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503B1 -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 Google Patents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503B1
KR101671503B1 KR1020150188290A KR20150188290A KR101671503B1 KR 101671503 B1 KR101671503 B1 KR 101671503B1 KR 1020150188290 A KR1020150188290 A KR 1020150188290A KR 20150188290 A KR20150188290 A KR 20150188290A KR 101671503 B1 KR101671503 B1 KR 101671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distribution cable
cable
cushion pa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8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원동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합자회사 금남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50188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5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관한 것으로, 결속밴드의 손상이나 애자의 손상으로 인하여 송배전 케이블이 추락하는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상승하는 하부지지대, 하부절연완충패드, 상부지지대 및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의하여 지지되어 송배전 케이블이 비절연재질로 구성된 완철에 추락하지 않고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므로 송배전 케이블의 추락으로 인한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송배전 케이블은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하부절연완충패드와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송배전 케이블이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추락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송배전 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파손된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추락하는 경우 추락방지수단의 추락방지망에 의하여 받혀줌으로써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지상으로 추락하여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주변의 각종 사물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Steel Cross-arm for preventing fall electric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able}
본 발명은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완철에 수직으로 설치된 애자의 상단에 지지되는 송배전 케이블이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탈선하여 완철 위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송배전 케이블이 비절연재질로 된 완철에 직접 접촉하기 전에 이를 지지하고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여 탈선을 방지함으로써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송배전 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파손된 애자의 파편과 애자를 완철에 고정하는 볼트/너트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변을 지나는 행인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주변의 사물에 손상을 주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는 교류배전선로의 지지물로서 사용되는데 목주(木柱)와 철근콘크리트주 및 철주(鐵柱) 등이 있다.
목주에는 일반적으로 삼나무가 사용되지만 낙엽송, 가문비납무, 노송나무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목주의 길이는 7~16m, 말단 지름은 14~17cm인 것을 사용하고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부제를 스며들게 한다. 철근콘크리트주도 길이 6~16m인 것이 만들어진다. 최근에는 목주는 자취를 감추었고 외관이 좋고 수명이 길며 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철근콘크리트주가 주로 사용된다.
철근콘크리트주는 RC(Reinforced Concrete, 현장타설식 콘크리트) 전주와 PC(Precasted Concrete, 공장제작-현장설치식 콘크리트) 전주로 구분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전주는 PC전주이다.
일반적으로 가공 송배전선로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주(10)에 완철(20)을 고정 설치하고, 완철(20)에 애자(30)를 통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을 지지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종래의 전주(1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이 하단에서 상단에 이르기 까지 원추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주(10)에 배전선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주(10)의 상단부에 완철(20)을 고정 설치하여야 하는데 통상적으로는 밴드부(51)와 평철부(52)로 구성되는 완철밴드(50)를 전주(10)에 감아서 볼트(53)와 너트(54)로 고정하고, 양단에 나사부(61)가 형성된 머신볼트(60)를 완철밴드(30)의 평철부(52)와 완철(20)에 관통시킨 다음 머신볼트(6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61)에 너트(7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완철(20)이 전주(10)에 고정되도록 하고, 완철(20)에 애자(3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애자(30)의 상단에 송배전 케이블(40)을 지지하고 결속선재(80)에 의하여 결속하여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가공송배전선로는 대기 중에서 풍우와 햇빛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애자(30)의 상단에 송배전 케이블(40)을 결속하는 결속선재(80)가 열화되어 송배전 케이블(40)이 애자(30)로부터 이탈하여 완철(20) 위로 추락할 염려가 있으며, 송배전 케이블(40)이 완철(20) 위로 추락할 경우 완철(20)은 비절연재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송배전 케이블(40)에 대한 절연상태가 유지되지 못하여 누전과 감전 및 단락에 의한 정전 및 화재 발생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을 감안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8907호(2011.08.17. 등록)(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074호(2014.01.09. 등록)(이하, '선행기술 2'라 함)가 알려져 있다.
상기 선행기술 1은 둘레면에 다수의 맞물림홈이 형성되고 상부 및 하부 고정대를 매개로 완철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축대; 상기 축대의 양단에서 상기 축대의 회전을 탄발 지지하는 토션스프링; 상기 축대가 관통하는 관통구의 내면은 다수의 중공이 형성되고 외면은 피치가 형성된 톱니바퀴형상의 몸체, 상기 중공에 내설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에 연결되어 중공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내설된 무게추, 상기 관통구로 돌출되고 상기 무게추와 연결된 돌기를 갖추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 하단 피니언; 상기 완철에 횡설되고 송배전 케이블과 마주하는 일면에 ∩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 하단 피니언과 하기 제1, 2 이동체의 랙과의 맞물림을 위해 맞물림 구멍이 형성되는 제1, 2 가이드; 상기 제1, 2 가이드의 상기 개구부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도록 저면이 개구된 ∩ 형상을 이루고 상기 몸체의 피치와 맞물리는 랙이 외면에 형성되며, 일단에 송배전 케이블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1, 2 가이드에 이동가능하게 내삽되어, 상기 상, 하단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2 가이드의 내면을 가이드로 하여 이동하며, 상기 제1, 2 가이드 내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멍은 고무막으로 폐구되는 제1, 2 이동체;를 포함하여 계절에 관계없이 가공 배전선이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며, 순간적이고 급격한 외력이 송배전 케이블에 가해지는 경우 외력이 애자를 통해 완철에 계속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여 애자 및 완철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증가시키며, 완철에 위치한 송배전 케이블 고정장치가 급격한 외력에 의해 탈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은 송배전 케이블에 순간적이고 급격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외력이 송배전 케이블을 통해 애자와 완철부위에 직접 작용하지 못하게 하고 외력이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애자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이 애자로부터 탈선하여 완철 위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추락한 송배전 케이블이 비절연재질로 되어 있는 완철과 직접 접촉하면서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 2는 완철본체, 가설플레이트, 애자본체, 회전지지케이싱, 슬라이딩랙, 제1 및 제2 회전유닛, 제1 및 제2 회전지지편, 슬라이딩스토퍼유닛, 승강로드, 승강구동부, 온도센서 및 제어부로 구성되어 애자의 파손과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주와 전주 사이의 배전가공전선의 장력이 조절되어 배전가공전선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배전가공전선의 장력을 조절하여 배전가공전선이 아래로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애자의 파손을 방지하고, 애자에 대한 배전가공전선의 지지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배전가공전선이 애자로부터 탈선하여 완철 위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추락한 배전가공전선이 비절연재질로 되어 있는 완철과 직접 접촉하면서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방지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완철에 수직으로 설치된 애자의 상단에 지지되는 송배전 케이블이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탈선하여 완철 위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송배전 케이블이 비절연재질로 된 완철에 직접 접촉하기 전에 이를 지지함으로써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 및 선행기술 1, 2는 송배전 케이블을 절연상태로 지지하는 애자가 파손되어 그 파편이 지상으로 추락하는 경우 또는 애자를 완철에 고정하는 볼트/너트가 분리되어 지상으로 추락하는 경우 그 주변을 지나던 행인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고 주변의 사물에 손상을 주게 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애자의 파편과 볼트/너트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58907호(2011.08.17. 등록)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2074호(2014.01.09. 등록)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완철에 수직으로 설치된 애자의 상단에 지지되는 송배전 케이블이 여러 원인으로 인하여 탈선하여 완철 위로 추락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송배전 케이블이 비절연재질로 된 완철에 직접 접촉하기 전에 이를 지지하고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여 탈선을 방지함으로써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송배전 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파손된 애자의 파편과 애자를 완철에 고정하는 볼트/너트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변을 지나는 행인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주변의 사물에 손상을 주게 되는 일이 없도록 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주에 완철을 고정 설치하고, 완철에 애자를 통하여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주에 밴드부와 평철부로 구성되는 완철밴드를 전주에 감아서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고, 양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머신볼트를 완철밴드의 평철부와 완철에 관통시킨 다음 머신볼트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완철이 전주에 고정되도록 하고, 완철에 애자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애자의 상단에 송배전 케이블을 지지하고 결속선재에 의하여 결속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송배전 선로에서 송배전 케이블이 애자로부터 탈선하여 추락하는 경우 송배전 케이블이 완철 위에 추락하여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선방지수단은 양측 완철의 사이에서 양측 완철에 고정결합되는 함체와, 상기 함체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작동봉이 상기 함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승강작동봉의 상단에 결합되며 애자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전후폭과 양측 완철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전후좌우폭을 가지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배치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절연완충패드와, 상기 상부지지대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절연완충패드와,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설치되어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을 감지하는 추락케이블 감지센서와,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추락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를 하강방향으로 제어하여 승강작동봉이 하강하고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하부절연완충패드 및 상부절연완충패드가 하강하여 상부절연완충패드가 완철의 상면과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의 추락이 감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를 상승방향으로 제어하여 승강작동봉이 상승하고 상기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와 하부절연완충패드 및 상부절연완충패드가 상승하면서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이 절연완충패드 상에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는 전후 양단에 상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경사절곡되는 경사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의 전후 양단의 하면은 상기 상부지지대의 경사연장부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는 충격흡수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절연완충판과, 상기 중공형 절연완충판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절연오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는 상면에 상부절연완충패드의 상부에 위치하는 송배전 케이블의 개수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홈과, 상기 케이블 지지홈의 전후방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송배전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 지지홈으로 안내하기 위한 양측 케이블 안내편과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이 구비되며, 파손된 애자의 파편과 볼트/너트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수단은 상기 함체의 하면에 장착되는 모터본체와, 상기 모터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우 단부가 개방되고 내주면 좌반부에 오른나선의 좌측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 왼나선 우측 암나사부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이 구비된 구동모터와; 상기 좌측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가 구비된 좌측 구동스크루와, 상기 우측 암나사부에 나사결합되는 왼나선의 수나사부가 구비된 우측 구동스크루와; 상기 좌측 구동스크루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완철보다 길게 형성되는 좌측 지지봉과, 상기 우측 구동스크루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상기 완철보다 길게 형성되는 우측 지지봉과; 상기 좌측 지지봉과 우측 지지봉 사이에 좌우 양단이 결합된 추락방지망;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의하면 밴드의 손상이나 애자의 손상으로 인하여 송배전 케이블이 추락하는 경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상승하는 하부지지대, 하부절연완충패드, 상부지지대 및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의하여 지지되어 송배전 케이블이 비절연재질로 구성된 완철에 추락하지 않고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므로 송배전 케이블의 추락으로 인한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송배전 케이블은 하부지지대와 상부지지대 사이에 설치된 하부절연완충패드와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송배전 케이블이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추락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송배전 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의하면 송배전 케이블이 상부절연완충패드에 추락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송배전 케이블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파손된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추락하는 경우 추락방지수단의 추락방지망에 의하여 받혀줌으로써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지상으로 추락하여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주변의 각종 사물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이 적용된 가공송배전선로를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이 적용된 가공송배전선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탈선방지수단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선방지수단의 동작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탈선방지수단의 기능블록도이고,
도 7 내지 도 ?는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사시도,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추락방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수단의 기능블록도이며,
도 11은 종래 가공 송배전선로의 사시도,
도 12는 종래 전주와 완철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을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완철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이에 수평으로 직각을 이루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설명하며, 도면에서 우측을 전방으로, 좌측을 후방으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이 적용된 가공송배전선로를 보인 것이다.
가공송배전선로는 전주(10)에 완철(20)을 고정 설치하고, 완철(20)에 애자(30)를 통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주(10)에 밴드부(51)와 평철부(52)로 구성되는 완철밴드(50)를 전주(10)에 감아서 볼트(53)와 너트(54)로 고정하고, 양단에 나사부(61)가 형성된 머신볼트(60)를 완철밴드(50)의 평철부(52)와 완철(20)에 관통시킨 다음 머신볼트(6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61)에 너트(7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완철(20)이 전주(10)에 고정되도록 하고, 완철(20)에 애자(3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애자(30)의 상단에 송배전 케이블(40)을 지지하고 결속선재(80)에 의하여 결속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은 상기 송배전 케이블(40)이 애자(30)로부터 탈선하여 추락하는 경우 송배전 케이블(40)이 완철(20) 위에 추락하여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수단(1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탈선방지수단(100)은 양측 완철(20)의 사이에서 양측 완철(20)에 고정결합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작동봉(121)이 상기 함체(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솔레노이드(120)와, 상기 승강작동봉(121)의 상단에 결합되며 애자(30)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40)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전후폭과 양측 완철(2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전후좌우폭을 가지는 하부지지대(130)와,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배치되는 상부지지대(140)와,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절연완충패드(150)와,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절연완충패드(160)와,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설치되어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을 감지하는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와,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의 추락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120)를 하강방향으로 제어하여 승강작동봉(121)이 하강하고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와 하부절연완충패드(150) 및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하강하여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완철(20)의 상면과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의 추락이 감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120)를 상승방향으로 제어하여 승강작동봉(121)이 상승하고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와 하부절연완충패드(150) 및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상승하면서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이 절연완충패드(160) 상에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함체(110)는 전방측에 설치된 것은 전면이, 후방측에 설치된 것은 후면이 개방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함체(110)의 상단 좌우측에는 상향 연장되는 장착편(111)을 형성하여 이 장착편(111)과 완철(20)을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11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113)에 의하여 좌우 양측 완철(20) 사이에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상기 함체(110)의 바닥에 고정되고 승강작동봉(121)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솔레노이드(120)는 하단에 장착용 플랜지(미도시)를 형성하고 이 장착용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상기 함체(110)의 바닥에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승강작동봉(120)의 상단에는 하부지지대(130)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용 플랜지(122)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는 금속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150)와 상부절연완충패드(160)는 충격흡수성과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저면과 승강작동봉(121)의 상단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지지대(130)를 관통하는 볼트(미도시)를 상기 결합용 플랜지(122)에 체결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하부지지대(130)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140)는 하부지지대(130)와 동일한 평판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송배전 케이블(40)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후 양단에 상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경사절곡되는 경사연장부(141)를 형성하고,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전후 양단의 하면은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경사연장부(141)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150)는 단순한 고무판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충격흡수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절연완충판(151)과, 상기 중공형 절연완충판(151)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절연오일(152)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150)를 구성하는 중공형 절연완충판(151)의 하면과 상면은 각각 하부지지대(130)의 상면과 상부지지대(140)의 하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되며,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하면은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상면에 접착제에 의하여 접착될 수 있다.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는 상면에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의 개수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홈(161)과,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의 전후방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송배전 케이블(40)을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으로 안내하기 위한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과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163)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의 전후방향 폭은 송배전 케이블(40)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여 케이블 지지홈(161)에 송배전 케이블(40)이 삽입되었을 때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은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전후 양단측으로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이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전후방향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163)은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이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서 전후방향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과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163)은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좌우방향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도시예와 같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리브(rib)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하면에는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이 형성됨에 따른 돌기(P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P1)에 대응하는 요홈(G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하면에는 상기 요홈(G1)이 형성됨에 따른 돌기(P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150)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P2)에 대응하는 요홈(G2)이 형성된다.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는 초음파센서 또는 광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는 애자(30)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40)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추락하는 케이블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모듈형태로 제작하여 상기 함체(110)의 내부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와 제어부(180) 및 솔레노이드(1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함체(110)에 배터리(BAT)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의 탈선을 방지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배전 케이블(40)을 애자(30)에 결속하는 결속선재(80)의 손상 또는 애자(30)의 손상으로 인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이 애자(30)로부터 탈락하여 추락하게 되면,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가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이 감지되고,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의 케이블 추락 감지신호가 제어부(180)에 전달된다.
케이블 추락 감지신호가 제어부(180)에 전달되면, 제어부(180)가 솔레노이드(120)에 대한 상승구동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120)가 상승작동하여 승강작동봉(121)이 상승하게 되며, 승강작동봉(121)의 상단에 결합된 하부지지대(130)와, 하부지지대(130)의 상부에 결합된 하부절연완충패드(150)와, 하부절연완충패드(15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지지대(140) 및 상부지지대(140)의 상부에 결합된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상승하게 되어 송배전 케이블(40)이 완철(20)의 상면에 이르기까지 추락하기 전에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을 받혀지게 된다.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40)은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과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163)의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어 케이블 지지홈(161) 내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여기서 송배전 케이블(40)이 전후 양측 애자(30)의 바깥쪽으로 추락하는 경우에는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에 의하여 케이블 지지홈(161)으로 안내되고(도 4 참조), 송배전 케이블(40)이 전후 양측 애자(30) 사이의 안쪽으로 추락하는 경우에는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에 의해 케이블 지지홈(161)으로 안내된다(도 5 참조).
솔레노이드(120)의 승강작동봉(121)은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케이블 지지홈(161)이 애자(30)의 상단에 이를 때까지 작동하여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40)이 애자(30)에 의해 지지되었던 높이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송배전 케이블(40)은 상부지지대(160)의 케이블 지지홈(161)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이므로 송배전 케이블(40)이 다시 추락하는 일이 없이 추후 손상된 결속선재(80) 또는 애자(30)를 교체하여 정상적인 상태로 복구될 때까지 유지될 수 있다(이상, 도 4 및 도 5 참조).
또한 결속선재(80)의 손상으로 인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이 추락하는 경우에는 애자(30)는 완철(20)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최대 상승높이를 애자(30)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에 의하면 결속밴드(80)의 손상이나 애자(30)의 손상으로 인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이 추락하는 경우 솔레노이드(120)에 의하여 상승하는 하부지지대(130), 하부절연완충패드(150), 상부지지대(140) 및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의하여 지지되어 송배전 케이블(40)이 비절연재질로 구성된 완철(20)에 추락하지 않고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지지되므로 송배전 케이블(40)의 추락으로 인한 누전, 감전, 단락에 의한 정전 또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배전 케이블(40)은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 사이에 설치된 하부절연완충패드(150)와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의하여 절연상태로 유지됨과 아울러 송배전 케이블(40)이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추락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완화시켜 송배전 케이블(40)이 손상되는 일이 없이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추락방지수단(200)을 더 포함하여 전주의 주변을 지나는 행인이 추락물에 의하여 심각한 부상을 입거나 주변 사물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추락방지수단(200)은 상기 함체(110)의 하면에 장착되는 모터본체(211)와, 상기 모터본체(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우 단부가 개방되고 내주면 좌반부에 오른나선의 좌측 암나사부(213)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 왼나선 우측 암나사부(214)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212)이 구비된 구동모터(210)와; 상기 좌측 암나사부(213)에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221)가 구비된 좌측 구동스크루(220)와, 상기 우측 암나사부(214)에 나사결합되는 왼나선의 수나사부(231)가 구비된 우측 구동스크루(230)와; 상기 좌측 구동스크루(220)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완철(20)보다 길게 형성되는 좌측 지지봉(240)과, 상기 우측 구동스크루(2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상기 완철(20)보다 길게 형성되는 우측 지지봉(250)과; 상기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 사이에 좌우 양단이 결합된 추락방지망(26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10)의 모터본체(211)는 상면에 구비된 모터베이스(215)를 관통하는 볼트를 상기 함체(110)의 하면에 체결하는 통상적인 볼트체결 방식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 구동스크루(220)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221)가 구비되어 모터축(212)의 오른나선의 좌측 암나사부(213)에 나사결합되고, 우측 구동스크루(230)는 왼나선의 수나사부(231)가 구비되어 모터축(212)의 왼나선의 우측 암나사부(214)에 나사결합되는 것이므로 구동모터(210)가 가동되어 모터축(212)이 회전하게 되면 좌측 구동스크루(220)와 우측 구동스크루(23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좌측 구동스크루(220)의 선단과 좌측 지지봉(240)의 결합 및 우측 구동스크루(230)의 선단과 우측 지지봉(250)의 결합은 통상적인 나사식 결합방식이나 용접에 의한 결합방식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은 도시예와 같이 사각파이프로 구성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로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에 추락방지망(260)의 양단을 결합함에 있어서는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의 하부에 평철(241, 251)을 덧대고 좌측 지지봉(240)과 좌측 평철(241) 사이 및 우측 지지봉(250)과 우측 평철(251) 사이에 추락방지망(260)의 좌우 양단을 삽입하고, 좌측 지지봉(240)과 추락방지망(260)의 좌측 단부 및 좌측 평철(241)과 우측 지지봉(250)과 추락방지망(260)의 우측 단부 및 우측 평철(251)에 볼트(261)를 관통시키고 볼트(261)의 관통돌출단부에 너트(262)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추락방지망(260)은 통상적인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엮어서 만든 그물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천연섬유, 인조섬유 또는 합성섬유를 엮어서 만든 그물망은 자체적으로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 사이의 간격이 추락방지망(260)의 좌우방향 폭보다 좁은 상태에서는 중간부가 밑으로 처지는 상태로 되며,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 사이의 간격이 추락방지망(260)의 좌우방향 폭에 일치하는 상태로 되면 완전히 펼쳐져서 수평을 이루게 된다.
또한 추락방지망(260)은 완전히 펼쳐진 상태에서도 자체적으로 가요성이 있기 때문에 파손된 애자의 파편 또는 볼트/너트가 그 위에 떨어지는 경우 추락물의 중량에 따라 밑으로 처지게 되어 추락물을 보다 안전하게 받혀주게 되어 추락물이 2차 추락하는 일이 없게 된다.
또한 추락방지망(260)의 가장자리에는 추락방지망(260)을 구성하는 섬유보다 굵은 로프(미도시)를 결속하여 추락방지망(260)의 가장자리 형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보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추락 케이블 감지센서(170)의 감지신호와 제어부(180)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락 케이블 감지센서(170)가 추락하는 케이블은 물론 추락물을 감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이 추락할 경우에는 추락 케이블 감지센서(170)의 감지신호와 제어부(180)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탈선방지수단(100)의 동작에 의하여 케이블의 탈락을 방지하게 됨과 아울러 파손된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추락하는 경우에는 추락 케이블 감지센서(170)의 감지신호와 제어부(180)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구동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추락물의 추락이 없는 평상시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210)의 모터축(212)과 좌측 구동스크루(220) 및 우측 구동스크루(230)의 작용에 의하여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 사이의 간격이 추락방지망(260)의 좌우 방향 폭보다 좁은 상태(좌우 완철 사이의 간격 정도로 유지되는 상태)로 되고,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에 양단이 결합된 추락방지망(260)은 중간부가 밑으로 처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블 감지센서(170)가 추락물을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신호가 제어부(180)에 전달되고, 제어부(180)는 구동모터(2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210)가 반시계방향으로 가동되면 모터축(212)의 좌측 암나사부(213)와 좌측 구동스크루(220)의 수나사부(221)는 오른나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모터축(212)의 우측 암나사부(214)와 우측 구동스크루(230)의 수나사부(231)는 왼나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좌측 구동스크루(220)는 좌측 방향으로 전진하고, 우측 구동스크루(230)는 우측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좌측 구동스크루(220)의 선단부에 결합된 좌측 지지봉(240)은 좌측으로 이동하고, 우측 구동스크루(230)의 선단부에 결합된 우측 지지봉(250)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에 좌우측 양단이 결합된 추락방지망(260)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지게 된다.
한편, 추락물은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의하여 받혀져서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추락물이 상부절연완충패드(160)를 벗어나서 추락하는 경우에는 펼쳐져 있는 추락방지망(260)에 의하여 받혀져서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구동모터(210)가 반대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동작과 역방향 동작에 의하여 좌측 구동스크루(220)와 좌측 지지봉(240)은 우측으로, 우측 구동스크루(230)와 우측 지지봉(250)은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추락방지망(260)이 다시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은 탈선방지수단(100)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의 탈선을 방지함과 아울러 파손된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추락하는 경우 추락방지수단(200)의 추락방지망(260)에 의하여 받혀줌으로써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지상으로 추락하여 주변을 지나가는 행인들에게 심각한 부상을 입히거나 주변의 각종 사물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게 된다.
한편, 추락방지수단(200)은 탈선방지수단(100)의 추락 케이블 감지센서(170)의 감지신호와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하여 동작하게 되므로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추락하지 않고 송배전 케이블(40)이 추락하는 경우에도 추락방지수단(200)이 탈선방지수단(100)과 함께 작동하게 될 수 있는바, 이 경우 송배전 케이블(40)이 추락하는 것은 애자 파편과 볼트/너트 등의 추락물이 추락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므로 추락방지수단(200)이 탈선방지수단(100)과 동시에 작동함으로써 추락물의 추락 가능성에 미리 대비하는 상황이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전주 20 : 완철
30 : 애자 40 : 송배전 케이블
100 : 탈선방지수단 110 : 함체
120 : 솔레노이드 121 : 승강작동봉
130 : 하부지지대 140 : 상부지지대
150 : 하부절연완충패드 151 : 중공형 절연완충판
152 : 절연오일 160 : 상부절연완충패드
161 : 케이블 지지홈 162 : 양측 케이블 안내편
163 :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 170 : 추락 케이블 감지센서
180 : 제어부 200 : 추락방지수단
210 : 구동모터 220, 230 : 구동스크루
240, 250 : 지지봉 260 : 추락방지망

Claims (1)

  1. 전주(10)에 완철(20)을 고정 설치하고, 완철(20)에 애자(30)를 통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을 지지하는 것으로, 전주(10)에 밴드부(51)와 평철부(52)로 구성되는 완철밴드(50)를 전주(10)에 감아서 볼트(53)와 너트(54)로 고정하고, 양단에 나사부(61)가 형성된 머신볼트(60)를 완철밴드(50)의 평철부(52)와 완철(20)에 관통시킨 다음 머신볼트(60)의 양단에 형성된 나사부(61)에 너트(70)를 체결하는 것에 의하여 완철(20)이 전주(10)에 고정되도록 하고, 완철(20)에 애자(30)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애자(30)의 상단에 송배전 케이블(40)을 지지하고 결속선재(80)에 의하여 결속하여 고정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송배전 선로에서 송배전 케이블(40)이 애자(30)로부터 탈선하여 추락하는 경우 송배전 케이블(40)이 완철(20) 위에 추락하여 직접 접촉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선방지수단(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탈선방지수단(100)은 양측 완철(20)의 사이에서 양측 완철(20)에 고정결합되는 함체(110)와, 상기 함체(110)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승강작동봉(121)이 상기 함체(1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연장되는 솔레노이드(120)와, 상기 승강작동봉(121)의 상단에 결합되며 애자(30)에 지지된 송배전 케이블(40)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전후폭과 양측 완철(2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전후좌우폭을 가지는 하부지지대(130)와, 상기 하부지지대(130)의 상면에서 상부로 이격배치되는 상부지지대(140)와,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 사이에 설치되는 하부절연완충패드(150)와,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절연완충패드(160)와,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에 설치되어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을 감지하는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와,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의 추락이 감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솔레노이드(120)를 하강방향으로 제어하여 승강작동봉(121)이 하강하고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와 하부절연완충패드(150) 및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하강하여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완철(20)의 상면과 일치하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추락케이블 감지센서(170)에 의하여 송배전 케이블(40)의 추락이 감지되면 상기 솔레노이드(120)를 상승방향으로 제어하여 승강작동봉(121)이 상승하고 상기 하부지지대(130)와 상부지지대(140)와 하부절연완충패드(150) 및 상부절연완충패드(160)가 상승하면서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이 절연완충패드(160) 상에 지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지지대(130)는 평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140)는 전후 양단에 상방을 향하여 벌어지도록 경사절곡되는 경사연장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전후 양단의 하면은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경사연장부(141)에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150)는 충격흡수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가지는 중공형 절연완충판(151)과, 상기 중공형 절연완충판(151)의 내부공간에 주입되는 절연오일(15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는 상면에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상부에 위치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의 개수에 대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케이블 지지홈(161)과,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의 전후방에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송배전 케이블(40)을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으로 안내하기 위한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과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163)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의 전후방향 폭은 송배전 케이블(40)의 직경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하여 케이블 지지홈(161)에 송배전 케이블(40)이 삽입되었을 때 전후방향으로 유동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상기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은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전후 양단측으로 추락하는 송배전 케이블(40)이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전후방향 바깥쪽으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에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안쪽으로 향하여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양측 케이블 안내편(162)과 중앙측 케이블 안내편(163)은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복수개의 리브(rib)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절연완충패드(160)의 하면에는 상기 케이블 지지홈(161)이 형성됨에 따른 돌기(P1)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P1)에 대응하는 요홈(G1)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140)의 하면에는 상기 요홈(G1)이 형성됨에 따른 돌기(P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절연완충패드(150)의 상면에는 상기 돌기(P2)에 대응하는 요홈(G2)이 형성되고,
    파손된 애자의 파편과 볼트/너트가 지상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추락방지수단(2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락방지수단(200)은 상기 함체(110)의 하면에 장착되는 모터본체(211)와, 상기 모터본체(21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우 단부가 개방되고 내주면 좌반부에 오른나선의 좌측 암나사부(213)가 형성되고 내주면 우반부에 왼나선 우측 암나사부(214)가 형성된 중공형 모터축(212)이 구비된 구동모터(210)와; 상기 좌측 암나사부(213)에 나사결합되는 오른나선의 수나사부(221)가 구비된 좌측 구동스크루(220)와, 상기 우측 암나사부(214)에 나사결합되는 왼나선의 수나사부(231)가 구비된 우측 구동스크루(230)와; 상기 좌측 구동스크루(220)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상기 완철(20)보다 길게 형성되는 좌측 지지봉(240)과, 상기 우측 구동스크루(230)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상기 완철(20)보다 길게 형성되는 우측 지지봉(250)과; 상기 좌측 지지봉(240)과 우측 지지봉(250) 사이에 좌우 양단이 결합된 추락방지망(26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20150188290A 2015-12-29 2015-12-2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671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90A KR101671503B1 (ko) 2015-12-29 2015-12-2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8290A KR101671503B1 (ko) 2015-12-29 2015-12-2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1503B1 true KR101671503B1 (ko) 2016-11-01

Family

ID=5748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8290A KR101671503B1 (ko) 2015-12-29 2015-12-29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5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07B1 (ko) 2011-02-09 2011-08-25 (합)동양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083415B1 (ko) * 2011-09-21 2011-11-14 (주)전우종합기술 감전예방 배전용 지지 완철
JP2012175737A (ja) * 2011-02-17 2012-09-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落下防止器具
KR101352074B1 (ko)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485160B1 (ko) * 2014-06-27 2015-01-28 홍현자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907B1 (ko) 2011-02-09 2011-08-25 (합)동양엔지니어링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JP2012175737A (ja) * 2011-02-17 2012-09-1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落下防止器具
KR101083415B1 (ko) * 2011-09-21 2011-11-14 (주)전우종합기술 감전예방 배전용 지지 완철
KR101352074B1 (ko) 2013-11-13 2014-01-15 양정모 배전가공전선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485160B1 (ko) * 2014-06-27 2015-01-28 홍현자 가공 배전선로의 배전반 지지완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937B1 (ko) 가공 송배전 선로를 고정하는 철탑구조
CN209805373U (zh) 一种线缆固定装置
KR101634995B1 (ko)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241318B1 (ko) 송배전 특고압전선의 철탑 고정용 홀더
KR101671503B1 (ko) 송배전 케이블의 탈선 방지를 위한 위치고정 완철
KR101623403B1 (ko) 배전선의 탈선을 방지하는 절연애자
CN103991827A (zh) 电梯安装装置
CN210152425U (zh) 一种建筑工程用缓冲可调节式护栏板
CN116632730A (zh) 一种道路建设施工电缆抗压防挖隔离保护机构
CN207320702U (zh) 一种输电线路防振锤位置调整装置
CN210297099U (zh) 一种电力通讯用线缆固定装置
CN203180430U (zh) 电动绞磨
CN214828857U (zh) 一种电力设备安装用绝缘平台
CN212130153U (zh) 一种钢结构的彩钢板围栏
CN216587624U (zh) 一种建筑装修施工用具有防坠落功能的施工吊篮
CN220457689U (zh) 一种工业电气自动化防护装置
CN102290167B (zh) 耐张绝缘子串防雪板
CN208155573U (zh) 一种水平推覆试验测试系统
CN216056037U (zh) 一种线路施工用护线装置
CN213927761U (zh) 一种长寿命方便维修的通信塔
CN215378327U (zh) 一种布电缆用安全防护装置
CN209799555U (zh) 果树防护栏
CN210803085U (zh) 一种材料试验机的减震装置
KR100885731B1 (ko) 송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CN219163924U (zh) 电力自动化控制柜线束整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