) * 2016-04-15 2017-08-25 (주)대주기술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932122B1 (ko) * 2018-03-27 2018-12-24 대한기술단(주)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완금 장치
KR102148305B1 (ko) 2020-02-17 2020-08-26 주식회사 안성감리 케이블 탈선을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 고정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4B1 (ko) 2005-01-07 2005-07-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876019B1 (ko) 2008-04-19 2008-12-26 (주)혜광전기감리 전신주 설치용 분배전반
KR100933937B1 (ko) 2009-10-22 2010-01-06 이윤정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KR100940122B1 (ko) 2009-09-15 2010-02-03 (주)전우엔지니어링 특고압 배전선 고정용 완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3024B1 (ko) 2005-01-07 2005-07-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876019B1 (ko) 2008-04-19 2008-12-26 (주)혜광전기감리 전신주 설치용 분배전반
KR100940122B1 (ko) 2009-09-15 2010-02-03 (주)전우엔지니어링 특고압 배전선 고정용 완철
KR100933937B1 (ko) 2009-10-22 2010-01-06 이윤정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95B1 (ko) 2015-11-23 2016-07-01 (주)영상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671503B1 (ko) 2015-12-29 2016-11-01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771144B1 (ko) * 2016-04-15 2017-08-25 (주)대주기술 가공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1932122B1 (ko) * 2018-03-27 2018-12-24 대한기술단(주) 특고압 가공 배전선로의 완금 장치
KR102148305B1 (ko) 2020-02-17 2020-08-26 주식회사 안성감리 케이블 탈선을 방지하는 가공배전선로 고정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8907B1 (ko)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0503024B1 (ko) 송전 철탑용 선로 장력 유지장치
KR100927116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애자
KR101158558B1 (ko) 송?배전 케이블용 앵커연결체
US7057103B1 (en) Transmission tower devices for reducing longitudinal shock loads
US8981227B2 (en) Spacer device
CN101944713B (zh) 一种分裂导线防舞器
KR100940122B1 (ko) 특고압 배전선 고정용 완철
KR100783808B1 (ko) 송·배전용 철탑의 현수 애자
US3992566A (en) Aerodynamic aerial conductor vibration damper
US10063043B2 (en) Spacer device
KR101066815B1 (ko) 가공 송배전선의 늘어짐 방지를 위한 앵커 연결체
CN114421401A (zh) 一种高压输电线架空防风偏闪络装置
KR200457890Y1 (ko) 폴리머 애자 작업용 사다리
US20170149227A1 (en) Spacer Device
JP3123795U (ja) 電柱支線用かずら巻防止具
JP5539015B2 (ja) 架空線用テンションバランサ
US4616103A (en) Device with controlled deformation for protecting power lines against overloading due to the weather
JP5059164B2 (ja) 電線用防鳥装置
WO2015116396A1 (en) Spacer device for overhead line
KR101071985B1 (ko) 특고압 가공전선의 늘어짐 방지를 위한 배전선 연결완금
KR101705059B1 (ko) 갤로핑 방지 휠
KR20090095228A (ko) 송전선로의 전선 교체용 활차구조체 및 이 활차구조체를이용한 전선 교체공법
CN106492369A (zh) 一种电缆登杆防坠装置
CN205638208U (zh) 一种可自行闭锁的梯头及采用该梯头的检修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